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6 17:04:32

애국행진곡

[[일본군/군가|
파일:일본 황실.svg
일본군가
軍歌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0313F><colcolor=#FFF> あ 嗚呼神風特別攻擊隊(아아 카미카제특별공격대) · あゝ紅の血は燃ゆる(아아 붉은 피는 불탄다) · 嗚呼特別攻擊隊(아아 특별공격대) · 愛國行進曲(애국행진곡) · 曉に祈る(새벽에 기도하다) · 朝日に匂う櫻花(아침해에 빛나는 벚꽃) · アッツ島血戰勇士顯彰國民歌(애투섬 혈전용사현창국민가) · アメリカ爆擊(아메리카 폭격) · 荒鷲の歌(성난 독수리의 노래) · 異國の丘(이국의 언덕) · 印度航空作戰の歌(인도항공작전의 노래) · 海の進軍(바다의 진군) · 海行かば(바다에 가면) · 英國東洋艦隊潰滅(영국동양함대궤멸) · 起てよ一億(일어나라 일억)
輝く海軍記念日(빛나는 해군기념일) · 海軍記念日の歌(해군기념일의 노래) · 海軍小唄(해군소패) · 加藤󠄁隼戰鬪隊󠄁(가토 하야부사 전투대) · 軍艦行進曲(군함행진곡) · 軍人勅諭の歌(군인칙유의 노래) · 軍隊小唄(군대소패) · 月月火水木金金(월월화수목금금) · 元寇(원구) · 興亞行進曲(흥아행진곡) · 皇軍の戰果輝く(황군의 전과 빛난다) · 皇軍萬歲(황군만세)
さくら進軍(사쿠라 진군) · 上海だより(상해소식) · 出征兵士を送る歌(출정병사를 보내는 노래) · 勝利の日まで(승리의 날까지) · 進軍の歌(진군의 노래) · 青年日本の歌(청년일본의 노래) · 戰友(전우) · 戰友の遺骨を抱いて(전우의 유골을 안고) · 空の神兵(하늘의 신병)
大航空の歌(대항공의 노래) · 大東亞決戰の歌(대동아결전의 노래) · 大東亞聖戰の歌(대동아성전의 노래) · 大東亞戰爭海軍の歌(대동아전쟁해군의 노래) · 太平洋行進曲(태평양행진곡) · 大陸行進曲(대륙행진곡) · 橘中佐(타치바나 중좌) · 父よ貴方は強かった(아버지여 당신은 강하셨다) · 朝鮮國境守備隊の歌(조선 국경 수비대의 노래) · 敵は幾萬(적은 수만) · 同期の櫻(동기의 벚꽃) · 獨立守備隊の歌(독립수비대의 노래) · 特攻隊節(특공대 타령)
日本海海戰(일본해해전) · 日本海軍(일본해군) · 日本陸軍(일본육군)
爆彈三勇士(폭탄삼용사) · 拔刀隊(발도대) · ハワイ擊滅の歌(하와이 격멸의 노래) · 比島決戰の歌(필리핀 결전의 노래) · 日の丸行進曲(히노마루 행진곡) · 廣瀨中佐(히로세 중좌) · 婦人從軍歌(부인종군가) · 北支派遣軍の歌(북지파견군의 노래) · 屠れ米英我等の敵だ(무너뜨려라 미영 우리의 적이다) · 步兵の本領(보병의 본령)
護れ滿蒙の生命線(지켜라 만몽의 생명선) · マレー沖の凱歌(말레이 앞바다의 개가) · 滿洲行進曲(만주행진곡) · 宮さん宮さん(미야상 미야상) · 麥と兵隊(보리와 병대) · 目指すはワシントン(목표는 워싱턴) · 燃ゆる大空(불타는 하늘)
勇敢なる水兵(용감한 수병) · 雪の進軍(눈의 진군) · 征けやロンドン(정복하자 런던)
ラバウル海軍航空隊(라바울 해군항공대) · ラバウル小唄(라바울 속요) · 露營の歌(노영의 노래)
我神州(우리 신주) · 若鷲の歌(젊은 독수리의 노래) }}}}}}}}}


1. 개요2. 가사
2.1. 패러디 버전2.2. 신자체 버전
3. 영상4. 관련 문서

1. 개요

애국행진곡([ruby(愛国行進曲, ruby=あいこくこうしんきょく)])은 일본 제국 당시 국민가요로 보급된 노래이자 일본 육군 군가(軍歌)다. 군함행진곡과 더불어 대표적인 일본 군가다.

초연은 1937년 12월 24일 총리 관저에서 이루어졌으며, 이틀 뒤인 26일에 대중적으로 공연되었다. 처음부터 배포용으로 저작권이 설정되어 있지 않아 일본 컬럼비아 레코드, 빅터 레코드를 비롯한 다양한 음반사에서 갖가지 버전이 나왔으며 당시 SP판의 판매고가 100만장을 넘을 정도로 상업적으로는 높은 실적을 거두었다. 하지만 현대에는 쇼지 타로의 히트곡 중 하나로 인식되는 경우도 적지 않은 듯하다.

군함행진곡보다 역사가 짧은 편으로, 이미 중일전쟁 시점이었던 1937년에 일본 군부와 정부가 '국민 정신 총동원' 이라는 군국주의 표어를 대놓고 내걸어 공모했다. 우선 가사 공모가 진행되었고, 채택 주체였던 내각 정보부에 제출된 50000여 점 이상의 가사들 중 돗토리현에 거주하는 인쇄업자 모리카와 유키오(森川幸雄)의 것이 선택되었다. 그리고 사용될 곡조에는 군함행진곡의 작곡자였던 세토구치 도키치의 곡이 선정되었다. 그래서 당시에는 젊은이의 기백으로 써낸 가사와 노익장의 역작인 곡조의 조화 등의 미사여구가 넘쳤지만... 현실은 시궁창

우선 가사가 모리카와의 원안대로 쓰이지 않고 심사위원들이 높으신 분들의 입맛에 맞게 마구 뜯어고쳐 희대의 괴작이 되었다는 데에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이 과정에서 심사위원 중 키타하라 하쿠슈(北原白秋)와 사사키 노부츠나(佐佐木信綱)가 가사 개작 과정에서 심각하게 대립하여 1942년 키타하라가 죽을 때까지 전혀 화해하지 않았다.

이 노래는 전쟁시기 일본의 점령지와 식민지에도 강제로 보급되었다. 한편, 그 중에서 노래가 강제 보급된 식민지 조선에서는 당시 조선인들이 일제를 조롱하거나 규탄하는 내용으로 가사를 바꿔불러 총독부가 꽤나 골머리를 앓았다고 한다. 실제로 조선에서는 애국행진곡이나 군함행진곡 등 강제 보급된 일본군가에 한국어와 일본어로 조롱성 개사를 했으며[1] 심지어는 후술할 '보라, 도조의 대머리' 같은 작자미상의 패러디 개사까지 돌기도 할 정도였다.[2] 비슷한 사례의 소극적인 저항은 창씨개명에서도 사례를 찾을 수 있다.

일본의 점령지나 전선에 송출되는 선전 라디오등에서는 친숙한 노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만세일계'니 '팔굉일우[3]'니 하는 노래 가사에서 알 수 있듯 이 노래가 단순한 사기진작용의 군가로서 제작되었다기 보다는 중일전쟁을 일으키고 전 세계를 상대로 한 싸움을 걸던 시기에 일본정부가 국민들에게 제국주의, 군국주의 사상을 세뇌시키기 위하여 제작한 일종의 체제선전가이기 때문이다. 이리하여 도쿄 로즈같은 일본의 선전방송을 많이 듣던 연합군 병사들중에는 이 노래가 하도 많이 방송되는 통에 실제로는 기미가요인 일본의 국가인줄로 알던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2차대전 당시 일본군이 점령지에도 열심히 배포했으므로 노래를 아직도 기억하고 부르는 주민들이 있어 나중에 일본언론들이 취재를 가기도 했다는 모양.
  • 애국행진곡을 부르는 인도네시아 노인 #1 #2
  • 말레이시아의 코미디 영화 Laksamana Do Re Mi(1972)에 등장한 패러디 애국행진곡 #

강효백이 애국가를 비판할 때 애국행진곡에서 근거를 찾기도 했다.

2. 가사

'''{{{#ffffff 愛國行進曲'''
1절 2절 3절
見よ東海の空明けて
미요 토-카이노 소라 아케테
보라 동쪽 바다[4]의 하늘 밝으며

旭日高く輝けば
쿄쿠지츠 타카쿠 카가야케바
아침해( 욱일) 드높이 빛나면

天地の正氣潑剌と
텐치노 세이키 하츠라츠토
천지의 정기 발랄하게도

希望は踊る大八洲
키보와 오도루 오야시마
희망은 춤추도다 오야시마[5]

おゝ晴朗の朝雲に
오오 세이로노 아사쿠모니
오오 청랑한 아침 구름에

聳ゆる富士の姿こそ
소비유루 후지노 스가타코소
솟아오른 후지의 절경야말로

金甌無欠搖るぎ無き
킨오무케츠 유루기 나키
금구무결의 흔들림 없이[6]

我が日本の誇りなれ
와가 닛폰노 호코리나레
우리 일본의 자랑 되리라
起て一系の大君を
다테 잇케이노 오키미오
일어나라 만세일계의 임금님을

光と永久に頂きて
히카리토 토와니 이타다키테
빛으로서 영원히 떠받들고서

臣民我等皆共に
신민 와레라 미나토모니
신민 우리는 모두 다함께

御稜威に副はん大使命
미이츠니 소한 다이시메이
위광을 따르자, 대사명이다

往け八紘を宇と爲し
유케 핫코오 이에토 나시
가라 팔굉을 하나로 하여[7]

四海の人を導きて
시카이노 히토오 미치비키테
사해의 사람들을 이끌어

正しき平和打ち建てん
타다시키 헤이와 우치타텐
올바른 평화를 세워내 보자

理想は花と咲き薰る
리소와 하나토 사키 카오루
이상은 꽃으로 피어나며 향기 내도다
今幾度か我が上に
이마 이쿠타비카 와가 우에니
지금에 몇 번인가 우리의 위에

試練の嵐哮るとも
시렌노 아라시 다케루토모
시련의 폭풍이 몰아치더라도

斷固と守れ其の正義
단코토 마모레 소노 세이기
단호히 지켜라 그 정의

進まん道は一つ而已
스스만 미치와 히토츠노미
나아가자 길은 오직 하나뿐

嗚呼悠遠の神代より
아아 유엔노 가미요 요리
아 머나먼 신의 시대로부터

轟く步調受け繼ぎて
도도로쿠 호초 우케츠기테
우렁찬 발걸음을 이어나가며

大行進の行く彼方
다이코신노 유쿠 카나타
대행진을 하는 그 쪽에

皇國常に榮え有れ
고코쿠 츠네니 사카에 아레
황국엔 언제나 영광 있노라

2.1. 패러디 버전

'''東條行進曲'''
見よ東條の禿頭
미요 도조노 하게아타마
보라 도조의 대머리

ハエが留ればつるっと滑る
하에가 도마레바 쓰룻토 스베루
파리가 앉으면 훌렁 넘어져

滑って上ってまた滑る
스벳테 노봇테 마타 스베루
넘어져서 오르다 또 미끄러져

上って滑ってまた留る
노봇테 스벳테 마타 도마루
오르다가 미끄러져 다시 앉는다

おゝテカテカの禿頭
오 데카테카노 하게아타마
오오 번들번들한 대머리

聳ゆる富士も眩しがり
소비유루 후지모 마부시가리
솟아오른 후지도 몹시 눈부셔

あの禿退けろと口惜し泣き
아노 하게 도케로토 구야시나키
그 대머리 치우라고 성내며 우네

雲に隠れて大剝れ
구모니 가쿠레테 오무쿠레
구름에 숨어서 크게 화내라

2.2. 신자체 버전

[ruby(愛国行進曲, ruby=あいこくこうしんきょく)]
[ruby(見, ruby=み)]よ[ruby(東海, ruby=とうかい)]の[ruby(空, ruby=そら)]あけて
[ruby(旭日高, ruby=きょくじつたか)]く[ruby(輝, ruby=かがや)]けば
[ruby(天地, ruby=てんち)]の[ruby(正気溌剌, ruby=せいきはつらつ)]と
[ruby(希望, ruby=きぼう)]は[ruby(躍, ruby=おど)]る[ruby(大八島, ruby=おおやしま)]
[ruby(嗚於, ruby=おお)][ruby(晴朗, ruby=せいろう)]の[ruby(朝雲, ruby=あさぐも)]に
[ruby(聳, ruby=そび)]ゆる[ruby(富士, ruby=ふじ)]の[ruby(姿, ruby=すがた)]こそ
[ruby(金甌無欠揺, ruby=きんおうむけつゆる)]ぎなき
[ruby(我, ruby=わ)]が[ruby(日本, ruby=にっぽん)]の[ruby(誇, ruby=ほこ)]りなれ
[ruby(起, ruby=た)]て[ruby(一系, ruby=いっけい)]の[ruby(大君, ruby=おおきみ)]を
[ruby(光, ruby=ひかり)]と[ruby(永久, ruby=とわ)]に[ruby(戴, ruby=いただ)]きて
[ruby(臣民我等皆共, ruby=しんみんわれらみなとも)]に
[ruby(御稜威, ruby=みいつ)]に[ruby(副, ruby=そ)]わん[ruby(大使命, ruby=だいしめい)]
[ruby(往, ruby=ゆ)]け[ruby(八紘, ruby=はっこう)]を[ruby(宇, ruby=いえ)]となし
[ruby(四海, ruby=しかい)]の[ruby(人, ruby=ひと)]を[ruby(導, ruby=みちび)]きて
[ruby(正, ruby=ただ)]しき[ruby(平和, ruby=へいわ)]うち[ruby(建, ruby=た)]てん
[ruby(理想, ruby=りそう)]は[ruby(花, ruby=はな)]と[ruby(咲, ruby=さ)]き[ruby(薫, ruby=かお)]る
[ruby(今幾度, ruby=いまいくたび)]か[ruby(我, ruby=わ)]が[ruby(上, ruby=うえ)]に
[ruby(試練, ruby=しれん)]の[ruby(嵐哮, ruby=あらしたけ)]るとも
[ruby(断乎, ruby=だんこ)]と[ruby(守, ruby=まも)]れその[ruby(正義, ruby=せいぎ)]
[ruby(進, ruby=すす)]まん[ruby(道, ruby=みち)]は[ruby(一, ruby=ひと)]つのみ
[ruby(嗚呼, ruby=ああ)][ruby(悠遠, ruby=ゆうえん)]の[ruby(神代, ruby=かみよ)]より
[ruby(轟, ruby=とどろ)]く[ruby(歩調, ruby=ほちょう)]うけつぎて
[ruby(大行進, ruby=だいこうしん)]の[ruby(行, ruby=ゆ)]く[ruby(彼方, ruby=かなた)]
[ruby(皇国常, ruby=こうこくつね)]に[ruby(栄, ruby=さか)]えあれ

3. 영상






지금 보이는 영상은 1943년에 제작된 선전 영화 '음악대진군(音楽大進軍)'에 수록된 가창 영상이다. 추축국 일원이었으니 당연한 것이겠지만, 나치 독일의 선전 영화와 비슷한 구도와 연출을 사용하고 있다. 독창을 맡은 가수들은 타키타 키쿠에(소프라노)와 후지와라 요시에(테너)로, 선전 영화 답게 당시 일본에서 날리던 1급 성악가들을 섭외했다. 하지만 관현악단의 연주 퀄리티는 시망. 원본


3분 30초 경부터 보면 된다.
1941년 3월 독일 주간 전시뉴스. 일본제국 외무상 마츠오카 요스케 #가 베를린을 방문했을 때 모습이다.


같은 추축국인 헝가리어로도 번안되었다.


2014년 해상자위대 음악대가 직접 연주하였다.

4. 관련 문서



[1] 이런 식의 저항은 해방 후에도 이어져 유행가나 군가에 독재정권을 비판하는 가사를 붙여 부르곤 했는데 한국에 민주화가 실현되는 90년대까지 노가바라는 이름으로 계속되었다. 오월의 노래가 대표적이다. [2] 이 '도조의 대머리' 패러디는 일본 본토에서 시작되었는지 조선에서 시작되었는지는 불분명하나 일본과 조선에서 모두 인지도가 있었다고 한다. [3] 2차대전시기 일본 군국주의 표어로 쉽게 말해서 전세계를 모두 천황의 지배 하에 두자는 뜻이다. [4] 한국의 동해가 아니라 일본측의 동해. 즉 태평양이다. [5] 여덟개의 큰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 일본의 옛 이름 [6] 흠이 없는 황금단지라는 뜻으로, 한번도 침략당한 적이 없는 나라를 일컫는다. [7] 팔굉일우를 풀어 쓴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