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구 신진자동차계 | |||||||
국제차량제작 |
조선국산자동차 (구 조선자동차공업) |
새나라자동차 | ||||||
[[신진자동차| 신진자동차 ]]
(구 신진공업) |
[[거화| 거화 ]]
(구 신진지프자동차) |
새한자동차 (구 지엠코리아) |
||||||
동아자동차 (구 하동환자동차) |
[[대우자동차| 대우자동차 ]]
|
대우국민차 (생산: 대우중공업) |
||||||
GM대우 (현 GM 한국사업장) |
[[자일대우버스| 자일대우버스 ]]
(구 자일대우상용차) |
쌍용자동차 (현 KG모빌리티) |
||||||
구 삼성자동차계 | ||||||||
[[르노삼성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
(현 르노코리아) |
삼성상용차 | 삼성자동차 | ||||||
현대자동차계 | 기아계 | 기타 | ||||||
[[현대모비스 #s-5| 현대정공 ]]
(자동차 사업부문) |
아시아자동차 (기아자동차 CI 혼용) |
프로토모터스 (현 어울림모터스) |
||||||
{{{#!wiki style="margin: 0 -15px -5px" |
[관련 틀] 주요 제조사 | 소규모 제조사 | 없어진 제조사 |
}}} | }}}}}} |
<colbgcolor=#e21c2b><colcolor=white> 아시아자동차 ASIA MOTORS |
|
기업명 | 국문명: 아시아자동차공업주식회사 |
한문명: 아시아自動車工業株式會社 | |
영문명: Asia Motors Industries Co., Ltd. | |
규모 | 대기업 |
기업집단 | 기아그룹 |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설립일 | 1965년 7월 2일 |
해산일 | 1999년 6월 30일 |
업종명 | 승용차 및 기타 여객용 자동차 제조업 |
상장 | 상장폐지 |
종목 코드 | 004280 |
상장 시장 | 유가증권시장 ( 1988년~ 1999년) |
본사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66길 3 ( 여의도동) |
공장 | 광주광역시 서구 화운로 277 ( 내방동)[1] |
[clearfix]
1. 개요
옛 기아그룹 계열 상용차/대형 차량/특수 차량 생산 업체. 1980년대까지 언론이나 대중 사이에서는 '아세아자동차'라고 부르기도 했다.[2]존속 당시 홈페이지 도메인은 www.asia.co.kr.
2. 역사
1970년 아시아자동차 피아트 124 광고 |
1985년 아시아자동차 기업광고[3] |
1962년 5월 3일에 박정희가 국가 재건 방안의 일환으로 한국 자동차 공업을 육성한다는 취지로 제정, 공포한 자동차 공업 보호 육성법에 기인해 1964년 12월 21일에 이탈리아 피아트, 프랑스 심카 그리고 SIAVE 은행과 차관 협정을 체결하고 1965년 7월 2일에 호남 연고 기업인인 이문환(李文煥)[4]에 의해 설립 자본금 8억 2,800만원으로 설립되었다. 1969년에 광주공장을 준공한 뒤 동국제강에 매각됐다가, 1975년에 정부로부터 방위산업체로 지정된 후 이듬해 기아산업에 인수되었으며, 동년 9월 특수차량 단독 생산업체로 지정돼 군용 지프나 KM900 경장갑차 등을 만들었다.
첫 모델인 세단 피아트 124를 선보인 것은 현대자동차가 포드 20M 모델을 선보인 것보다 1년 뒤인 1970년 3월이지만 설립 연도로 보면 아시아자동차가 설립된 것은 1965년 7월이므로 한국 자동차 공업을 이끈 선두 그룹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아시아의 첫 모델인 피아트 124는 그 내구성이나 경제성, 그리고 당시 중상류층이 선호하던 보수적인 외형으로 단번에 신진의 코로나, 현대자동차의 코티나와 더불어 당시 한국 자동차 시장의 강력한 3각 경쟁 구도를 이루었지만 피아트와의 계약 문제로 인하여 불과 3년 만에 단종되었다. 그 대신 기아산업에 인수된 이후 피아트의 상위 모델인 피아트 132를 들여와서 1981년까지 생산했다. 1971년에 일본 미쓰비시 후소와 기술제휴로 B905N 버스를 생산했고, 이후 피아트 제휴로 P9 AMC 일반버스를 만든 후 이듬해에는 P9 AMC 8톤 트럭까지 만들어 대형자동차 메이커로 만들 기반을 마련했다. 그 외에도 미쓰비시 후소로부터 T951 트럭[5]을 완제품으로 소수 수입하기도 하였다.[6]
2.1. 이란-이라크 전쟁 특수
이란-이라크 전쟁 국면을 타고 아시아자동차는 사세를 키우게 된다. 1981년경부터 효성물산이 이란으로부터 수주를 받았는데, 효성 측에서 "가격은 걱정말라!"며, 1,000만원 하는 1/4톤 군용 지프를 수출용으로 개조한 물건을 1,200만원씩 받고 넘기도록 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렇게 해서 이란으로 수출된 아시아 군용 지프는 현지에서 꼬레아 NO.1이라는 찬사를 받으며 큰 인기를 끌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본사는 1982년 수출 1천만불탑, 1983년 2천만불탑을 각각 받았다.현지에 차량을 수출한 브랜드 중에는 영국, 프랑스 같은 선진국 메이커도 있었는데, 유독 아시아 차량이 인기를 끈 요인은 다음의 2가지였다고 한다.
- 구조의 단순함 - 당시 대부분의 국산 차량은 본네트를 열어보면 엔진부와 에어컨 부분 외엔, 눈에 띄는 부품없이 텅 비어있을 만큼 구조가 단순해[7] 정비와 운용이 용이했다. 엔진오일 등 주입하는 부분도 한국인 관계자가 빨간 눈금 부분까지만 넣으라고 당부한 내용만 따르면 무리없이 쓸 수 있었다는 후문이다.[8]
- 우직함 - 전쟁 중 본네트에 환자를 싣고 달려도 영국, 프랑스 브랜드와 다르게 중량 초과로 차가 움직이지 않게 되는 일 없이 어떻게든 차가 굴러가는 튼튼함과 우직함이 있었다고 한다.
1980년 2차 오일 쇼크 이후 1981년 자동차공업 통합조치로 승용차 생산은 현대자동차와 새한자동차( 대우자동차 전신)가, 중 · 소형 트럭 생산은 기아자동차가 독점하게 되었으며, 이는 1986년까지 지속되었다. 1986년에 자동차 공업 합리화 조치 해제 이후에 기아자동차도 승용차를 개발하지만 이는 기아자동차의 브랜드로 판매되었고, 아시아자동차는 군용 차량과 대형 버스, 트럭을 계속 생산해 자체 브랜드로 판매했으며 1984년 소하리공장에 있던 복사 생산라인도 이관받으면서 처음으로 기아 차종도 위탁생산했다.
같은 해엔 일본 히노자동차와 대형트럭 기술제휴를 맺어 AM트럭을 생산한 후, 1986년에 기술연구소를 세우고 이듬해에는 광주와 부산직할시에 정비사무소를 열었다. 1988년에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한 후 1989년 스웨덴 스카니아와 판매대리점 계약을 맺었으며, 1992년 스위스에서 해외전환 사채를 발행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엔 하남 특장공장을 세워 특장차 생산라인을 그리로 이전했다. 1994년 경기도 안양시 박달동 서울정비사업소 안에 기술연구소를 새로 만들었다.
|
1996년 아시아자동차 브라질 바히아 공장 건설 체결 당시 모습 |
2.2. 위기
하지만 1990년에 여태까지 SUV 시장을 독점하던 쌍용자동차 이외의 회사에서 처음 내놓은 SUV인 록스타를 내놓은 것을 시작으로 1993년에는 프라이드를 위탁 생산하기도 하면서[9] 아시아자동차는 다시 승용차 시장에 재진입을 시도하며 모기업인 기아자동차와 되도록 중복되지 않는 틈새시장을 노리고자 했는데, 1995년에는 ' 네오마티나'라는 스포티지의 플랫폼을 활용한 퓨전 RV 컨셉카를 공개한 이래로 여러 가지 세그먼트 버스터나 RV 타입의 승용차의 개발을 시작하면서 1990년대 후반에 시판하려고 했고[10][11] 실제로 이중에 몇몇 모델은 양산 직전 단계까지 개발이 진척되었다고 한다. 심지어는 프랑스의 푸조 806을 들여와 MPV를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도 있었다.게다가 내수 시장이 적은 한국 상용차 시장의 약점을 타개하기 위해 1992년부터 브라질 교포 사업가 전종진(스토니 전)과 함께 브라질 판매법인(AMB)을 세워 타우너와 토픽을 수입했다. 그러나 1995년에 브라질 정부 측이 수입차 관세를 70%로 올리면서 대신 1997년 6월에 같은 이름으로 생산법인을 세우고 8월 9일부터 브라질 바이아 주 카마사리에 현지공장을 세우려 했지만, 기아그룹의 부도로 인해 모두 흑역사가 되면서 단 하나도 빛을 보지 못하고 사장되고 브라질 시장 개척 역시 뜻을 이루지 못했다.[12]
1997년 초에 아시아자동차도 기아와 동일한 로고를 달고 아시아자동차판매(주)를 세워 독자 판매망을 구축하려 했으나, 기아그룹의 자금난으로 부도유예 협약 대상업체로 선정되어 법정관리로 들어가면서 그 해 12월부터 타우너, 토픽, 레토나의 판매권을 기아자동차의 자회사인 기아자동차판매로 넘긴 뒤[13] 대형차량 판매/생산과 군용차량 납품에 주력했고, 1998년 국제 입찰에서 기아자동차와 아시아자동차를 분리 매각하거나 통합 매각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으며, 결국 두 회사 모두 현대자동차에 인수되었다. 이후 1999년 6월 30일부로 아시아자동차판매, 기아자동차판매, 기아대전판매와 함께 기아자동차와 통합되어 사라졌고, 공장은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으로 개편되었다.[14]
2.3. 합병 이후
합병 이후 아시아자동차에서 생산하던 모델들은 기아자동차 브랜드로 변경되어 명맥을 이어 오다가 현대자동차 주도의 라인업 재정비로 인해 단종되었다. 아시아자동차에서 생산했던 차량 중 현재까지 생산되어 출시되고 있는 모델은 1994년에 출시된 대형버스인 그랜버드가 유일하다.한편 브라질 합작법인 AMB 전 대표 전종진도 1998년에 사기 혐의로 검찰에 체포되어 2000년에 석방되어 국외로 잠적하다가 2006년에 브라질 연방경찰에 체포되어 현지에 수감되었고, 2008년에 한국으로 송환되어 처벌을 받게 되었다.[15]
1988년부터 1998년까지 스카니아 대형트럭을 수입해서 판매했던 적이 있었다. 현재는 스카니아코리아가 직접 판권을 가지고 수입하고 있다.[16]
3. 역대 로고
<rowcolor=#fff> 초창기[17] | 1986 ~ 1994 | 1994 ~ 1997 | 1997 ~ 1999 |
아시아자동차의 역대 로고는 초창기 시절을 제외하고 모기업인 기아자동차의 로고와 거의 유사하게 제작되었다. 기아자동차 기준, 1986년 11월 1일 개정된 3기, 이른바 '굴뚝'로고는 새로이 도입한 워드 심벌 시스템에 입각해 제정한 코퍼리트 심벌로, 이 로고는 영문표기 Asia 윗부분에 '아시아의 깃발'을 상징하는 테두리 선(보더 라인)이 세 굽이 물결로 형성돼 있다. 이 로고의 의미는 믿음과 우의를 함께 나누며 협동과 기술을 바탕으로 사회의 발전에 일역을 담당하는 신뢰와 믿음의 기아상, 곧 신용과 협동의 의미를 표상하며, 끊임없는 연구와 개발을 통해 자동차공업을 선도하고 미래를 이끌어갈 미래지향적인 기업이념의 표현, 곧 노력과 창조의 의미를 상징하고, 또 자동차공업의 기수로서 세계속의 종합 자동차메이커로 웅비하여 밝고 풍요로운 미래를 향한 꿈과 전진의 기상을 나타내는 '웅비하는 기수'를 의미한다. 로고 컬러는 기아 블루(Cyan 100% + Magenta 50%) 및 기아 라이트블루(Cyan 100%)를 사용하였다.
기아그룹에서 3기 로고를 발표하기 전까지는 아시아자동차의 로고가 한 때 심플하게 A S I A 철자 로고를 사용하기도 하였다.[18]
3기 로고는 1986년부터 공문서에 쓰다가 차량에 1988년부터 쓰이기 시작했으며, 당시에는 두꺼운 로고였다가 1991년 하이토픽에 얇은 로고를 첫 적용했으며, 1992년 전 차량이 얇은 로고로 변경되었다.
1994년, 기아그룹 창립 50주년 기념으로 만들어진 타원형 바탕에 영문으로 KIA가 새겨진 4기 로고를 사용하였으나, 1997년 2월 14일까지는 타원형 로고를 같이 쓰되 KIA가 ASIA로 바뀌었으며[19], 2월 15일부터 해체되기까지 기아그룹의 통일성 측면을 고려하여 로고가 KIA로 바뀌었다.
4. 역대 임원
- 대표이사 회장
- 천도원 (1987~1988)
- 김한선[20] (1990~1992)
- 부회장
- 조래승 (1995~1997)
- 정두채 (1998)
- 대표이사 사장
- 관리인
- 박제혁, 진념 (1997~1998)
- 유종렬 (1998~1999)
5. 노동조합
홈페이지- 아시아자동차 노동조합: 1970년 결성 이후 한동안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 소속이었지만 1994년 탈퇴 이후 1995년부터 1999년 합병 전까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금속노동조합 소속이었다.[22]
6. 생산차량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21c2b> 차급 | 판매 차량 | 단종 차량 |
소형차 | - | 피아트 124, 기아 프라이드 | |
소형 SUV | - | 아시아 록스타, 기아 레토나 | |
승합차 | - | 기아 프레지오, 기아 타우너[i], 기아 토픽[i], 아시아 AC미니버스 | |
소형 트럭 | - | 기아 봉고 | |
준중형 트럭 | - | 기아 타이탄, 기아 트레이드 | |
중형 트럭 | - | 기아 복사, 기아 트레이드, 기아 라이노 | |
대형 트럭 | - | 기아 그랜토[i], 아시아 AM트럭, 히노 프로피아 | |
준중형 버스 | - | 기아 콤비[i] | |
중형 버스 | - | 기아 코스모스[i] | |
준중형 버스 | - | 아시아 AB버스, 아시아 P9AMC | |
대형 버스 | 기아 그랜버드[i] | 아시아 B버스 | |
버스 라인업 | - | 기아 AM버스[i] | |
? 버스 | - | 아시아 CP버스 | |
? 트럭 | - | 아시아 CP트럭, 아시아 T8AMC트럭 | |
기울어진 글씨 : 기아 위탁 생산 차종 |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5141f><tablebgcolor=#05141f><height=70><width=45%><nopad>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연대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
<colbgcolor=#05141f> 구분 | 승용차, SUV, RV, 승합 / 경상용차 | 버스 | 트럭 | 군용차 |
1960년대 | 피아트 124 | - | K-360, T-600, T-1500, T-2000 | - | |
1970년대 | 브리사, 피아트 132, 푸조 604 | 아시아 P9AMC, 아시아 B버스, 아시아 AB버스, AM버스 | 타이탄, 복사, KB트럭, B-1000 | K-111, K-511, K-711 | |
1980년대 |
프라이드,
캐피탈,
콩코드,
세이블,
봉고(승합 모델), 베스타, AC버스, 토픽 |
콤비, 코스모스 |
봉고(트럭 모델),
세레스, 트레이드, 라이노, AM트럭 |
K-311, K-811 | |
1990년대 |
프라이드 전기차 (관용, 일부 기업 판매)
비스토,
아벨라,
리오,
세피아,
슈마, 크레도스, 포텐샤, 엔터프라이즈, 엘란, 스포티지, 록스타, 레토나, 카렌스, 카스타, 카니발, 프레지오, 타우너(승합 모델) |
그랜버드 | 그랜토, 타우너(트럭 모델) | K-131 | |
2000년대 |
모닝,
스펙트라,
쎄라토,
씨드,
포르테, 엑스트렉, 옵티마, 로체, 앙트라지(카니발), K7, 오피러스, 쏘울, 쏘렌토, 모하비, 벤가, 트라벨로, 천리마 |
- | 파맥스 | K-911 | |
2010년대 |
레이,
K2,
K3,
K4(중국형),
K5,
K9, KX3, KX5, KX7, 니로, 스팅어, 스토닉/ KX1, 리오 X-라인, 페가스, 즈파오, 텔루라이드, 셀토스, 엑씨드 |
- | - | K-151, 중형표준차량 | |
2020년대 |
쏘넷,
EV6,
K8,
니로 플러스,
EV9,
EV5,
K3(소형차, 리오 후속), K4, EV3, EV2예정, EV4예정, EV7예정, 타스만예정, PV1예정, PV5예정, PV7예정, 시로스예정, TV1예정 |
- | - | - | |
회색 글씨 - 단종 차량 |
}}}}}}}}}
- [ 차급별 구분 ]
- ||<rowbgcolor=#0514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373a3c,#ddd> 차급 || 시판 차량 || 단종 차량 ||
<colbgcolor=#05141f> 경차 모닝 | 레이 <colbgcolor=#eee,#2d2f34> 비스토 소형차 K3(리오 후속) | 페가스 프라이드 ( 1994 전기차) | 아벨라 | 브리사 | 천리마 | K2 | 리오 | 피아트 124 준중형차 K4 | 씨드 캐피탈 | 세피아 | 슈마 | 스펙트라 | 쎄라토 | 포르테 | K3 중형차 K5 콩코드 | 크레도스 | 옵티마 | 로체 | 스팅어 준대형차 K8 세이블 | 포텐샤 | K7 대형차 K9 푸조 604 | 엔터프라이즈 | 오피러스 스포츠카 - 엘란 소형 SUV 스토닉 | 니로 | 셀토스 | 쏘울 | KX1 | 쏘넷 | EV3 아시아 록스타 | 레토나 | KX3 | 리오 X-라인 | 니로 플러스 준중형 SUV 스포티지 | EV5 | EV6 | 엑씨드 | 즈파오 KX5 중형 SUV 쏘렌토 KX7 준대형 SUV 텔루라이드 | EV9 모하비 소형 MPV - 벤가 준중형 MPV 카렌스 엑스트렉 중형 MPV - 카스타 대형 MPV 카니발 - LCV - 봉고3 미니버스 | 베스타 | 타우너 | 토픽 | 프레지오 | 트라벨로 PBV PV1예정 | PV5예정 | PV7예정 - 픽업트럭 타스만예정 B-1000 경형 트럭 - T-1500 | T-2000 | 타우너 소형 트럭 봉고 세레스 준중형 트럭 - 파맥스 | 타이탄 | 트레이드 중형 트럭 - 복사 | 라이노 | 트레이드 대형 트럭 - AM트럭 | KB트럭 | 그랜토 준중형 버스 - 콤비 중형 버스 - 코스모스 준대형 버스 - 아시아 AB버스 대형 버스 그랜버드 아시아 B버스 군용차 K-151 | K-311 | K-711 | K-911 | 중형표준차량 K-111 | K-131 | K-511 | K-811
- 아시아자동차 위탁 생산차량[23]
- 아시아자동차 자체 브랜드 차량
현재 아시아자동차 차량들 중 개발/생산 중인 차량은 코치형 버스인 그랜버드가 유일하다.[25] 엄밀히 따지면 (구)아시아자동차가 기아에 흡수된 후 모델 체인지를 했기 때문에 현재의 그랜버드는 (구)아시아자동차 시절의 그랜버드와는 다른 차종이다. 물론 풀 모델 체인지긴 하지만 (구)아시아자동차 시절 그랜버드 플랫폼을 개량한 것이라 (구)아시아자동차의 흔적이 남아있다.[26]
7. 기타
- 경찰청에도 경찰버스[27]와 가스차( 페퍼포그[28])를 공급하는 역할을 했다. 반대로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이 해당 공장에서 KM900 장륜장갑차와 군용트럭, 버스, 페퍼포그 등을 징발해 진압군에 맞서는데 사용하기도 했다.
- 대한민국 국방부와 육, 해, 공군, 해병대에 군용버스, 소방차량으로 공급되었다.
- 현재 대만에서 양명산을 오르는 버스로 아직도 AM버스가 사용되고 있다.
- 현대커머셜의 여의도사옥은 원래 아시아자동차의 사옥이었다. 이 사옥은 1985년에 거산빌딩으로 완공되었으며, 1986년에 기아자동차가 인수하여 기아자동차 본사 사옥으로 사용하였으나 1992년 12월에 기아자동차가 옆 건물을 지어 이전하면서 아시아자동차와 기아자동차판매가 공유했고, 1999년 기아자동차+아시아자동차+기아자동차판매+기아대전판매 4사가 기아자동차로 통폐합이 이루어지면서 기아자동차의 일부 부서가 사용하게 되었다.[31] 그러다가 2000년 말에 현대자동차그룹이 현대그룹에서 분리되고 계열사의 사옥 재배치가 이루어지면서 2001년부터 현대모비스가 이 건물에 입주하게 되었고, 다시 모비스가 빠지고 금융계열사를 여의도로 모으게 되면서 현대커머셜의 본사가 된 것이다.
- 자동차공업 통합조치로 인해 대형 엔진은 9년간 대우중공업이나 현대자동차의 MAN, 미쓰비시 엔진을 구매해 사용했으며, 중형은 개발 없이 기존의 마쓰다 엔진을 개량해 사용했다. 통합 조치가 해제된 1987년부터 히노자동차와 기술제휴를 통해 신 모델인 라이노와 코스모스에 H07C 엔진을 시작으로 1990년대 초에 EF750을 한국에서 생산한 것을 거쳐 F17 등 자체적인 엔진 라인업을 가지게 되고 광주 공장에서 면허생산과 역수출[32], 업무 제휴를 통한 기술 습득을 통해 D817TIA[33]와 K 엔진도 독자적으로 개량하고 최종적으론 신형 엔진 독자 개발도 하려 했지만 모기업 부도로 회사가 합병되며 대다수가 사장되어버렸고 합병 후에도 생산되는 자사 모델들은 한동안 현대와 엔진을 공유하며 생산했다.
8. 관련 문서
[1]
現
기아 AutoLand 광주
[2]
아시아를 일본, 중국에서 음차한 것이 亞細亞인데,
대한민국에서도 혼용되어 사용되었다. 실제로 '아세아농기계'는 현존하는 회사이다.
[3]
콤비가 나온 아시아자동차 기업광고. 한국뿐만이 아니라 일본을 제외한 전세계에서도 굉장히 보기 드문
상용차 CF이다.
콤비뿐만 아니라 후반에 AM919, AM트럭 등 당시 아시아자동차에서 생산한 차량이 나온다. 배경음악은 The Mystic Moods Orchestra-Universal Mind
[4]
나주에 산소 공장을 설립하고 비료 회사에도 손을 댈만큼, 기업인으로써 안목이 뛰어났다고 한다. 현재 금호아시아나그룹에서 소유한 광주
유스퀘어 및 인근 부지 역시, 원래는 이문환 씨가 설립한 산소공장이었으며, 근처의 기아자동차 공장은 아시아자동차 공장이었다고 한다.
[5]
카고트럭, 탱크로리
[6]
미쓰비시 후소 T951 트럭 차종이 나올 무렵에는 현대자동차는 아직 미쓰비시 후소와 기술제휴를 하지 않았고, 한국에서는 아시아자동차만이 미쓰비시 후소와 기술 제휴를 했기 때문이다.
[7]
당시 고급 차종이었던
쏘나타 초기 모델마저도 내부는
포니와 다를 바 없이 단순했다고 한다. 반면,
벤츠는 보닛(본네트)을 열면 복잡하게 부품이 꽉 차있어 무엇이 무엇인지 모를 정도였다고 한다.
[8]
단,
적십자 표시는 이슬람권인 현지에서
부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부산 세관에서
적신월 마크로 도색을 다시 하는 해프닝이 있었다고 한다.
[9]
덕분에 1996년부터 프라이드를 아시아자동차 영업소에서도 판매하기 시작했다.
#
[10]
당시 아시아자동차에서 한참 개발 중이던
카렌스의 형제차 미니밴도 개발이 상당부분 진척되었고, 1997년 서울모터쇼에 공개된
ARV라는 박스카형 소형차는 컨셉카가 공개되었을 당시 상당히 독특한 디자인으로 주목을 받았지만 기아그룹 부도 사태로 모조리 백지화되었다. ARV는 컨셉카가 처음 공개된 시점이 1997년이었는데, 만약 성공적으로 양산되었으면 1990년대 말
닛산 큐브나
토요타 bB와 맥을 같이하는 박스카형 소형차, 혹은 2000년대 초
르노 모뒤스나
피아트 이데아같은 소형차급
MPV의
선구자격이 될 수 있었을 것이다.
[11]
하지만 양산이 나가리된 ARV는 완전히 사장되지 않고 아시아자동차가 기아자동차에 흡수합병된 지 10여년이 지난 후에 그 독특했던 기본 컨셉이 다시 부활될 수 있었는데, 그것이 바로
쏘울이다. 공교롭게도 쏘울이 생산되는 공장은 광주공장으로, 구 아시아자동차 공장이다.
[12]
스토니 전은 아시아자동차를 상대로 4천억원대의 사기 행각을 벌이고 한국에서 재판을 받던 중 브라질로 도피했다가 2006년에 체포되었다. 징역 10년형을 선고받았으며 2017~2018년 사이에 만기 출소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카마사리 공장 부지는 1999년에
미국
포드로 넘어가 현지 공장이 들어섰다.
#
[13]
레토나가 기아자동차 브랜드로 판매된 것도 그 이유이다.
[14]
이때의 영향으로 훗날 광주 지역을 연고로 하던
해태 타이거즈를 인수하여
기아 타이거즈가 되었다.
[15]
2003년에 대법원에서 이미 징역 10년이 확정되었다.
[16]
1994년까지 스카니아 한국 지사였다가 1995년 한국 법인으로 전환하였다.
[17]
컬러판 중 바탕색이 있는 것은 배경이 파란색이고, 로고 색상이 노란색이다.
[18]
이는 당시 모기업
기아의 옛 로고 중 KIAMASTER 영문 대형 폰트와 같은 폰트이다.
[19]
타원형 ASIA 로고의 A가, 처음에는 타원형 KIΛ처럼 'ΛSIΛ'로 만들었으나, 문자열을 180도 뒤집으면 'VISV'가 되어
모 카드사의 로고처럼 보인다는 의견이 있어서 일반적인 A로 표기하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20]
전 제일은행 상무.
[21]
기아자동차, 기아자동차판매, 아시아자동차판매 사장도 겸임.
[22]
합병 후 기아자동차로 흡수 후 이관하여 민주노총 금속노조 소속 해당 사업은 대형상용 부문에 속해있으며, 일부 조합원들은 기아로 소속을 통합했다.
[23]
보통 기아가 기술제휴를 한 회사의 차량들을 기아 대신에 아시아가 위탁 생산하는 식이다.
[24]
대한민국 시장 판매분을 위탁 생산했다.
[25]
이 차량은 현재도 기아에서 생산하고 있는 유일한 버스이기도 하다.
[26]
물론 아주 기초적인 부분 한정으로 그런 흔적이 남아있을 뿐, 나머지 전부 (구)아시아자동차 흔적 자체가 없어졌다.
[27]
1993~2003년까지 납품.
[28]
1979~1998년까지 납품. 복사 4륜구동 기반의 K-301과 타이탄을 기반으로 했다.
[29]
시, 도 소방본부, 중앙119구조본부 등을 총괄하며 당시 내무부 소방국, 행정자치부 소방국이었다.
[30]
금양특장차와 삼일특장차, 우리특장 등 특장업체에서 개조했다.
[31]
참고로 1998년 말에 기아자동차의 상법상 본사는 현대그룹 계동사옥으로 옮겨졌다. 당시에는 현대자동차도 계동에 있었다.
[32]
1990년 초중반 당시 히노자동차에서 엔진 부품 수급 문제로 아시아자동차가 면허 생산하는 H07C,
EM100 같은 히노 엔진 블럭과 각종 부품들을 자사의
개발도상국 수출용 차종에 탑재할 목적으로 역으로 수입해가기도 했었다.
[33]
EF750 엔진을 개량하면서 자체적으로 터보 인터쿨러화한 엔진으로 초기에는 EF750 터보 인터쿨러 엔진이라는 이름으로 공개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