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이름이 별명인 게임에 대한 내용은 이 푸른 하늘에 약속을 문서
, 일본의 은어에 대한 내용은
뇌물
문서
참고하십시오.언어별 명칭 | |
한국어 | 곤약 |
일본어 | こんにゃく |
영어 | konjac |
중국어 | 魔芋 |
1. 개요
천남성과의 식물인 구약감자로 만드는 묵. 구약묵이라고도 한다. 주성분은 글루코만난으로 수분과 식이섬유다. 원산지는 주로 동남아시아이고, 최대 생산지는 중국이다.일반적으로는 사각형 덩어리 형태로 가공되어 있다. 위 사진과 같이 검은 가루가 점점이 박혀 있는 것은 곤약을 굳힐 때 사용한 '석회유'이다.[1] 석회유를 사용하기 전에는 재를 물에 녹여서 거른 잿물을 사용했다.
1.1. 구약감자
🥬 채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color=#fff> 십자 화과 |
<colcolor=#fff> 배추속 |
Brassica oleracea:
양배추 ·
콜라비 ·
콜리플라워 ·
브로콜리 ·
케일 ·
콜라드 ·
적채 Brassica rapa: 배추(봄동 · 얼갈이배추) · 순무 · 채심 · 청경채 · 물냉이 Brassica juncea: 갓 · 자차이 Brassica napus: 유채 · 루타바가 · 쌈추 |
기타 | 마카 · 무( 무청 · 시래기 · 우거지) · 열무 · 알타리무 · 냉이 · 와사비 · 로켓(루꼴라) | ||
가지 목 |
가지과 (고추속) | 고추 · 피망 · 파프리카 · 페페론치노 · 할라피뇨 · 청양고추 · 부트 졸로키아 · 하바네로 | |
가지과 (가지속) | 가지 · 감자※ · 토마토※ | ||
나팔꽃과 | 고구마 · 공심채 · 메 | ||
천남성과 | 토란 · 타로 · 구약감자 | ||
범의귀과 | 돌나물 · 돌단풍 | ||
박과 | 박 · 수박※ · 여주※ · 멜론※ · 호박( 애호박 · 늙은호박) · 오이 · 단호박 · 수세미 · 울외 · 동아 | ||
석죽 목 |
비름과 | 시금치 · 비름 · 명아주 · 사탕무 · 근대 · 비트 · 퉁퉁마디 | |
기타 | 쇠비름 · 루바브 · 하수오 | ||
미나 리목 |
미나리과 | 미나리 · 셀러리 · 당귀 · 흥거 · 신선초 · 참나물 · 시호 · 당근 · 파스닙 · 고수 · 파슬리 | |
두릅나무과 | 두릅 · 인삼 | ||
비짜 루목 |
비짜루과 | 아스파라거스 · 둥굴레 · 무릇 · 용설란 · 비짜루 | |
수선화과(부추속) | 마늘 · 대파 · 양파 · 샬롯 · 부추 · 쪽파 · 삼동파 · 달래 · 락교 · 리크( 코끼리마늘) · 차이브 · 명이나물 | ||
아욱과 | 아욱 · 목화 · 오크라 · 카카오 · 말아욱 | ||
국화 목 |
국화과 | 곤드레 · 엔디브 · 치커리 · 곤달비 · 쑥 · 쑥갓 · 우엉 · 참취 · 곰취 · 민들레 · 씀바귀 · 상추 · 양상추 · 야콘 · 아티초크 · 머위 · 로메인 상추 · 돼지감자 · 부지갱이 · 고들빼기 | |
초롱꽃과 | 도라지 · 더덕 · 잔대 | ||
콩과※ | 콩 · 대두( 콩나물 · 풋콩) · 녹두( 숙주나물) · 강낭콩 · 렌틸 · 작두콩 · 땅콩 · 서리태 · 완두 · 병아리콩 · 팥 · 구아 · 아피오스 · 칡 | ||
버섯류※ | 송이버섯 · 능이버섯 · 표고버섯 · 팽이버섯 · 영지버섯 · 참송이버섯 · 새송이버섯 · 트러플 · 양송이버섯 · 목이버섯 · 살구버섯 · 도장버섯 · 노루궁뎅이버섯 · 느타리버섯 · 만가닥버섯 | ||
기타 | 고사리 · 연근 · 죽순 · 생강 · 카사바 · 마 · 으름 · 파극천 · 옻순 | ||
※: 과채류, 견과류, 곡류, 균류이지만 채소로 보기도 함 | |||
비가공 식품/재배물 기타 틀: 고기 · 곡물 · 과일 · 채소 · 해조류 · 향신료 | }}}}}}}}} |
구약감자는 천남성과, 곤약속의 식물이다. 그런데 이 천남성과에는 독초가 많은 데다 구약나물 역시 열매에 독성이 있기에 줄기와 뿌리만을 섭취할 수 있다. doopedia의 구약감자 문서.
구약감자의 꽃. 꽃의 생김새를 보면 짐작하겠지만 구약감자는 흔히 시체꽃이라 불리는 타이탄 아룸이랑 같은 속이다. 그 영향인지 꽃 냄새가 아주 지독하다.
구약감자는 이름은 감자지만 사실 생김새의 유사성을 빼면 전혀 감자와 비슷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꽃봉오리가 필때까지 꽃대가 자라나는 성장속도가 어마무시하다. 꽃대가 하루에 기본 10cm 이상은 커진다. 사람 키를 넘는 것도 존재한다.
1.2. 어형
한자로는 菎蒻(곤약) 혹은 蒟蒻(구약), 영어로는 Konjac라고 주로 하며 '악마의 혀'라는 뜻의 devil's tongue라는 별칭도 있다. 하지만 서양에서는 주로 곤약을 면처럼 만들어 다이어트 식단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곤약면이라는 뜻의 일본어 단어를 그대로 가져와 Shirataki라는 단어 또한 통용되고 있다.2. 특징
수제로 만드는 곤약은 달다고 하지만, 공장제는 좀 떫은 맛이 난다. 물컹물컹해서 싫어하는 사람도 많다. 곤약에는 특유의 묘한 냄새[2]가 있다.곤약은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각광받는다. 100g에 약 14kcal정도로 칼로리가 사실상 전무한 수준인데도 포만감은 상당히 높다.[3] 다만 영양소 역시 칼슘을 제외하면 거의 없는 수준이라 이것만 먹다가는 영양실조에 걸릴 우려가 있기에 다른 식품들로 부족한 영양소를 채워야 한다.[4]
상온에서도 유통기한이 몇 달 정도로 길어서 냉장고에 보관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냉장 보관을 하면 얼 위험이 있다.
공장제 곤약 제품이 대부분이긴 하지만, 일본의 일부 식당에서는 직접 만든 곤약을 정식 메뉴, 혹은 서비스로 내오기도 한다. 대도시가 아닌 외곽의 메밀국수 전문점에서 가끔 볼 수 있는데, 기회가 되면 반드시 먹어 보자. 마트에서 파는 곤약과는 비슷한 점을 찾기 힘들 정도로 오묘하면서도 훌륭한 맛이 난다. 그리고 관광지에서는 간혹 곤약을 꼬치에 끼워 소스를 발라 팔기도 하는데, 전문점의 수제 곤약에는 못 미치지만 마트 곤약과는 역시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맛있다.
3. 제조법
구약감자를 건조해서 만드는 경우도 있고 그냥 그대로 써서 만드는 경우도 있다. 일본의 경우 집에서 만들어 먹는 경우가 많다.[5] 한국에서는 구약감자를 구하기 쉽지 않고[6] 대신 최근 시판되는 곤약가루를 주로 이용한다. 유튜브에서 쉽게 곤약젤리 만드는 방법을 검색할 수 있다.생감자의 경우 구약감자 껍질을 벗겨 믹서기에 갈고, 무게에 맞게 응고제를 넣고 냄비에서 저어주면서 익힌 다음 틀에 넣어서 식히면 완성이다. 응고재로는 대개 식물을 태운 재를 많이 쓴다. 생구약감자를 이용한 방법[7]
곤약가루를 이용하여 만들 수도 있다. 보통 찬물 500-700ml에 곤약가루 10g를 넣어 끓인 다음 식히면 된다. 물과 가루의 비율에 따라 쫀득거리는 정도에 큰 차이가 난다. 물 대신 각종 음료를 이용하면 간식으로 먹을 수 있는 젤리를 손쉽게 만들 수 있다. 코코팜 복숭아맛을 쓰면 일제 젤리맛과 매우 유사하다. 포도주스를 쓰면 꽤 괜찮은 과일 젤리를 만들 수 있는데, 오렌지주스는 추천하지 않는다. 단, 후술하겠지만 컵형 곤약젤리는 질식으로 인한 사망사건이 발생한 바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컵형 곤약젤리의 제조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공장제 곤약은 응고제로 수산화칼슘을 쓰기 때문에 위 사진과는 달리 새하얗다.
4. 조리법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는 것이 곤약 요리의 핵심이다. 다음과 같은 밑손질 방법이 있다.- 실곤약은 표면적이 넓으므로 물로 많이 헹구는 방법이 있다. 향이 강한 소스에 버무릴 때 시도해볼 수 있다. 그러나 생각보다 많이 헹궈야 하고, 냄새에 예민하다면 소스로 완전히 가려지지 않을 수 있다.
- 끓는 물에 식초를 조금 넣고 데치면 냄새가 상당히 빠진다. 아예 하루 정도 식초절임을 해버리면 표면에서 약간 상큼한 맛만 배면서 싹 비린내가 빠진다.
- 곤약에 소금을 넉넉히 뿌려 10분간 재워두면 냄새나는 물이 빠진다. 물을 버리고 곤약을 찬물이나 뜨거운 물에 넣어 10분간 끓여준다.[8] 끓인 곤약은 매우 뜨거우므로 주의할 것. 식혀서 사용한다.
한국에서는 주로 탕국이나 떡볶이, 조림요리 등에 사용한다. 간장, 설탕, 식초를 넣고 졸여도 먹을만하며, 아예 장조림 만들 때 같이 넣어 졸이기도 한다. 전골이나 찌개에 넣으면 국물을 어느 정도 흡수해서 조금 불어나가는 하는데, 한참을 끓여도 물러지지 않는다.
일본에서는 보통 어묵이 곤약에 부족한 영양을 보충해 준다고 해서 같이 먹는다.
곤약을 식물성 고기처럼 먹을 수도 있다. 일본에서 먼저 소개되고 중화일번 극에서도 다루어졌던 내용인데, 방법은 곤약을 하루 정도 얼린 뒤 해동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수분이 빠져 나가서 식감이 고기와 같이 변한다고 한다. 이걸 간장이나 불고기 양념 같은 고기 요리용 소스로 조리하면 충분히 고기처럼 먹을 수 있다고 한다. 상세한 조리법과 준비 방법은 "얼린 곤약 고기"라는 식으로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고, 심지어 얼린 곤약만을 중점적으로 다룬 요리책도 나왔다. 이를 이용하여 시중에 나와있는 채식주의자들을 위한 각종 대체육 및 수산물 대체품은 곤약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라면이나 파스타 등 면음식에 밀가루면 대체제로 넣어 먹을때 먼저 곤약면만 따로 마른 팬이나 냄비에 볶아 수분을 많이 날려주면 면에 풍미가 배어 맛이 좀 더 좋아진다. 볶을 때는 면이 하얗게 될 때까지 강한 불에서 생각보다 오래 볶아 주면 된다. 주로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타지 않는다.
5. 곤약 제품
시중에는 파래와 같은 해초류라든지, 메밀 등을 첨가해서 만들기도 한다. 먹기 쉽게 면처럼 만든 곤약면(실곤약)을 만들거나 매듭 모양으로 칼집을 넣어 꼬아서(고삐곤약) 전골에 넣기도 한다.- 곤약미( 곤약밥): 쌀처럼 작은 덩어리로 만든 곤약이다. 쌀과 함께 섞어 칼로리를 낮추는 데 사용한다. 보통 밥의 4/10 정도를 섞지만 좀 더 효과를 보기위해 그 이상을 넣기도 한다. 너무 많이 넣으면 맛이 떨어지므로 적절히 양 조절을 해야한다.
- 곤약죽
- 곤약젤리
-
실곤약: 곤약을 가늘고 길게 만든 곤약면(실곤약)을 활용한
뷰티칼로리면이라는 제품이 개발되어있다. 열량이 거의 없으니 다이어트 식품으로 활용가치가 있을 듯했으나, 역시 국수와는 확연히 다른 식감 때문에 크게 인기를 얻지는 못했다. 단, 꼬들꼬들한 면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나쁘지 않다는 듯.
실제 일본에서는 캔에 담겨서 나오는 일명 '캔라멘'이 발매되었는데, 캔 안에 담겨져 있는 면이 곤약으로 된 면이다. 밀가루로 반죽한 면은 국물에 금방 불어버리기 때문에 불지 않는 곤약으로 면을 만든 것이다. - 곤약우동
- 곤약떡볶이
- 곤약쫀드기
- 곤약파스타
- 곤약리조또
- 곤약새우: 자른 새우살 모양의 곤약으로, 일반적인 곤약보다 고기처럼 씹는 맛이 있다. 사람에 따라선 약간 질기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냥 먹으면 새우 맛이 나지 않기 때문에 마라, 마늘 등의 향신료에 절이는데, 양이 적은 걸 감안해도 칼로리가 상당히 낮다.
- 회 곤약 - 보통 곤약은 한번 익혀서 먹지만 이 곤약은 그런 과정 없이 생으로 먹을 수 있게 제조한다.
5.1. 곤약젤리
|
곤약 젤리 |
2017년부터 서서히 붐이 일기 시작한 제품은 파우치형 워터젤리라는 물건으로 일본의 원조 제품이 파우치 하나에 30~70kcal, 이것도 젤리 치고는 상당한 저칼로리라고 홍보하던 곤약젤리인데 국내에 도입되면서 칼로리가 더 낮아져 4~9kcal 수준의 제품이 시장을 이루고 있다.[9] 맛은 일제 젤리와는 비교가 무의미한 수준이지만 다이어트 식품 치고는 맛있는 편이라 1인 가구 간편식 열풍에 겹쳐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는 중이다.
참고로 한국에서 일본여행을 다녀올 때 기념품으로 자주 사오는 물건이다.
6. 주의점
- 너무 쫄깃한 탓에 이로 잘 끊어지지 않아서 목에 걸리는 사건사고를 유발하기도 하니 조심하자. 영유아나 노약자 등 음식을 제대로 씹을 수 없는 이들에겐 섭취 시 주의를 요하며 특히 상술한 곤약 젤리는 젤리라는 특성상 어린 아이들이 즐겨찾기 때문에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젤리로 인해 사망하는 사례도 있으니 곤약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10] 따라서, 한국에서는 곤약 성분의 컵형 젤리는 제조,[11] 판매, 수입이 불가능하다.
- 너무 많이 섭취할 시 구토, 메스꺼움, 어지러움에 헛구역질 같은 체한 것과 비슷한 부작용이 있다. 심한 경우 앞의 증상이 사흘 가까이 이어지면서 뱃속에서 내려가지도 않고 토하려고 해도 올라오지 않아 사람을 미치게 하는 경우가 있으니 반드시 주의할 것. 곤약은 건미역처럼 팽창률이 커서 양을 잘 조절해야 한다. 영양소가 없어서 영양실조에 걸릴 수도 있는 만큼 다이어트하는 사람은 이 음식만 먹지 말고 다른 음식도 골고루 섭취하는 게 좋다. 팽창의 특성이 한 번에 훅 올라오지 않고 10시간이 넘게 서서히 불러오기 때문에 처음 먹고는 괜찮네 하고 또 먹으면 매우 힘든 상황에 처할 수 있다. 비슷한 영양 성분의 셀러리같은 다이어트 식품과 함께 먹었다가는, 배는 불러있는데 배가 고파서 미치는 모순적인 느낌이 무엇인지 강렬하게 체험할 수 있다.
- 주성분인 글루코만난이 흡습성이 강하고 대장균이 마구 분해할 수 있다 보니 장에 가스를 만들고 급성 설사를 일으키는 부작용도 있다. 반대로 곤약이 제대로 배설이 안 되고 변비를 일으킬 수도 있다.[12]
7. 다른 용도
- 일본에서는 담력시험용 공포 트릭으로 곤약에 참기름 바른 것을 줄에 달아 어둠 속에서 부딪치게 하는 것이 있다. 너무 오래된 트릭이라서 이젠 한심한 공포 트릭 클리셰로 쓰이는 수준. 한국에서 귀신 모양 인형을 공중에서 떨어뜨리는 것과 비슷하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 제국은 곤약을 풍선처럼 부풀려서 독가스를 분사하는 용도로 사용하려 했다.
- 일본에선 영 좋지 않은 용도로 곤약 가운데에 칼집을 넣어 사용한다는 설이 널리 퍼져있다. 현재야 그런 물건이 상당히 발전되어 유통되는 상황인 데다 식품을 그런 데에 사용한다는 것에 거부감이 있는지라 간혹 서브컬처에서 개그물로 가끔 나오는 정도다.
8. 매체에서의 등장
- 도라에몽에서 통역 곤약으로 먹으면 모르던 지역 말을 알아듣거나 그 지역의 말을 할수있다. 극장판에 자주 나온다. 여담으로 여러 맛이나 여러 형태가 있나보다.
- 바이오하자드 RE:2의 번외 모드인 두부 모드에서 최초 클리어 시 곤약이 해금된다. 화염방사기, 화염탄, 수류탄, 그린 허브, 구급 스프레이를 소유하고 있다.
- KOF 시리즈에 나오는 인물인 최번개는 이 음식이 싫어하는 음식으로, 가장 기피한다.
- 용자왕 가오가이가의 주인공 시시오 가이도 어릴 때 곤약을 먹다 목에 걸려 질식사할 뻔한 일을 겪었기 때문에 가장 싫어한다.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14기 전설을 부르는 춤! 아미고!에서는 악당 아미고 레이가 이걸로 복제인간을 만들어 마을 사람들을 바꿔치기한다. 복제된 곤약인간은 원본 사람보다 밝은 성격을 가지고 있고 거의 비슷하게 행동하는 것은 물론 방해전파 등을 사용해서 바뀌지 않은 마을 사람들을 철저히 방해하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쌈바 노래를 들으면 자동으로 춤을 춘다.
- 일본의 민담에서는 염라대왕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라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염라대왕괴수 엔마고 문서로.
- 일본의 인기 만화 루팡 3세의 등장인물 이시카와 고에몽이 유일하게 베지 못하는 물건이다. 참고로 그는 참철검 하나로 건물이든 헬기든 평등하게 조각낼 수 있는 엄청난 경지의 달인인데 유독 곤약만큼은 초대부터 지금 시리즈에 이르기까지 베지 못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 아프리카,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및 오세아니아에서는 곤약보다 훨씬 커다란 코끼리곤약(Amorphophallus paeoniifolius)을 재배한다.
[1]
소석회 즉,
수산화 칼슘을 10배의 물에 녹인 것이다. 석회유 없이 그냥 굳힌 것이 더 고급이며 맛 역시 더 좋은 편이다.
[2]
어묵과 유사한 비린내 + 석회수에서 나는 것으로 추정되는 퀴퀴한 냄새
[3]
섭취할 수록 오히려 소화에 필요한 칼로리가 더 드는 이런 경우를 마이너스 칼로리(negative calorie)라 부른다.
[4]
참고로 칼로리 낮은 다이어트 식품이 필요한데 곤약은 못 먹겠다면 대체품으로 칼로리가 곤약보다도 훨씬 낮은
천사채를 사용해도 좋다. 마트나 횟집에서 회 밑에 깔아 주는 그것이다. 곤약과는 달리 냄새가 거의 없고 씹는 질감이 있어 사람에 따라 이쪽이 더 맞을 수도 있다.
[5]
이것도 옛말이지 요즘에는 일본에서도 십중팔구 슈퍼에서 파는 제품을 사먹는다...
[6]
구약나물은 관상용으로 키우기도 한다. 그런데 꽃집이나 화훼단지에서 은근히 찾기가 힘들다.
[7]
유효성분은
수산화칼륨으로
염기성을 띤다.
[8]
일본의 모 일본요리학원에서 가르치는 방법.
[9]
이 정도의 열량은 사실상 신체에 영양이 없는 수준이다. 0kcal로 표기할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바로 윗 단계에 있는 수준.
[10]
국가를 상대로 고소하였으나 결국 패소하였는데, 마냥 억울하게 볼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합리적이라고 봐야 되는 부분이, 떡에 목이 막혀 죽는 사례도 굉장히 많지만 유아뿐이 아니라 성인들도 떡을 먹어서도 안되고 팔아서도 안되는 판매 금지 품목화하라고 하거나, 떡으로 인해 피해봤으니 국가에서 보상해주라는 이야기는 나오지 않고, 나와도 아무도 공감해주지 않을 것이다. 낯선 음식에 대한 과한 반감과 편견이 섞여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그 부분을 고려한 합리적인 판결에 해당한다.
[11]
개인적 소량 제조도 재료를 합법적으로 구하는 것이 문제겠지만, 합법적으로 구하더라도 제재 대상이 될 수 있다. 사생활 침해 때문에 안 잡는 것일 뿐이다.
[12]
곤약을 비롯해 식이섬유가 주성분이거나,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품들도 변비의 원인이 된다. 이런 식품들 속의 불용성 식이섬유는 변비 해소에 도움이 되지만 먹을 때 과하게 섭취하거나 수분이 부족하면 변비를 부르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