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8:59

고영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고영희(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c0c0c0><colcolor=#000,#ddd> 대한제국 매국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을사오적
이지용 박제순 이근택 이완용 권중현
||<-7><tablewidth=100%><#c0c0c0><tablebgcolor=#fff,#1f2023> 정미칠적 ||

||<-8><tablewidth=100%><#c0c0c0><tablebgcolor=#fff,#1f2023> 경술국적 ||
}}}}}}}}} ||
고영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d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어윤중
제2대

윤용선
제3대

심상훈
제4대

어윤중
제5대

박정양
제6대

민종묵
제7대

조병호
제8대

심상훈
제9대

민영기
제10대

조병호
제11대

조병직
제12대

민영기
제13대

박정양
제14대

민영환
제15대

민영기
제16대

조병직
제17대

조병식
제18대

민병석
제19대

김규홍
제20대

심상훈
제21대

김성근
제22대

심상훈
제23대

이용익
제24대

박정양
제25대

민영기
제26대

조병호
제27대

민영기
제28대

민영철
제29대

민영기
제30대

고영희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제30대

고영희
제31대

임선준
제32대

고영희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d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서광범
제2대

장석주
제3대

조병직
제4대

이범진
제5대

한규설
제6대

조병식
제7대

한규설
제8대

조병식
제9대

이유인
제10대

조병직
제11대

신기선
제12대

서정순
제13대

한규설
제14대

윤웅렬
제15대

이도재
제16대

유기환
제17대

권재형
제18대

신기선
제19대

한규설
제20대

이재극
제21대

이지용
제22대

박제순
제23대

김가진
제24대

권중현
제25대

박제순
제26대

이지용
제27대

이근호
제28대

박제순
제29대

민영기
제30대

이근택
제31대

권중현
제32대

박용대
제33대

이하영
제34대

조중응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제34대

조중응
제35대

고영희
}}}}}}}}}}}}

정동파
貞洞派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고종
( ~ 1897)
김가진 김홍륙 김윤정 민상호 박정양
안경수 윤치호 이근택 이범진 이상재
이완용 이용익 이윤용 이재순 이하영
대한제국
(1897 ~ 1910)
독립협회 (친미파) 친러파
고영근 고영희 권중현 김가진 이범진
남궁억 박정양 서재필 신채호 이완용
안경수 안창호 양기탁 윤치호 이용익
이동녕 이상재 이승만 이완용* 이재순
* 1898년 7월 17일 제명되었다.
조선의 붕당
(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급진개화파
急進開化派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개화당
고종
( ~ 1897)
권동진 김옥균 박영교 박영효 서광범
서재창 서재필 신응희 유길준* 유혁로
이규완 이도재 정난교 정병하 홍영식
대한제국
(1897 ~ 1910)
고영희 권동진 권중현 민영달 박영효
박중양 송병준 서재필 신응희 안경수*
양한묵 오세창 유길준* 유혁로 윤치호
이규완 이도재 이준 이재극 정난교
* 온건개화파로 보는 시각도 있음.
조선의 붕당
(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경술국치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555; 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배경 대한제국의 국권피탈과정
전개 운요호 사건 · 강화도 조약 · 청일전쟁 · 시모노세키 조약 · 을미사변 · 영일동맹 · 러일전쟁 · 한일의정서 · 가쓰라-태프트 밀약 · 포츠머스 조약 · 을사조약 · 정미 7조약 · 대한제국군 해산 · 기유각서 · 한일약정각서 · 경술국치
관​련 인​물
<colbgcolor=#000><colcolor=#FFF> 을사조약
관련자
이지용 · 박제순 · 이근택 · 이완용 · 권중현 · 민영기 · 이하영 · 이재극 · 이토 히로부미 · 하야시 곤스케
정미​7조약
관련자
이완용 · 임선준 · 고영희 · 이병무 · 조중응 · 이재곤 · 송병준 · 이토 히로부미
경술국치
관련자
이완용 · 박제순 · 고영희 · 조중응 · 민병석 · 이병무 · 윤덕영 · 조민희 · 데라우치 마사타케
기타 인물 조선 총독 · 왕공족 · 이왕 · 조선귀족
영​향
순국 지사 민영환 · 박승환 · 이범진 · 조병세 · 황현 · 홍범식
저항 을미의병 · 을사의병 · 정미의병 ( 최익현 · 신돌석 · 임병찬 · 이인영 · 허위 · 이강년 · 홍범도) · 13도 창의군 · 헤이그 특사 ( 이상설 · 이준· 이위종) ·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 ( 안중근) · 오적 암살단 ( 나철) · 황제 대리 의식 집행 거부 & 관료 암살 시도 ( 남정철 · 박영효 · 이도재)* · 시일야방성대곡 ( 장지연)
기타 한일병합 ( 일제강점기 · 한국통감부 · 조선총독부 · 무단 통치 · 친일반민족행위자 · 토지 조사 사업) · 일본어 잔재설 · 식민사관 · 식민지 근대화론 · 한일 무역 분쟁
관련 문서 식민지 · 강점기 · 병합
* 박영효 등이 고종의 퇴위에 협조한 대신들을 암살하려다 처벌된 사건은 이완용이 고종 퇴위를 반대하던 대신들을 제거하기 위해 조작된 사건이라는 주장도 있음 }}}}}}}}}

조선귀족
朝鮮貴族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8px -3px -11px"
수작 공작
-
후작
박영효 · 윤택영 · 이재각 · 이재완 · 이해승 · 이해창
백작
민영린 · 이완용 · 이지용[1]
자작
고영희 · 권중현 · 김성근 · 김윤식 · 민병석 · 민영규 · 민영소 · 민영휘 · 박제순 · 송병준 · 윤덕영 · 이근명 · 이근택 · 이기용 · 이병무 · 이완용[2] · 이용직 · 이재곤 · 이하영 · 임선준 · 조민희[3] · 조중응
남작
김가진[4] · 김병익 · 김사철 · 김사준 · 김영철 · 김종한 · 김춘희 · 김학진 · 남정철 · 민상호 · 민영기 · 민종묵 · 민형식 · 박기양 · 박용대 · 박제빈 · 성기운 · 윤웅렬 · 이건하 · 이근상 · 이근호 · 이봉의 · 이용원 · 이용태 · 이윤용 · 이재극 · 이정로 · 이종건 · 이주영 · 이항구[5] · 장석주 · 정낙용 · 정한조 · 조동윤 · 조동희[6] · 조희연 · 최석민 · 한창수
거부
김석진 · 민영달 · 유길준 · 윤용구 · 조경호 · 조정구 · 한규설 · 홍순형
습작 공작
-
후작
박찬범 · 윤의섭 · 이달용 · 이덕용 · 이덕주 · 이병길
백작
고중덕 · 고흥겸 · 송종헌 · 이영주
자작
고희경 · 권태환 · 김호규 · 민병삼 · 민충식 · 민형식 · 민홍기 · 박부양 · 윤강로 · 이규원 · 이종승 · 이창훈 · 이충세 · 이택주 · 이해국 · 이홍묵 · 임낙호 · 임선재ㆍ조대호 · 조용호 · 조원흥 · 조중수
남작
김교신 · 김덕한 · 김세현 · 김석기 · 김영수 · 김용국 · 김정록 · 남장희 · 민건식 · 민규현 · 민병억 · 민영욱 · 민철훈 · 민태곤 · 민태윤 · 박경원 · 박서양 · 박승원 · 박정서 · 성일용 · 성주경 · 윤치호 · 이강식 · 이경우 · 이규환 · 이기원 · 이능세 · 이동훈 · 이범팔 · 이병옥 · 이병주 · 이완종 · 이원호 · 이인용 · 이장훈 · 이중환 · 이창수 · 이풍한 · 이홍재 · 장인원 · 정두화 · 정주영 · 정천모 · 조원세 · 조중구 · 조중헌 · 최정원 · 한상기 · 한상억
승작 백작 → 후작
이완용
자작 → 백작
고희경 · 송병준
[1] 1912년 도박죄로 구속되어 일시적으로 예우 정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61041, #062861 20%, #062861 80%, #06104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d1d1d,#e2e2e2
의장(조선총독부 정무총감)
초대

야마가타
이사부로
제2대

미즈노
렌타로
제3대

아리요시
주이치
제4대

시모오카
주지
제5대

유아사
구라헤이
제6대

이케가미
시로
제7대

코다마
히데오
제8대

이마이다
기요노리
제9대

오노
로쿠이치로
제10대

다나카
다케오
제11대

엔도
류사쿠
부의장
초대

김윤식
제2대

이완용
제3대

박영효
제4대

민병석
제5대

윤덕영
제6대

이진호
제7대

박중양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1910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문
<colbgcolor=#fff,#1f2023> 고영희 권중현 민상호 박제순 송병준
이근상 이근택 이완용 이재곤 이지용
이하영 임선준 장석주 조중응 조희연
조민희 한창수
찬의
강경희 권봉수 김만수 김사묵 김영한
남규희 민상호 박경양 박승봉 박제빈
박중양 염중모 유맹 유정수 윤치오
이건춘 이겸제 이재정 이준상 정인흥
조영희 조희문 한창수 홍승목 홍종억
부찬의
고원식 구희서 권태환 김교성 김낙헌
김명규 김명수 김준용 김필희 김한규
김한목 나수연 민건식 민원식 박제환
박희양 서상훈 서회보 성하국 송지헌
송헌빈 신우선 신태유 어윤적 엄태영
오재풍 오제영 윤치오 이도익 이만규
이봉로 이원용 이항직 정동식 정병조
정진홍 조병건 조재영 조제환 조원성
최상돈 한동이 허진 홍우철 홍운표
홍재하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1920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문
고희경 권중현 민병석 민영기 박영효
송병준 이하영 윤덕영 이윤용
부찬의
김현수
칙임 참의
김영진 김영한 김한목 남규희 민상호
민영찬 민형식 박승봉 박이양 박기양
박상준 박승봉 박의병 박제빈 박중양
백인기 상호 서상훈 신석린 신응희
어윤적 엄준원 염중모 유맹 유성준
유정수 유혁로 이건춘 이겸제 정진홍
조민희 조진태 조영희 조희문 한상룡
한진창
주임 참의
강병옥 고원훈 권태환 김갑순 김교성
김기태 김명규 김명준 김상설 김상섭
김연상 김영무 김정태 김준용 김창한
김필희 김현수 나수연 노창안 박경석
민건식 민영은 박기동 박기순 박봉주
박이양 박제환 박종렬 박흥규 박희양
방인혁 서병조 선우순 송종헌 송지헌
신석우 신태유 신창휴 심준택 심환진
안병길 양재홍 오재풍 오태환 원덕상
유기호 유빈겸 유익환 유흥세 윤치소
이강원 이근우 이기승 이도익 이동우
이만규 이병렬 이병학 이택규 이택현
이항직 이흥재 이희덕 장대익 장도
장상철 장응상 장직상 장인원 전석영
정동식 정란교 정병조 정순현 정재학
정태균 정호봉 조병건 천장욱 최석하
피성호 한영원 한상봉 한창동 허명훈
홍성연 현은
참의
구연수 김윤정 김춘희 김한목 김희작
남규희 민병석 박기순 원응상 윤갑병
윤정현 장헌식 정건유 현기봉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1930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문
민병석 윤덕영 이윤용
칙임 참의
고원훈 김관현 김명준 김서규 김영진
김윤정 남궁영 민상호 박두영 박상준
박영철 박용구 박중양 서상훈 신석린
어담 엄준원 염중모 유정수 유진순
유혁로 윤갑병 이겸제 이범익 이진호
장헌식 정교원 조경하 조성근 조희문
주영환 최린 한규복 한상룡 한진창
홍종국
주임 참의
강동희 강번 고일청 김경진 김기수
김기홍 김도현 김두찬 김병규 김사연
김상설 김상형 김상회 김신석 김영택
김정석 김정호 김종흡 김진수 김창수
김한규 김한목 김한승 남백우 노영환
문종구 민병덕 박기석 박종렬 박보양
박봉진 박철희 박희옥 방의석 방태영
서병조 서병주 석명선 선우순 성원경
손재하 손조봉 송지헌 신희련 안종철
오세호 오태환 원덕상 유승흠 유태설
이경식 이교식 이근수 이근우 이기찬
이기승 이동우 이명구 이방협 이승우
이병렬 이선호 이은우 이종섭 이충건
이진호 이택규 이희덕 이희적 인창환
장대익 장석원 장직상 장헌근 정관조
정란교 정대현 정석모 정석용 정해붕
조병상 주영환 지희열 최남선 최양호
최연국 최윤 최윤주 최준집 최지환
최창조 하준석 한영원 현준호 현헌
홍치업 황종국
참의
강필성 김병원 김성규 김제하 박상준
어윤적 유만겸 유성준 진희규 홍정철
}}}}}}}}}
[ 1940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0><bgcolor=#062861><-5> 고문 ||
김윤정 박중양 윤치호 이범익 이진호
한상룡
칙임 참의
고원훈 김관현 김명준 김사연 김연수
김영배 김영진 김우영 김윤정 김태석
김화준 박두영 박상준 서상훈 신석린
안종철 원덕상 유만겸 유진순 이겸제
이경식 이계한 이병길 이원보 장직상
장헌식 정교원 정란교 정연기 진학문
최린 한규복
주임 참의
강이황 권중식 김경진 김동준 김병욱
김부원 김사연 김신석 김원근 김재환
김태집 노준영 민재기 박지근 박창하
박필병 방의석 서병조 손창식 송문화
신현구 양재창 원병희 위정학 이경식
이기찬 이승우 이신용 이영찬 이익화
이종덕 임창수 장용관 장윤식 장준영
장직상 전덕룡 조병상 조상옥 차남진
최윤 최승렬 최정묵 최준집 한익교
한정석 현준호 황종국
참의
김하섭 문명기 이승구
||
†- 재직 중 사망.
}}}}}}}}}}}}}}}}}} ||
조선귀족 자작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
<colbgcolor=#29176e><colcolor=#ffde09>
대한제국 제30대 탁지부대신
고영희
高永喜 | Go Yeong-hui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Go_Yeong-hui_Portrait.jpg
우정(雨亭)
자중(子中)
출생 1849년 ( 철종 즉위년) 11월 2일[1]
충청도 회덕군
(現 대전광역시 대덕구 회덕동)
사망 1916년 1월 25일 (향년 66세)
본관 제주 고씨 (濟州)
직업 관료, 정치가
종교 유교 (성리학)
작위 조선귀족 자작
주요 경력 중추원 참의
황해도 관찰사
법부 대신
탁지부 대신
조선귀족 자작
이왕직 장관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
가족 아들 고희경
손자 고흥겸
친인척 증손 고중덕
비고 정미칠적, 경술국적
친일파 708인 명단 등재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등재
친일인명사전 등재
파일:e2b9c4c1-cef1-4b6b-a406-3d6b004c4328.jpg
1909년, 순종이 순행을 마치고 돌아와 창덕궁 인정전 앞에서
친일 관료들과 기념촬영한 사진.
중앙에는 순종이 앉아있고 그 오른쪽에는 이재각, 민병석, 조중응, 김윤식, 이지용,
조민희, 고희성이 서 있으며 어진 뒤에는 이병무, 윤덕영이 서 있다.
순종황제의 왼쪽에는 이토 히로부미, 이완용, 임선준, 고영희, 송병준, 박제순이 서 있다.

1. 개요2. 생애3. 기타

[clearfix]

1. 개요

조선 대한제국 정치가. 정미칠적 경술국적 중 1명으로 친일반민족행위자이자 매국노이다. 본관은 제주(濟州), 자는 자중(子中), 호는 우정(雨亭).

2. 생애

1849년 11월 2일 한성부에서 중국어 역관 고진풍(高鎭豊)과 전주 이씨 이일준(李一遵)의 딸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1867년 19세의 나이로 식년시 역과 왜학( 일본어) 전공에 2등 2위로 급제했다. # 젊어서부터 개화 사상을 접해 개화파 정치인이 되었으며 1876년 5월 김기수를 비롯한 수신사 일행에 일본어 통역으로 수행해 일본을 시찰했다. 1880년 5월 원산항 개항 때 사무관으로 종사하고 같은 해 다시 일본을 방문했다. 1882년 6월 일본 공사 하나부사 요시모토 등이 인천에 도착해 있을 때 차비 역관으로 영접과 통역을 담당했으며 1883년 인천항 개항 때는 조계정 사무를 담당했다. 1884년 2월 양지현감에 임명되었다가 같은 날 다시 간성군수에 임명되었고 9월 지평현감으로 옮겼으며 10월 통리교섭사무아문 참의에 임명되었다가 11월 삭녕군수로 옮겼다. 1885년 4월 고양군수에 임명되었다가 11월 연천현감으로 옮겼으나 곧바로 사직했으며 1886년 4월 기기국 방판으로 관직에 복귀해 종목국 사무를 겸임했다. 1894년 6월 내무부 참의에 임명되어 9월 의화군 이강이 보빙대사로 일본을 방문할 때 1등 수원으로 수행했으며 갑오개혁에도 참여하였다. 1895년 4월 학부 협판에 임명되어 5월부터 8월까지 일본 특명전권공사를 지냈다. 1896년 1월부터 3월까지 농상공부 협판을 지내면서 2월에는 농상공부대신 사무를 서리했고 3월에 외부 협판에 임명된 후 9월부터 외부 대신 사무를 서리했으며 7월 독립협회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1897년 9월에는 다시 학부 협판에 임명된 후 1898년 7월부터 10월까지 학부대신 사무를 서리하면서 양지아문 부총재관을 겸임했다. 1898년 10월 탁지부 협판에 임명된 후 탁지부대신 사무도 서리했으며 1898년 10월에 열린 관민공동회에 정부 측 참석자로 참여한 일로 11월 징계를 받았으나 곧바로 탁지부 협판으로 복귀했다.

1903년 2월부터 11월까지 다시 일본 특명전권공사를 지냈고 12월부터 다시 탁지부 협판에 임명되었다가 1904년 5월 학부 협판으로 옮겼다. 1905년 5월 법부 협판에 임명되었다가 7월 평리원 재판장과 중추원 참의를 거쳐 10월부터 황해도 관찰사 겸 황해도 재판소 판사를 지냈고 1906년 6월 제실회계심사국장에 임명되었다. 1907년 2월 서울에 장훈학교를 설립하고 4월에 교장에 취임했으며 5월에 성립된 이완용 내각에서 탁지부대신에 임명되어 1908년 6월까지 재임했다. 재임 중이던 1907년 7월 헤이그 특사 관련해 고종에게 일본에 사죄하도록 강요하면서 어전 회의에서 이완용 등과 함께 양위를 주장했다. 고종 강제 퇴위에 앞장서는 한편 정미 7조약(한일 신협약) 체결에 동조해 이완용 - 총리대신, 송병준 - 농상공부대신, 임선준 - 내부대신, 이병무 - 군부대신, 조중응 - 법부대신, 이재곤 - 학부대신과 함께 정미칠적으로 지탄을 받았다. 1907년 10월 조선 시찰을 위해 방문하는 일본 황태자를 환영하기 위해 전현직 대신과 관리들이 조직한 신사회의 평의원에 선출되어 환영 행사를 주관했다. 1907년 10월 고종의 강제 양위와 정미 조약 체결에서 보여준 공로가 인정되어 일본 정부가 주는 훈1등 욱일대수장을 받았다. 1908년 3월 탁지부대신으로서 통감 이토 히로부미와 시정 개선 경비를 충당하기 위한 '일시 대부금에 관한 계약'에 조인했다. 1908년 6월 법부대신에 임명되었고 8월 조선에 대한 자선 구제와 복리 증진을 명분으로 진출한 동양협회[2]의 취지에 찬성해 100원을 기부했으며 10월에 일본 적십자사에서 특별 사원장을 받았고 11월에는 대한산림협회[3] 명예회원으로 참여했다. 1909년 6월 일본 정부로부터 일본 황태자 도한 기념장을 수여받았고 10월 탁지부대신에 임명되었으며 임시로 법부대신의 사무를 서리했는데 11월 도쿄에서 열린 이토 히로부미 장례식에 맞춰 대한제국 내각 및 한성부민회 주최로 장충단에서 관민 추도회를 열 때 발의에 참가하고 추모했다. 같은 달 말에는 일진회가 성명서를 준비한다는 소문이 있자 이완용의 지시로 오사카 조폐국 시찰 명목으로 일본을 방문해 수상 가쓰라 타로를 만나 '합방안 5개 조항'을 제출했으나 거절당했다.

1910년 3월 토지조사국 관제 발표와 함께 탁지부대신으로서 경술국치 때까지 토지조사국 총재를 겸임했다. 1910년 8월 22일 탁지부대신으로서 합병 조약 체결에 관한 어전 회의에 참석해 가결시킴으로써 황족 대표로 참석한 이재면과 더불어 총리대신 이완용, 내부대신 박제순, 농상공부대신 조중응, 궁내부대신 민병석, 시종원경 윤덕영, 시종무관장 겸 친위부장관 이병무 등과 함께 경술국적으로 지탄을 받았다. 1910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 관제가 시행되면서 조선총독의 자문 기구인 중추원의 고문에 임명되어 매년 1600원의 수당을 받았다. 1910년 10월 7일 조선귀족령에 따라 자작 작위를 받았으며 12월 조선귀족의 실업을 발전시킨다는 명목으로 명농회 조직에 참여해 취지서와 규칙을 발간했다. 1911년 1월 은사 공채 10만원을 받았고 2월 총독 관저에서 열린 '작기본서 봉수식'에 의복을 갖추어 참석했으며 8월 29일 합병 1주년을 기념하는 <매일신보> 특집호에 '공축 병합 일주년 기념'이라는 기념 축사를 게재했다. 1912년 8월 '한일병합 기념장'을 받았고 11월 조선귀족 대표로 일본 교토 모마야마 백일제에 참석해 참배했으며 12월에는 정4위에 서위되었다. 1913년 7월 도쿄에서 열린 메이지 덴노 1주기 추도식에 조선귀족 대표로 참석했다. 1915년 1월 조선총독부 주도로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고 시정 사업을 선전하기 위해 열린 '시정 5년 기념 조선물산공진회 경성협찬회'의 발기인으로 참여하고 5월 특별유공회원으로 50원을 기부했으며 11월 다이쇼 덴노 즉위 기념 대례기념장을 받았다. 1916년 1월 25일 사망했는데 사망 당일에 종3위로 추서되었으며 2월에 치러진 장례식에 일본 정부가 보낸 칙사가 참석했다. 그의 작위는 1916년 3월 장남 고희경이 세습했다.

3. 기타

  • 장남 고희경(1873~1934)과 손자 고흥겸(1893~1939) 모두 일제강점기 조선귀족으로 친일반민족행위자였기 때문에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 귀속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자 후손들은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토지 등을 국가에 몰수당하게 된다. 고희경의 후손들은 선조의 친일 행각을 인정하고 고희경으로부터 물려받은 토지를 매각한 대금 4억 8천여만 원을 국가에 반환하기도 하였다. # 그러면서도 고영희의 증손자 고중덕[4]은 조상의 토지를 되찾겠다는 생각이었는지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 귀속에 관한 특별법'이 위헌이라고 주장하며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하기도 하였으나[5] 결국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는 판결이 내려졌다.[6]
  • 상술했듯 을사조약 이전부터 친일파였던 인물이었다. 이는 같은 정미칠적 + 경술국적 이병무 조중응, 정미칠적인 송병준도 마찬가지. 사실 고영희는 이를 넘어 강화도 조약 이전에도 친일파였기에 개화파 출신 매국노라는 기록을 남기기도 한 셈이다. 특히 상술했듯 중국어 역관의 자식인데도 일본어 과거에 응시, 합격한 것을 보면 1860년대에도 친일 성향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 대한제국의 매국노 중 최고령이기도 하다. 1849년생으로 대한제국의 매국노들 중 유일한 1840년대생이면서 고종보다 연상인 인물이다. 매국노들 중 가장 유명한 이완용보다는 9세, 고영희 다음으로 나이가 많은 매국노 권중현보다는 5세, 민영휘 고종보다도 3세 많다. 반면 최연소 매국노는 윤덕영(1873년생).[7]
  •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화가 고희동이 그의 조카다. 중부(仲父) 고영희와 달리, 예술인인 고희동에게는 특별한 친일행적이 없다.


[1] 대한제국관원이력서에는 12월 16일생으로 기재되어 있다. [2] 1907년 2월 조선과 대만의 식민화를 보조하고 촉진하기 위해 일본에서 조직된 단체. [3] 대한산림협회는 일제가 전국의 산림 측량 등을 목적으로 설치한 단체로 일본인 측량 기사를 초빙해 산림 사업을 주관했다. [4] 마지막으로 생존한 조선귀족 겸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적어도 2016년까지는 생존이 확인되었다. [5] 정확히는 고조부인 고영희의 재산은 순순히 반납했으나, 증조부 고희경의 재산에 대해서는 반발하며 소송에 나섰다. # [6] 해당 재판의 판결문 [7] 아이러니하게도 최고령 매국노 고영희가 강화도 조약 전부터 친일파였고 친일을 개화파로 출발했던 것과 달리 최연소 매국노 윤덕영은 한일합방 무렵부터 일제에 빌붙어 부귀영화를 누리기 위해 친일이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