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5 21:03:08

온주밀감

🍎 과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장미
산딸기
산딸기 · 블랙베리 · 복분자 · 진들딸기
벚나무
버찌 · 체리 · 타트체리 · 앵두 · 살구 · 자두 · 매실 · 복숭아 · 천도복숭아
기타 사과 · · 딸기 · 마르멜로 · 땃딸기 · 모과 · 아로니아 · 흰땃딸기
진달래과 넌출월귤 · 월귤 · 블루베리 · 크랜베리
운향
귤속 감귤 · 금귤 · 기주밀감 · 네이블오렌지 · 당유자 · 라임 · 레몬 · 만다린 · 만백유 · 발렌시아오렌지 · 베르가모트 · 병감 · 블러드오렌지 · 시트론 · 스위티 · 영귤 · 오렌지 · 온주밀감 · 유자 · 자몽 · 지중해감귤 · 칼라만시 · 키라임 · 탄제린 · 포멜로 · 핑거라임 · 페르시아라임
만감류 가을향 · 깜산 · 달코미 · 동백향 · 레드향 · 머콧 · 미니향 · 서지향 · 설향 · 쇼군 · 신예감 · 앙코르 · 윈터프린스 · 이예감 · 진지향 · 천혜향 · 청견 · 카라향 · 클레멘타인 · 탐나는봉 · 탐라향 · 팔삭 · 한라봉 · 한라향 · 황금향
무환자나무과 과라나 · 리치 · 람부탄 · 용안
박과 수박 · 멜론 · 뿔오이 · 여주 · 참외
뽕나무과 오디 · 무화과 · 카눈 · 빵나무
선인장과 백년초 · 용과 · 트라이앵글
포도과 포도 · 거봉 · 델라웨어 · 머루 · 머스캣( 샤인머스캣) · 콩코드 · 캠벨포도 · 청포도 · 피오네
기타 재배
과일
· 구기자 · 꽈리 · 다래 · 비파 · 석류 · 으름 · 양매 · 대추 · 주목 · 키위 · 토마토 ( 방울토마토)
수입
과일
구아바 · 나랑히야 · 나무토마토 · 낸스 · 노니 · 두리안 · 대추야자 · 루비솔트부쉬 · 마몬 · 마룰라 · 망고 · 망고스틴 · 뮤직 트리 · 미드겐베리 · 미라클베리 · 바나나 · 부시당근 · 부시체리 · 부시플럼 · 백향과 · 스타 애플 · 스너프 트리 · 아보카도 · 아사이 · 아세롤라 · 음부타 · 앰부트 · 양초열매 · 엘더베리 · 올리브 · 자탁 · 자보티카바 · 카람볼라 · 캐슈애플 · 케이프 구즈베리 · 카카오 · 캄부카 · 커피체리 ( 커피) · 코코넛 · 쿠이니 · 쿠푸아수 · 파인애플 · 파파야 · 페피노 · 후쿠기
견과류 갈릭넛 · 개암 · 도토리 · 땅콩 · 마카다미아 · · 브라질너트 · 사차인치 · 아몬드 · 은행 · · 카카오닙스 · 캐슈넛 · 캔들넛 · 피스타치오 · 피칸 · 해바라기 · 헤이즐넛 · 호두
: 과채류 · : 일반적으로 과일/견과류보다 종자에 가까움 · : 일반적으로 산지에 가야 먹을 수 있음
그외 비가공 식품 및 재배물 틀: 고기 · 곡물 · 과일 · 채소 · 해조류 · 향신료
}}}}}}}}} ||

🍊 귤속 Citrus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독​립​종 <colcolor=#fff>주​요 원​종 감귤 ( 만다린) · 포멜로 · 시트론
<colbgcolor=#85a900,#4c6100>시트론의 변종 및 재배품종 불수감 · 에트로그
포멜로의 변종 및 재배품종 당유자 · 만백유
기​타 독​립​종 금귤 | 금두 · 마운트화이트라임 · 미크란타 · 의창지 · 인도귤 ·  카피르라임 · 탱자 · 핑거라임
교​잡​종 주​요 교​잡​종 레몬(비터오렌지×시트론) · 비터오렌지(감귤×포멜로) · 오렌지(감귤×포멜로) · 자몽(오렌지×포멜로)
오렌지​의 변종 및 재배품종 네이블오렌지 · 발렌시아오렌지 · 블러드오렌지 · 기타 품종
만다린​의 변종 및 재배품종 감자 ·  광귤 · 기주밀감 · 동정귤 · 병감 · 병귤 · 빈귤 · 산귤 ·  사두감 · 유감 ·   인창귤 ·  온주밀감 · 지중해감귤 · 진귤 · 청귤 · 탄제린 · 편귤 · 하귤 · 홍귤
기​타 교​잡​종 감귤의 교잡종 만​감​류 (만다린×오렌지): 가을향 · 깜산 · 노을향 · 달코미 · 동백향 · 레드향 · 만감 · 머콧 · 미니향 · 서지향 · 설국향 · 설향 · 쇼군 · 신예감 · 써니트 · 앙코르 · 윈터프린스 · 이예감 · 진지향 · 천혜향 · 청견 · 청희오렌지 · 카라향 · 클레멘타인 · 탐나는봉 · 탐라향 · 팔삭 · 한라봉 · 한라향 · 황금향
기​타 영귤(유자×감귤) · 유자(의창지×감귤) · 칼라만시 | 사계귤(금귤×감귤)
시트론의 교잡종 키라임(미크란타×시트론)
포멜로의 교잡종 스위티(자몽×포멜로)
레몬의 교잡종 베르가모트(비터오렌지×레몬) · 페르시아라임(키라임×레몬)
기타 잡감
기타 분류​기준 라임(형태) · 만감류(품종 그룹) · 파페다(다계통군) · 오렌지 주스(음료) · 기각(한약재)
귤속 관련 문서 나무: 감귤나무 · 당귤나무 · 레몬나무 · 유자나무 · 자몽나무 | 학자: 스윙글 체계 · 다나카 체계 | 고사성어: 귤화위지 · 남귤북지 · 회귤유친 | 상표: 썬키스트 · 델몬트 · 팁코 }}}}}}}}}
온주밀감(온주귤)
溫州蜜柑 | Citrus unshiu
파일:온주밀감.jpg
학명 Citrus unshiu
( Swingle) Marcow.
분류
<colbgcolor=#d7ffce,#0f4a02> 식물계 Plantae
분류군 속씨식물군 Angiosperms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장미군 Rosids
무환자나무목 Sapindales
운향과 Rutaceae
귤속 Citrus
온주밀감 C. unshiu

1. 개요2. 역사3. 재배품종4. 분류5. 언어별 명칭

[clearfix]

1. 개요

중국 저장성 원저우(음독: 온주) 원산인 귤속 품종. 보통 밀감(蜜柑)이라고 하면 온주밀감을 뜻한다. 감귤의 재배종으로 22% 정도의 포멜로 유전자가 포함되어 있다.

2. 역사

대한민국의 온주밀감 최초 재배는 20세기 초 프랑스 출신 파리외방전교회 선교사 에밀 타케(Emile Taquet, 1873~1952) 신부다.[1] 1911년 타케 신부는 일본 아오모리에서 선교하는 위르뱅 포리 신부에게 왕벚나무 묘목을 보낸 답례로 온주밀감 묘목 14그루를 받아 서귀포시 서홍동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면형의 집'에 심었다. 2019년 마지막 남은 한 그루가 고사하게 되면서 제주 최초의 감귤나무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기사. 제주에서는 에밀 타케 신부가 심은 때를 기해 제주 감귤 100주년 행사를 기획한 적도 있었지만 윗사람이 바뀌고, 토종귤의 역사가 더 오래되었다는 것을 근거로 +α 해서 무산되었다.

한편 타케 신부의 온주밀감이 잘 크는 것을 본 일본인 미네(峯)가 1913년 온주밀감 2년생 묘목을 도입, 나중에 제주농원이 된 서귀읍 서홍리에 심어 대량 상업화를 시도한다.[2] 또한 일본인 미네는 조선인 박영효와 함께 온주밀감뿐 아니라 워싱톤 네블,[3] 하밀감(夏蜜柑) 등을 1910년경 전파하면서 1920년부터 매년 귤나무 7천~8천 본이 일본에서 제주로 유입되었다고 한다.

중국 저장성 원저우에서 온주밀감이 일본 규슈로 건너가 씨가 없는 감귤로 개량된 품종도 전파되었고 재일교포들이 친척에게 보내준 묘목에서 조금씩 생산하기 시작해 제주를 대표하는 산업으로 성장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산 귤이 유통되었으나 그 이후 일본산 귤이 수입되지 못한 영향이 컸다. 단, 제주도의 감귤재배가 확산되는 계기는 1964년 2월 박정희 대통령이 연두순시에서 제주도의 감귤을 중점적으로 키우라는 지시를 내린 것이었다. 이듬해 1965년부터 감귤심기 붐이 일어났다. 박정희 정부는 일본 농림성으로부터 감귤 묘목을 수입해 농가에 보급하였다. 과거 귤나무는 키가 커서 사다리를 타고 귤을 수확해야 했는데, 현대의 관목처럼 키가 작은 귤나무는 바로 이때 일본에서 도입된 것이다.

3. 재배품종

극조생종·조생종·중생종·만생종 등 종류가 있다. 다음은 대표적인 재배품종이다.
  • 극조생종
    • 일남1호 - 1979년 일본에서 흥진조생의 돌연변이종으로 확인되어 1988년에 일남1호라 명명하였다. 제주감귤연구소에서 1990년에 접수로 도입하였고, 1993년에 선발하였다. 대부분의 제주 극조생 감귤이 여기에 해당한다. 최근에는 유라조생이나, 유라실생으로 조금씩 대체를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 유라조생 - 일본에서 궁천조생을 변이시켜서 만든 것으로 1995년에 품종 등록되었다. 2006년 농업기술원에서 선발하였다. 일남1호에 비해 산도가 낮고 당도가 높은 품종이다. 그러나 극조생답게 여전히 새콤달콤한 맛을 지니고 있다. 일남1호를 대체하는 품종으로 권장된다. 최신 품종인 유라실생의 품질 재배에 불리한 환경을 가진 서귀포 동쪽지역(화산회토양, 완전 검정 흙)에서 권장되는 품종이다.
    • 유라실생(YN-26) - 유라조생에 베니마도카를 교배하여 만든 것으로 2012년에 등록되었다. 2014년에 선발하였다. 유라조생보다도 더 신맛을 낮추고 당도를 높임으로써 품종 개량이 되었으나 재배환경 영향을 크게 받는 품종으로 제주 도내에서는 대정읍 등의 '비화산회토양, 갈색 흙'에서의 재배가 권장된다.[4]
  • 조생종
    • 궁천조생/미야가와 조생(宮川早生) - 1910년 일본에서 발견된 온주밀감의 돌연변이종으로 1925년에 등록되었다. 재배가 쉽고 수율이 뛰어나고 맛도 좋아 전국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온주밀감을 대표하는 품종 중 하나이며, 제주 도내 대부분의 온주밀감이 해당 품종이다.
    • 흥진조생/오키쓰 조생(興津早生) - 1940년 일본 연구기관에서 미야가와 조생의 선별 통해 탄생한 재배품종으로 온주밀감의 대표 품종 중 하나다.
    • 하례조생(下禮早生) - 대한민국에서 육성한 첫 온주밀감 품종. 1992년 난지농업연구소에서 입간조생(立間早生)에 하귤(夏橘)을 교배하여 나온 주심배실생 품종으로, 2014년 최종 선발 후 2015년 등록이 이루어진 품종.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지역 생육 결과로 궁천조생 대비 우수한 품질을 보였다. # 최근 제주에서는 온주밀감 과수원을 새로이 시작하거나 수명이 다된 35-40년이상[5]의 감귤나무를 베어내어 온주밀감을 다시 식재할 때 '하례조생'으로 많이 식재되고 있다.
  • 만생종
    • 청도온주/아오시마 온주(青島温州) - 1935년 발견된 온주밀감의 돌연변이종으로 과실이 크고 당도가 높다. 장기간 저장이 가능하며 고당도 온주밀감의 대표 품종이다.

4. 분류

다나카 체계는 주요 품종들을 여러 개의 종으로 세분화하였다. 대표적으로 아시아의 온주밀감(C. unshiu), 미주의 탄제린(C. tangerina), 유럽의 지중해감귤(C. × deliciosa) 등이 있다. 스윙글 체계는 모든 감귤 품종을 단일 종 감귤(C. reticulata)로 귀속시켰고, 위의 품종들을 감귤의 변종으로 본다.

5. 언어별 명칭

<colbgcolor=#f75f1e,#f75f1e> 언어별 명칭
한국어 온주밀감(), 온주귤(溫州橘)
한자 (온주밀감)
영어 Citrus unshiu, satsuma orange, unshiu mandarin, satsuma
일본어 ウンシュウミカン(Unshū mikan), [ruby(溫州蜜柑, ruby=うんしゅうみかん)](Unshū mikan)
중국어 (wēnzhōu mìgān)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부터 많은 품종[6]이 개발되어 영어권에서는 일본에서 유래된 이름을 사용한다. 일본 사쓰마 지역의 온주밀감을 미국 플로리다주로 도입하게 되면서 satsuma orange 라고 불리게 되었고, 온주(温州)의 일본식 한자 음독으로 unshiu mandarin 으로도 불린다.


[1] 이재수의 난으로 파괴된 제주 신앙공동체를 회복하는 등 선교사로서의 활동도 많았지만 식물학자로 더 유명한 사람이며 왕벚나무의 발견자이기도 하다. 한국명은 엄택기. [2] 이 농원에는 이후 심은 하귤(夏橘), 워싱톤네블, 기주밀감, 문단 등의 품종이 남아있다. [3] 일본산 워싱톤 네블은 1909년경 서귀포 출신 김진태라는 농민이 처음 재배했다고 한다. [4] '화산회토양'에서는 '부피과'가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음. '부피과'라는 것은 과피(껍질)과 과육(알맹이) 사이에 큰 공간이 생기는 증상을 나타낸 열매를 의미한다. 해당 열매는 당도가 떨어지고 열매를 따는 도중에 수확 가위 날이 과피를 쉽게 손상시켜서 부패되기도 쉬우며, 저장이나 택배 운송 도중에 눌리면서 부패되는 등 저장성이 많이 떨어진다. [5] 자연 상태로 키운 나무는 100여년이상도 살 수 있다. 그러나, 농가에서 과실 수확용으로 쓰인 나무는 많은 스트레스로 인하여 수명이 비교적 짧다. 실제로 이정도 연령이 되면 과수목이 죽어가기 시작하며, 설령 살아있다고 하더라도 상품 과실 수확성이 떨어진다고 하여 과수목 교체를 진행하기 시작한다. [6] 특히나 기슈번(오늘날의 와카야마현)에서 재배한 밀감이 크고 작은 다이묘부터 덴노까지 선물할 정도로 인기가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1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1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