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19 15:56:26

스카니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게임 메이플스토리의 서버에 대한 내용은 메이플스토리/월드 문서
번 문단을
스카니아 부분을
, 게임 메이플스토리2의 서버에 대한 내용은 메이플스토리2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서버 부분을
부분을
, 스웨덴의 주에 대한 내용은 스코네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스카니아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 틀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볼보 로고.svg 파일:볼보 로고 화이트.svg 파일:폴스타 로고.svg 파일:폴스타 로고 화이트.svg 파일:링크 앤 코 엠블럼.png 파일:코닉세그 로고 세로형.png 파일:코닉세그 로고 세로형 화이트.png 파일:스카니아 로고.svg 파일:스카니아 로고 화이트.svg 파일:NEVS 로고.svg 파일:NEVS 로고 화이트.svg 파일:볼보 트럭 로고.svg 파일:볼보 트럭 로고 화이트.svg
볼보 폴스타 링크 & 코 코닉세그 스카니아 NEVS 볼보트럭
}}}}}}}}} ||

파일:폭스바겐 그룹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00,#e5e5e5
주요 주주
포르쉐 SE 니더작센 주 카타르 투자청 캐피탈 그룹
주요 인물
페르디난트 포르셰 볼프강 포르셰 볼프강 뒤르하이머 페르디난트 피에히 올리버 블루메 슈테판 빙켈만
계열사 및 사업부
승용차 폭스바겐 포르쉐 스코다 세아트( 쿠프라)| 스카우트 아우디 AG(아우디 스포트)| 람보르기니( 두카티)| 벤틀리
고성능
브랜드
아우디 스포트
모터스포트 아우디 스포트| 쿠프라 레이싱
사라진
브랜드
아우토 우니온( NSU 데카베 반더러 호르히)
상용차 트라톤 SE( 만 트럭 & 버스 네오플란 스카니아 나비스타 인터내셔널 VWCO) | VWCV
이륜차 두카티
해양 폭스바겐 마린
공장 폭스바겐 공장 목록
디자인 이탈디자인 주지아로
디지털 디코니움 카리아드
모빌리티 모이아
서비스 페이바이폰
기술 IAV
부동산 폭스바겐 임모빌리엔
물류 폭스바겐 그룹 플릿 인터내셔널 폭스바겐 그룹 공급 폭스바겐 항공 서비스
산업 폭스바겐 산업 모터
금융 폭스바겐 파이낸셜 서비스 포르쉐 파이낸셜 서비스 벤틀리 파이낸셜 서비스 람보르기니 파이낸셜 서비스 폭스바겐 리싱 유한회사
에너지 만 에너지 솔루션 일렉트리피 아메리카 일렉트리피 캐나다
기타 폭스바겐 그룹 테크놀로지
합자 회사 부가티 리막 제타 폭스바겐 그룹 차이나(VGC)| FAW-VW SAIC-VW 폭스바겐 안후이
해외 지사 폭스바겐 그룹 코리아 폭스바겐 그룹 인디아 폭스바겐 그룹 오브 아메리카 폭스바겐 오브 남아프리카 폭스바겐 그룹 캐나다 폭스바겐 그룹 말레이시아 폭스바겐 그룹 아일랜드 폭스바겐 그룹 유나이티드 킹덤 폭스바겐 그룹 이탈리아 폭스바겐 그룹 타이완 폭스바겐 호주 폭스바겐 아르헨티나 폭스바겐 데 멕시코 폭스바겐 도 브라질
}}}}}}}}}}}} ||

스카니아
SCANIA AB
파일:스카니아 로고.svg 파일:스카니아 로고 화이트.svg
<colbgcolor=#f8f8f8,#041E42><colcolor=#041E42,#fff> 설립 1891년 ([age(1891-01-01)]주년)
스웨덴 스코네 주 말뫼
창업주 구스타프 에릭손
기업형태 자회사
국가
[[스웨덴|]][[틀:국기|]][[틀:국기|]]
업종명 상용차 및 엔진 제조업
CEO 마틴 룬트슈테트
회장 마틴 빈터콘
소재지 스웨덴 스톡홀름 주 쇠데르텔리에(Södertälje)
시가총액 418억 1백만 스웨덴 크로나 ( 2014년)
모기업 폭스바겐 그룹 산하 트라톤 SE
홈페이지 파일:세계 지도.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북미 시장4. 대한민국 시장5. 생산 차량
5.1. 트럭5.2. 버스
5.2.1. 시티와이드(Citywide)5.2.2. 인터링크(Interlink)5.2.3. 옴니익스프레스(OmniExpress)5.2.4. 투어링(Touring)5.2.5. 메트로링크(Metrolink)5.2.6. 섀시 모델
6. 단종 모델
6.1. 트럭
6.1.1. 바비스 시절6.1.2. 0시리즈, 1시리즈6.1.3. 2시리즈, 3시리즈6.1.4. 4시리즈
7. 특징
7.1. V8 엔진
8. 논란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Scania_R770XT_770S.jpg

1891년에 설립된 스웨덴 상용차 제조사. 스웨덴은 물론, 유럽을 대표하는 상용차 제조사로 명성이 높다. 현재는 경쟁사 중 하나인 MAN과 함께 폭스바겐 그룹 산하의 계열사로 남아있다. 사명은 스웨덴 남부 스코네(Skåne) 주 영어식 명칭인 '스카니아(Scania)'에서 유래했다기보다는 이 명칭을 그대로 쓰고 있다. 창립 당시만 해도 스코네 주의 중심도시인 말뫼에 본사가 있었지만, 현재는 스톡홀름 근교의 쇠데르텔리에(Södertälje)라는 작은 공업도시에 본사가 있다.

2. 상세

원래는 스웨덴의 대재벌 가문인 발렌베리 가문이 갖고 있었지만, 2000년대 이후 폭스바겐이 지분을 늘리기 시작하여 2008년에는 발렌베리 측에서 폭스바겐에 잔여지분 전량을 매각하여 폭스바겐이 70.94%의 최대 주주다. 독일의 상용차 회사 MAN과는 계열 관계이다.

회사 엠블럼에 들어있는 가공의 생물은 그리폰으로, 스코네 지방의 상징이기도 하다. 과거 계열사이던 사브도 사용했었다.

세계 3위의 생산량을 자랑하고 있으며, 본래 1911년에 바비스사를 합병해서 '스카니아-바비스'라는 이름이었다가 1969년 사브와 합병하여 사브-스카니아 그룹이 되었으나, 사브가 GM에 넘어가면서 1995년에 분리되었다.

라인업은 P,G,R,S 시리즈가 있다. P시리즈는 중거리용으로 저마력 옵션이 주력으로 배치되어 있고 G시리즈는 중/장거리용, 저, 중마력의 옵션이 마련되어 있다. R과 S시리즈는 중/장거리용으로 저, 중,고 마력 모두 소화할 수 있다. 또한 R과 S시리즈엔 V8 엔진이 장착 가능하다.

일본에서 히노자동차 2002년부터 2010년 스카니아 일본법인인 스카니아 재팬 설립 이전까지 스카니아 트랙터를 수입해 히노 브랜드로 판매한 바 있다.

SCS 소프트웨어에서 나온 Scania Truck Driver Simulator게임에서 Young European Truck Driver라는 스카니아의 프로그램으로 체크해서 가장 트럭을 잘 운전하는 사람에게는 스카니아 트럭을 선물한 적이 있다.

3. 북미 시장

파일:Scania_T112M_US_1.jpg
파일:Scania_T112M_US_2.jpg

1985년 스카니아 2시리즈로 잠시나마 북미 시장에 진출한 적이 있었다.

P112M, R112M, T112M 세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미국 환경규제에 맞게 튜닝된 DSC11 06 엔진(308마력)과 DCS11 03 엔진(341마력) 두가지 트림의 선택이 가능했었다. 당시 북미 트럭시장의 동급 차량들 대비 연비가 상당히 훌륭하다고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반대로 북미 트럭시장 환경에서는 차량 공중량이 무거운 편에 속했기 때문에 유효하중(페이로드)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었다.

전성기 때에는 미국 중/동부 지역에 17개소 딜러를 보유했으나 이후 1992년을 마지막으로 철수하게 된다.

4. 대한민국 시장

스카니아코리아그룹
Scania Korea Group
<colbgcolor=#f8f8f8,#041E42><colcolor=#041E42,#fff> 기업명 정식: 스카니아코리아그룹 주식회사
영어: Scania Korea Group
설립일 1995년 8월 22일(설립, 구 법인)
2014년 1월 2일(분할, 현 법인)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711 ( 논현동, 건설회관 14층)(본사)
경상남도 사천시 사남면 외국기업로 150 (방지리)(사천 출하센터)
기업형태 중견기업
대표자 야르코 케톨라
업종 상용차 수입업
매출액 4,188억 7,000만 원(2022년)
영업이익 850억 1,000만 원(2022년)
당기순이익 653억 9,000만 원(2022년)
[clearfix]
2022년 기준으로 볼보트럭에 이은 대한민국 내 수입 상용차 점유율 2위이다. #

대한민국 시장에는 1967년 덤프트럭을 들여오면서 처음으로 진출했으며 이후에 버스나 0시리즈, 1시리즈가 들어오기도 했었으나 수입차의 특성상 세금과 운송료 등으로 인해 가격적 문제로 구매가 힘들었기 때문에 국내 판매량은 별 볼 일 없었다. 1988년 아시아자동차와의 제휴로 기술 협력 및 독점 판매 계약을 체결, 1995년 8월에 대한민국 법인을 설립하고 나서 1998년에 스카니아코리아가 아시아자동차로부터 판매권을 넘겨 받아 직접 판매 개시할 때 까지 아시아자동차의 브랜드로 스카니아 대형 트럭이 수입 판매되었다. 구형 스카니아 트럭에 아시아자동차의 로고가 붙어 있는 건 그 이유이다.[1][2]

2003년에 스카니아 옴니시티 굴절버스가 시범 운행되기도 했다. 스카니아 쪽이 평이 더 좋았으나 가격 문제인지 정식 도입으로 이어지지는 못했고, 대신 이베코 차량이 도입되었다. 사실 이전에 1985년에도 서울특별시에 스카니아의 마르코 폴로 굴절버스가 시범 운행되기도 했지만 결국 추가적으로 도입되지 못하고 운행이 중단되었다. 참고로 마르코 폴로 굴절버스 역시 아시아자동차 현수막이 달렸다.[3]

대한민국 법인을 설립한 이후 정비 공장과 특장 공장을 세워 수입차의 문제인 부품 수급과 정비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4]

대한민국 내에 덤프트럭, 카고트럭, 트레일러 트랙터 등의 다양한 라인업을 수입하고 있으나, 그중 덤프트럭 및 트랙터는 볼보트럭 다음으로 압도적으로 잘 팔리며, 길거리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현재 7세대의 최신모델을 판매중이다.

외산 트럭의 가장 큰 장점인 세분화된 기어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전 라인업에 적용된다. 덤프트럭에서도 전진 14단/후진 2단 이런 게 달려 있다.

2007년에 일본 토요타 계열 상용차 업체인 히노자동차 4.5톤 레인저 트럭을 수출명인 500이라는 이름으로 들여와 중형트럭 시장에도 잠시 진출했었다. 출시 초창기에 현대자동차의 4~5톤 트럭인 현대 메가트럭을 밀어낼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메가트럭보다 조악한 운전대의 편의성과 대한민국 특유의 과적 문화 때문에 프레임이 쉽게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사실상 소비자들에게 외면받고 결국 2011년부터 수입이 중단됐다. 무엇보다도 제일 큰 문제는 부품 가격. 히노제 엔진은 그랜토 및 초기형 그랜버드 라이노에 달렸다. 그러다가 2020년부터 P캡의 중형 섀시를 들여와 중형트럭 시장에 다시 진출했다.

5. 생산 차량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41E42,#191919> 분류 생산 차량 단종 차량
트럭 PRT-레인지 · XT-레인지 · 그리푸스 3시리즈 · 4시리즈
버스 시티와이드 -
}}}}}}}}} ||

5.1. 트럭

5.1.1. 스카니아 PRT-레인지

파일:Scania_770S.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카니아 PRT-레인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스카니아 4시리즈 이후 R, R 타입2, R스트림라인 시리즈와 신형 모델을 포괄하는 라인업.

5.1.2. 스카니아 XT-레인지

파일:Scania_R770XT.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카니아 XT-레인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스카니아의 오프로드 라인업. 원래는 PRT 라인업에서 개조판으로 판매했었으나, 정식 분리되었다.

5.2. 버스

5.2.1. 시티와이드(Citywide)

파일:Scania_Citywide_BEV_2019_2.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카니아 시티와이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도시형 로우 플로어(LF) 및 로우 엔트리(LE) 저상버스 모델, 굴절버스 2층버스 모델(LFDD)이 존재한다. 과거의 옴니시티(LF)와 옴니링크(LE)를 대체한다.

5.2.2. 인터링크(Interlink)

파일:Scania_Interlink_2022.jpg

중거리 광역버스(Intercity) 모델. 과거의 옴니익스프레스(OmniExpress)를 대체한다.

5.2.3. 옴니익스프레스(OmniExpress)

파일:external/s7.postimg.org/image.png 파일:external/s7.postimg.org/Coach.jpg
로우 엔트리(LE) 모델 코치(Coach) 모델
광역버스 모델. 일반 코치형과 로우 엔트리 모델 두 가지가 존재한다. 과거의 옴니라인(OmniLine)을 대체한다. 인터링크 출시 이후에도 병행 생산 중.

5.2.4. 투어링(Touring)

파일:external/c2.staticflickr.com/8894269089_1259f8d153_b.jpg

장거리버스(Coach) 모델. 중국의 버스제작사인 하이거가 바디 개발에 협력했었다.
반대로 하이거의 중장거리 코치 모델 역시 스카니아와 협력하여 개발된 차종이 다수 존재한다.

5.2.5. 메트로링크(Metrolink)

파일:external/2.bp.blogspot.com/TSR%2BWatermark%2B-%2B0929.jpg

인도 시장 전용으로 개발된 장거리버스 모델이다.

5.2.6. 섀시 모델

6. 단종 모델

6.1. 트럭

6.1.1. 바비스 시절

6.1.2. 0시리즈, 1시리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cania_140_Truck_2.jpg

스카니아 140.(저마력으론 11리터 엔진을 사용하는 110이 있다) 처음으로 V8 엔진이 쓰인 140 여기서 14는 엔진의 리터, 0은 시리즈이다. 이 방식을 4시리즈까지 쭉 이어썼다. 14리터의 V8엔진은 350마력의 힘을 자랑했고, 1시리즈가 나오기 전인 1968년부터 1974년까지 생산되었다.

파일:external/abload.de/scan0028-1c7utr.jpg

141, 140의 개량모델이다. 최대출력은 375마력으로 증가했으며 1974년부터 1981년까지 생산되었다. 0시리즈와 동일하게 저마력 엔진으론 111이 있다.

6.1.3. 2시리즈, 3시리즈

파일:Scania_R142H.jpg

R142H

1981년에 등장한 스카니아 2시리즈는 엔진 라인업을 좀더 세밀화, 각각 부속의 호환성을 높이고 세분화 시켰다. 대표적으로 섀시를 세분화 시킨 것인데, 2시리즈, 3시리즈는 M,H,E 라는 개념을 사용하였고 M은 Middle Duty로 비교적 가벼운 짐을 나를 수 있는 섀시이며, H는 Heavy Duty의 약자로, M 보다 좀 더 무거운 짐을 나를 수 있는 섀시, E는 Extra Heavy Duty의 약자로, M과 H보다 더 무거운 짐을 나를 수 있는 고강도 섀시이다. 아시아자동차를 통해 국내에도 정식 출시되었으며 아직도 간간이 길거리에서 보이는 편.

파일:Scania_3-series_Main.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카니아 3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4. 4시리즈

파일:Scania 124-series_Main.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카니아 4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특징

7.1. V8 엔진

파일:Scania_V8_History.jpg

1969년, 스카니아 0시리즈 140 모델에서 당시로서는 굉장히 강력했던 350마력 V8 OHV 엔진을 최초로 선보인 이후 50년 동안 V8 엔진 라인업을 고수 중인 회사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유럽 배출가스 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타 메이커들은 6기통 직렬 엔진으로 갈아타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유로 6에서도 V8 엔진을 유지, 최신형 모델인 S시리즈에서도 V8 엔진 라인업을 유지하면서 양산형 대배기량 상용차 제작사들 중에서는 사실상 유일하게 V8 엔진 모델을 생산하는 회사로 남게되었다.
도입 연도 배기량 최대 출력 최대 토크 비고
1969년 14.2리터 350마력 127 kgf·m 스카니아 최초의 V8 엔진, 0시리즈에 적용
1976년 375마력 151 kgf·m 저속 토크 강화, 1시리즈에 적용
1982년 420마력 176 kgf·m 인터쿨러 적용, 2시리즈에 적용
1987년 470마력 198 kgf·m 전자제어 연료 분사(EDC) 적용, 3시리즈에 적용
1991년 500마력 217 kgf·m 유로 1 기준 대응, 3시리즈에 적용
1994년 유로 2 기준 대응, 3시리즈에 적용
1995년 530마력 235 kgf·m 가변 밸브 타이밍 적용, 4시리즈에 적용
2000년 15.6리터 580마력 275 kgf·m 배기량 증가 및 유로 3 기준 대응, 4시리즈에 적용
2005년 620마력 306 kgf·m 유로 4 기준 대응, R시리즈에 적용
2007년 유로 5 기준 대응, R시리즈에 적용
2010년 16.4리터 730마력 357 kgf·m 배기량 증가 및 유로 5 기준 대응, R시리즈에 적용
2013년 유로 6 기준 대응, R시리즈에 적용
2020년 770마력 377 kgf·m 유로 6D 기준 대응 및 현 스카니아 최대 마력, S, R시리즈에 적용

2017년 6월 8일, 새로운 V8 엔진 라인업을 공개했다. 지금까지 그래왔듯이 기존 DC16 넘버링을 그대로 이어가며 520~650마력 출력에 SCR로만 배기 가스 후처리를 끝낼 것이라고 한다. 그동안 V8 DC16 엔진 라인업은 SCR + EGR 조합으로 유럽 배출가스 기준을 통과하고 있었다. SCR only 옵션에서 빠진, 스카니아의 상징과도 같은 730마력 모델은 기존과 동일한 SCR + EGR 조합으로 나오는 중이다.

2020년 9월 28일, 다시 한번 V8 엔진 라인업이 업데이트 되면서 최대출력이 770마력으로 증가했고, 모든 트림에서 EGR을 퇴출시키게 된다.

추가로 스카니아 특유의 두툼한 V8 로고는 엔진 실린더 헤드의 모양에서 따온 디자인이다.

8. 논란

구식 스카니아 차량은 방열설계 결함으로 차량이 과열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며 트레일러 주차브레이크를 적용하지도 않았으면서 적용을 했다고 구라를 까기도 했다. 엔진 과열문제는 방열성능에 맞지 않는 용량의 라디에이터를 장착했기 때문이며, 트레일러 주차 브레이크를 장착 했다면서 장착을 안 한 구라를 까는 것은 아무리 스카니아라 해도 국내에 들어오면 전부 문제가 생기는 이상한 상황에서 나온 이벤트다.[5]

그런데 엔진과열은 결함이라고 할 수가 없는 것이 리타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발열이 있어 저단기어에 놓아야 한다. 그래야 워터펌프가 빠르게 가동되어 라디에이터로 냉각수 공급이 원할해져 엔진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인데 차주가 방송에서 리타터를 시연할 시에는 리타터만 킨 것으로 보아 저단이 아닌 고단기어에서 바로 켠 것으로 의심된다. 이 워터펌프는 고회전 영역(1,800RPM 이상)에서 활발히 작동하는데 방송에서는 트립컴퓨터만 나왔으며 정작 중요한 RPM 게이지는 비춰주지 않아 결함으로만 생각하게 왜곡한 것이 있다.

방송 이후 스카니아 운전교육담당이 방문했고 차주와 동승하며 같은 조건에서 리타터를 키고 거기다 풀 스로틀 상태로도 만들면서 엔진열을 올렸지만 과열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왜 그런가 했더니 저단기어를 두고 리타터를 켰고 그 덕에 엔진이 제대로 식혀져 그동안 발생했던 과열이 없던 것이다. 결국 운전자 과실로 판명났고 방송에선 후속보도도 없이 끝났다.

다만 주차 브레이크 문제는 확실히 스카니아 측의 잘못이지만 어째서인지 후속 보도가 없었다. 수입트럭 점유율 2위를 기록하는 상용차 브랜드지만, 어째서인지 결함 이슈로 불매운동으로 일어나는 일이 잘 보고되지 않는다.

건설기계로 분류되는 덤프트럭의 경우 검사하기 까다로운 메이커로 손꼽는데, 속도계 검사를 위해 TCS를 해제[6]해도 완전히 해제된 것이 아닌지라 다이노미터에서 가속 시 바퀴가 헛돈다고 판단해서 ABS까지 개입해 트랙션 제어에 끝까지 개입해서 검사하다 차량이 튕겨나갈 수 있는 위험성이 있어 검사 전 ABS 관련 퓨즈를 전부 탈거시키고 검사를 진행해야 한다. 게다가 특정 연식 차량의 경우 배기가스 센서가 쉽게 고장 나 버려 배출가스 순환 장치가 작동하지 않고 그대로 내뿜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정비업체에서도 원인을 찾지 못해 배출가스 검사 시 기준 초과로 재검사행->보통 하는 에어필터 청소 또는 교체 아니면 연료분사량 또는 인젝터 조정만 해와선 또 불합격...의 악순환을 반복하는 경우가 있어 차주나 회사들의 관리가 더 필요한 데다, 검사 시에도 더 긴 검사 시간과 주의를 요하는 메이커이다.[7]

9. 둘러보기

파일:스웨덴 국기.svg 현대 스웨덴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스웨덴군 (1945~현재)
Försvarsmakten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393b42> Strv m/41R, Strv m/42R, Strv 74(H/V)R, 셔먼 VX/R, 셔먼 VCX/R, 셔먼 IBX/R, 셔먼 IIIX/R, 처칠 Mk.IIIX/R, 코멧X/R, 1호 전차X/R, 5호 지휘전차 A형X/R, 티거IIX/R, Emil, Leo, Strv T-34-85X/R
MBT 1세대 Strv 81R | Strv 101(R)R | Strv 102(R)R
2세대 Strv 103(A/B/C)R | Strv 103DP | Strv 104R | Strv 105P | T-72X | UDES 15/16
3세대 Strv 121(A/B)S | Strv 122(A/B) | Strv 2000
3.5세대 Strv 122(C/D), { Strv 123A}
경전차 Pvstrv AMXX/R, CV90-105, UDEX XX-20X/R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C/R, U-SH, Tgb m/42R, Patgb 180S · 202 · 203S, Patgb 360, Tgb 16, 피라냐 IIIC, { Patgb 300}
궤도장갑차 M113X/R, Strf 90(B/C), Pbv 302, Bv 308/309, Bv 206, BvS 10, Bv 202R, Pbv 301R, Pbv 401· 4020, Pbv 501R, Pvrbv 551R
차량 소형 Ptgb 5, Tgb 11 · 13 · 21, CUCV, 볼보 TP 21R · L3304R, 샌드캣
트럭 볼보 FMX · TL31R, 스카니아 4시리즈 · SBA111R, Pltgb 903R, Tgb m/1941R
자주포 자주곡사포 Bkan 1(A/C)R, 아처
자주박격포 Grkpbv 90 묠니르
돌격포 Sav m/43R | Spj fm/43(43, 43-44)P | Stug III Ausf.(D/G)X
자주보병포 Ikv 72R | Ikv 73R | Ikv 102R | Ikv 103R | Ikv 91S/R
대전차 자주포 Pvkv m/43R | Pvkv IIP | Pvkv IIIP | Pvkv IVP | Pz.Jg 38(t)X | 마르더 IIX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Lvkv m/42P | Lvkv fm/43R | VEAK 40P | Lvkv 9040
단거리 대공 미사일 Tgb 21, Lvrbv 701R, Lvrpbv 4016R, EldE 98
지원 차량 구난차량 Bgbv 120
전투공병차량 ingbv 120
교량차량 M3, BroBv 120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X: 테스트용으로만 도입(외제)
※ 윗첨자P: 프로토타입(자체 개발)
취소선: 계획 되었으나 취소된 차량(설계안)
※ 윗첨자C: 노획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핀란드 국기.svg 현대 핀란드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핀란드 방위군 (1945~현재)
Puolustusvoimat | Försvarsmakten
<colbgcolor=#FFF,#191919><colcolor=#002F6C> 기타전차 <colbgcolor=#FFF,#191919><colcolor=#002F6C> '''[[경전차|
경전차
]]'''
PT-76BR | T-50 "삐꾸 소트카" C/R | T-38C/R | T-26 "비꾸"C/R | T-26ER
순항전차 코멧 Mk.I 모델 BR
중형전차 4호전차 J형 "넬로넨/라비스틴"R | T-34-85 "핏카풋키넨 소트카"C/R | T-34-76 "소트카"C/R | T-28 "포스티바우누/포스티유나"C/R
'''[[주력 전차|
MBT
]]'''
'''[[1세대 전차|
1세대
]]'''
T-55 → T-55MR | T-54-3R
'''[[2세대 전차|
2세대
]]'''
T-72M1R
'''[[3세대 전차|
3세대
]]'''
레오파르트 2A4
3.5세대 레오파르트 2A6
'''[[장갑차|
장갑차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XA-180 · XA-185 · XA-203 OWS "파시" | XA-300 | XA-360 AMV | 시수 GTP | RG-32M | BTR-60(PA/PB/PUM)R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CV9030 FIN | BMP-2 → BMP-2MD FIN | MT-LB | MT-LBu | Bv 308 | Bv 206(S/D6N) | Bv 202R | NA-120GTR | BMP-1(TJ/TJJ)R | BTR-50(PK/PU/PUM/YVI)R | ATS-59R | GT-MSR | AT-SR | M2 하프트랙R
차량 '''
초소형
'''
이륜차
야마하 WR250R | 링스 GLX 5900
ATV
폴라리스 스포츠맨
소형 [[소형 전술차량|
IMV
]] 랜드로버 디펜더 110 | 벤츠 G300 · G270 CDI | UAZ-469R · UAZ-452R | GAZ-69R
민수용
벤츠 스프린터 | VW 트랜스포터 | 토요타 하이럭스
트럭
군용
시수 A2045 · E15TP · E13TP · E11T · SA-130 · SA-150 · SA-240 · KB-45R · A-45R | 벤츠 제트로스 · 유니목 | DAF YA-4442 · MMLS | KrAZ-255R | MAZ-537GR | ZiL-131R · ZiL-157R | GAZ-66R
상용
시수 SK-250 · SK-181 | 스카니아 4시리즈 · PRT-레인지 | 벤츠 악트로스 · 아테고 | 포드 템즈R
'''[[자주포|
자주포
]]'''
'''
자주곡사포
'''
155 PsH 17 K-9FIN "모우카리" | 122 PsH 74 | BT-42R
'''[[자주평사포|
자주평사포
]]'''
152 TelaK 91R
'''[[자주박격포|
자주박격포
]]'''
KrhPsajon XA-361 AMOS | NA-122
'''[[대전차 자주포|
대전차 자주포
]]'''
채리어티어 Mk.VII 모델 BR | 3호 돌격포 G형 "수트루미"R
다연장로켓 298 RsRakH 06 | 122 RakH 89 M1 | 122 RakH 76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자주대공포
]]'''
ItPsv 레오파르트2 마크스맨 | ItPsv 90 마크스맨R | ItPsv SU-57-2R
'''[[대공미사일|
단거리 SAM
]]'''
참고: 틀:현대전/핀란드 유도무기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2 | 사우루스 FLC 3 견인차
공병차량 PiPz 2 닥스 | 시수 RA-140 DS 지뢰제거차
교량차량 레오파르트 2L | 시수 E-15TP-L 레구안 가교부설트럭 | BLG-60M2 | MTU-20R
건설기계 PS 940 백호로더 | 발멧 702R트랙터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현대 네덜란드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네덜란드 왕국군 (1945~현재)
Nederlandse krijgsmacht
<colbgcolor=#ffffff,#191919> 기타 전차 <colbgcolor=#ffffff,#191919> 89식 중전차 이고/치로C/R, 97식 경장갑차 테케C/R, M4A1E9R, 램 Mk.II, 셔먼 VR, 셔먼 V 크랩R, M4A3 (105) HVSS
MBT 1세대 센추리온 Mk.7R
2세대 레오파르트 1 NL · 1-VR
3세대 레오파르트 2(A1/A4/A5) NLR
3.5세대 레오파르트 2(A6S/A7) NL
경전차 M3A1 스튜어트R, M3A3 스튜어트R, M24 채피R, AMX-13 FL-(12/15)R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R, XA-188R, PWV 복서, LGV 페넥, 부쉬마스터
LSV, 훅스 1 CBRN, YP-408R, YP-104R
궤도장갑차 CV9035 NL, YPR-765KMar/R, Bv 206, BvS 10,
M113A1KMar/R, AMX-PRIR, LVT-4R
차량 오토바이 BMW R650 GSR, 트라이엄프 3TAR, KTM 400LS-E, 야마하 FJR1300AKMar
소형 벤츠 볼프 · G바겐KMar · 비토KMar · 스프린터KMar, 폭스바겐 아마록KMar, 벡터, { 카라칼},
랜드로버 디펜더 109KMar/R, NEKAF M38R, 오펠 록스-e
트럭 DAF YA 328 · 2300KMar · 4440 · 4442,
스카니아 그리푸스 · 4 시리즈, 이베코 스트라리스, 벤츠 유니목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7R, M109(A3/A5) NLR, M110A2R, AMX-105 Mk.61R, PzH2000
자주박격포 YP-408 PWMTR, M106A1R, 페넥 MR
대전차 자주포 M10 IIC 아킬레스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치타 PRTL(A1), M19 더스터
단거리 대공미사일 페넥 SWP, NASAMS, { ACSV G5}
다연장로켓 M270R, PULS
무인 차량 UGV 테미스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2R, BPz 3 뷔펠
전투공병차량 AEV 3 코디악
교량차량 비버, 레구안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KMar: 왕립 네덜란드 국가헌병대 (Koninklijke Marechaussee)에서도 같이 사용하는 차량들
※ 윗첨자C: 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파일:벨기에 국기.svg 현대 벨기에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000> 벨기에군 (1945~현재)
Belgisch leger
Armée belge
기타전차 <colbgcolor=#000000> 경전차 M3 스튜어트R, M22 로커스트R, M24 채피R, M41 워커 불독R, FV101 스콜피온R, ACEC 코브라 90
중형전차 셔먼 파이어플라이R, M4A1E8R, M4A3 (105)R, M26 퍼싱R
MBT 1세대 M46 패튼R, M47 패튼R
2세대 레오파르트 1(A1/A5) BER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R, { VBMR 그리폰}, { EBRC 재규어}, 판두르 I, 피라냐 IIIC, FN 4RMR, M6 스태그하운드R, M3A1 스카웃 카R, BDX 4×4
궤도장갑차 AMX-13 mod.56(VTT/PC/Cargo)R, CVR(T)R,
M113A1-BR, AIFV-B-(.50/C25)R, M75 APCR, M3 하프트랙R, ACEC 코브라 25
차량 소형 { L-ATV}, ATF 딩고 2 MPPV, 장켈 폭스, 이베코 LMV, 폭스바겐 ILTIS, 랜드로버 디펜더R
트럭 메르세데스-벤츠 악트로스 · 우니모크 1.9T · 1350L , 이베코 M250 · ALC 8X4,
스카니아 T144, 그라운드 호그, M-게이터, 르노 케락스, 볼보 N10R, 마지루스-도이츠 주피터R
자주포 자주곡사포 M7 프리스트R, M41 HMCR, M108R, M109(A2/A4 BE)R, M55 SPHR, { CAESAR NG}
자주박격포 AMX-13 mod.56 MorR, M113A1-B MorR, { 그리폰 MEPAC}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게파트R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2R
전투공병차량 PiPz 2 닥스R
기타 카노넨야크트판처R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현대 세르비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세르비아군 (2006~현재)
Vojska Srbije / Војска Србије
기타 전차 경전차 { LT-HPLRG-AT}
중형전차 T-34BR, M4A3E4R
MBT 1세대 T-55S
3세대 T-72(M1S/S/B3O/B1MS), M-84(AS/AS1/AS2)
장갑차 차륜장갑차 라자르(1/2/3/3M), BOV-(1/VP/M11), M-20 MRAP, BOV M16, 렌코 베어켓 BTR-60, BRDM-2, AT105 색슨C
궤도장갑차 OT M-60(P/PB), BVP M-80(A/AB1/AB2), MT-LBu, BTR-50(PKS/PU)
차량 <colbgcolor=#0c4076> 소형 험비, 디펜더 110, G바겐 300GD, 핀츠가우어, TAM 75
트럭 난징-이베코 터보 데일리, 벤츠 유니목 1300LO, ZiL-131,
MAZ-537, KrAZ-255, 우랄-375, MAN TGS, 스카니아 113M310O,
TAM 110 T7 · 150 T11 · 260 T22 · 4500S,
FAP 13 · 18 · 1118 · 1921 · 2026 · 2226 · 2632
자주포 자주곡사포 NORA B-52, SORA, 2S1, 알렉산다르, { LT-H}
대전차 자주포 SO-90R, M-44R }}} <colbgcolor=#ffffff,#191919>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M53/59 프라가S, SPAT 30/2, BOV-3, 판치르-S1/S1M, PASARS-16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1, 9K35
다연장로켓 M-77 오간, M-87 Orkan, M-97 플라멘-S, LRSVM Morava, M-18 Oganj
UGV 밀로쉬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O: 타국에서 공여받은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1] 당시에는 이런 식으로 생산/수입되는 상용차들이 많았다. 대우중공업(현. 타타대우상용차)- 볼보, 삼성상용차- MAN, 쌍용자동차- 메르세데스-벤츠, 한라중공업- 이베코, 효산특장차- 르노, 대산공사- 시수자동차 등이 사례. [2] 2000년 경 기아자동차 상용차부문(구. 아시아자동차)의 그랜토가 단종되자 기아자동차의 상용차 부문 중 대형 트럭부문을 넘겨받았다. [3] 일부 문제가 있기는 했으나 운행에는 큰 문제가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일반 버스의 4배에 달하는 비싼 가격으로 인한 경제성이 없어 추가 도입이 중단되었다. 상세한 내용은 굴절버스 문서를 참조. [4] 경남 사천에 출하 센터가 있다. [5] 원래 HPi / 터보컴파운드 기술이 R캡에다 적용해야 라디에이터 용량이 적정량에 맞게 되는데 저 덤프는 P캡에 적용을 해버린 것이며 그래서 라디에이터 용량이 작은 걸로 억지로 해결을 하려니 저런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6] TCS 해제 버튼이 따로 있음. [7] 반대로 가장 검사하기 쉬운 메이커는 국산은 현대차, 외산은 만트럭을 대체적으로 꼽는데, 검사하기 쉬운 만큼 차량의 임의 개조도 가장 많이 적발되는 메이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