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17:36

당귀


🥬 채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color=#fff> 십자
화과
<colcolor=#fff> 배추속 Brassica oleracea: 양배추 · 콜라비 · 콜리플라워 · 브로콜리 · 케일 · 콜라드 · 적채
Brassica rapa: 배추(봄동 · 얼갈이배추) · 순무 · 채심 · 청경채 · 물냉이
Brassica juncea: · 자차이
Brassica napus: 유채 · 루타바가 · 쌈추
기타 마카 · ( 무청 · 시래기 · 우거지) · 열무 · 알타리무 · 냉이 · 와사비 · 로켓(루꼴라)
가지
가지과 (고추속) 고추 · 피망 · 파프리카 · 페페론치노 · 할라피뇨 · 청양고추 · 부트 졸로키아 · 하바네로
가지과 (가지속) 가지 · 감자 · 토마토
나팔꽃과 고구마 · 공심채 ·
천남성과 토란 · 타로 · 구약감자
범의귀과 돌나물 · 돌단풍
박과 · 수박 · 여주 · 멜론 · 호박( 애호박 · 늙은호박) · 오이 · 단호박 · 수세미 · 울외 · 동아
석죽
비름과 시금치 · 비름 · 명아주 · 사탕무 · 근대 · 비트 · 퉁퉁마디
기타 쇠비름 · 루바브 · 하수오
미나
리목
미나리과 미나리 · 셀러리 · 당귀 · 흥거 · 신선초 · 참나물 · 시호 · 당근 · 파스닙 · 고수 · 파슬리
두릅나무과 두릅 · 인삼
비짜
루목
비짜루과 아스파라거스 · 둥굴레 · 무릇 · 용설란 · 비짜루
수선화과(부추속) 마늘 · 대파 · 양파 · 샬롯 · 부추 · 쪽파 · 삼동파 · 달래 · 락교 · 리크( 코끼리마늘) · 차이브 · 명이나물
아욱과 아욱 · 목화 · 오크라 · 카카오 · 말아욱
국화
국화과 곤드레 · 엔디브 · 치커리 · 곤달비 · · 쑥갓 · 우엉 · 참취 · 곰취 · 민들레 · 씀바귀 · 상추 · 양상추 · 야콘 · 아티초크 · 머위 · 로메인 상추 · 돼지감자 · 부지갱이 · 고들빼기
초롱꽃과 도라지 · 더덕 · 잔대
콩과 · 대두( 콩나물 · 풋콩) · 녹두( 숙주나물) · 강낭콩 · 렌틸 · 작두콩 · 땅콩 · 서리태 · 완두 · 병아리콩 · · 구아 · 아피오스 ·
버섯류 송이버섯 · 능이버섯 · 표고버섯 · 팽이버섯 · 영지버섯 · 참송이버섯 · 새송이버섯 · 트러플 · 양송이버섯 · 목이버섯 · 살구버섯 · 도장버섯 · 노루궁뎅이버섯 · 느타리버섯 · 만가닥버섯
기타 고사리 · 연근 · 죽순 · 생강 · 카사바 · · 으름 · 파극천 · 옻순
※: 과채류, 견과류, 곡류, 균류이지만 채소로 보기도 함
비가공 식품/재배물 기타 틀: 고기 · 곡물 · 과일 · 채소 · 해조류 · 향신료 }}}}}}}}}

🌿 향신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향신채 수선화과 달래 · 대파 · 마늘 · 부추 · 샬롯 · 양파 · 쪽파
생강과 강황 · 고량강 · 생강
배추과 · 겨자 · 냉이 · 와사비 · 홀스래디시
미나리과 고수 · · 미나리 · 셀러리 · 아위 · 파슬리 · 회향
기타 고추 · 깻잎 · 치커리
스파이스
*
감초 · 계피 · 들깨 · 민감초 · 바닐라 · 사프란 · 산초 · 셀러리 시드 · 실피움(멸종) · 아니스 · 육두구( 메이스) · 정향 · 참깨 · 초피 · 카르다몸 · 케이퍼 · 쿠민 · 타마린드 · 팔각 · 호로파 · 후추
허브
**
개박하 · 라벤더 · 레몬그라스 · 레몬밤 · 로즈마리 · 바질 · 박하 · 배초향 · 세이보리 · 세이지 · 스테비아 · 오레가노 · 월계수 · 재스민 · 제라늄 · 차조기 · 카피르라임 · 캐모마일 · 타라곤 · 타임
*: Spice, 좁은 의미의 향신료. 딱딱한 열매, 씨앗류를 의미.
/
**: Herb, 향료 중에서 부드러운 잎과 줄기를 의미.
그 외 비가공 식품 및 재배물 틀: 고기 · 곡물 · 과일 · 채소 · 해조류 · 향신료 }}}}}}}}}
당귀
Angelica
파일:4B66330D-53A0-4111-A10C-A95476A11510.jpg
학명 Angelica gigas
Nakai
분류
<colbgcolor=#d7ffce,#0f4a02> 식물계(Plantae)
분류군 피자식물문(Angiospermae}
쌍떡잎식물강 (Dicotyledoneae)
미나리목(Apiales)
미나리과(Apiaceae)
당귀속(Angelica)
당귀(A. gigas)

1. 개요2. 어원3. 약재로서의 활용4. 효능5. 식재료6. 매체7. 여담

[clearfix]

1. 개요

當歸
dong quai[1]

한약재이자 채소 중 하나로, 한약방에서 흔히 맡을 수 있는 '한약 냄새'라고 불리는 향의 정체이다. 생리 활성 성분으로 데커시놀이 함유되어 있다.

2. 어원

당귀(當歸)는 "마땅히(當) 돌아오다(歸)"라는 뜻을 가졌다. 그래서 옛날에는 어부를 남편으로 둔 아내들이 뱃길 떠나는 남편의 무사귀환을 기원하는 의미로 품에 당귀를 챙겼다고 전해진다. 그 외에도 전쟁터 가는 남편을 위해 당귀를 품 속에 넣어둔 것에서 유래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아예 '남편이 집에 돌아온다' 라는 의미로, 시집가는 신부가 반드시 챙겨야 할 상비약(부인약)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경기도농업기술원

3. 약재로서의 활용

당귀는 종류가 많은데, 참당귀(Angelica gigas), 왜당귀(Angelica acutiloba),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 등이 있다. 참당귀를 제외하면 약간의 단맛이 있다.[2] 친척뻘 되는 한약으로 궁궁이, 사상자 등이 있으며 다 미나리과다.

공진단, 십전대보탕, 쌍화차, 주공백세주, 죽엽청, (뿌리), 혼돈병 등을 만드는 데에 쓰인다.

서양에도 당귀가 있는데 안젤리카(Angelica archangelica)라고 부르며, 동양 당귀(A. gigas)의 근연종이다. 안젤리카 자체는 당귀속을 뜻한다. 프랑스 리큐르인 베네딕틴에 이 안젤리카가 들어가고, 중국에서 인기가 많은데, 단순히 이름을 음차하는 대신 '廊酒(랑지우)'라는 별도의 이름까지 만들어 붙일 정도로 매우 잘 팔린다. 싱가포르에 리큐르를 수출하던 20세기 말~21세기 초반에 베네딕틴의 재료로 당귀가 들어간다는 사실이 화교들에게 알려지면서 큰 인기를 끌었는데 당시 중국인들 사이에서 당귀는 시집갈 때 꼭 챙겨야하는 여성용 약재로 알려져 있었으며, 이 술이 인기를 끌면서 출산 후 베네딕틴 한 병을 다 마셔야 몸조리가 끝난다는 말까지 생겼다. 그 영향이 지금까지 이어졌기 때문이라고. 이 때문인지 한국에 수입되는 베네딕틴 가운데는 대륙의 기상이 느껴지는 쌈마이한 케이스에 담겨있는 제품이 종종 발견된다. 당연히 중국인 소비자를 노린 패키징. 이 당귀(안젤리카)는 에도 들어간다.

4. 효능

변비 탈모에 효능이 있다고 하며, 혈관을 확장시켜 혈류량을 증강시켜서 혈액 순환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 다만, 따뜻한 성질이 있어서 몸이 뜨거운 사람은 복용시 주의를 요하며, 만성설사를 하거나 대변이 묽은 사람에게 좋지 않다.

5. 식재료

밀면 육수의 재료로 쓰이기도 한다. 소화 촉진과 더불어서 밀면 육수만의 풍미를 더해 주는 역할을 하는 듯하다. 이외에도 당귀차, 장아찌 등을 해먹기도 한다.

당귀를 에 넣어 먹기도 한다. 쌉쌀하고 향긋한 당귀가 기름진 고기쌈의 맛을 깔끔하게 한다. 마트의 쌈야채 코너를 가면 당귀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쌈채소로 활용되는 것은 대부분 왜당귀이다.

한국에서 접하는 향신 채소로서는 난이도가 배초향과 더불어 거의 최상급이다.

6. 매체

  • 허준: 인기리에 방영될 당시, 드라마 내에서 내의원 약재 중 이 당귀가 빼돌려지는 사건이 벌어지는 에피소드가 있는데, 허준이 당귀의 효능을 알려주는 장면도 있고, 기생들이 당귀를 달인 물에 세수를 하면 피부가 좋아진다는 말 덕분에 현실에서 한동안 당귀가 잘 팔렸다는 소문이 있다.

7. 여담

  • 참당귀와 비슷한 것으로 지리강활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건 독초다. 지리강활은 참당귀랑 달리 악취가 나며, 상처를 내면 하얀 진액이 나오며, 잎 앞면은 녹색을 띄고 뒷면은 흰색에 가깝게 띄고 있다.
  • 예전에는 산에서 캐 온 것을 썼지만, 요즘은 전부 재배해서 사용한다.
  • 삼국지 강유와 관련된 에피소드가 있다. 강유는 위나라 장수였지만 촉에 투항했는데, 위나라에 남은 그의 어머니가 아들에게 약재인 당귀를 보냈다. 당귀(當歸,마땅히 돌아오다)를 보낸 뜻은 우회적으로 귀향을 권유한 것인데, 이에 강유는 '밭에 원지(遠志)는 가득하고 당귀는 하나도 없다'는 내용의 답장을 보냈다. 이는 당귀처럼 역시 한약재의 일종인 원지(遠志)를 이용하여 '원대한(遠) 뜻(志)이 있어 돌아갈 수 없다'는 뜻이었다. 전후 사정 및 강유가 보낸 답장의 원문은 강유 문서로. 또한 조조 태사자에게 당귀를 보내 회유를 시도했다. 코에이에서도 이 점을 참고했는지 삼국지 13에서는 구입할 수 있는 물품으로 당귀와 원지가 나온다. 다만, 강유와 모친의 이야기, 조조의 태사자 회유 시도 이벤트는 구현되지 않았다. 단 게임내 에딧기능 중 하나인 이벤트 편집으로 유저가 취향에 맞게 구현은 가능하다.[3]


[1] 어원은 해당 한자어의 광동어 독음에서 왔다. [2] 참당귀는 토당귀 또는 한당귀, 왜당귀는 일당귀라고도 불린다. 중국당귀는 대한민국약전에 등록되지 않아 한국에서는 당귀로 쓸 수 없다. 임상에서는 중국당귀는 보혈 작용, 토당귀는 활혈 작용이 우수하며, 일당귀는 그 중간으로 여겨진다. [3] 이와 비슷한 일화가 있는 약재로 정향이 있는데, 고대 중국이나 조선에서는 정향을 입냄새 방지제로 사용하며 군주를 알현했다. 삼조시문전집역주, 여제갈량서(三曹詩文全集譯注, 與諸葛亮書)에 따르면 조조 제갈량에게 정향을 받아달라는 글귀가 담긴 편지와 함께 정향 다섯 근을 보내 회유를 시도했다고 한다. 전술했듯 정향은 군주를 알현하는 관리들이 사용한 것이므로, "황제를 가까이서 모실 만큼 높은 관직을 줄 테니 내게 귀순하라"고 권했던 것.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