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16:58:18

케난 에브렌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0%, #E30A17 20%, #E30A17 80%, #AF001F);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이스메트 이뇌뉘 젤랄 바야르 제말 귀르셀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제브데트 수나이 파흐리 코루튀르크 케난 에브렌 투르구트 외잘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쉴레이만 데미렐 압둘라 귈 }}}
룸 술탄 · 오스만 군주 · 튀르키예 대통령
}}}}}}

케난 에브렌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한국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상훈 연도 결정일 수여일 이름 직책 국적 비고
1949년 8월 15일 이승만 대통령 대한민국
1960년 8월 13일 윤보선 대통령 대한민국
1963년 12월 5일 12월 17일 박정희 대통령 대한민국
1967년 6월 23일 육영수 영부인 대한민국
1979년 12월 7일 최규하 대통령 대한민국 12.12 군사반란으로 하야
1979년 12월 7일 홍기 영부인 대한민국
1980년 8월 29일 8월 29일 전두환 대통령 대한민국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0년 8월 29일 8월 29일 이순자 영부인 대한민국
1988년 2월 24일 2월 25일 노태우 대통령 대한민국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8년 2월 24일 2월 25일 김옥숙 영부인 대한민국
1993년 2월 11일 2월 23일 김영삼 대통령 대한민국
1993년 2월 11일 2월 23일 손명순 영부인 대한민국
1998년 2월 17일 2월 25일 김대중 대통령 대한민국
1998년 2월 17일 2월 25일 이희호 영부인 대한민국
2008년 1월 28일 노무현 대통령 대한민국
2008년 1월 28일 권양숙 영부인 대한민국
2013년 2월 12일 이명박 대통령 대한민국
2013년 2월 12일 김윤옥 영부인 대한민국
2013년 2월 19일 박근혜 대통령 대한민국
2022년 5월 3일 문재인 대통령 대한민국
2022년 5월 3일 김정숙 영부인 대한민국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외국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상훈 연도 결정일 수여일 이름 직책 국적 비고
1964년 12월 3일 12월 8일 하인리히 뤼프케 대통령 서독 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4년 12월 3일 12월 8일 빌헬미네 뤼브케 영부인 서독 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6년 2월 1일 2월 7일 이스마일 나시루딘 국왕 말레이시아
1966년 2월 1일 2월 7일 틍쿠 인탄 자하라 왕비 말레이시아
1966년 2월 1일 2월 10일 푸미폰 아둔야뎃 국왕 태국
1966년 2월 1일 2월 10일 시리낏 끼띠야콘 왕비 태국
1966년 2월 1일 2월 15일 장제스 총통 중화민국
1968년 5월 10일 5월 18일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 에티오피아
1969년 5월 23일 5월 27일 응우옌반티에우 총통 남베트남
1969년 5월 23일 5월 27일 응우옌티마이아인 제1부인 남베트남
1969년 10월 28일 10월 28일 하마니 디오리 대통령 니제르
1969년 10월 28일 10월 28일 아이샤 디오리 영부인 니제르
1970년 9월 25일 9월 28일 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 대통령 엘살바도르
1970년 9월 25일 9월 28일 마리나데 산체스 에르난데스 영부인 엘살바도르
1975년 6월 27일 7월 5일 오마르 봉고 대통령 가봉
1975년 6월 27일 7월 5일 조세핀 봉고 영부인 가봉
1979년 4월 17일 4월 23일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대통령 세네갈
1979년 4월 17일 4월 23일 콜레테 위베르트 상고르 영부인 세네갈
1980년 5월 11일 할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드 국왕 사우디아라비아
1980년 5월 14일 자베르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 쿠웨이트
1981년 6월 25일 수하르토 대통령 인도네시아
1981년 6월 25일 시티 하티나 영부인 인도네시아
1981년 6월 29일 아마드 샤 이브니 아부 바카르 국왕 말레이시아
1981년 6월 29일 틍쿠 아프잔 왕비 말레이시아
1981년 7월 6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필리핀
1981년 7월 6일 이멜다 마르코스 영부인 필리핀
1981년 10월 13일 로드리고 카라소 대통령 코스타리카
1981년 10월 13일 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사노 영부인 코스타리카
1982년 5월 10일 사무엘 도 대통령 라이베리아
1982년 6월 7일 모부투 세세 세코 대통령 자이르
1982년 6월 7일 보비 라다와 영부인 자이르
1982년 8월 25일 압두 디우프 대통령 세네갈
1982년 12월 21일 케난 에브렌 대통령 튀르키예
1983년 3월 10일 3월 15일 자파르 모하메드 니메이리 대통령 수단
1983년 3월 10일 3월 15일 부띠나 칼릴 압불핫산 영부인 수단
1983년 9월 10일 후세인 1세 국왕 요르단
1983년 9월 10일 누르 왕비 요르단
1984년 4월 9일 하사날 볼키아 국왕 브루나이
1984년 4월 21일 할리파 빈 하마드 알타니 국왕 카타르
1984년 8월 30일 9월 13일 다우다 자와라 대통령 감비아
1984년 8월 30일 9월 13일 치렐 자와라 영부인 감비아
1985년 5월 17일 무함마드 지아울하크 대통령 파키스탄
1985년 5월 20일 루이스 알베르토 몽헤 대통령 코스타리카
1986년 9월 4일 4월 10일 엘리자베스 2세 국왕 영국
1986년 9월 4일 4월 16일 보두앵 국왕 벨기에
1987년 4월 7일 아메드 압달라 대통령 코모로
1988년 11월 3일 이스칸다르 국왕 말레이시아
1988년 11월 3일 자나리아 왕비 말레이시아
1989년 11월 3일 11월 20일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대통령 서독
1989년 11월 3일 11월 30일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 프랑스
1989년 11월 3일 11월 30일 다니엘 미테랑 영부인 프랑스
1990년 6월 21일 안드레스 로드리게스 대통령 파라과이
1990년 11월 5일 괸츠 아르파드 대통령 헝가리
1991년 9월 13일 아즐란 샤 국왕 말레이시아
1991년 9월 13일 투안쿠 바이눈 왕비 말레이시아
1991년 9월 25일 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 대통령 멕시코
1992년 8월 13일 호르헤 안토니오 세라노 엘리아스 대통령 과테말라
1993년 5월 20일 5월 25일 피델 라모스 대통령 필리핀
1993년 5월 20일 5월 25일 이멜리타 마르티네스 라모스 영부인 필리핀
1994년 11월 7일 11월 21일 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 타글레 대통령 칠레
1994년 12월 5일 12월 9일 레흐 바웬사 대통령 폴란드
1995년 2월 7일 2월 16일 이슬람 카리모프 대통령 우즈베키스탄
1995년 2월 21일 3월 6일 로만 헤어초크 대통령 독일
1995년 3월 28일 4월 3일 젤류 젤레프 대통령 불가리아
1995년 6월 26일 7월 7일 넬슨 만델라 대통령 남아프리카 공화국
1995년 9월 26일 9월 29일 카를로스 메넴 대통령 아르헨티나
1996년 7월 23일 9월 4일 알바로 아르수 대통령 과테말라
1996년 7월 23일 페르난두 카르도주 대통령 브라질
1996년 10월 8일 10월 20일 후안 카를로스 1세 국왕 스페인
1996년 10월 8일 10월 20일 소피아 마르가리타 빅토리아 프리데리키 왕비 스페인
1996년 11월 26일 자파 이브니 압둘 라만 국왕 말레이시아
1996년 12월 10일 12월 15일 레오니드 쿠치마 대통령 우크라이나
2000년 2월 22일 3월 3일 카를로 아첼리오 참피 대통령 이탈리아
2000년 2월 22일 3월 6일 자크 시라크 대통령 프랑스
2006년 3월 12일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대통령 알제리
2007년 3월 26일 사마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 쿠웨이트
2007년 3월 28일 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 국왕 카타르
2009년 5월 13일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대통령 카자흐스탄
2009년 11월 12일 알란 가르시아 대통령 페루
2012년 5월 30일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 스웨덴
2012년 11월 21일 할리파 빈 자이드 나하얀 대통령 아랍에미리트
2018년 10월 8일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프랑스
2019년 하랄 5세 국왕 노르웨이
2021년 6월 14일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대통령 오스트리아
2021년 6월 16일 펠리페 6세 국왕 스페인
2021년 6월 16일 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 왕비 스페인
2021년 8월 25일 이반 두케 대통령 콜롬비아
2021년 9월 21일 보루트 파호르 대통령 슬로베니아
2023년 7월 13일 안제이 두다 대통령 폴란드
2023년 11월 21일 찰스 3세 국왕 영국
2024년 11월 16일 디나 볼루아르테 대통령 페루 }}}}}}}}}


<colbgcolor=#e30a17>
튀르키예 공화국 제7대 대통령
아흐메트 케난 에브렌
Ahmet Kenan Evren
파일:EZa-ek1WAAQ3i5n.jpg
출생 1917년 7월 17일
오스만 제국 알라셰히르
사망 2015년 5월 9일 (향년 97세)
튀르키예 앙카라
재임기간 제7대 대통령
1982년 11월 9일 ~ 1989년 11월 9일
학력 튀르키예 포병사관학교 (학사) (1934-1938년)
튀르키예 군사참모대학 (박사) (1946-1949년)
최종 당적

[[무소속(정치)|
무소속
]]
배우자 세키네 에브렌(결혼:1944년~1982년)[1]
자녀 3녀
종교 수니파 이슬람교 ( 세속주의)

1. 개요2. 초기 생애3. 1980년의 쿠데타와 집권4. 대통령직 재임5. 퇴임 이후와 말년6. 평가7. 여담

[clearfix]

1. 개요

튀르키예의 군인, 정치인. 1982년부터 1989년까지 재임한 튀르키예 공화국의 제 7대 대통령이자 독재자이다.

2. 초기 생애

1917년 오스만 제국 알라셰히르에서 알바니아계 아버지와 불가리아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1938년 포병사관학교를 졸업하고 6.25 전쟁에 참전하기도 했다. 1958년부터 1959년까지 튀르키예 여단으로 한국에서 복무하기도 했다. 1961년에 육군참모장이 되고 1964년에는 장군으로 승진했다. 1977년에 육군참모총장으로 승진하고 이듬해인 1978년에는 튀르키예군 최고 사령관이 되었다.

3. 1980년의 쿠데타와 집권

튀르키예군의 최고 사령관 자리에 오른 에브렌은 1970년대 후반 튀르키예에 만연한 극도의 정치, 사회, 경제적 불안정이라는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당시 튀르키예는 뷜렌트 에제비트가 이끄는 중도 좌파 공화인민당(Cumhuriyet Halk Partisi,CHP)[2]과 쉴레이만 데미렐 총리가 이끄는 정의당(AP, Adalet Partisi)을 주도로 한 우파 연합 국민전선, 네즈메틴 에르바칸을 중심으로 한 보수 성향의 이슬람계 정당 국민구제당(Millî Selamet Partisi,MSP)의 세 세력이 대립하는 가운데 수많은 정치적 암살과 테러, 범죄가 횡행했고 1970년대 후반 5년 동안에만 총리직이 3번 교체되는 혼란을 겪고 있었다.

에브렌은 1979년 말 직속 부하에게 쿠데타 가능성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케 함으로써 최초의 행동을 보인다. 1980년 초 두 번째 보고서가 작성되고, 점점 상황은 극을 향해 고조되고 있었다. 당시 데미렐 총리는 1979년 이미 군부의 수상한 움직임에 대해 튀르키예 국가정보국으로부터 정보를 받은 상태였지만 강대한 튀르키예 육군의 지휘권을 쥐고 있는 에브렌에게 내각이 대응할 수단은 현실적으로 전무했다.

1980년 9월 12일 오전 에브렌과 군부는 행동을 개시한다. 군권을 장악하고 이스탄불 앙카라의 정부 기관들을 압박하는 그 앞에 총리와 관료들은 무력했다. 데미렐 내각을 몰아낸 그는 국가안보평의회(NSC)를 세우고, 의장으로써 2년간 국가원수 대행으로 권력을 잡는다.[3] 이 때 이전의 의회를 해산하면서 "튀르키예에 자유는 너무 큰 사치이다"라는 말을 남긴 것으로 유명하다.

당시 그리스는 1974년 키프로스 전쟁에서 튀르키예의 행동을 눈감아준 서방세계에 대한 반감으로 NATO에서 탈퇴했다가 안보 위협이 증대되면서 재가입을 하려고 하고 있었다. 문제는 나토 회원국들의 만장일치 동의가 있어야만 회원이 될 수 있는 상황에서 튀르키예가 계속 반대를 하고 있었다. 이때 해성같이 등장한 케난 에브렌은 그리스의 나토 재가입을 찬성하는 대가로 미국 지미 카터 행정부로부터 정권을 용인받을 수 있었다. 당시 튀르키예 담당 CIA 국장인 파울 헨즈(Paul Henze)는 케난 에브렌의 쿠데타를 아예 대놓고 찬성하는 발언을 했고 이에 대해 튀르키예 좌파들이 미국에 대해 크게 반발하기도 했다.

1982년 11월 그는 국가안보평의회의 이름으로 헌법을 개정하고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1982년 11월 9일 7년 단임제 임기의 7대 튀르키예 대통령으로 취임한다. 이전까지 튀르키예의 정치는 의원내각제로 돌아가고 있었으나 에브렌의 개헌은 모든 권한을 대통령에게 집중하고 내각과 총리를 대통령의 수족으로 채우는 대통령제 헌법이었다.

알파고 시나씨에 의하면 당시만 해도 케난 에브렌에 대한 튀르키예 국민들의 지지가 매우 높았다고 한다. 헌법 개헌 당시 무려 93%의 지지도가 나왔는데 이것도 군부에 의한 조작이 아닌 국민들의 진심어린 동의에 의한 지지도라고 한다. 1970년대 말의 극심한 정치혼란에 튀르키예 국민들이 완전히 지쳤기 때문이었다. 케난 에브렌에 대한 국민의 높은 지지는 이후 잔혹한 고문이 폭로되면서 깨지게 된다.

4. 대통령직 재임

케난 에브렌이 정권을 잡은 기간은 모든 독재정치가 그렇듯이 빛과 그림자가 극명하게 갈리는 시기이다. 대부분의 튀르키예인들은 그의 재임기를 튀르키예 역사상 가장 어둡고 잔인한 역사로 정의한다. 통계에 따라 다르지만 250,000명에서 최대 650,000명까지의 민간인이 에브렌 정권 하에서 구속되었으며 이 중 14,000여 명이 시민권을 박탈당했고 50여 명이 처형되었다. 물론 공식적으로 기록되지 않은 암살과 숙청 등은 이것의 수십 배에 이를 것이라고 추정된다.

불법적인 민간인 사찰과 영장 없는 구속, 고문 역시 횡행했는데 수백 명에서 수천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군과 경찰에 끌려가 고문을 받았으며 일부는 영영 돌아오지 못했다. 또한 그는 기존 수권 정당과 정치인들[4]의 활동을 모두 금지하고 관제 야당만을 선거에 출마할 수 있게 허용했고, 초월적인 권한을 대통령에게 부여하는 신헌법으로 어렵게 유지되어온 튀르키예의 민주주의를 파괴했다.

반면 에브렌에게는 튀르키예의 경제를 강력한 리더십으로 살려낸 지도자라는 상반된 수식어 역시 붙는다. 1970년대 후반 튀르키예의 경제는 공화인민당과 정의당, 민족주의행동당이 번갈아 가며 집권하면서도 그 어느 당도 해법을 내놓지 못해 점점 파탄의 경지로 가고 있었다. 그러나 케난 에브렌은 취임 후 강력한 통화 정책을 기반으로 살인적인 인플레이션을 최소화하고 국제통화기금의 지원을 통해 튀르키예의 경제와 산업을 세계화시키는 데에 성공한다. 중서부 지방에 비해 낙후되어 있던 동남부 아나톨리아를 개발하여 근대화시킨 것도 에브렌 집권기의 일이다.

1982년 12월 튀르키예 대통령 최초로 방한해서 전두환 대통령과 회담을 가지기도 했다. 이후 2004년 당시 총리이자 현 대통령인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의 방한에 이어 2005년 노무현 대통령의 튀르키예 방문으로 23년 만의 국가원수 답방이 이루어졌다. 1989년 11월 9일에 7년의 임기를 마감하고 대통령직을 퇴임한다.

5. 퇴임 이후와 말년

에브렌은 대통령직을 내려놓은 후 지중해 연안의 마을에서 아마추어 화가 생활에만 몰두한다. 그러나 수많은 사법 살인과 불법적 고문, 시찰, 숙청을 감행한 에브렌에 대해 튀르키예 국내외에서 처벌 여론이 들끓었지만 군부의 영향을 받는 세속주의 성향의 정부 아래에서 그에 대한 처벌 여론은 흐지부지되어 있다가 이슬람주의 성향의 정의개발당(AKP)이 집권하는 문민 정부가 들어선 후 본격적으로 다시 수면으로 떠오르게 된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정부는 2000년대 초반부터 케난 에브렌에 대한 법적 처벌을 검토했지만 실제 기소는 2012년에 와서야 이루어졌고, 2014년 국가 전복 모의와 살인 및 살인교사 혐의로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하지만 이때의 에브렌은 이미 96세의 노령이었고 건강도 나빠서 이듬해인 2015년 97살의 나이로 앙카라의 국군수도병원에서 파란만장한 인생을 마감했다.

6. 평가

강경한 세속주의자였으나, 군부의 무력에 기댄 권위주의적 세속주의는 국민들의 신뢰를 잃기 시작하여, 오랜 세월 터키를 강력하게 지배해오던 케말주의가 위기를 맞는 원인이 되었다.

비슷하게 군부 쿠데타로 집권했으며 강경한 세속주의자였던 제말 귀르셀이 대통령 취임 후 군부와 적당히 거리를 두고 친이슬람 성향 정치인도 적당히 포용하고 정국을 끌고가면서 케말의 뒤를 잇는 제2의 국부 이야기까지 들었던 것과는 대비되는 모습.

7. 여담

전두환 전 대통령과 정치 이력이 비슷하다. 1980년에 쿠데타를 일으켰다거나, 헌법 개정과 어용 선거로 대통령에 취임했다거나, 심지어 7년 단임이라는 임기마저 똑같다. 임기가 종료된 이후 법의 심판을 받았다는 점도. 두 사람은 직접 만난 적도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군인 출신 독재자끼리는 통하는 무언가가 있는지도 모르겠다.
[1] 1922년 ~ 1982년(향년 59세) [2]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가 세운 정당이며 1950년까지 여당이였다. [3] 박정희 대통령 국가재건최고회의와 유사한 것으로, 가장 강력한 숙청과 인권 탄압은 세속주의를 훼손하는 불순분자를 솎아낸다는 명목 하에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 [4] 쿠데타 이전의 총리들이던 쉴레이만 데미렐, 뷜렌트 에제비트와 제3당 국민구제당의 당수로 부총리를 역임하던 네즈메틴 에르바칸 등이 그 피해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