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8-14 00:57:01

알란 가르시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A52A2A 0%, #d91023 20%, #d91023 80%, #A52A2A); 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호세 데 라 리바 아구에로 호세 베르나르도 데 타글레 호세 데 라 마르 아구스틴 가마라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루이스 호세 데 오르베고소 아구스틴 가마라 마누엘 메넨데스 후안 프란시스코 데 비달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마누엘 이그나시오 데 비방코 마누엘 메넨데스 라몬 카스티야 호세 루피노 에체니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라몬 카스티야 미겔 데 산 로만 후안 안토니오 페세트 마리아노 이그나시오 프라도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페드로 디에스 칸세코 코르바초 호세 발타 마리아노 에렌시아 세바요스 마누엘 파르도 이 라바예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마리아노 이그나시오 프라도 루이스 라 푸에르타 니콜라스 데 피에롤라 프란시스코 가르시아 칼데론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리사르도 몬테로 미겔 이글레시아스 안드레스 아벨리노 카세레스 레미히오 모랄레스 베르무데스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후스티니아노 보르고뇨 안드레스 아벨리노 카세레스 니콜라스 데 피에롤라 에두아르도 로페스 데 로마냐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마누엘 칸다모 세라피오 칼데론 호세 파르도 이 바레다 아우구스토 레귀아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길레르모 빌링허스트 오스카 베나비데스 호세 파르도 이 바레다 아우구스토 레귀아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루이스 미겔 산체스 세로 오스카 베나비데스 마누엘 프라도 우가르테체 호세 루이스 부스타만테 이 리베로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마누엘 오드리아 마누엘 프라도 우가르테체 리카르도 페레즈 고도이 니콜라스 린들리 로페스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페르난도 벨라운데 테리 후안 벨라스코 알바라도 프란시스코 모랄레스 베르무데스 페르난도 벨라운데 테리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알란 가르시아 알베르토 후지모리 발렌틴 파니아과 알레한드로 톨레도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알란 가르시아 오얀타 우말라 페드로 파블로 쿠친스키 마르틴 비스카라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마누엘 메리노 프란시스코 사가스티 페드로 카스티요 디나 볼루아르테
둘러보기 · 사파 잉카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한국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상훈 연도 결정일 수여일 이름 직책 국적 비고
1949년 8월 15일 이승만 대통령 대한민국
1960년 8월 13일 윤보선 대통령 대한민국
1963년 12월 5일 12월 17일 박정희 대통령 대한민국
1967년 6월 23일 육영수 영부인 대한민국
1979년 12월 7일 최규하 대통령 대한민국 12.12 군사반란으로 하야
1979년 12월 7일 홍기 영부인 대한민국
1980년 8월 29일 8월 29일 전두환 대통령 대한민국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0년 8월 29일 8월 29일 이순자 영부인 대한민국
1988년 2월 24일 2월 25일 노태우 대통령 대한민국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8년 2월 24일 2월 25일 김옥숙 영부인 대한민국
1993년 2월 11일 2월 23일 김영삼 대통령 대한민국
1993년 2월 11일 2월 23일 손명순 영부인 대한민국
1998년 2월 17일 2월 25일 김대중 대통령 대한민국
1998년 2월 17일 2월 25일 이희호 영부인 대한민국
2008년 1월 28일 노무현 대통령 대한민국
2008년 1월 28일 권양숙 영부인 대한민국
2013년 2월 12일 이명박 대통령 대한민국
2013년 2월 12일 김윤옥 영부인 대한민국
2013년 2월 19일 박근혜 대통령 대한민국
2022년 5월 3일 문재인 대통령 대한민국
2022년 5월 3일 김정숙 영부인 대한민국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외국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상훈 연도 결정일 수여일 이름 직책 국적 비고
1964년 12월 3일 12월 8일 하인리히 뤼프케 대통령 서독 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4년 12월 3일 12월 8일 빌헬미네 뤼브케 영부인 서독 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6년 2월 1일 2월 7일 이스마일 나시루딘 국왕 말레이시아
1966년 2월 1일 2월 7일 틍쿠 인탄 자하라 왕비 말레이시아
1966년 2월 1일 2월 10일 푸미폰 아둔야뎃 국왕 태국
1966년 2월 1일 2월 10일 시리낏 끼띠야콘 왕비 태국
1966년 2월 1일 2월 15일 장제스 총통 중화민국
1968년 5월 10일 5월 18일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 에티오피아
1969년 5월 23일 5월 27일 응우옌반티에우 총통 남베트남
1969년 5월 23일 5월 27일 응우옌티마이아인 제1부인 남베트남
1969년 10월 28일 10월 28일 하마니 디오리 대통령 니제르
1969년 10월 28일 10월 28일 아이샤 디오리 영부인 니제르
1970년 9월 25일 9월 28일 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 대통령 엘살바도르
1970년 9월 25일 9월 28일 마리나데 산체스 에르난데스 영부인 엘살바도르
1975년 6월 27일 7월 5일 오마르 봉고 대통령 가봉
1975년 6월 27일 7월 5일 조세핀 봉고 영부인 가봉
1979년 4월 17일 4월 23일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대통령 세네갈
1979년 4월 17일 4월 23일 콜레테 위베르트 상고르 영부인 세네갈
1980년 5월 11일 할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드 국왕 사우디아라비아
1980년 5월 14일 자베르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 쿠웨이트
1981년 6월 25일 수하르토 대통령 인도네시아
1981년 6월 25일 시티 하티나 영부인 인도네시아
1981년 6월 29일 아마드 샤 이브니 아부 바카르 국왕 말레이시아
1981년 6월 29일 틍쿠 아프잔 왕비 말레이시아
1981년 7월 6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필리핀
1981년 7월 6일 이멜다 마르코스 영부인 필리핀
1981년 10월 13일 로드리고 카라소 대통령 코스타리카
1981년 10월 13일 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사노 영부인 코스타리카
1982년 5월 10일 사무엘 도 대통령 라이베리아
1982년 6월 7일 모부투 세세 세코 대통령 자이르
1982년 6월 7일 보비 라다와 영부인 자이르
1982년 8월 25일 압두 디우프 대통령 세네갈
1982년 12월 21일 케난 에브렌 대통령 터키
1983년 3월 10일 3월 15일 자파르 모하메드 니메이리 대통령 수단
1983년 3월 10일 3월 15일 부띠나 칼릴 압불핫산 영부인 수단
1983년 9월 10일 후세인 1세 국왕 요르단
1983년 9월 10일 누르 왕비 요르단
1984년 4월 9일 하사날 볼키아 국왕 브루나이
1984년 4월 21일 할리파 빈 하마드 알타니 국왕 카타르
1984년 8월 30일 9월 13일 다우다 자와라 대통령 감비아
1984년 8월 30일 9월 13일 치렐 자와라 영부인 감비아
1985년 5월 17일 무함마드 지아울하크 대통령 파키스탄
1985년 5월 20일 루이스 알베르토 몽헤 대통령 코스타리카
1986년 9월 4일 4월 10일 엘리자베스 2세 국왕 영국
1986년 9월 4일 4월 16일 보두앵 국왕 벨기에
1987년 4월 7일 아메드 압달라 대통령 코모로
1988년 11월 3일 이스칸다르 국왕 말레이시아
1988년 11월 3일 자나리아 왕비 말레이시아
1989년 11월 3일 11월 20일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대통령 서독
1989년 11월 3일 11월 30일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 프랑스
1989년 11월 3일 11월 30일 다니엘 미테랑 영부인 프랑스
1990년 6월 21일 안드레스 로드리게스 대통령 파라과이
1990년 11월 5일 괸츠 아르파드 대통령 헝가리
1991년 9월 13일 아즐란 샤 국왕 말레이시아
1991년 9월 13일 투안쿠 바이눈 왕비 말레이시아
1991년 9월 25일 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 대통령 멕시코
1992년 8월 13일 호르헤 안토니오 세라노 엘리아스 대통령 과테말라
1993년 5월 20일 5월 25일 피델 라모스 대통령 필리핀
1993년 5월 20일 5월 25일 이멜리타 마르티네스 라모스 영부인 필리핀
1994년 11월 7일 11월 21일 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 타글레 대통령 칠레
1994년 12월 5일 12월 9일 레흐 바웬사 대통령 폴란드
1995년 2월 7일 2월 16일 이슬람 카리모프 대통령 우즈베키스탄
1995년 2월 21일 3월 6일 로만 헤어초크 대통령 독일
1995년 3월 28일 4월 3일 젤류 미테프 젤레프 대통령 불가리아
1995년 6월 26일 7월 7일 넬슨 만델라 대통령 남아프리카 공화국
1995년 9월 26일 9월 29일 카를로스 메넴 대통령 아르헨티나
1996년 7월 23일 9월 4일 알바로 아르수 대통령 과테말라
1996년 7월 23일 페르난두 카르도주 대통령 브라질
1996년 10월 8일 10월 20일 후안 카를로스 1세 국왕 스페인
1996년 10월 8일 10월 20일 소피아 마르가리타 빅토리아 프리데리키 왕비 스페인
1996년 11월 26일 자파 이브니 압둘 라만 국왕 말레이시아
1996년 12월 10일 12월 15일 레오니드 쿠치마 대통령 우크라이나
2000년 2월 22일 3월 3일 카를로 아첼리오 참피 대통령 이탈리아
2000년 2월 22일 3월 6일 자크 시라크 대통령 프랑스
2006년 3월 12일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대통령 알제리
2007년 3월 26일 사마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 쿠웨이트
2007년 3월 28일 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 국왕 카타르
2009년 5월 13일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대통령 카자흐스탄
2009년 11월 12일 알란 가르시아 대통령 페루
2012년 5월 30일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 스웨덴
2012년 11월 21일 할리파 빈 자이드 나하얀 대통령 아랍에미리트
2018년 10월 8일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프랑스
2019년 하랄 5세 국왕 노르웨이
2021년 6월 14일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대통령 오스트리아
2021년 6월 16일 펠리페 6세 국왕 스페인
2021년 6월 16일 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 왕비 스페인
2021년 8월 25일 이반 두케 대통령 콜롬비아
2021년 9월 21일 보루트 파호르 대통령 슬로베니아
2023년 7월 13일 안제이 두다 대통령 폴란드
2023년 11월 21일 찰스 3세 국왕 영국 }}}}}}}}}
페루 공화국 제53·57대 대통령
알란 가브리엘 루드위그 가르시아 페레스
Alan Gabriel Ludwig García Pérez
파일:Alan_García_presidente_del_Perú.jpg
출생 <colcolor=#000000,#ececec> 1949년 5월 23일
페루 리마
사망 2019년 4월 17일 (향년 69세)
페루 리마
국적 페루 파일:페루 국기.svg
재임기간 제53대 대통령
1985년 7월 28일 ~ 1990년 7월 28일
제57대 대통령
2006년 7월 28일 ~ 2011년 7월 28일
정당 아메리카 혁명인민동맹
서명
파일:Firmaalangarcia.jpg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페루의 53대, 57대 대통령으로 정치역경 자체는 매우 파란만장한 인물이다.

2. 생애

알란 가르시아는 페루의 중산층 가정에서 자랐지만 집안 자체가 정치인 집안인지라 1960년대와 70년대 당시의 페루 정국이 혼돈과 독재를 겪고 있던 참이라서 부침이 있었다. 청소년 시절부터 아메리카 혁명인민동맹의 당원이 되었고 파리에서 몇 년간 유학을 다녀왔다가 1978년 군부가 유화적인 태도를 보이며 총선을 재개했고 페루 의회선거에서 당선되어 국회의원이 되었다. 1982년에 아메리카 혁명인민동맹의 사무총장이 되었다. 티토주의 펠리페 곤살레스 스페인 총리에게 영감을 얻은 정책들을 선보였는데 당시 페루는 민주화 이후로도 외채난으로 인한 극심한 물가 상승과 치안 공백으로 인한 치안 불안에 허덕이고 있었고 민주화 직후에 집권한 벨라운데 테리가 이에 대해 무능한 대처로 일관하면서[1] 이를 강력하게 비판했고, 잘생긴 얼굴과 뛰어난 연설실력을 발군 삼아서 지지율을 급속히 끌어 올렸다. 이익고 1985년 대선에서 53%의 득표율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재임 초기에는 외환보유고의 감소를 막기위해 외채동결 조치를 취하고 동시에 환율 안정화 및 물가통제와 임금인상 정책 등을 폈는데 이러한 조치는 초기에는 큰 효과를 내서 1986년에 경제성장률은 9%대까지 치솟았다. 또한 당시 페루군이 반군을 척결하겠다면서 민간인들을 대상으로 광범휘한 인권침해를 저지르는 문제도 있었는데 초기에는 인권침해를 저지른 군인이나 부패한 경찰관을 해고시키는 개혁정치를 펼쳤다. 지지율 최고치가 무려 96%에 달해서 페루의 케네디라고 불릴 정도였다. 여기서 끝났다면 페루를 안정화 시킨 인기있고 유능한 대통령으로 남았을것이다.

허나 이러한 경제정책은 든든한 빽 없이 진행되었기 때문에 오래 지나지 않아 삐그덕거리기 시작했고,[2] 1987년도부터 경제성장률이 떨어지고 잡힐듯 보였던 물가상승률도 다시금 오를기미를 보이자 경제를 부양하려고 은행국유화 법안을 통과시켰다가 우익진영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은행국유화 법안은 논란끝에 의회에서 부결되며 이후로 알란 가르시아는 급속히 추락하기 시작했다 은행국유화 법안 파동 이후로 기업들의 투자는 급속히 위축되고, 물가상승률은 1987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다시 급속히 치솟기 시작하여 1988년에 1722% 1989년에 2775%까지 치솟았고, 국가경제는 마비상태에 접어들게 되었다. 이 틈을 타서 지방에서 빛나는 길이 페루 전역에 위세를 떨치며 리마 근교지역까지 진출했고, 이들은 페루의 인프라 시설에 테러를 가하며 치안은 다시금 급속도로 악화되었다.

더군다나 빛나는 길도 빛나는 길이지만 인권을 중시했던 초기행보와는 다르게 반군을 진압할 대책으로 강경책을 쓰면서 페루군이 일반 민간인을 임의적으로 살해하는 등의 인권침해적인 작전을 벌여도 이를 방조하거나 조장하기 시작했고, 이때 페루 교도소 학살사건이 터지기도 했다. 또한 경제가 나빠지던 상황속에서 가르시아의 측근들이 부패스캔들에 연루되면서 지지율은 10% 아래로 추락, 이미지는 만신창이가 되기에 이른다. 1989년 지방선거에서는 쌓아놓은 조직력을 통해 세를 확보해나갔지만 그럼에도 당세의 쇠락은 막을수 없었고, 1990년 대통령 선거에서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가 당선될것으로 예측되던 상황이었다. 하지만 알란 가르시아는 여기서 머리를 잘 써서 TV방송 진행자이자 농업전문가 정도로 알려졌던 알베르토 후지모리의 지지율이 올라가며 결선에 진출하자 적극적으로 밀어주었고, 일본이 한창 경제적으로 호경기를 누렸던 시절인지라 일본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 제1의 경제대국이 될것이라는 예측이 난무했었던 점을 이용한것인데 작전은 대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오래가지 않아 알베르토 후지모리와의 관계는 나빠졌고, 알베르토 후지모리가 페루 의회를 해산하고 알란 가르시아의 비리를 조사하려고 하자, 알란 가르시아는 콜롬비아로 망명을 갔고, 반 후지모리 활동을 벌이기도 했다.

2001년 알베르토 후지모리가 추문끝에 탄핵되고, 페루 대법원에서 알란 가르시아에게 유리한 판결을 내리며 페루로 귀국했다. 당초 대통령 선거에서 알베르토 후지모리에게 적극적으로 맞서던 톨레도가 대통령에 당선될것이 확실시 되었던 상황이었고 알란 가르시아는 이전의 반군이 판치고 물가상승률은 극도로 높아졌던 악몽같던 시절을 대표하던 대통령으로 잡룡으로 취급되었지만 뛰어난 선거운동 능력을 선보이면서 결선투표에 진출하는 파란을 일으켰고 2001년 대선에서 석패했지만 그럼에도 46%라는 무시할수 없는 득표율을 확보하며 선전했다는 평을 들었다. 이후로 톨레도가 지지율에서 지속적으로 죽을 쓰면서 유력한 차기 대권주자가 되었다.

하지만 알란 가르시아가 약점이 적지 않은 인물이었는데 이 와중에 오얀타 우말라가 경제성장에도 빈부격차는 여전히 컸던 페루의 상황을 비판하며 급속히 치고 올라오자, 보수파의 표를 얻기 위해 골몰했고, 이를 위해 노선을 온건화했다. 2006년 대선에서 우고 차베스와 오얀타 우말라를 연계해 실컷 까대면서 언론사들의 지원을 얻었고 우파의 표를 획득해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2기 집권기 때는 페루의 경제는 보수적인 재정운영을 하며 우려를 불식시키고, 미국과도 어느 정도 친해졌으며 매년 연 7~8%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금융위기에 휘말린 2009년도를 제외하면 평온하게 경제관리를 잘했다는 평을 들었지만 사회운동에 대해서 보수적인 태도를 취했고 그렇다고 복지를 획기적으로 늘린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집권기간 동안 사회정책에 대한 평은 영 꽝이었고 그 때문에 지지율은 낮았다. 1기 집권기보다는 성과가 낫다는 평을 듣기는 했지만 퇴임 이후로는 퇴물로 전락했고 2016년 대선에서 6%의 득표를 확보하는데 그쳤다. 이후로 오데브레시 뇌물수수 사건에 연루되었고, 이 와중에 우루과이 망명을 가려고 했지만 우루과이 정부에서 거부하면서 오도가도 못하는 신세가 되었다. 이후 2019년 4월 17일에 뇌물 혐의를 조사하던 경찰이 가르시아 전 대통령의 집에 들어오자 총을 들고 스스로 총을 쐈고, 병원으로 이송되었지만 회복하지 못하고 사망했다.

마침 페드로 파블로 쿠친스키가 건강이 썩 좋지 않은데다가 한때의 정적이었지만 동병상련의 처지인 톨레도와 우얀타 우말라도 알란 가르시아의 죽음에 대해서 애도했다. 사실 알란 가르시아의 자살이 가져올 파장이 페루 정치권에서 만만한 것이기 아니기 때문에 페루 정부에서 3일간의 애도기간을 가졌다.

[1] 이미 1기 집권기 때에도 토재개혁을 제대호 수행하지 못하고 미국기업과 이면합의를 했다며 군부에게 쫓겨났던 경력이 있었다. [2] 특히 국제통화기금의 큰 빽이 미국이었는데 미국과의 관계가 급속히 나빠지면서 페루 경제에도 악영향을 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