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중추원 의장·부의장
大韓帝國中樞院議長·副議長 |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초대 김병시 |
제2대 정범조 |
제3대 김홍집 |
제4대 어윤중 |
제5대 박정양 |
|||
제6대 정범조 |
제7대 민영휘 |
제8대 이호준 |
제9대 박정양 |
제10대 한규설 |
|||
제11대 이종건 |
제12대 이하영 |
제13대 조병식 |
제14대 정낙용 |
제15대 임상준 |
|||
제16대 신기선 |
제17대 김가진 |
제18대 조병세 |
권한대행 김가진 |
제19대 민영소 |
|||
제20대 박정양 |
제21대 심상훈 |
제22대 민종묵 |
제23대 이근택 |
제24대 한규설 |
|||
제25대 서정순 |
제26대 김윤식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좌의장
|
우의장
|
|||
조병세 | 정범조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부의장
|
||||
초대 김영수 |
제2대 어윤중 |
제3대 신기선 |
제4대 윤치호 |
제5대 이하영 |
|||
제6대 윤치호 |
제7대 홍종억 |
제8대 서정순 |
제9대 김가진 |
제10대 이유인 |
|||
제11대 이용태 |
제12대 이도재 |
제13대 이종건 |
제14대 이근호 |
제15대 이건하 |
|||
제16대 김가진 |
제17대 이근호 |
제18대 이종건 |
제19대 이근상 |
제20대 이재곤 |
|||
제21대 성기운 |
제22대 신기선 |
제23대 이근상 |
}}}}}}}}}}}} |
이근택 관련 틀 | ||||||||||||||||||||||||||||||||||||||||||||||||||||||||||||||||||||||||||||||||||||||||||||||||||||||||||||||||||||||||||||||||||||||||||||||||||||||||||||||||||||||||||||||||||||||||||||||||||||||||||||||||||||||||||||||||||||||||||||||||||||||||||||||||||||||||||||||||||||||||||||||||||||||||||||||||||||||||||||||||||||||||||||||||||||||||||||||||||||||||||||||||||||||||||||||||||||||||||||||||||||||||||||||||||||||||||||||||||||||||||||||||||||||||||||||||||||||||||||||||||||||||||||||||||||||||||||||||||||||||||||||||||||||||||||||||||||||||||||||||||||||||||||||||||||||||||||||||||||||||||||||||||||||||||||||||||||||||||||||||||||||||||||||||||||||||||||||||||||||||||||||||||||||||||||||||||||||||||||||||||||||||||||||||||||||||||||||||||||||||||||||||||||||||||||||||||||||||||||||||||||||||||||||||||||||||||||||||||||||||||||||||||||
|
조선귀족 자작 | |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 | |
<colbgcolor=#0B0B3B><colcolor=#ffde09> | |
[출처] | |
초명 | 근용 (根湧) |
출생 |
1865년 (고종 2년)
9월 30일 ( 음력 8월 11일) |
충청북도 충주 | |
사망 | 1919년 12월 17일 (향년 54세) |
직업 | 군인, 정치가 |
종교 | 유교 ( 성리학) |
본관 | 전주 이씨 경명군파[2] |
작위 | 조선귀족 자작 |
주요 경력 |
병조참판 좌부승지 군부대신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 조선귀족 자작 |
가족 |
아버지 이민승(李敏承) 형 이근호 동생 이근상 동생 이근홍(李根洪) 동생 이근목(李根沐) 이름 모르는 아내 아들 이창훈(李昌薰) |
비고 |
을사오적 친일파 708인 명단 등재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등재 친일인명사전 등재 |
|
[clearfix]
1. 개요
조선과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정치가. 을사오적 출신의 친일반민족행위자, 매국노이다.2. 생애
1865년 충청북도 충주에서 성종의 9남 경명군의 12대손인 어영청파총(御營廳把摠) 이민승(李敏承)의 아들로 태어났다. 초명은 '이근용(李根湧)'이며 1901년을 전후하여 '이근택(李根澤)'으로 개명하였다. 무신 집안[3]이었지만 출사의 계기는 1882년 임오군란 때 충주로 피신한 명성황후 민씨에게 싱싱한 생선을 진상함으로써 눈에 들어 발탁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명성황후 민씨가 환궁하면서 벼슬길에 들어섰다. 1884년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입문하였고 병조참판 등을 역임한 뒤 1897년 대한제국 수립 당시 친위 연대 제3대대장으로 정부 전복을 꾀하던 도중 발각되어 제주도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났다. 1898년 한성판윤, 의정부 찬정 등을 거쳐 1905년 법부대신(지금의 법무부 장관)과 군부대신(지금의 국방부 장관)을 역임하였는데 이완용이 주도한 을사조약 체결에서 적극적으로 지지 의사를 밝힘으로서 을사오적이 되었다. 때문에 조선 민중들과 의사의 표적이 되어서 습격을 받거나 위협을 받았지만 살아남았고 이후로는 일본군을 호위 대동하여 출퇴근을 하였다. 1910년 경술국치 때 조선총독부로부터 훈1등 자작 작위를 받았으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이 되었고 1919년 사망했다.3. 기타
-
황현의 <
매천야록>에 따르면
한규설[4]의 딸이 이근택의 아들에게
시집을 가서
사돈 관계였다고 한다. 그래서 "간신히 목숨을 건졌다"며 자랑스러워하는 이근택에게 한규설의 딸을 따라온 교전비(여종)가
부엌에서
칼을 들고 나와 꾸짖기를 아래와 같이 말하고 옛 주인 한규설의
집으로 돌아왔다고 한다.[5]
"네가 대신까지 되었으니 나라의 은혜가 얼마나 큰데, 나라가 위태로운 판국에 죽지도 못하고 도리어 내가 다행히 살아났다고 하느냐? 너는 참으로 개 돼지보다도 못하다. 내 비록 천한 종이지만 어찌 개, 돼지의 종이 되고 싶겠느냐? 내가 힘이 약해서 너를 반 토막으로 참하지 못하는 것이 한스럽다." -
의외의 사실이지만 원래 이근택은 친러파로 분류되는 인물이었다.
이용익과 함께
고종의 군비 증강
정책을 이끌던 인물이었지만 이근택은
해군 양성을 주장했기에
육군 양성을 주장한 이용익과는 서로
암살자까지 보낼 정도로 사이가 나빴다고 한다.
웃긴 건 둘 다 민비를 도왔다가 출세한 거라는 것 - 이근택의 아들 이창훈(1890~1947)는 아버지의 사후 작위를 습작받았고 그 아들인 이원구(1912~1972)는 1949년 반민특위 조사 때 기준으로 충청남도 공주 공주중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했으며, 반민특위의 조사를 받았으나 아버지가 광복 후에 사망하여 습작을 받지 않아 무혐의로 풀려났고, 1949년부터 1971년까지 공주사범대학 교수를 역임하였다. 그리고 이원구의 아들, 즉 이근택의 증손자인 이상우는 1963년부터 공주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1995~1998년 공주대학교 총장을 역임하다가 1998년 사망했고, # 그 동생 이춘우는 공주대 물리학과 명예교수를 역임하고 있다고 한다. #, #
4. 둘러보기
온건개화파 溫乾開化派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개화당 | ||||||
고종 ( ~ 1897) |
|||||||
김가진 | 김기수 | 김윤식 | 김홍집 | 민영익 | |||
박정양 | 신기선 | 조희연 | 어윤중 | 장석주 | |||
대한제국 (1897 ~ 1910) |
|||||||
<rowcolor=#000> 친일파 ( 개화당) | 친청파 | ||||||
김종한 | 김춘희 | 안경수* | 김성근 | 김윤식 | |||
유길준* | 윤웅렬* | 이두황 | 민영익 | 박제순 | |||
이지용 | 이진호 | 장석주 | 성기운 | 신기선 | |||
조민희 | 조중응 | 조희연 | 심순택 | 이용직 | |||
* 급진개화파로 보는 시각도 있다. | |||||||
조선의 붕당 (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친청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