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9 20:53:02

개국공신


1. 개요



나라를 건국하는 데에 큰 공헌을 세운 신하.

2. 목록

2.1. 한국

2.1.1. 고구려

2.1.2. 백제

  • 국조: 온조왕
  • 십제공신[1]
    • 전섭(全聶): 정선 전씨의 시조
    • 마려(馬藜): 마씨의 시조
    • 오간(烏干)
    • 을음(乙音)
    • 해루(解婁)
    • 흘간(屹干)
    • 곽충(郭忠)
    • 한세기(韓世奇)
    • 범창(笵昌)
    • 조성(趙成): 직산 조씨의 시조

2.1.3. 신라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사로 6촌 신라 6부 성씨 시조
알천 양산촌 급량부 이씨 알평
돌산 고허촌 사량부 최씨 소벌도리
취산 진지촌 본피부 정씨 지백호
무산 대수촌 점량부 손씨 구례마
금산 가리촌 한기부 배씨 지타
명활산 고야촌 습비부 설씨 호진
삼국사기 기준. # 삼국유사에서는 돌산 고허촌(사량부) 소벌도리를 정씨로 취산 진지촌(본피부) 지백호를 최씨로 기록했다. 또한 6촌의 순서도 셋째가 무산 대수촌(점량부), 넷째가 취산 진지촌(본피부)이라고 기록했다. # }}}}}}}}}



  • 개국공신 20대가
    위서 논란이 있는 신라삼성연원보(新羅三姓淵源譜)[2]에 기록되어 있는 내용이므로 참고만 하길 바람. '좌명대신 6부 대인' 아래에 '신라 개국공신 20대가'를 기록하고 있음.
    • 백선장(白善長): 태평대위(太平大位). 변한이 내항[3]하게 한 공.
    • 조공흠(趙公欽): 종정사(從正司). 변한이 내항하게 한 공.
    • 고영시(高靈是): 평중랑(平中郞). 변한이 내항하게 한 공.
    • 조익관(趙益寬): 부사도(府司徒). 옥저가 말을 바치게 한 공.
    • 이두창(李頭昌)[4]: 우장군(右將軍). 옥저가 말을 바치게 한 공.
    • 양지백(梁之白): 전력부총(展力副摠). 옥저가 말을 바치게 한 공.
    • 임의신(任儀信): 부정훈(部政勳). 옥저가 말을 바치게 한 공.
    • 조대정(趙大正): 우장사(右將司). 옥저가 말을 바치게 한 공.
    • 지충강(池忠江): 평장사(平章事). 옥저가 말을 바치게 한 공.
    • 추자평(秋子平): 대사도(大司徒). 옥저가 말을 바치게 한 공.
    • 김관령(金寬齡): 대사도(大司徒). 옥저가 말을 바치게 한 공.
    • 임동방(林彤芳): 국자대의(國子大宜). 왜구가 곧 돌아가게 한 공.
    • 정선엽(丁善燁): 상장군(上將軍). 왜구가 곧 돌아가게 한 공.
    • 강이태(康二太): 대사도(大司徒). 왜구가 곧 돌아가게 한 공.
    • 정지석(鄭之碩): 교위대시(校尉大寺). 고주몽이 화친을 청하게 한 공.
    • 신초시(申初是): 전력장군(展力將軍). 고주몽이 화친을 청하게 한 공.
    • 홍식(洪息): 영아부(令衙副). 고주몽이 화친을 청하게 한 공.
    • 한영구(韓寧龜): 어복대사(御僕大司). 고주몽이 화친을 청하게 한 공.
    • 양선태(梁善泰): 정남장군(征南將軍). 고주몽이 화친을 청하게 한 공.
    • 이형익(李衡翊): 전력도정(展力都政). 고주몽이 화친을 청하게 한 공.

2.1.4. 고려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 삼한벽상공신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개국공신
1등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2등
견권 능식 권신 염상
김락 연주 마난
3등
2천여 명(사서에 전하지 않음)
삼한공신
유금필 · 박술희 · 최지몽 · 왕식렴 · 박양유 · 김견술 · 서필
이상 배향공신
강공훤 · 강궁진 · 권행 · 금용식 · 김긍렴 · 김선평 · 김유렴 · 김인윤 · 김일긍 · 나총례 · 류차달 · 박지윤 · 소격달 · 왕경 · 염형명 · 원극유 · 윤신달 · 이금서 · 이능일 · 장정필 · 최정헌 · 한란 · 허선명
그 외 다수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공신/고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5. 조선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개국공신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392년 8월 20일 태조에 의해 책록
좌명개국공신 (1등)
김사형 남은 남재 배극렴
오몽을 이제 이지란 이화
장사길 정도전 정총 정탁
정희계 조박 조인옥 조준
김인찬 이방간 이방원 이방의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협찬개국공신 (2등)
정지 유창 윤호 이민도
황희석 정용수 조기 조반
조영규 조온 홍길민 조견
박포 장담
익대개국공신 (3등)
고여 김균 김로 손흥종
심효생 안경공 오사충 유원정
이근 이백유 이부 이서
이직 장지화 함부림 황거정
민여익 임언충 장사정 조영무
한상경 한충 }}}}}}}}}

2.2. 중국

2.2.1. 한나라

2.2.1.1. 전한
[ruby(한삼걸, ruby=漢三傑)]
{{{#!wiki style="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margin: 0 -10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파일:external/www.ueren.com/8e7837881cae455aa22043fc96c36b35.jpg 파일:external/a0.att.hudong.com/19300001263502131892409675852_950.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94px-H%C3%A1n_X%C3%ACn.jpg
차후 소하 (酇侯 蕭何) 유후 장량 (留侯 張良) 회음후 한신 (淮陰侯 韓信)
}}}}}}}}}}}}}}} ||

2.2.1.2. 후한
운대 28장
{{{#!wiki style="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margin: 0 -10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고밀후

등우
광평후

오한
교동후

가복
호치후

경엄
옹노후

구순
무양후

잠팽
양가후

풍이
격후

주우
영양후

채준
약양후

경단
안평후

갑연
안성후

요기
동광후

경순
낭릉후

장궁
양허후

마무
신후

유륭
전초후

마성
부성후

왕량
축아후

진준
참거향후

두무
곤양후

부준
합비후

견담
회양후

왕패
아릉후

임광
중수후

이충
괴리후

만수
영수후

비동
창성후

유식
산상후

왕상
고시후

이통
안풍후

두융
선덕후

탁무
}}}}}}}}}}}}}}}
2.2.1.3. 촉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008000 20%, # 008000 80%, #008000); color: #FFc224;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촉서 관장마황조전
관우 장비 마초 황충 조운
}}}}}}}}} ||

2.2.2. [5]

양(梁)의 개국공신(開國功臣)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운두충혜개국후(雲杜忠惠開國侯) 유경원(柳慶遠) 작당강개국후(作唐康開國侯) 소영달(蕭穎達) 영도경개국후(寧都景開國侯) 하후상(夏侯詳) 영도열개국후(寧都烈開國侯) 양공칙(楊公則)
송자충개국후(松滋忠開國侯) 등원기(鄧元起) 도양민개국후(洮陽愍開國侯) 장홍책(張弘策) 동흥충개국후(東興忠開國侯) 정소숙(鄭紹叔) 평고충경개국후(平固忠敬開國侯) 여승진(呂僧珍)
곡강목개국후(曲江穆開國侯) 유침(柳忱) 소성문개국후(霄城文開國侯) 범운(范雲) 건창은개국후(建昌隱開國侯) 심약(沈約) 강안현개국후(江安縣開國侯) 장직(張稷)
의양위개국후(宜陽威開國侯) 왕진국(王珍國) 안창장개국후(安昌壯開國侯) 장제(張齊) 석양충개국후(石陽忠開國侯) 장혜소(張惠紹) 영도열개국후(營道烈開國侯) 창의지(昌義之) }}}}}}}}}

2.2.3. 몽골 제국

사준(四駿)
무칼리 보로클 보오르추 티라운
사구(四狗)
젤메 수부타이 제베 쿠빌라이

2.2.4. 명나라

파일:400px-Left-facing_dragon_pattern_on_Wanli_Emperor's_imperial_robe.svg.png 명나라 개국 3공작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신(信)국공
서달
악(鄂)국공
상우춘
선(宣)국공
이선장
}}}}}}}}}

2.3. 기타

3. 가공의 개국공신

4. 여담

어떠한 집단이나 행사, 방송 등 세우거나 키우는데 크게 공헌한 사람을 개국공신이라 칭하기도 한다. 보통의 경우 원래 뜻처럼 기업을 세우는데 기여하거나, 크게 키우는데 일조하면 개국공신으로 인정해준다. 대표적으로 NC 다이노스의 투수 였던 김진성이 NC에서 방출 후 LG로 이적하자, "'NC의 개국공신'에서 LG의 핵심불펜으로" 식의 헤드라인이 적힌게 그 예이다. 그리고 다 망해가던 기업을 살린 경우에도 개국공신이라 부른다. 그리고 시청률도 조금밖에 안나오던 TV 프로그램을 연기력 등으로 소화해내어 시청률을 올리는데에 기여한 사람이나, 방송국 개국 시절에 방영한 인기 있는 프로그램을 개국공신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개국공신이라고 불린다.

토사구팽의 희생양이 되기 쉽다. 초한지 팽월 한신이 대표적인 예이다. 개국군주도 물론 능력과 야심 모두 대단하지만 그 곁에서 도운 개국공신들 역시도 개국군주 못지 않게 능력과 야심이 대단하며 개국군주가 찬탈이나 정복을 통해 나라를 세웠다면 개국공신들 역시도 못하리란 법이 없어서 일단 나라를 세우면 개국군주와 개국공신은 적이 되기 쉽다. 개국군주는 그래도 자신의 권위나 의리로 공신들을 통제하고 숙청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신 그 뒤를 이은 아들은 아버지만한 권위와 의리로 통제할 수 없기에 공신들을 숙청하는 일도 있었다.

5. 관련 문서


[1] 백제의 옛 이름인 십제는 개국공신이 10명이었던 것에서 비롯한다. 이들 중에는 정식으로 사서에 기록되지 않은 인물도 일부 있다. [2] 1934년 5월 30일에 발행. 저작발행자는 김경대(金景大), 발행소는 신라박석김연원보종약원(新羅朴石金淵源譜宗約院). 1642년 토산인(兎山人) 이승학(李承學)이 기술한 서문의 내용을 보면, 초명이 김경대(金景大)인 경주 김씨 김종거(金鍾鐻, 1580~?)가 1632년부터 신라삼성연원보를 기록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10년에 걸쳐 전국을 순회하며 자료를 수집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신라삼성연원보는 1934년에 1642년의 목판본을 그대로 금속 활자 인쇄한 것으로 추정된다. # [3] 내항(來降): 와서 항복함. [4] 일설에 우봉 이씨의 시조 이공정(李公靖)의 먼 선조라고 전한다. [5] 자치통감에서 명시한 16명의 공신들이다. [6] dörben külü'üd, dörben noγas. 칭기즈 칸을 도와 몽골제국을 건국한 8명의 개국공신 장수를 4마리의 준마(전략가형)와 4마리의 충견(전투형)에 비유함. [7] 아이러니하게도 정치적 문제를 통해 제거하는 일도 자주 당하기도 하는 계층이기도 하기 때문.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