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d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초대 이재면 |
제2대 윤용구 |
제3대 이경직 |
제4대 이재면 |
제5대 이재순 |
|
제6대 민영규 |
제7대 이재순 |
제8대 윤용구 |
제9대 민병석 |
제10대 민영규 |
|
제11대 이재순 |
제12대 이재완 |
제13대 민영소 |
제14대 이재완 |
제15대 민병석 |
|
제16대 민영철 |
제17대 이재극 |
제18대 이근상 |
제19대 윤용구 |
제20대 심상훈 |
|
제21대 이재극 |
제22대 박영효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
제22대 박영효 |
제23대 이윤용 |
제24대 민병석 |
|||
}}}}}}}}}}}} |
이윤용 관련 틀 | ||||||||||||||||||||||||||||||||||||||||||||||||||||||||||||||||||||||||||||||||||||||||||||||||||||||||||||||||||||||||||||||||||||||||||||||||||||||||||||||||||||||||||||||||||||||||||||||||||||||||||||||||||||||||||||||||||||||||||||||||||||||||||||||||||||||||||||||||||||||||||||||||||||||||||||||||||||||||||||||||||||||||||||||||||||||||||||||||||||||||||||||||||||||||||||||||||||||||||||||||||||||||||||||||||||||||||||||||||||||||||||||||||||||||||||||||||||||||||||||||||||||||||||||||||||||||||||||||||||||||||||||||||||||||||||||||||||||||||||||||||||||||||||||||||||||||||||||||||||||||||||||||||||||||||||||||||||||||||||||||||||||||||||||||||||||||||||||||||||||||||||||||||||||||||||||||||||||||||||||||||||||||||||||||||||||||||||||||||||||||||||||||||||||||||
|
조선귀족 남작 | |||
<colbgcolor=#062861><colcolor=#eccd7a>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 이윤용 李允用 | Lee yun-yong |
|||
|
|||
이름 | 이윤용 (李允用) | ||
출생 |
1854년 (
철종 5)
8월 17일[1] (음력 1854년 7월 24일) |
||
평안도
평양부 (현 북한 평양시) |
|||
사망 |
1939년
8월 29일 (향년 85세) (음력 1939년 7월 15일) |
||
경기도
경성부 가회정 9번지 (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가회동) |
|||
직업 | 관료, 정치가 | ||
주요 경력 |
전라도 병마절도사,
한성부 우윤/판윤 형조판서, 군부대신 농상공부대신, 한성은행장 중추원 고문 |
||
비고 |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등재 친일인명사전 등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62861><colcolor=#eccd7a> 본관 | 우봉 이씨 (牛峰) | |
자 | 경중 (景中) | ||
작위 | 조선귀족 남작 | ||
부모 | 부 이호준, 모 풍천 임씨 | ||
형제 |
1남 7녀 중 장남 의붓동생 이완용 |
||
배우자 |
첫째 부인
전주 이씨(
이혼) 둘째 부인 광산 김씨 셋째 부인 경주 김씨 넷째 부인 광산 김씨 |
||
자녀 | 1남 이명구 | }}}}}}}}} |
[clearfix]
1. 개요
조선 후기, 일제강점기 시기의 정치가로 친일반민족행위자이자 매국노. 의붓동생으로 이완용이 있다.조선 후기의 친러 성향의 개화파 정치가로 동생인 이완용과 아관파천을 일으켜 친일 내각을 붕괴시키지만 러일전쟁 직후 친일로 전향하며 헤이그 특사 사건 직후 고종을 압박하는 등의 친일 행적을 이어간 인물이다. 매국행위에 있어 동생에 결코 뒤지지 않지만 동생이 워낙 악질이라 그런지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
2. 생애
1854년(철종 5) 이호준의 아들으로 평양에서 태어났다.[2] 본관은 우봉, 자는 경중이다.1868년 돈령부 참봉, 1870년 별군직, 1885년 전라도 병마절도사, 1888년 6월 한성판윤, 같은 해 12월 영변부사, 1889년 7월 봉산군수와 홍주목사를 역임했고 1894년 형조판서를 거쳐 경무사를 역임했다.
1896년 2월 의붓동생 이완용, 이범진 등과 아관파천을 일으켰다. 친일 내각은 붕괴했고 중심인 김홍집, 어윤중, 정병하는 살해당했으며 유길준 등은 도주했다.[3] 직후 고종은 아관파천의 핵심 인물들을 신임하게 된다.
하지만 러일전쟁이 일어나고 이완용과 함께 친일로 전향한다. 여러 벼슬을 지내며 승승장구를 거듭했다. 헤이그 특사 사건 직후 고종의 양위를 찬성했고 이후 10여년간 했던 육군 부장에서 해임되었다. 친일로 전향한 이후에는 여러 친일 단체에서 활동하며 이토 히로부미의 송덕비를 세우려 했고 한국 황태자가 일본으로 유학갈 때 함께 갔다가 1908년에 돌아왔다.
|
1915년 10월 28일자 매일신보[4] |
경술국치 이후 조선귀족 남작 작위를 받았고 영친왕의 결혼식에도 참석했다. 또 조선총독부에서도 일하며 매년 3000원씩 수당을 받았다. 그 후 1937년 4월 도쿄 중의원 선거에 나가는 박춘금과 이선홍을 후원하기 위해 당선후원회를 조직하고 회장을 맡았다.
1939년 당뇨로 사망했다. 향년 85세. 작위는 손자 이병옥이 이어받았다.
|
노년의 모습 |
이윤용 남작은 구정시대에 궁내부대신, 농상공부대신, 군부대신 등의 현관을 역임하신 분으로 일한병합 당시는 공중 고문으로 영제 이완용 후작과 함께 당시 한정 내외에서 일한병합에 관하여 중외 소란했으나, 씨는 그 사이에 있어서 시대의 대세와 내외의 객관 정세를 통찰하여 황실과 각실 간의 절충을 맡아 노력한 바 크며, 합병의 대업은 평화롭게 완성되었다. 그 공로에 의하여 남작이 수여되고 자래로 조선귀족의 중견으로 그 신망이 두터워져 소화3년(1928)에 중추원 고문에 취임하여, 탁월한 식견으로 항상 총독의 시정을 익찬하며 85세의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자진하여 내선일체 사상 선도에 노력을 다했는데, 이같이 급작히 서거한 것은 조선 통치상 실로 애석하기 짝이 없는 일이다. |
3. 가족 관계
4. 둘러보기
고종의 경복궁 탈출 계획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000> 배경 | <colbgcolor=#FFF,#1f2023> 갑오사변 · 을미사변 · 삼국간섭 · 을미개혁 | |
전개 | 1차 시도 ( 춘생문 사건) · 2차 시도 ( 아관파천) | ||
관련 인물 | 정동파 | 이범진 · 이완용 · 이재순 · 이윤용 · 안경수 · 윤웅렬 · 윤치호 · 이하영 · 민상호 · 김홍륙 · 임최수 · 이도철 · 남만리 · 이규홍 | |
친일 내각 | 김홍집 · 유길준 · 어윤중 · 김윤식 · 조희연 · 장석주 · 정병하 · 서광범 · 김종한 | ||
기타 인물 |
카를 베베르 ·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 |
||
관련 장소 | 아라사공사관 (주한러시아공사관) · 미국공사관 (주한미국공사관) · 경복궁 | ||
기타 | 한러관계 · 조선 · 대한제국 · 러시아 제국 · 미국 · 일본 제국 · 독립협회 | }}}}}}}}} |
온건개화파 溫乾開化派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개화당 | ||||||
고종 ( ~ 1897) |
|||||||
김가진 | 김기수 | 김윤식 | 김홍집 | 민영익 | |||
박정양 | 신기선 | 조희연 | 어윤중 | 장석주 | |||
대한제국 (1897 ~ 1910) |
|||||||
<rowcolor=#000> 친일파 ( 개화당) | 친청파 | ||||||
김종한 | 김춘희 | 안경수* | 김성근 | 김윤식 | |||
유길준* | 윤웅렬* | 이두황 | 민영익 | 박제순 | |||
이지용 | 이진호 | 장석주 | 성기운 | 신기선 | |||
조민희 | 조중응 | 조희연 | 심순택 | 이용직 | |||
* 급진개화파로 보는 시각도 있다. | |||||||
조선의 붕당 (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친청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1]
우봉이씨세보 기록. 생몰년을 각각 1855년~1938년으로 보기도 한다.
[2]
본래 이윤용은 이호준의 장남이자 생물학적으로도 친자였으나, 서자 출신이였다. 그래서 이호준은 먼 친척 이석준한테 이완용을 적자로 입양한다.
[3]
또 다른 케이스로
김윤식은 은신해 있다가 붙잡혀 유배된다.
김종한은 자리를 지킨다.
[4]
뒷줄 오른쪽 사람이 이윤용이다. 앞줄 중앙의 여성은
이완용의 부인, 뒷줄 왼쪽은
조중응이다.
[5]
당시의 실력자인 인물. 실력자 조성하를 사위로 두고 있다.
[6]
이윤용과 마찬가지로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