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1. 개요
한국의 성씨다. 경주·순창 설씨(慶州·淳昌 薛氏)는 薛(맑은대쑥 설)을 사용하고, 경주 설씨(慶州 偰氏)는 偰(맑을 설)을 사용한다.2. 경주·순창 설씨(慶州·淳昌 薛氏)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be673> 사로 6촌 | 신라 6부 | 성씨 | 시조 |
알천 양산촌 | 급량부 | 이씨 | 알평 | |
돌산 고허촌 | 사량부 | 최씨 | 소벌도리 | |
취산 진지촌 | 본피부 | 정씨 | 지백호 | |
무산 대수촌 | 점량부 | 손씨 | 구례마 | |
금산 가리촌 | 한기부 | 배씨 | 지타 | |
명활산 고야촌 | 습비부 | 설씨 | 호진 | |
삼국사기 기준. # 삼국유사에서는 돌산 고허촌(사량부) 소벌도리를 정씨로 취산 진지촌(본피부) 지백호를 최씨로 기록했다. 또한 6촌의 순서도 셋째가 무산 대수촌(점량부), 넷째가 취산 진지촌(본피부)이라고 기록했다. # | }}}}}}}}} |
신라 6성 {{{#!wiki style="margin: -1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290><tablebordercolor=#dde7e7> 경주·순창 설씨 (월성 설씨) |
}}} | |
<colbgcolor=#003458> 관향 | 경상북도 경주시 →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 ||
시조 | 호진(虎珍) | ||
집성촌 |
경기도
고양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전라남도 진도군 경상남도 밀양시· 의령군 |
인구 | 42,646명 (2015년) |
링크 | 경주·순창설씨 대종회 |
[clearfix]
설씨의 약 94%가 한자 薛(맑은대쑥 설)을 사용한다. 시조인 설거백(薛居伯)은 신라가 생기기 이전인 기원전 57년 박혁거세의 탄생 설화에 나오는 6부 촌장 중 한 사람이다. 진한 땅이었던 명활산 고야촌(지금 경상북도 경주시 천북면)의 촌장으로 나머지 5촌장과 함께 박혁거세를 신라 초대 왕으로 추대하고 32년[1]에 6촌이 6부로 개칭되면서 명활산 고야촌도 습비부로 고쳐 불렀고 성도 설씨를 하사받았다. 족보에 따르면 이후 516년( 법흥왕 3년) 무신공(武信公)이라는 시호를 받았고 태종 무열왕 때에 장무왕(壯武王)으로 추봉되었다고 전해진다.
설씨는 설거백(薛居伯)을 시조로 받들고 경주를 본관으로 세계를 이어오다가 고려시대에 36세손 설자승(薛子升)이 1124년(인종 2년) 호부시랑이 되고 순화백[2]에 봉해지자 본관을 순창으로 했다. 인구는 2015년 기준 42,646명으로 그렇게 흔치 않은 성씨다.
2.1. 남한 집성촌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주문진읍 향호리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마두동
-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고례리·내동리·동전리[3]·모정리
-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가산리[4]
- 경상남도 의령군 봉수면 서득리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상하면 용대리 택동마을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방우리
-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 덕지리
2.2. 북한 집성촌
- 평안남도 평원군 해소면 송정리
- 평안남도 평원군 동송면 월봉리
- 함경남도 단천군 하다면 연대리
- 함경남도 이원군 동면 신풍리
- 함경북도 학성군 학성면 일원(一圓)
- 경기도 개풍군 서면, 북면 일원(一圓)
- 경기도 장단군 장단면, 소남면 일원(一圓)
2.3. 설(薛)씨 유명 인물
2.3.1. 근대 이전
2.3.2. 근·현대 인물
- 설가은: 아역배우, 뮤지컬 배우
- 설경구: 영화배우. 삼지당공파 64세.
- 설경동: 대한전선 창업주. 참의공파 61세.
- 설관성: 독립유공자. 참의공파 60세.
- 설관수: 독립유공자. 참의공파 61세.
- 설관학: 독립유공자. 참의공파 60세.
- 설관협: 독립유공자. 참의공파 60세.
- 설기관: 보디빌더. 옥천군파 65세.
- 설동근: 정치인. 옥천군파 63세.
- 설동호: 현 대전광역시 교육감, 前 한밭대학교 총장. 대사성공파 63세.
- 설만진: 독립유공자. 옥천군파 62세.
- 설문식: 전 충청북도 정무부지사. 옥천군파 65세.
- 설성삼: 독립유공자. 문숙공파 59세.
- 설유진(설지현): 가수. 옥천군파 63세.
- 설유진: 영화배우. 참의공파 63세.
- 설윤아: 걸그룹 NMIXX의 멤버.
- 설영범: 성우. 참의공파 67세.
- 설영우: 축구선수
- 설원대: 아이돌 보이그룹 DKZ의 전 멤버
- 설인수: 전 국회의원. 대사성공파 62세.
- 설정환: 배우. 대사성공파 64세.
- 설진창: 독립유공자. 대사성공파 61세.
- 설창수: 독립유공자, 전 국회의원. 참의공파 62세.
- 설창해: 독립유공자. 문숙공파 63세.
- 설철수: 독립유공자. 참의공파 61세.
- 설훈: 정치인. 참의공파 62세.
- 설재민: 테니스선수
2.3.2.1. 세수 미상
- 설기현: 축구선수
- 설명근: 개그맨
- 설수진· 설수현: 자매 모두 미스코리아 출신 탤런트
- 설재민: 前 롯데 자이언츠 투수
- 설종진: 고양 히어로즈 감독
- 설채현: 수의사
- 설하윤: 트로트 가수
- 설하임: 배우, 前 아이돌 걸그룹 플래쉬의 멤버
- 설예은: 컬링 선수
- 설재민: 테니스선수
3. 경주 설씨(慶州 偰氏)
설손은 초명(初名)이 백료손(百遼遜)[5]이고 위구르 사람이다. 대대로 설련하(偰輦河)에 살았으므로 설(偰)을 성씨로 삼았다. 고조부 에렌테무르(嶽璘帖穆爾,
Yolum-Temür)[6] 때부터 원(元)에 귀부하였고 대대로 원에서 벼슬하였다. 에렌테무르의 아들이 카라부카(合刺普華)로 그의 아들 즉 설손의 할아버지 문질(文質) 때부터 강남의 율양(栗陽)[7]으로 이주하고 한족풍으로 외자 설씨 성을 쓰는 등 한족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설문질의 다섯 아들 가운데 셋째였던 철독(哲篤)이 설장수의 할아버지로, 그는 『
요사(遼史)』의 편수 작업에도 참여했으며 벼슬이 강서행성우승(江西行省右丞) 이부상서(吏部尙書)에 이르렀다. 설손은
순제(順帝) 때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여 한림응봉문자(翰林應奉文字)와 선정원단사관(宣政院斷事官)을 지냈으며, 단본당정자(端本堂正字)로 선발되어 황태자에게 경전(經典)을 가르쳤다. 승상 합마(哈麻, 카마)의 시기를 받아 단주(單州)의 수령으로 나갔다가 부친상을 당하여 대령(大寧)에 우거하였다.
홍건적이 대령을 침략하자
공민왕 7년(1358)에 병란을 피하여
우리나라로 왔다.[8] 왕이 원에 있을 때 황태자를 단본당에서 시종하며 설손과 구면이 있었으므로 그를 매우 후하게 대우하였다. 집을 하사하고 고창백(高昌伯)으로 봉하였다가 부원후(富原侯)로 고쳐 봉하였고 부원(富原)에 토지를 하사하였다. (공민왕) 9년(1360)에 죽었고 저술로 근사재일고(近思齋逸藁)』가 있는데 세상에 전해지고 있다. 아들은
설장수(偰長壽)·설연수(偰延壽)·설복수(偰福壽)·설경수(偰慶壽)·설미수(偰眉壽)이다.
『고려사』 권112 열전 제25 제신 편 설손 조
『고려사』 권112 열전 제25 제신 편 설손 조
본관은 경주 단본이다. 시조 설손은 원래 위구르 사람으로[9], 조상이 대대로 설련하(偰輦河, 셀렌가강)에 살아서 성을 설이라고 했다고 한다. 고조부, 증조부, 조부, 부친이 모두 원사에 언급된다. 설손은 원나라에서 단주태수 벼슬을 지냈으며 학문이 깊고 문장이 뛰어난 시인이었다. 그가 상을 당하여 대령에 가있었는데 1358년 홍건적의 난을 피해 우리나라에 귀화하자[10] 공민왕이 그를 대접하여 부원후에 봉했다. 설손의 아들 설장수(시호는 문정)는 조선의 개국공신이 되었다.[11]
설손의 후손이 스타 강사 설민석과 그의 아버지 설송웅이다. 바둑기사 설현준과 정치인 설영주도 이 설씨를 쓴다. 인구는 2015년 기준 2,937명으로 薛씨의 10%도 못 미친다.
여담으로 偰이라는 한자는 완성형에 없는 한자이다. 비슷하게 생긴 楔로 대신 입력하기도 한다.
3.1. 설(偰)씨 유명 인물
4. 설씨를 예명으로 쓰는 인물
5. 외국 인물
6. 가상 인물
눈 설( 雪)과 발음이 같아서 차가운 느낌을 주는 편이라, 보통 성격이 냉정하고 진지한 인물에게 자주 부여된다. 특히 여성 캐릭터 이름으로 자주 등장한다.- 8월의 눈보라 - 설보라
- 고백 취소도 되나? - 설박하
- 그래도 설원입니다 - 설원
- 극장판 또봇 : 로봇군단의 습격 - 설모리, 설운도
- 내일도 칸타빌레 - 설내일
- 노란복수초 - 설연화, 설태양, 설수애
- 떠돌이 까치 - 설까치
- 마도조사 - 설양
- 마법사 프리큐어! - 설문희
- 마블 코믹스 - 설희
- 매관매직 스크램블 - 설은겸
- 멱살 한번 잡힙시다 - 설우재, 설판호
-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초제트 - 설풍
- 별난 가족 - 설동탁, 설혜리, 설민석, 설공주
- 별이삼샵 - 설효림, 설민수
- 부부의 세계 - 설명숙
- 북부 공작님을 유혹하겠습니다 - 설린하
- 뷰티풀 군바리 - 설유라
- 블랙윈터 - 설해사
- 사상 최강의 매니저 - 설영, 설우준
- 사신소년 - 설기백
- 서울의 봄 - 설상우
- 생존스쿨 촉망고 - 설인범
- 소년탐정 김전일 - 설유미
- 실례지만 잠시 지구 좀 멸망시키겠습니다 - 설레임
- 아름다운 그대에게 - 설한나
- 약한영웅 - 설기주
- 언니는 살아있다! - 설기찬
- 언더클래스 히어로 - 설단영
- 오로라 공주(드라마) - 설설희, 설국, 설무빈
- 요리GO - 설명중
- 용의 아들 - 설용
- 이 무림의 미친년은 나야 - 설이리
- 임기 첫날에 게이트가 열렸다 - 설진운
- 잘 키운 딸 하나 - 설도현, 설진목, 설도은
- 좀비고등학교 - 설미리, 설보리
- 지금 이 순간 마법처럼 - 설민혁
- 첩보의 별 - 설전설
- 우주특공대 바이오맨 - 설용
- 탐식의 재림 - 설지후
- 트롤트랩 - 설백, 설황, 설아
- 화랑세기 - 설원, 설보종
- 화산귀환 - 설소백
- 화이트데이 시리즈 - 설지현
[1]
유리 이사금 9
[2]
순화는 순창의 별칭이며, 백은
오등작의 하나인 백작 작위이다.
[3]
독립유공자
설진창,
설인수 前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
[4]
독립유공자
설만진이 이 마을 출신이다.
[5]
『
원사』에는 遼만 僚로 바뀐
설백료손(偰百僚遜)으로 등장한다.
[6]
가승보에 따르면
돈욕곡(暾欲谷)의 현손이자 극직보이(克直普爾)의 증손으로, 악필岳弼의 아들인 아사필亞思弼의 아들이다.
[7]
현재는 물 수 변 붙여서 溧陽이라고도 쓴다. 현지 발음은 리양(Lìyáng)이며 한국의
독립운동가
양기탁이 1938년에 이곳에서 서거했다.
[8]
이때 고향으로 갔으면 좋았는데 하필이면 고향 율양이 강남 지역으로 홍건적 세력의 핵심 지역이었다.
[9]
위구르인이라고 해서 꼭 지금의
동투르키스탄에만 살았을 리도 없고, 비록
몽골인과
색목인 위주라고는 하나 엄연히 국제적인 대제국을 표방하던
원나라였던지라, 위구르인이
중국과
동북아시아 주요 대도시로 이주해서 살지 않았을 리도 없다. 멀리 갈 것도 없이
고려가요 중의 하나인
쌍화점의 제목부터가
위구르식
만두를 파는 가게라는 뜻이고, 거기서 대놓고 주인공 여자가 꼬시는 위구르인과 동침하는 내용까지 나온다.
[10]
설손이 고려로 이주한 해가 고려사는 공민왕 7년(1358년), 정종실록(定宗實錄)은 공민왕 8년(1359년)으로 되어 있어 1년 차이가 난다. 어느 쪽이든 홍건적 때문에 고려로 오게 되었다는 건 공통된다.
[11]
다만 설손의 동생 즉 설장수의 삼촌인 설사(偰斯)는 그대로 대륙에 남아 있다가 1367년
주원장에게 귀순했고 이듬해 명이 세워진 뒤 그 사실을 고려에 알리는 첫 번째 사신으로 고려에 파견되었으며, 명나라에서 이부상서(吏部尙書)와 예부상서(禮部尙書)에까지 이르는 등 꽤 출세했다.
[12]
雪(눈 설)자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