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20:53:35

공신/고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공신
1. 개요2.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3. 삼한후벽상공신(三韓後壁上功臣)4. 무오공신(戊午功臣)5. 수종공신(隨從功臣)
5.1. 충혜왕(1342년)5.2. 연저수종공신(燕邸隨從功臣)
6. 중흥공신(中興功臣)7. 회군공신(回軍功臣)8. 공신호

1. 개요

고려에서 공신 칭호를 수여받은 인물의 목록이다.

2.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 삼한벽상공신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개국공신
1등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2등
견권 능식 권신 염상
김락 연주 마난
3등
2천여 명(사서에 전하지 않음)
삼한공신
유금필 · 박술희 · 최지몽 · 왕식렴 · 박양유 · 김견술 · 서필
이상 배향공신
강공훤 · 강궁진 · 권행 · 금용식 · 김긍렴 · 김선평 · 김유렴 · 김인윤 · 김일긍 · 나총례 · 류차달 · 박지윤 · 소격달 · 왕경 · 염형명 · 원극유 · 윤신달 · 이금서 · 이능일 · 장정필 · 최정헌 · 한란 · 허선명
그 외 다수
}}}}}}}}}

삼한공신(三韓功臣) 고려 삼한일통에 공을 세운 공신을 일컫는다. 940년 신흥사를 중수할 때 이곳에 공신당(功臣堂)을 세우고 건물 내부 동·서쪽 벽에 삼한공신의 모습을 그렸기 때문에 삼한벽상공신이라고도 한다. 한편 삼한벽상공신이 삼한공신 중에서도 벽에 그려진 공신들을 따로 지칭하는 상위 등급이라고 보는 해석도 있는데, 이에 따르면 삼한공신들 중에서 가장 큰 공을 세운 사람들을 지칭한다. 삼한공신은 기록에 대체로 삼한공신, 삼한벽상공신, 개국공(開國公) 등의 칭호로 나타난다.

이들은 숫자가 많고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내용이 없기 때문에 금석문 등의 자료를 통해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수밖에 없다. 여기에 여러 문제가 겹쳐서 세간에 전해지는 삼한공신 명단이나 특정 가문과 삼한공신과의 연관성은 조선 시대까지만 와도 보증되지 않는다. 삼한공신이 되어 중앙으로 진출한 호족 중 다수가 광종의 공포정치로 인해 경우에 따라 후대에 천역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나올 정도로 가문의 부침을 겪은 데다, 여요전쟁으로 공문서 등 각종 사료가 소실된 것의 영향까지 겹친 탓인지 문종 연간에 이르러서는 증명서를 분실한 경우라도 어떻게든 삼한공신 후손이라는 것만 증명할 수 있으면 음서 혜택을 볼 수 있게 했기 때문이다. 여요전쟁 이전의 왕실 및 중앙 기록을 복원한 7대 실록조차 극도로 부실한 내용만 남았으리라고 추정되는 마당에 기존의 상훈 체계를 복원하는 과정이 순탄했으리라고 보기는 어렵다.

고려에서는 실질적으로 삼한공신이라는 용어가 개국공신이라는 용어를 대신했다. 《고려사》는 918년 왕건은 쿠데타를 일으켜 고려를 건국한 후에 쿠데타를 통한 건국 과정을 부담스러워하면서도 부득이하게 쿠데타 구성원을 포상했다고 말했다는 내용을 싣고 있다. 단순히 그 이유 때문인지, 아니면 삼한일통 프로파간다와 통일 과정에서 새로 포섭된 호족들에게 중점을 두기 위해서인지는 알 수 없으나, 경종 때 개국공신에게 공음전을 하사하였다는 기사를 제외하면 원 간섭기 이전의 고려 기록에서 개국공신이라는 개념 자체가 나타나지 않는다. 쿠데타 당시의 개국공신 2등 중 그나마 통일 전쟁 과정에서의 행적이 풍부한 김락(金樂)은 충렬왕 때의 기록에는 태조통합공신(太祖統合功臣)으로 나온다. 쿠데타로 고려를 건국한 후 당시 포상을 받은 무리들을 개국공신이라고 부르지만 사실 이를 정할 때의 기록도 정확히는 개국이나 공신이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않고 단지 포상의 등급만 나눠놓고 있다. 애초에 3등이 2천여 명이나 되어 명단조차 알 수 없던 것을 보면 실제로 의미있는 공을 세웠다기보다 단순히 쿠데타에 참여한 군인 전원이나 기존 행정 및 치안 조직이 포섭 대상이 된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대신 왕건에게 배향된 6공신( 배현경, 홍유, 복지겸, 신숭겸, 유금필, 최응)과 삼한공신이 한 묶음으로 국가 보훈 차원에서 사실상 개국공신 대우를 받았다.[1] 고종 때 실시된 보훈 행정에서는 구체적으로 6공신 및 삼한공신이 최고 등급, 삼한후벽상공신이 그 다음, 그 외 배향공신이 또 그 다음 등급의 대우로 나타난다.

3. 삼한후벽상공신(三韓後壁上功臣)

삼한벽상공신은 고려 시대 공신 등급 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현종 이후에 이에 버금가는 큰 공을 세운 인물에게는 삼한후벽상공신(三韓後壁上功臣)이라고 해서 맞먹는 등급으로 해주었다.

참고로 김방경 강감찬이 삼한후벽상공신으로 잘못 언급되기도 하지만 사실과 다르다.
  • 김방경은 벽상삼한삼중대광이라는 정1품 산계가 추증된 것이다.[4]
  • 강감찬은 부친인 강궁진(姜弓珍)이 삼한벽상공신을 받은 것이고, 본인은 현종의 배향공신이 되었다.

4. 무오공신(戊午功臣)

고종 45년(1258) 무오정변으로 최씨 정권을 무너트리는데 공을 세운 공신.

참고로 김준 일가 및 이공주 등은 원래 최씨 가문의 가노(家奴)였기에 본관이 없다.[5]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 무오공신
봉호
시호
성명
본관
생년/몰년
비고
위사공신(衛社功臣)
해양후
海陽侯
김인준
金仁俊
× ?
1268
이후 김준(金俊)으로 개명.
박희실
朴希實
문의 ?
?
이연소
李延紹
? ?
?
이후 이인환(李仁桓)으로 개명.
김승준
金承俊
× ?
1268
이후 김충(金冲)으로 개명.
박송비
朴松庇
덕원 ?
1278
문정공
文正公
류경
柳璥
문화 1211
1289
김대재
金大材
× ?
1268
김용재
金用材
× ?
1268
김식재
金植材
× ?
?
김석재(金碩材)로도 표기됨.
차송우
車松祐
연안 ?
1268
장열공
莊烈公
임연
林衍
진주 ?
1270
이공주
李公柱
× ?
?
김홍취
金洪就
강릉 ?
?
동력보좌공신(同力輔佐功臣)
백영정
白永貞
수원 ?
?
박천식
朴天植
? ?
?
이제
李梯
? ?
1268
이제(李禔)로도 표기됨.
서정
徐挺
? ?
?
조문주
趙文柱
? ?
1269
박성대
朴成大
덕원 ?
?
신윤화
辛允和
? ?
?
오수산
吳壽山
? ?
?
서균한
徐均漢
? ?
?
송송례
宋松禮
여산 1207
1289
김정려
金貞呂
? ?
?
여우창
呂遇昌
함양 ?
?
유존혁
劉存奕
? ?
1273
강국승
康國升
? ?
?
전취천
田取千
? ?
?

5. 수종공신(隨從功臣)

원 간섭기에 고려의 왕 또는 세자가 원나라에 갔을 때 수행한 신하들을 공신으로 책록했는데, 이를 수종공신이라고 한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의 설명

원종 때부터 책록을 시작하여 공민왕 때까지 이어졌다.

5.1. 충혜왕(1342년)

조적(曺頔)의 난을 평정한 뒤, 충혜왕이 원나라에 소환당하자 이때 왕을 수행하여 보필한 신하들이 책록되었다.

1등 공신
  • 윤석(尹碩)
  • 채하중(蔡河中)
  • 김석견(金石堅)
  • 이능간(李凌幹)
  • 홍빈(洪彬)
  • 김영돈(金永旽)
  • 임자송(任子松)
  • 김인연(金仁沇)
  • 김륜(金倫)
  • 이제현(李齊賢)
  • 이조년(李兆年)
  • 한종유(韓宗愈)
  • 김영후(金永煦)
  • 이몽가(李蒙哥)
  • 이운(李雲)
  • 윤신계(尹莘係)
  • 이엄(李儼)
  • 윤환(尹桓)
  • 박청(朴靑)
  • 강윤충(康允忠)
  • 안천길(安千吉)
  • 노영서(盧英瑞)
  • 한의신(韓義臣)
  • 배전(裵佺)
  • 최유(崔濡)
  • 황석기(黃石奇)
  • 손수경(孫守卿)
  • 윤원우(尹元祐)
  • 김첨수(金添壽)
  • 김선장(金善莊)
  • 남궁 신(南宮信)
  • 임성(林成)

2등 공신
  • 김승택(金承澤)
  • 박인수(朴仁壽)
  • 안자유(安子由)
  • 김경(金鏡)
  • 전윤장(全允藏)
  • 손원(孫遠)
  • 이광원(李光遠)
  • 김장(金莊)
  • 진교화(陳敎化)
  • 승신(承信)
  • 이헌(李軒)
  • 손습(孫襲)
  • 왕석(王碩)
  • 이충(李沖)
  • 이원룡(李元龍)
  • 이광계(李光桂)
  • 전경(全卿)
  • 홍매노(洪買奴)

5.2. 연저수종공신(燕邸隨從功臣)

1352(공민왕 원년), 공민왕이 왕자 시절 원나라에 있을 때 시종한 공신.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 연저수종공신
봉호
시호
성명
본관
생년/몰년
비고
일등상공신(一等上功臣)
조일신
趙日新
평양 ?
1352
금녕부원군
金寧府院君
충간공
忠簡公
김보
金普
김해 ?
?
평성부원군
平城府院君
김일봉
金逸逢
? ?
1365
서령군
瑞寧君
문희공
文僖公
류숙
柳淑
서산 1316
1368
정환
鄭桓
? ?
?
영원부원군
寧原府院君
충희공
忠禧公
신소봉
申小鳳
?
환관
?
?
일등공신(一等功臣)
평해부원군
平海府院君
손기
孫琦
? ?
?
이몽가
李蒙哥
? ?
?
하성부원군
夏城府院君
양평공
襄平公
조익청
曺益淸
창녕 ?
1352
안성군
安城君
김용
金鏞
안성 ?
1363

6. 중흥공신(中興功臣)

폐가입진의 논리로 창왕의 폐위와 공양왕의 옹립에 공을 세운 공신으로, 이른바 흥국사 9공신이라 불린다.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 중흥공신
1389년 12월 18일 공양왕 책록
봉호
성명
본관
생년/몰년
비고
화령군개국충의백
和寧郡開國忠義伯
이성계
李成桂
전주 1335
1408
청성군충의백
靑城郡忠義伯
심덕부
沈德符
청송 1328
1401
청성부원군(靑城府院君)
익양군충의백
益陽郡忠義伯
정몽주
鄭夢周
연일 1337
1392
영원군(永原君)
익양군충의군(益陽郡忠義君)으로 봉군→1390년 승격
조선군충의군
朝鮮郡忠義君
조준
趙浚
평양 1346
1405
○○○충의군
○○○忠義君
지용기
池湧奇
충주 ?
1392
충원부원군(忠原府院君)?
봉호 미상(삭훈)
○○○충의군
○○○忠義君
설장수
偰長壽
×[6] 1341
1399
완성군(完城君)
봉호 미상(삭훈), 조선 초기에 연산부원군(燕山府院君)으로 봉군
○○○충의군
○○○忠義君
박위
朴葳
밀양 ?
1398
봉호 미상(삭훈 후 복권)
창성군충의군
昌城郡忠義君
성석린
成石璘
창녕 1338
1423
봉화군충의군
奉化郡忠義君
정도전
鄭道傳
봉화 ?
1398
봉화현충의군(奉化縣忠義君) 봉작 후 개정
1392년 삭훈 후 복권

7. 회군공신(回軍功臣)

1388년 위화도 회군 및 개성 시가전에 가담한 인물들로, 당초 공신으로 선정된 것은 45명이고 추가로 변안열 등 고인 7명과 윤소종· 남재에 대한 포상이 검토되었다. 옥사에 연루된 조민수·왕안덕·지용기·최공철·변안열·김백흥 등 6명이 삭훈되면서, 최종적으론 48명에게 공신전이 수여되었다. 회군공신은 조선 때에도 재책록되었기에 회군공신전을 이어갈 수 있었는데, 이 중에서 3명이 제외되었다. 《고려사》에는 박총·안경·김상·윤소종·남재 등이 추록 명단에 거론되고 있으나, 이들은 조선 때 회군공신으로 추록된 점으로 보아 고려 당시에도 논의는 있었으나 실제 추록에는 이르지 못했던 것으로 보이며, 『조선왕조실록』에 보이는 남성리·이지·장자충·최윤수·황순상 등이 실제 추록된 인물로 판단된다.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 회군공신
1390년 4월 9일 공양왕 책록
봉호
성명
본관
생년/몰년
비고
1등 공신
화령군개국충의백
和寧郡開國忠義伯
이성계
李成桂
전주 1335
1408
창성부원군
昌城府院君
조민수
曺敏修
창녕 ?
1390
삭훈
2등 공신
청성군충의백
靑城郡忠義伯
심덕부
沈德符
청송 1328
1401
청성부원군(靑城府院君)
강원군
江原君
왕안덕
王安德
?
1392
삭훈
○○○충의군
○○○忠義君
지용기
池湧奇
충주 ?
1392
충원부원군(忠原府院君)?
삭훈
배극렴
裵克廉
성산 1325
1392
윤호
尹虎
파평 ?
1393
정지
鄭地
나주 1347
1391
삭훈 후 복권
유만수
柳蔓殊
문화 ?
1398
○○○충의군
○○○忠義君
박위
朴葳
밀양 ?
1398
삭훈 후 복권
최윤지
崔允沚
해주 1331
1403
황보림
皇甫琳
영천 1333
1394
이무
李茂
단양 1355
1409
이빈
李彬
?
1410
용성군
龍城君
조인옥
趙仁沃
한양 1347
1396
남은
南誾
의령 1354
1398
봉복군
奉福君
신조
神照
?
승려
?
?
경보
慶補
청주 1314
1406
동천군
東川君
조희고
趙希古
?
?
변안열
邊安烈
원주 1334
1390
추록, 삭훈
용성군
龍城君
조인벽
趙仁璧
한양 ?
1393
추록
척산군
陟山君
이원계
李元桂
전주 1330
1388
추록
3등 공신
경의
慶儀
청주 ?
1395
이화
李和
전주 1348
1408
최단
崔鄲
경주 ?
?
최운해
崔雲海
통천 1347
1404
이두란
李豆蘭
청해 1331
1402
육려
陸麗
옥천 ?
?
이승원
李承源
?
?
윤사덕
尹思德
?
1394
구성로
具成老
?
?
박영충
朴永忠
죽산 ?
?
정요
鄭曜
초계 1331
1414
황희석
黃希碩
평해 ?
1394
유광우
兪光祐
?
?
김인찬
金仁贊
양근 ?
1392
장사길
張思吉
안동 ?
1418
최공철
崔公哲
?
1390
삭훈
왕빈
王賓
?
?
박가실
朴可實
?
1410
김천장
金天莊
?
?
정자의
鄭子義
?
?
이백
李伯
?
?
조온
趙溫
한양 1347
1417
정송
鄭松
?
?
이덕림
李德林
경주 ?
?
백영우
白英祐
?
?
장철
張哲
안동 ?
1399
남성리
南成理
?
1398
추록
이지
李至
?
1414
추록
장자충
張子忠
?
?
추록
최윤수
崔允壽
?
?
추록
황순상
黃順常
?
?
추록
김백흥
金伯興
?
1390
추록, 삭훈

8. 공신호

  • 왕식렴: 광국익찬공신(匡國翊贊功臣)
  • 강감찬: 추충협모안국공신(推忠協謀安國功臣)
  • 최충
    • 1050년: 추충찬도공신(推忠贊道功臣)
    • 1053년: 추충찬도협모동덕치리공신(推忠贊道恊謀同德治理功臣)
    • 1055년: 추충찬도좌리동덕홍문의유보정강제공신(推忠贊道佐理同德弘文懿儒保定康濟功臣)
  • 윤관: 추충좌리평융척지진국공신(推忠佐理平戎拓地鎭國功臣)
  • 이자겸
    • 1115년: 익성공신(翼聖功臣)
    • 1121년: 동덕추성좌리공신(同德推誠佐理功臣)
    • 1122년: 협모안사공신(協謀安社功臣)
    • 1124년: 양절익명공신(亮節翼命功臣)
  • 최우: 오대진국공신(鼇戴鎭國功臣)
  • 최항: 강민제세공신(康民濟世功臣)
  • 김방경
    • 1282년: 추충정난정원공신(推忠靖難定遠功臣)
    • 추증: 선충협모정난정국공신(宣忠協謨定難靖國功臣)
  • 송분(宋玢): 추성찬화안사공신(推誠贊化安社功臣)
  • 정인경(鄭仁卿): 추성정책안사공신(推誠定策安社功臣)
  • 최성지(崔誠之): 추성양절공신(推誠亮節功臣)
  • 이제현
    • 1320년: 단성익찬공신(端誠翊贊功臣)
    • 1325년: 추성양절공신(推誠亮節功臣)
    • 1342년: 수종공신(隨從功臣)
    • 1351년: 추성양절동덕협의찬화공신(推誠亮節同德協義贊化功臣)
    • 1352년: 순성직절동덕찬화공신(純誠直節同德贊化功臣)
  • 최안도: 협모동덕공신(協謀同德功臣)
  • 윤환(尹桓)
    • 1342년: 수성양절보리공신(輸誠亮節輔理功臣)
    • 1356년: 수충협의동덕익찬공신(輸忠恊義同德翊贊功臣)
    • 1371년: 추성병의동덕섭리익찬공신(推誠秉義同德變理翊贊功臣)
  • 조일신
    • 1352년: 수충분의동덕좌리공신(輸忠奮義同德佐理功臣)
    • 1352년: 수충분의동덕좌리찬화안사공신(輸忠奮義同德佐理贊化安社功臣)
  • 홍언박(洪彦博)
    • 1352년: 추성양절좌리공신(推誠亮節佐理功臣)
    • 1354년: 단성양절보리안사공신(端城亮節輔理安社功臣)
  • 최원(崔源): 진력협모공신(陳力協謀功臣)
  • 류숙(柳淑): 안사공신(安社功臣)
  • 이색
    • 1363년: 단성보리공신(端誠保理功臣)
    • 1371년: 문충보절찬화공신(文忠保節贊化功臣)
    • 1377년: 추충보절동덕찬화공신(推忠保節同德贊化功臣)
  • 이공수(李公遂): 추충수의동덕찬화공신(推忠守義同德贊化功臣)
  • 김선치(金先致)
    • 1365년: 추성익위공신(推誠翊衛功臣)
    • 1378년: 추충보절찬화공신(推忠保節贊化功臣)
  • 최원직(崔元直): 순충아량염검보세익찬공신(純忠雅亮廉儉輔世翊贊功臣) 추증
  • 이무방(李茂芳): 추충좌명공신(推忠佐命功臣)
  • 설장수
    • 1362년: 추성보리공신(推誠輔理功臣)
    • 1391년: 추성보리정난공신(推誠輔理定難功臣)
  • 최영
    • 1364년: 진충분의좌명공신(盡忠奮義佐命功臣)
    • 1378년: 진충분의좌명안사공신(盡忠奮義佐命安社功臣)
  • 이성계
    • 1364년: 단성양절익대공신(端誠亮節翊戴功臣)
    • 1385년: 정원단성양절익대공신(定遠端誠亮節翊戴功臣)
    • 1388년: 충근양절선위동덕안사공신(忠勤亮節善威同德安社功臣) 사양
    • 1389년: 분충정난광복섭리좌명공신(奮忠定難匡復燮理佐命功臣)
    • 1391년: 분충정난광복섭리좌명안사공신(奮忠定難匡復燮理佐命安社功臣)
  • 조민수
    • 1374년: 충근보리공신(忠勤輔理功臣)
    • 1388년: 충근양절선위동덕안사공신(忠勤亮節善威同德安社功臣)
  • 성석린
    • 1374년: 수성좌리공신(輸誠佐理功臣)
    • 1380년: 단성익조좌리공신(端誠翊祚佐理功臣)
    • 1391년: 단성보절찬화공신(端誠保節贊化功臣)
    • 1391년: 단성보절찬화정조공신(端誠保節贊化定祚功臣)
  • 조준
    • 1383년: 선위좌명공신(宣威佐命功臣)
    • 1388년: 추충여절좌명공신(推忠勵節佐命功臣)
    • 1389년: 충근여절좌명정조공신(忠勤勵節佐命定祚功臣)
    • 1391년: 충근여절좌명정조정난공신(忠勤勵節佐命定祚定難功臣)
  • 우현보: 순충익대좌리공신(純忠翊戴佐理功臣)
  • 심덕부
    • 1389년: 충근양절익찬좌명공신(忠勤亮節翊贊佐命功臣)
    • 1391년: 충근양절익찬좌명안사공신(忠勤亮節翊贊佐命安社功臣)
  • 정몽주
    • 1389년: 순충논도좌명공신(純忠論道佐命功臣)
    • 1391년: 순충논도좌명안사공신(純忠論道佐命安社功臣)
  • 정도전
    • 1389년: 추충논도좌명공신(推忠論道佐命功臣)


[1] 6공신 중 최응을 제외한 나머지는 삼한공신에도 포함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최응은 분명하지 않다. 어쨌든 태조 6공신은 실질적으로 큰 차이는 없더라도 대개 삼한공신 앞에 별도로 언급된다. [2] 신라 병부령 이금현(李金現)의 아들로, 고려에 귀부한 신라 경순왕과 고려 태조의 장녀 낙랑공주 왕씨 사이의 딸인 신란궁부인 김씨와 혼인하였다. 1375년 목은 이색(李穡)이 찬한 이제현 묘지명(文忠公李氏墓誌銘, 문충공이씨묘지명)에서 공민왕 때 문하시중을 역임한 문충공 익재 이제현(李齊賢)의 선계(先系)를 기록하면서 삼한공신(三韓功臣) 이금서(李金書)를 언급하였다. 그동안 문헌으로만 내용이 전했으나 2007년 12월 황해북도 장풍군 십탄리 서원동에 있는 이제현 무덤에서 청석(판암)을 다듬어 만든 세로 1.68m, 가로 63.2cm, 두께 20.5cm, 무게 600kg의 역대급 규모의 묘지석이 실제로 출토되었다. [3] 1,000명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4] 1308년에 충선왕이 개편한 산계로, 정1품 삼중대광(三重大匡)과 종1품 중대광(重大匡)의 상계(上階)로 그 앞에 '벽상삼한(壁上三韓)'을 덧붙였다. 바로 이듬해에 폐지되었으나, 공민왕이 1362년에 재도입했다. [5] 《고려사》 지리지에서 해양현은 김준의 외향(外鄕)이라고 한 것을 볼 때, 본관이 아니라 모계 혈통의 출신지로 보인다. [6] 아버지 설손 원나라 출신 색목인 관료였다가 고려에 귀화한 사람이었기에 원래 본관이 없었다. 설장수의 본관은 조선 때인 1369년에 계림(경주)으로 지정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9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9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