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14:56:20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 | 유럽/아프리카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8px; word-break: keep-all"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둘러보기 : 아시아 및 태평양 전선 전투목록
전투 이름 교전 국가 및 세력
<rowcolor=#FFF> 공격 측 방어 측
<nopad> 1939년
<colbgcolor=#b31c31> 폴란드 침공
베스테르플라테 전투
단치히 우체국 방어전
바르샤바 전투
비츠나 전투
브주라 전투
겨울전쟁
수오무살미 전투
콜라 전투
<nopad> 1940년
가짜 전쟁
노르웨이 침공
프랑스 침공
아라스 전차전
됭케르크 철수작전
이탈리아의 프랑스 침공
북아프리카 전역
몰타 항공전
칼라브리아 해전
영국 본토 항공전
독수리의 날
유고슬라비아 침공
그리스 침공
타란토 공습
<nopad> 1941년
마타판곶 해전
라인 연습 작전
크레타 섬 전투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바르바로사 작전 (독소전쟁)
브레스트 요새 방어전
발트해 전역
브로디 전투
비아위스토크-민스크 전투
계속전쟁
은색 여우 작전
뮌헨 작전
제1차 스몰렌스크 전투
우만 전투
모스크바 폭격
제1차 키예프 전투
페르시아 침공
레닌그라드 공방전
뱌지마-브랸스크 포위전
모스크바 공방전
툴라 전투
세바스토폴 공방전
로스토프 전투
알렉산드리아 습격
<nopad> 1942년
류반 공세
르제프 전투
데미얀스크 전투
영불 해협 돌파작전
마다가스카르 전투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
제2차 하리코프 공방전
류반 구원 작전
빌헬름 작전
프리데리쿠스 작전
청색 작전
보로네시 전투
엘 알라메인 전투
PQ-17 호송선단 전투
자이들리츠 작전
칼라치 전투
제1차 르제프-시쵸브카 공세
비르벨빈트 작전
디에프 상륙 작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횃불 작전
튀니지 전투
천왕성 작전
벨리키예루키 전투
화성 작전
겨울폭풍 작전
바렌츠 해 해전
<nopad> 1943년
북캅카스 공세
콜초 작전
이스크라 작전
보로네시-하리코프 공세
스카쵸크 작전
제3차 하리코프 공방전
쿠르스크 전투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쿠투조프 작전
제1차 돈바스 공세
므가 공세
플로이에슈티 공습
제4차 하리코프 공방전
제2차 스몰렌스크 전투
브랸스크 공세
드네프르 강 전투
도데카니사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무솔리니 구출 작전
슈바인푸르트 공습
제2차 키예프 전투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노스케이프 해전
<nopad> 1944년
칼린코비치-모지리 공세
몬테카시노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안치오 상륙 작전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나르바 전투
비텝스크 공세
논쟁 작전
로가체프-즐로빈 공세
카메네츠-포돌츠크 포위전
노르망디 상륙작전
빌레르보카쥬 전투
바그라티온 작전
레지차-드빈스크 공세
프스코프-오스트로프 공세
리보프-산도미에시 작전
루블린-브레스트 작전
타넨베르크 선 전투
바르샤바 봉기
타르투 공세
팔레즈 포위전
용기병 작전
도펠코프 작전
제2차 야시-키시네프 공세
슬로바키아 민족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슬로바키아 봉기군
동부 카르파티아 공세
발트해 공세
라플란드 전쟁
베오그라드 공세
휘르트겐 숲 전투
마켓 가든 작전
아헨 전투
판처파우스트 작전
굼비넨 작전
벌지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임시정부
부다페스트 공방전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nopad> 1945년
보덴플라테 작전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동프로이센 공세
한니발 작전
하부 슐레지엔 공세
드레스덴 공습
남풍 작전
봄의 새싹 작전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
상부 슐레지엔 공세
연합군의 독일 본토 침공
텍셀 봉기
파일:Georgische_Legion.png 조지아 군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저항군
삼란드 공세
베를린 공방전
오드자크 전투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공화국
이터 성 전투 파일:슈츠슈타펠 깃발.svg 항전파 무장친위대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저항군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VIP
프라하 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저항군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
비스와-오데르 공세
Висло-Одерская операция
Weichsel-Oder-Operation
Vistula–Oder offensive
제2차 세계 대전 동부전선의 일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82px-Eastern_Front_1945-01_to_1945-05.png
▲ 1945년 1월부터 5월까지의 독소전쟁 전황도. 비스와-오데르 공세와 베를린 전투가 들어가는 오데르-나이세 공세 전황도이다.
날짜
1945년 1월 12일 ~ 2월 3일
장소
폴란드 전역과 비스와강
독일 동부와 오데르강 일대
교전국 [[틀:깃발|]][[틀:깃발|]][[소련|]]
[[틀:깃발|]][[틀:깃발|]][[폴란드 인민공화국|]]
[[틀:깃발|]][[틀:깃발|]][[체코슬로바키아|
체코슬로바키아
]]
지휘관 [[틀:깃발|]][[틀:깃발|]][[게오르기 주코프|]](제1벨로루시전선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이반 코네프|]](제1우크라이나전선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콘스탄틴 로코솝스키|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 (제2벨로루시전선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이반 체르냐홉스키|
이반 체르냐홉스키
]](제3벨로루시전선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이반 페트로프|]] (제4우크라이나전선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하인츠 구데리안|
하인츠 구데리안
]](육군참모총장)
[[틀:깃발|]][[틀:깃발|]][[틀:깃발|]] 조셉 하르프(A집단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페르디난트 쇠르너|
페르디난트 쇠르너
]](A집단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중부집단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로타르 렌둘릭|]](북부집단군 사령관)
결과
소련군의 승리
소련군 나치 독일 본토 진입
전력 [[틀:깃발|]][[틀:깃발|]][[틀:깃발|]]군인 2,112,700명[1]
[[틀:깃발|]][[틀:깃발|]][[틀:깃발|]]야포 33,500문
[[틀:깃발|]][[틀:깃발|]][[틀:깃발|]]전차 및 자주포 7,042대
[[틀:깃발|]][[틀:깃발|]][[틀:깃발|]] 군인 90,900명
[[틀:깃발|]][[틀:깃발|]][[틀:깃발|]] 군인 400,000명
[[틀:깃발|]][[틀:깃발|]][[틀:깃발|]] 야포 4,103문
[[틀:깃발|]][[틀:깃발|]][[틀:깃발|]] 전차 및 자주포 800대[2]
피해규모 [[틀:깃발|]][[틀:깃발|]][[틀:깃발|]]전사 및 실종 43,251명
[[틀:깃발|]][[틀:깃발|]][[틀:깃발|]]부상 149,874명
[[틀:깃발|]][[틀:깃발|]][[틀:깃발|]]야포 374문
[[틀:깃발|]][[틀:깃발|]][[틀:깃발|]]전차 및 자주포 1,267대
[[틀:깃발|]][[틀:깃발|]][[틀:깃발|]]항공기 343기
[[틀:깃발|]][[틀:깃발|]][[틀:깃발|]] 전사 및 실종 216,970명[3]
[[틀:깃발|]][[틀:깃발|]][[틀:깃발|]] 포로 60,308명
[[틀:깃발|]][[틀:깃발|]][[틀:깃발|]] 전차 및 자주포 1,237대 격파 및 1,119대 노획

1. 개요2. 배경3. 편제
3.1. 소련군3.2. 독일군
4. 동프로이센 공세5. 독일군의 저항6. 포메른 공세7. 실레시아 공세8. 결과9. 기타

[clearfix]

1. 개요

비스와-오데르 대공세의 전개

Висло-Одерское наступление 1945년 1월부터 2월까지 치러진 소련 나치 독일을 향한 마지막 대공세이다. 이름은 소련군이 독일을 향해 진군하면서 건넌 두 개의 주요한 강인 비스와강[4] 오데르강[5]에서 딴 것으로 영어식 명칭인 비스툴라-오데르 공세로도 알려져 있다. 병력의 경우 독일 측은 45만 여명을, 소련 측은 220만 여명을 동원한 것으로 추산된다.

이를 기점으로 소련군은 독소전쟁 4년 만에 처음으로 독일 본토에 진입하게 된다.

2. 배경

바그라티온 작전을 통해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발트해에 이르는 지역을 점령한 소련군은 기나긴 진군으로 길어진 보급선 문제로 바르샤바 코 앞에서 공세를 멈추어야 했고, 아돌프 히틀러는 이를 마켓 가든 작전의 전략적 실패로 주춤거리는 연합군을 박살낼 절호의 기회로 보고 아르덴 대공세를 계획했지만 연합군의 맹렬한 저항에 실패로 돌아갔다.[6]

독일군의 서부 공세에 당황한 서방 연합국은 압력을 덜기 위해 소련군에 동부전선에서 공세를 개시해줄 것을 요청했고, 소련군의 위력을 과시하며 동유럽에 세를 불리고 싶었던 이오시프 스탈린은 흔쾌히 이에 응해 공세를 개시했다.

3. 편제

3.1. 소련군[7]

  • 제3벨로루시전선군(사령관: 이반 체르냐홉스키 대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선군 직할
    • 제1전차군단
    • 제2근위전차군단
  • 제39군
  • 제5군
  • 제28군
  • 제2근위군
  • 제11근위군
  • 제31군
  • 제1항공군
}}}
  • 제2벨로루시전선군(사령관: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소비에트 연방 원수)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선군 직할
    • 제8근위전차군단
    • 제8기계화군단
    • 제3근위기병군단
  • 제50군
  • 제49군
  • 제3군
  • 제48군
  • 제2충격군
  • 제65군
  • 제70군
  • 제5근위전차군
  • 제19군
  • 제4항공군
}}}
  • 제1벨로루시전선군 (사령관: 게오르기 주코프 소연방 원수)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선군 직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9전차군단
  • 제11전차군단
  • 제2근위기병군단
    • 제3근위기병사단
    • 제4근위기병사단
    • 제17근위기병사단
  • 제7근위기병군단
    • 제14근위기병사단
    • 제15근위기병사단
    • 제16기병사단

    }}}
  • 제47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77소총군단
    • 제185소총사단
    • 제234소총사단
    • 제328소총사단
  • 제125군단
    • 제60소총사단
    • 제76소총사단
    • 제175소총사단
  • 제129소총군단
    • 제260소총사단
    • 제143소총사단
    • 제132소총사단

    }}}
  • 제61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9근위소총군단
    • 제12근위소총사단
    • 제75근위소총사단
    • 제415소총사단
  • 제80군단
    • 제82소총사단
    • 제212소총사단
    • 제356소총사단
  • 제89소총군단
    • 제23소총사단
    • 제311소총사단
    • 제397소총사단

    }}}
  • 제5충격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9소총군단
    • 제340소총사단
    • 제248소총사단
    • 제301소총사단
  • 제26근위소총군단
    • 제89근위소총사단
    • 제94근위소총사단
    • 제266소총사단
  • 제32소총군단
    • 제60근위소총사단
    • 제295소총사단
    • 제416소총사단

    }}}
  • 제3충격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7소총군단
    • 제146소총사단
    • 제265소총사단
    • 제364소총사단
  • 제12근위소총군단
    • 제23근위소총사단
    • 제52근위소총사단
    • 제33소총사단
  • 제79소총군단
    • 제150소총사단
    • 제171소총사단
    • 제207소총사단

    }}}
  • 제8근위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근위소총군단
    • 제35근위소총사단
    • 제47근위소총사단
    • 제57근위소총사단
  • 제28근위소총군단
    • 제39근위소총사단
    • 제79근위소총사단
    • 제88근위소총사단
  • 제29근위소총군단
    • 제27근위소총사단
    • 제74근위소총사단
    • 제82근위소총사단
  • 제12근위전차군단
    • 제48근위전차여단
    • 제49근위전차여단
    • 제66근위전차여단
    • 제34근위기계화여단

    }}}
  • 제69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5소총군단
    • 제77소총사단
    • 제4소총사단
    • 제64소총사단
  • 제61소총군단
    • 제41소총사단
    • 제134소총사단
    • 제247소총사단
    • 제274소총사단
  • 제91소총군단
    • 제312소총사단
    • 제370소총사단
    • 제117소총사단

    }}}
  • 제33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6소총군단
    • 제89소총사단
    • 제339소총사단
    • 제383소총사단
  • 제38소총군단
    • 제323소총사단
    • 제95소총사단
  • 제62소총군단
    • 제49소총사단
    • 제222소총사단
    • 제362소총사단

    }}}
  • 폴란드 제1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폴란드 제1사단
  • 폴란드 제2사단
  • 폴란드 제3사단
  • 폴란드 제4사단
  • 폴란드 제6사단
  • 폴란드 제1기갑여단
  • 폴란드 제2기갑여단
    }}}
  • 제1근위전차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8근위기계화군단
    • 제19근위기계화여단
    • 제20근위기계화여단
    • 제21근위기계화여단
  • 제11근위전차군단
    • 제40근위전차여단
    • 제44근위전차여단
    • 제45근위전차여단
    • 제27근위기계화소총여단
  • 제11전차군단
    • 제36전차여단
    • 제65기계화여단
    • 제20기계화여단
    • 제12기계화소총여단

    }}}
  • 제2근위전차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기계화군단
    • 제19기계화여단
    • 제35기계화여단
    • 제37기계화여단
  • 제9근위기계화군단
    • 제47기계화여단
    • 제50기계화여단
    • 제65기계화여단
    • 제33근위기계화여단
  • 제8근위전차군단
    • 제58근위전차여단
    • 제59근위전차여단
    • 제60근위전차여단
    • 제30근위기계화여단

    }}}
  • 제16항공군
}}}
  • 제1우크라이나전선군(사령관: 이반 코네프 소연방 원수)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선군 직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5전차군단
    • 제31전차군단
    • 제7근위기계화군단
    • 제1근위기병군단

    }}}
  • 제6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2소총군단
    • 제218소총사단
    • 제273소총사단
  • 제74소총군단
    • 제181소총사단
    • 제309소총사단
    • 제359소총사단

    }}}
  • 제3근위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1소총군단
    • 제58소총사단
    • 제253소총사단
    • 제329소총사단
  • 제76소총군단
    • 제127근위소총사단
    • 제287근위소총사단
    • 제389소총사단
  • 제120소총군단
    • 제106소총사단
    • 제149소총사단
    • 제197소총사단

    }}}
  • 제13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4소총군단
    • 제147소총사단
    • 제350소총사단
  • 제27소총군단
    • 제6근위소총사단
    • 제112소총사단
    • 제280소총사단
  • 제102소총군단
    • 제172소총사단
    • 제121소총사단
    • 제395소총사단

    }}}
  • 제52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8소총군단
    • 제111소총사단
    • 제116소총사단
    • 제213소총사단
  • 제73소총군단
    • 제50소총사단
    • 제254소총사단
    • 제294소총사단
  • 제78소총군단
    • 제31소총사단
    • 제214소총사단
    • 제373소총사단

    }}}
  • 제5근위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32근위소총군단
    • 제13근위소총사단
    • 제95근위소총사단
    • 제97근위소총사단
    • 제60소총사단
  • 제33근위소총군단
    • 제9공수소총사단
    • 제14소총사단
    • 제78소총사단
  • 제34근위소총군단
    • 제15근위소총사단
    • 제58근위소총사단
    • 제118소총사단

    }}}
  • 제60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5소총군단
    • 제107소총사단
    • 제336소총사단
  • 제28소총군단
    • 제246소총사단
    • 제302소총사단
    • 제322소총사단
  • 제106소총군단
    • 제100소총사단
    • 제158소총사단
    • 제304소총사단
  • 제4근위전차군단
    • 제12근위전차여단
    • 제13근위전차여단
    • 제14근위전차여단
    • 제3근위기계화소총여단

    }}}
  • 제21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55소총군단
    • 제225소총사단
    • 제229소총사단
    • 제285소총사단
  • 제117소총군단
    • 제72소총사단
    • 제120소총사단
    • 제125소총사단
  • 제118소총군단
    • 제128소총사단
    • 제282소총사단
    • 제291소총사단

    }}}
  • 제59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3소총군단
    • 제80소총사단
    • 제135소총사단
    • 제314소총사단
  • 제115소총군단
    • 제13소총사단
    • 제92소총사단
    • 제286소총사단
    • 제245소총사단

    }}}
  • 제3근위전차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6근위기계화군단
    • 제51근위기계화여단
    • 제52근위기계화여단
    • 제53근위기계화여단
  • 제7기계화군단
    • 제54기계화여단
    • 제55기계화여단
    • 제56기계화여단
    • 제23전차여단
  • 제9전차군단
    • 제69전차여단
    • 제70전차여단
    • 제71기계화여단

    }}}
  • 제4전차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0근위전차군단
    • 제61근위전차여단
    • 제62근위전차여단
    • 제63근위전차여단
    • 제29전차여단
  • 제6근위기계화군단
    • 제16근위기계화여단
    • 제17근위기계화여단
    • 제49기계화여단
  • 제5근위기계화군단
    • 제10근위기계화여단
    • 제11근위기계화여단
    • 제12근위전차여단
  • 제10기계화여단
    • 제91기계화여단
    • 제93기계화여단

    }}}
}}}
}}}

3.2. 독일군[8]

  • 중부 집단군[9](사령관: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상급대장[1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3기갑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8군단
    • 제95보병사단
    • 제58보병사단
    • 제607보병사단
  • 제9군단
    • 제286보병사단
    • 제551보병사단
    • 제548보병사단
    • 제561보병사단
    • 제56보병사단
  • 제26군단
    • 제69보병사단
    • 제1보병사단
    • 제349보병사단
    • 제549보병사단

    }}}
  • 제4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예비
    • 제5기갑사단
    • 제1강하기갑사단 "헤르만 괴링"
  • 강하기갑군단 "헤르만 괴링"
    • 제61보병사단
    • 제2강하기갑척탄병사단 "헤르만 괴링"
  • 제41군단
    • 제21보병사단
    • 제28보병사단
    • 제50보병사단
    • 제367국민척탄병사단
    • 제170보병사단
  • 제6군단
    • 제558국민척탄병사단
    • 제131보병사단
    • 제541국민척탄병사단
  • 제55군집단
    • 제203보병사단
    • 제562국민척탄병사단
    • 제547국민척탄병사단

    }}}
  • 제2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0군단
    • 제102보병사단
    • 제14보병사단
    • 제292보병사단
  • 제23군단
    • 제129보병사단
    • 제299보병사단
    • 제7보병사단
    • 제5보병사단
  • 제27군단
    • 제35보병사단
    • 제252보병사단
    • 제542보병사단

    }}}
    }}}
  • A 집단군[11](사령관: 페르디난트 쇠르너 상급대장[1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OKH 예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기갑군단 "그로스도이칠란트"
    • 기갑척탄병사단 "브란덴부르크"

    }}}
  • 집단군 예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601예비사단
  • 제602예비사단
  • 제603예비사단
  • 제608예비사단
  • 제391경비사단
  • 제344보병사단
    }}}
  • 제9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6기갑군단
    • 제73보병사단
    • 제337국민척탄병사단
    • 제542국민척탄병사단
    • 바르샤바 요새
  • 제8군단
    • 제251보병사단
    • 제6국민척탄병사단
    • 제45국민척탄병사단
    • 제9보병사단
  • 제56기갑군단
    • 제17보병사단
    • 제214보병사단

    }}}
  • 제4기갑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2군단
    • 제342보병사단
    • 제72보병사단
    • 제88보병사단
    • 제291보병사단
  • 제48기갑군단
    • 제168보병사단
    • 제68보병사단
    • 제304보병사단
  • 제24기갑군단
    • 제16기갑사단
    • 제17기갑사단
    • 제20기갑척탄병사단

    }}}
  • 제17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59군단
    • 제371보병사단
    • 제359보병사단
    • 제544국민척탄병사단
  • 제11SS군단
    • 제78국민척탄병사단
    • 제545국민척탄병사단
    • 제320보병사단

    }}}
  • 하인리치 군집단(사령관: 고트하르트 하인리치 상급대장)
    • 군집단 예비
      • 제154야전훈련사단
    • 제1기갑군(사령관: 고트하르트 하인리치 상급대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1군단
    • 제253보병사단
    • 제75보병사단
    • 헝가리 제5예비사단
    • 제100엽병사단
  • 제49산악군단
    • 제1스키엽병사단
    • 제101엽병사단
    • 제4산악사단
    • 제97엽병사단
    • 헝가리 제16보병사단
  • 제18군단
    • 헝가리 제2예비사단
    • 제3산악사단
    • 제254보병사단
    • 제208보병사단
  • 제40기갑군단
    • 제19기갑사단
    • 제25기갑사단
    • 제10기갑척탄병사단
    • 제6기갑사단
      }}}
    • 헝가리 제1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헝가리 제24보병사단
  • 헝가리 제1산악여단

    • }}}

    }}}

4. 동프로이센 공세

공세에 참가할 소련군은 세갈래로 편성되었다. 주공은 이반 체르냐홉스키 대장[13]의 제3벨라루스 전선군이었고, 조공은 우익(북방)에 이반 바그라먄 대장의 제1발트 전선군, 좌익(남방)에는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원수의 제2벨라루스 전선군이 포진해 있었다. 소련군은 병사 170만명[14]이었고 전차 4500여대, 돌격포 2500여대, 76mm 이상의 대구경 야포 13000여 문, 카츄샤 다연장 로켓발사기 2200여 대와 5000여 대의 항공기를 투입하였다. 이에 맞서는 독일군 부대는 제 3기갑군, 제 4기갑군과 전에 붕괴된 중부 집단군의 잔존부대였으며 병력은 겨우 병력 58만 명[15]에 야포 4100문, 전차 1200대 정도에 불과하여 병력비부터 3대 1로 열세였다. 여기에 민병대 국민돌격대(Volksturm)가 20만 명이 있었으나 무장이나 훈련이 빈약한 이들이 압도적인 물량에 더해 스탈린그라드 전투 쿠르스크 전투 등 전투 경험을 겪으며 숙련되고 고도로 숙련된 소련 공군의 협공에 대항한다는 것은 계란으로 바위치기나 다름 없었다.

공세는 독일군의 아르덴 대공세가 거의 실패로 마무리될 즈음인 1945년 1월 13일에 개시되었다. 독일군은 아르덴 대공세 때문에 정예부대가 서부전선에 있었으므로 병력의 질과 장비가 모두 상태가 안좋은 2선급 병력이 주력으로 된 상태였으나 이제는 자국의 방어를 위해 싸우는 처지가 되었기 때문에 완강히 저항하였다. 여기에 동프로이센 지역은 제2차 세계 대전이 개전되기 전부터 독일이 구축한 참호선이 몇겹으로 만들어져 있었으므로 제대로 된 산맥이나 강을 이용한 방어선이 없다는 약점을 상당부분 보충하고 있었다.

하지만 소련군은 독일군의 저항에 큰 피해를 입으면서도 착실히 전진했다. 1월 28일 바그라먄의 전선군은 메멜을 점령하고 더욱 더 전진하여 잔존 독일군 부대를 쾨니히스베르크 방면에 몰아넣고 베를린으로 가는 진격로의 우익을 차단하여 포위섬멸전에 들어갔다. 소련군은 이들을 포위하여 계속 공격했고, 4월 9일 이곳을 지키던 독일군은 항복하였고 고도 쾨니히스베르크는 함락되었다. 이후 동프로이센 내에 잔존하던 독일군들은 저항했지만 4월 25일 동프로이센 전역이 완전히 소련군 손아귀에 들어갔다.

이후 소련은 독일의 폴란드 침공 당시 소련이 차지했던 폴란드 동부를 그대로 소련 영토로 흡수하였고, 그 대신 오데르 강 동쪽의 독일 영토와 동프로이센의 3분의 2를 폴란드 영토로 내어주었다. 한편 동프로이센의 주도 쾨니히스베르크는 종전 후 칼리닌그라드로 이름이 바뀌어 소련에 합병되었고 소련 해체 후에도 러시아의 영토로 남게 되었다.

5. 독일군의 저항

소련군은 이렇게 동프로이센을 가로지르는 것에 그치지 않고 남쪽에서도 공세를 개시하여 순식간에 전쟁 전부터 독일의 동맹국이었던 헝가리와 당시 독일 영토인 '오스트마르크 주'였던 오스트리아까지 이르렀다.[16] 이렇게 남북으로 쳐들어오는 소련군의 기갑부대는 대규모였고 독일군은 가만히만 있다가는 불리하다는 것을 깨닫고 선제공격을 할 계획을 세운다. 이름하여 지점[17] 작전(존넨벤데 작전)이다.

당시 독일군 총참모장이었던 하인츠 구데리안은 점점 베를린으로 다가오고 있던 게오르기 주코프 원수가 거느린 제1벨라루스 전선군의 선두 부대를 떼어놓아 진격을 멈추게 할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이탈리아 노르웨이에서 점령군 병력을 끌어왔고 헝가리 방면으로 이동할 예정이었던 요제프 디트리히의 제6기갑군까지 끌어왔다. 이렇게 편성된 군을 바익셀 집단군이라고 이름지었다.

그러나 이 병력을 누가 지휘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히틀러와 구데리안 사이에 심각한 의견 충돌이 빚어졌다. 히틀러가 내세운 이 작전의 지휘관은 우습게도 군 경력이 고작 위관 후보생에 그쳤던 하인리히 힘러였고 이는 역전의 독일 장성들에게 비웃음거리밖에 되지 않았다. 구데리안은 발터 뱅크 기갑 대장을 밀었고 결국 힘러는 교체되었다.

소련군은 여러 경로로 첩보를 입수해 이미 독일의 작전 전모를 대략 알고 있었고 주코프는 이에 대비하기 시작했다. 양 군이 맞붙게 될 포메른 지방은 숲과 호수, 그리고 개천이 있었으나 대체로 기갑부대의 움직임에는 매우 유리한 지형이었다.

독일군은 공세를 위해 1,200대의 전차를 준비했으나, 이미 연합국의 폭격 때문에 이를 전장까지 수송할 열차가 크게 부족했다. 이 때문에 전장에 도착한 전차는 이보다 훨씬 적었다. 소련군도 1~2월의 공세에서 큰 손실을 보았으며 이미 동부전선 개전 이래의 인명피해가 누적된 바람에 보병 사단의 정원이 3,000명에서 4,000명까지 내려갈 정도라 명색이 사단급인 부대가 실제로는 조금 강화된 연대급의 전투력을 가지게 되었지만 총 병력 숫자는 독일군보다 훨씬 많았다.

독일군은 2월 15일에 공세를 시작했으나, 이미 대비가 되어있던 소련군의 저항 때문에 전진은 매우 느렸고 겨우 수 킬로미터 정도 전진하는데 그쳤다. 설상가상으로 판터 티거 같은 무거운 중전차들이 해빙기의 빙판과 진흙탕에서 제대로 굴러가지 못해서 진격에 방해가 되었다.[18] 이에 비해 넓은 궤도를 갖춘 소련군의 T-34 전차는 빙판에서 훨씬 잘 움직였다. 설상가상으로 지휘관이었던 뱅크가 교통사고를 당하는 바람에 2월 18일의 공세는 중단되었다.

독일군의 전진이 둔해지자 주코프는 2월 19일에 반격 작전을 개시하였다. 무장친위대가 주축이 된 독일군은 열심히 싸웠지만 중과부적으로 결국 많은 전차를 버려두고 후퇴하였다. 2월 24일에는 북쪽의 로코솝스키 전선군이 주코프의 반격을 지원하면서 선제공격을 날리려던 독일군은 참패하고 후퇴했다. 물론 이런 독일군의 공세가 아주 헛된 것은 아니었는데 스탈린과 주코프는 베를린으로 바로 진격하려던 원래 계획을 연기하고 그 동안 전선 우익의 잠재적인 위협을 제거하는 작전을 펼쳤다.

6. 포메른 공세

예상 외로 독일군의 저항이 거세자 소련군은 베를린으로 가는 진격로의 북방쪽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단치히 만을 포함한 포메른(폴란드명 포모제)와 서프로이센을 가로지르기 시작했다. 단치히(폴란드명 그단스크)는 2차 대전의 시발점인 폴란드 침공의 도화선이 된 도시였기 때문에, 이 도시의 점령은 매우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이 공세를 맡은 부대는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원수가 지휘하는 제2벨라루스 전선군이었다. 이 전선군은 100만의 대병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베를린으로 가는 주요 공세의 우익을 맡고 있었다. 서방 전사가들에게 에르빈 롬멜이나 조지 S. 패튼에 자주 비교되는 로코솝스키는 독일군에게 숨 돌릴 틈도 주지 않고 계속 밀어붙였다. 이에 맞서는 독일 제2군은 26개 사단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그 동안 워낙 병력 소모가 심했던 탓에 제대로 편제된 사단은 얼마 되지 않았다. 3월부터는 한숨 돌린 주코프가 지휘하는 남방의 제1벨라루스 전선군 일부가 로코솝스키의 공세를 지원했다.

결국 3월 28일에 단치히는 소련군에게 함락되었다. 독일군은 이 전투에서 3만 명의 전사자와 1만 명의 포로를 냈고, 독일 제2군은 거의 껍데기만 남고 비스와 강 서안으로 도피했으며 일부 부대는 단치히 만 북쪽에 있는 헬 반도라는 돌출부에 갇혔다.

7. 실레시아 공세

한편 베를린으로 가는 진격로의 좌익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니더슐레지엔(폴란드명 돌니실롱스크)에서는 이반 코네프 원수의 제1우크라이나 전선군이 2월부터 공세를 개시했다. 40만 명의 병력을 거느린 코네프 전선군은 니더슐레지엔을 돌파하고 오버슐레지엔으로 공세를 확대했다.

이 때 독일 A 집단군(중부 집단군이 이름을 바꾼 것)을 지휘하던 페르디난트 쇠르너는 소련측이 예상하지 못한 기습적인 반격 작전을 실시해 소련군을 일시적으로 격퇴하는 전과를 올렸다. 이 작전으로 쇠르너는 히틀러의 신임을 얻었고, 히틀러는 자살하기 며칠 전 쇠르너를 원수로 승진시키고 육군 총사령관에 임명한다(물론 그래봐야 며칠 못 갔다). 이 때 독일군은 사로잡은 소련군 포로를 모두 사살하는 전쟁범죄를 저지르기도 했다.

뜻밖의 공격에 움찔하기는 했지만 코네프는 재반격을 개시했고 독일군은 여기서 참패하여 후퇴했다. 이 전투에서 소련 측은 독일군 4만 명이 전사하고 14,000명이 포로로 잡혔다고 발표했다. 코네프군의 승리로 소련군은 A 집단군을 밀어붙이고 베를린으로 가는 진격로 좌익의 안전을 확보했다.

8. 결과

독일군은 매우 큰 피해를 입었다. A집단군(중부집단군) 포로만 14만 7천명이 붙잡혔으며 독일군 사단 50개 이상이 전멸하거나 전멸 직전에 몰렸다. A집단군이 삭제되면서 북쪽의 바익셀 집단군과 남쪽의 중부집단군도 소련군의 거센 공격에 직면했다. 소련군도 전사 43,251명, 부상 149,874명, 전차 1,267대, 대포 374문, 항공기 343기를 잃었지만 소련 입장에서는 얼마든지 보충할 수 있는 피해였다. 작전이 소강 상태에 이른 2월 소련군은 베를린으로부터 동쪽으로 불과 80km 떨어진 곳까지 진격했다. 이제 베를린을 목전에 둔 것이다. 대공세에 투입된 게오르기 주코프 원수의 제1벨라루스 전선군은 베를린 공방전의 시작으로 여겨지는 젤로 고지 전투에 투입되었으며 끝내 베를린을 점령하는 영광을 누리게 된다.[19]

전략적으로도 매우 큰 피해를 입었다. 독일이 연합군의 공습을 피해 폴란드 곳곳에 재배치한 공업 시설의 대부분을 잃어버리게 되었다. 미-영 연합군의 폭격기 공습에 독일 본토 군수공장들도 제대로 가동을 못하는 상황에서 폴란드를 완전히 소련에게 내어준 것은 독일 군수 공업에 대한 사형 선고나 다름없었다.[20]

동부전선에서 동포들을 유린한 나치와 독일인에 대한 복수심으로 가득 찬 소련군, 그리고 5년간 점령과 학살을 당해 눈이 돌아갔던 현지 폴란드인들을 피해, 많은 독일계 민간인들이 동프로이센과 오데르 강 동쪽을 버리고 피난해야만 했다. 문제는 동프로이센에 소련군이 쇄도할 때까지 주민들을 타 지역으로 대피시키기는 커녕 피난을 금지한 나치 독일의 뻘짓 때문에 뒤늦게 피난길에 오른 독일 민간인들의 고생이 가중되었다는 것이다. 게다가 피난길 와중에 소련군과 서방 연합군 전투기의 기총소사나 잠수함의 공격을 받아 많은 이들이 죽었다. 빌헬름 구스틀로프호 침몰사고도 이때 발생했다.

독소전쟁 초기에 인종청소라는 미명 하에 엄청난 피해를 입었던 소련군은 복수심에 가득 차 독일 민간인들의 재산을 약탈하고 살해하거나 강간했고 소련군 지휘부는 이를 은근히 조장하거나 묵인했다. 그러나 이는 독일인의 소련군에 대한 공포심을 증폭시키는 나치 선전에 이용되었고, 독일군은 '이길텐가, 시베리아에 갈테냐?'(Sieg oiler Siberien)라는 표어를 내걸고 종전까지 끝까지 완강히 저항하였다. 한편 180만 명의 민간인이 배를 이용하여 독일 본토, 또는 남아메리카 피난을 시도했고, 그 와중에 30만 명이 사망했다고 추정된다. 소련군도 장병들에 의한 약탈과 성범죄의 심각성을 느끼고 즉시 단속에 나서 범죄자들을 처벌하고 식량 배급을 실시하는 등 소련에 대한 반감이 강해진 독일인들의 민심을 잡으려고 애를 썼다.[21]

이 공세를 통해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가 나치 독일의 손아귀에서 해방되었다. 하지만 소련은 폴란드 국내군을 비롯한 현지 혁명군의 의사를 무시했고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에 소련의 지시를 받는 사회주의 정권을 세우며 이들을 위성국가로 만들었다. 전후 소련, 폴란드 정부는 새로 할양받은 영토 안에서, 체코슬로바키아 정부는 기존 영토 안에 살던 독일인들을 쫓아내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수많은 독일계 실향민들이 동독이나 서독으로 넘어왔다.

공세 이후 오데르-나이세 선 이동지역은 폴란드령이 되었다. 소련의 위성국이었던 동독은 전후 재빠르게 새로운 국경을 수용했으나 서독은 이러한 조치에 반발했다. 하지만 서독 정부 역시 1970년대 빌리 브란트 총리의 동방 정책 이후 실질적으로 미수복 영토에 대해 외교 분쟁을 만들지 않았으며 1990년 독일 통일 과정에서 동방 영토에 대한 완전한 포기를 천명하였다.

9. 기타

동프로이센 전선에서 이반 체르냐홉스키는 동프로이센 주둔 소련군 최고사령관에 임명되었으나, 2월에 공세 준비를 시찰하던 중 독일군이 쏜 포탄의 파편에 맞아 전사했다. 독소전쟁 개전시 대령에 불과했으나, 눈부신 재능과 혁혁한 전공으로 불과 37세에 전선군 사령관 겸 대장까지 오르며 소련군 역사상 최연소 대장을 찍은 천재적 군인의 허망한 죽음이었다. 신은 천재를 너무 사랑한다… 이후 제3벨라루스 전선군은 총참모장이었던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원수가 지휘하였다.[22]

한편 스탈린이 전선 우익과 좌익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베를린 공세를 미룬 것에 대해, 종전 후 여러 가지로 논쟁이 있었다. 스탈린의 병적인 조심성 때문에 전쟁을 훨씬 일찍 끝낼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는 설이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남방에서 진격 중이던 제2, 제3우크라이나 전선군이 헝가리와 오스트리아를 먹을 수 있는 시간을 벌어서 소련에게 정치적인 이익을 주었다는 설도 있다.

소련이 2차 세계대전을 일으킨다는 내용의 대체역사 RTS 게임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에서는 소련군 캠페인 2번째 미션이 이 전투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당연하지만 여기 소련군은 실제 역사의 나치 독일군 포지션이다.

소련군으로 싸운 미군 101공수 조셉 베얼 하사가 소련군에 합류한게 이 공세 시기로 바르샤바 전투 중후반 즈음이다. 그는 독일-폴란드 국경의 수용소에서 바르샤바까지 육로로 이동하였으며, 이후 진격 중이던 인류 역사상 첫 여성 전차장 알렉산드라 그리고리예브나 사무센코의 소속 전차대대 앞으로 돌진해 럭키세븐 담배를 손에 들고 자신이 미군임을 밝힌 후 대대에 합류할 것을 청했고, 그녀가 받아주어 상부로부터 렌드리스 셔먼을 받아 타고 사무센코와 함께 자신이 수감되었던 수용소까지 진격, 해방해버리는 쾌거를 이룩하였다.

이후 그는 전투 중 슈투카로 추정되는 공습으로 중상을 당해 바르샤바 소련 야전병원으로 이송돼 주코프를 만나 면담을 가진 뒤 미국 귀국길에 올랐으며 이후 미국으로 돌아가 자신의 전사 기록을 생존으로 고치고, 종전을 맞아, 전후 결혼도 하고 브런즈윅 사에 취직해 선적 감독직을 맡아 보다가 1994년 미러 양측 대통령으로부터 노르망디 상륙 직후 사보타주 참가와 수감후 두번째 탈출에서 성공하여 소련군에 합류, 비스와-오데르 공세에 자진 참전하여 바르샤바 해방전에 참가하고, 수용소 1개소를 해방한 그 혁혁한 공로에 대한 훈장들을 받았으며, 2004년 12월 12일 조지아 주 토코아에서 2차 대전 연합국간의 협력의 상징과도 같은 그 영광스러운 생을 마감했다.

조셉 베얼 하사와 달리 사무센코는 종전을 보지 못했다. 그녀는 3월 3일 췰체피르츠(Zülzefirz)[23]에서 전사했다.
[1] 전투병 1,565,000명 [2] 작전 중 1,136대로 증강 [3] 독일 측 피해는 소련군의 주장이다. [4] 폴란드어 명칭으로 영어식으로는 비스툴라(Vistula), 독일어식으로는 바익셀(Weichsel) 강이라고 한다. [5] 원어 Oder는 독일식 명칭인데, 정작 독일어 발음상으로는 오데르가 아닌 오더라는 표기가 정확하다. 폴란드어식로는 오드라 강이라고 한다. [6] D-데이에서 3달 정도 지난 마켓 가든 작전 당시 서유럽엔 이미 1백만 이상의 연합군이 들어와 있었고, 매 순간순간 계속 들어오는 중이었다. 겨우 1개 야전군 규모로 포위기동을 시도해도 포위는 커녕 잘못하면 역포위 섬멸을 당할 처지였다. 심리전과 날씨를 이용한 기습으로 그나마 공세라도 시도할 수 있었던 것이다. [7] 전선군의 순서는 북쪽부터이다. [8] 독일군은 1월 25일 기점으로 3개 집단군의 명칭이 바뀌었다. 북부 집단군은 쿠를란트 집단군, 중부 집단군은 북부 집단군, A 집단군은 중부 집단군으로 바뀌었는데 이 공세에 참여하던 병력 중에 중부 집단군이 겹치기 때문에 주의해야한다. 야전군의 순서는 북쪽부터이다. [9] 1월 25일부터 북부 집단군으로 개칭 [10] 북부 집단군으로 개칭되면서 로타르 렌둘릭 상급대장으로 바뀌었다. [11] 1월 25일부터 중부 집단군으로 개칭 [12] 1월 12일부터 17일까지는 조셉 하르프 상급대장, 중부 집단군으로 개칭되고도 쇠르너가 지휘했다. [13] Генерал армии [14] 영문 위키피디아는 220만 여명으로 추산함을 참고할 것. [15] 영문 위키피디아는 45만 여명으로 추산함을 참고할 것. [16] 오스트리아와 주데텐란트는 점령지가 아닌 독일 본토의 일부로 취급되었다. [17] 지점이란 태양의 남중 고도가 가장 높거나 낮은 때를 말한다. 일년에 두 번 있는 동지와 하지를 통틀어 가리키는 단어이다. [18] 사실 독일 중전차들은 초기 동부전선에서의 전훈을 반영, 광폭 궤도를 갖추어 의외로 진흙탕에서 잘 굴러가는 편이었다. 미군 전차병들의 회고에서도 망할 판터 놈들이 셔먼이라면 절대 들어가지 못했을 진흙탕을 건너와 아군을 전멸시켰다는 회고가 있을 정도이다. 다만 동부전선에서는 T-34가 판터의 절반을 좀 넘는 무게에 대등한 폭의 궤도를 달고 나온 괴물이라 부족해 보일 뿐이다. [19] 다만 주코프는 젤로 고지 전투에서 소련이 독일에 당한 마지막 패배로 여겨질 정도로 졸전했다. 물론 독일군은 젤로 고지 전투에서 분전했다고 1:10에 달하는 열세를 뒤집을 순 업었으며 젤로 고지가 뚫리자 베를린행 고속도로가 활짝 열리게 되었다. [20] 출처: 데이비드 M.글랜츠 '독소전쟁사', 324p [21] 단순히 독일인들의 민심을 사기 위한 것 뿐만이 아니라, 베를린 전투를 비롯한 독일 영내 전투, 그리고 점령 이후에도 소련군의 비행에 분노한 독일인들이 소련 점령군들에게 테러 및 저항을 벌였기 때문이다. 또한 점령군이라 하더라도 점령지를 안정적으로 통치하려면 현지인들의 협조를 얻어야하는 것이 당연한데다가 서방 연합국의 눈치도 봐야 했기 때문에 소련 군부가 병사들의 전쟁범죄를 강하게 단속했다. [22] 바실렙스키는 훗날 소련이 막판에 참전하는 대일전선의 총 지휘관이다. [23] 현 폴란드 술리셰비체(Suliszew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