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9 23:45:50

프리데리쿠스 II 작전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 | 유럽/아프리카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8px; word-break: keep-all"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둘러보기 : 아시아 및 태평양 전선 전투목록
전투 이름 교전 국가 및 세력
<rowcolor=#FFF> 공격 측 방어 측
<colbgcolor=#b31c31> 폴란드 침공
단치히 우체국 방어전
바르샤바 전투
비츠나 전투
브주라 전투
겨울전쟁
콜라 전투
가짜 전쟁
노르웨이 침공
프랑스 침공
아라스 전차전
됭케르크 철수작전
이탈리아의 프랑스 침공
북아프리카 전역
몰타 항공전
칼라브리아 해전
영국 본토 항공전
독수리의 날
유고슬라비아 침공
그리스 침공
타란토 공습
마타판곶 해전
라인 연습 작전
크레타 섬 전투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바르바로사 작전
브레스트 요새 방어전
발트해 전역
브로디 전투
비아위스토크-민스크 전투
계속전쟁
은색 여우 작전
뮌헨 작전
제1차 스몰렌스크 전투
우만 전투
모스크바 폭격
제1차 키예프 전투
페르시아 침공
레닌그라드 공방전
뱌지마-브랸스크 포위전
모스크바 공방전
툴라 전투
세바스토폴 공방전
로스토프 전투
알렉산드리아 습격
류반 공세
르제프 전투
데미얀스크 전투
영불 해협 돌파작전
마다가스카르 전투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
제2차 하리코프 공방전
류반 구원 작전
빌헬름 작전
프리데리쿠스 작전
청색 작전
보로네시 전투
엘 알라메인 전투
PQ-17 호송선단 전투
자이들리츠 작전
칼라치 전투
제1차 르제프-시쵸브카 공세
디에프 상륙작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횃불 작전
튀니지 전투
천왕성 작전
벨리키예루키 전투
화성 작전
겨울폭풍 작전
바렌츠 해 해전
콜초 작전
이스크라 작전
제3차 하리코프 공방전
쿠르스크 전투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쿠투조프 작전
플로이에슈티 공습
제4차 하리코프 공방전
제2차 스몰렌스크 전투
드네프르 강 전투
도데카니사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슈바인푸르트 공습
제2차 키예프 전투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노스케이프 해전
몬테카시노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안치오 상륙 작전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나르바 전투
비텝스크 공세
논쟁 작전
카메네츠-포돌츠크 포위전
노르망디 상륙작전
빌레르보카쥬 전투
바그라티온 작전
레지차-드빈스크 공세
프스코프-오스트로프 공세
리보프-산도미에시 작전
타넨베르크 선 전투
바르샤바 봉기
타르투 공세
팔레즈 포위전
용기병 작전
도펠코프 작전
제2차 야시-키시네프 공세
슬로바키아 민족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슬로바키아 봉기군
동부 카르파티아 공세
라플란드 전쟁
베오그라드 공세
휘르트겐 숲 전투
마켓 가든 작전
아헨 전투
판처파우스트 작전
굼비넨 작전
벌지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부다페스트 공방전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보덴플라테 작전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동프로이센 공세
한니발 작전
하부 슐레지엔 공세
드레스덴 공습
남풍 작전
봄의 새싹 작전
상부 슐레지엔 공세
연합군의 독일 본토 침공
텍셀 봉기
파일:Georgische_Legion.png 조지아 군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저항군
베를린 공방전
오드자크 전투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공화국
이터 성 전투 파일:슈츠슈타펠 깃발.svg 항전파 무장친위대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저항군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VIP
프라하 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저항군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

프리데리쿠스 II 작전
독일어: Unternehmen Fridericus
영어: Operation Fridericus II
제2차 세계 대전 동부전선의 일부
파일:프리데리쿠스 작전 배치도.jpg
▲ 이지움 돌출부를 제거하려는 독일 육군 제1기갑군
시기
1942년 6월 22일 ~ 26일
장소
쿠퍈스크- 이지움 일대의 소련군 돌출부
교전국 [[틀:깃발|]][[틀:깃발|]][[소련|]]
지휘관 [[틀:깃발|]][[틀:깃발|]][[세묜 티모셴코|]]
(남서 전선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키릴 모스칼렌코|]]
(제38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페도르 폰 보크|]]
(남부 집단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에발트 폰 클라이스트|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
]]
(제1기갑군 사령관)
결과
소련군의 패배
영향
독일 육군 제1기갑군의 하계 공세 준비 완료
피해 규모 포로 22,800명
야포 150문
전차 100대

1. 개요2. 전투 서열
2.1. 독일군2.2. 소련군
3. 전개4. 결과

[clearfix]

1. 개요

프리데리쿠스 II 작전은 제6군이 진행한 빌헬름 작전과 함께 하계 공세 이전에 선행한 2개의 공세 중 하나이며 목표는 이지움 돌출부 제거였다. 공세 결과, 9군과 38군을 밀어내고 큰 타격을 입히면서 차후 공세에서 유리한 시작 지점을 차지하는데는 성공했지만 소련군이 이전과 달리 무작정 전선을 고수하는 것이 아니라 포위되기 전에 미리 퇴각하면서 예상만큼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는 못했다.

2. 전투 서열

2.1. 독일군[1]

  • 남부 집단군 ( 사령관 : 페도르 폰 보크 원수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기갑군 ( 사령관 :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 상급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예비
    • 제1산악사단
    • 제454보안사단
  • 제3기갑군단[2] ( 사령관 : 레오 슈베펜부르크 기갑대장 )
  • 제14기갑군단[4]
  • 스트레커 그룹[5]
    • 제11군단
      • 루마니아 제2보병사단
    • 루마니아 제6군단
      • 루마니아 제1보병사단
      • 루마니아 제4보병사단
      • 루마니아 제20보병사단
  • 제44군단
    • 제68보병사단
    • 제97경보병사단
    • 제101경보병사단
    • 제257보병사단
  • 제51군단[6]
    • 제297보병사단
    • 제71보병사단
    • 제44보병사단
    • 제62보병사단

    }}}
    }}}

2.2. 소련군[7]

  • 남서 전선군 ( 사령관 : 세묜 티모셴코 소연방 원수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9군 ( 사령관 : 안톤 로파틴 중장[8]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5기병군단
    • 제30기병사단
    • 제34기병사단
    • 제60기병사단
  • 제51소총사단
  • 제81소총사단
  • 제106소총사단
  • 제140소총사단
  • 제255소총사단
  • 제296소총사단
  • 제318소총사단
  • 제333소총사단
  • 제18전투항공여단
  • 제19전투항공여단
  • 제12전차여단
  • 제633혼성항공연대
    }}}
  • 제38군 ( 사령관 : 키릴 모스칼렌코 포병소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2전차군단
    • 제3전차여단
    • 제13전차여단
    • 제36전차여단
  • 제162소총사단
  • 제199소총사단
  • 제242소총사단
  • 제277소총사단
  • 제278소총사단
  • 제304소총사단
  • 제133전차여단
  • 제156전차여단
  • 제159전차여단
  • 제168전차여단
  • 제22차량화소총여단
  • 제282혼성항공연대
    }}}
    }}}

3. 전개

빌헬름 작전이 마무리되자마자 히틀러는 프리데리쿠스 II 작전의 시작일을 17일로 정하고 청색 상황의 첫 단계인 블라우 I을 6월 23일에 시작하도록 명령했다. 이는 제2차 하리코프 공방전 이후로 세바스토폴에서 철갑상어 사냥 작전[9]에 집중하고 있는 루프트바페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가장 빠른 날짜였다. 그러나 계속되는 폭우로 공세는 20일로 밀렸다가 다시 22일로 밀렸으며 세바스토폴 공략도 지지부진해지면서 루프트바페의 지원을 기다리는 블라우 I도 계속 일정이 밀렸다.

빌헬름 작전이 마무리되고 제3차량화군단[10]이 6월 17일에 6군에서 1기갑군으로 이관됐고 제51군단도 잠시 1기갑군에 임시 배속됐다. 1기갑군은 두 군단 남쪽에 14차량화군단[11], 스트레커 그룹[12], 44군단을 배치했다. 공세의 주요 공격 축선은 북쪽의 3기갑군단과 남쪽의 44군단이었다.
파일:프리데리쿠스 2 작전 진행도.jpg
▲ 프리데리쿠스 II 작전을 진행하는 제1기갑군

22일에 작전이 시작됐고 3기갑군단의 3개 기갑사단은 동쪽의 쿠퍈스크로 진격했다. 44군단은 남쪽의 이지움에서 도네츠 강을 건너 오스콜 강(Oskol)을 향해 공세를 시작했다. 순조롭게 진격한 3기갑군단의 3개 사단은 23일에 남쪽으로 방향을 틀었고 그 날 저녁, 16기갑사단은 쿠퍈스크를 점령했다. 24일 밤이 되자 3기갑군단의 선봉인 22기갑사단과 44군단의 선봉인 101경보병사단이 고로호바트카(Gorokhovatka)에서 만나면서 포위망이 완성됐고 26일까지 포위망 내부가 소탕됐다.

4. 결과

빌헬름 작전과 함께 두 번의 공세는 하계 공세 시작 이전에 남서 전선군의 전선을 붕괴시켰으며 6군과 1기갑군은 오스콜 강에 도달해 각각 블라우 II[13] 작전과 블라우 III[14] 작전 개시선에 도달했다. 그러나 야전 사령관들의 만족과 달리 OKH에서는 불안함을 나타냈는데 이는 두 작전 모두 소련군이 전선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약하게 저항만 하고 후방으로 퇴각하여 전선을 재구축하려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프리데리쿠스 작전 중에도 소련군은 포위될 위험에 빠지자 티모셴코가 23일에 퇴각을 명하면서 2개 야전군을 포위 한 것 치고는 포로를 별로 잡지 못했다.


[1] 7월 4일 기준 [2] 6월 21일에 차량화군단에서 기갑군단으로 개칭 [3] 정식 명칭은 상급집단지도자로 실제 진급은 1944년 7월이지만 소급해서 기록 상 1942년 5월 진급이다. 당시 계급은 집단지도자로 독일 병과대장, 소련 상장, 서방권 중장과 동급이다. [4] 6월 21일에 차량화군단에서 기갑군단으로 개칭 [5] 11군단이 루마니아 6군단을 임시로 지휘 [6] 7월 4일 시점에서는 다시 6군으로 돌아왔으며 작전 중에만 임시로 1기갑군에 배속되었다. [7] 7월 1일 기준 [8] 6월 24일부터 지휘 [9] 스퇴르팡 작전 [10] 6월 21일에 기갑군단으로 개칭 [11] 6월 21일에 기갑군단으로 개칭 [12] 11군단과 루마니아 6군단 [13] 클라우제비츠 작전 [14] 뎀프시해머 작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