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0 12:53:43

보로네시 전투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 | 유럽/아프리카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8px; word-break: keep-all"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둘러보기 : 아시아 및 태평양 전선 전투목록
전투 이름 교전 국가 및 세력
<rowcolor=#FFF> 공격 측 방어 측
<nopad> 1939년
<colbgcolor=#b31c31> 폴란드 침공
베스테르플라테 전투
단치히 우체국 방어전
바르샤바 전투
비츠나 전투
브주라 전투
겨울전쟁
수오무살미 전투
콜라 전투
<nopad> 1940년
가짜 전쟁
노르웨이 침공
프랑스 침공
아라스 전차전
됭케르크 철수작전
이탈리아의 프랑스 침공
북아프리카 전역
몰타 항공전
칼라브리아 해전
영국 본토 항공전
독수리의 날
유고슬라비아 침공
그리스 침공
타란토 공습
<nopad> 1941년
마타판곶 해전
라인 연습 작전
크레타 섬 전투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바르바로사 작전 (독소전쟁)
브레스트 요새 방어전
발트해 전역
브로디 전투
비아위스토크-민스크 전투
계속전쟁
은색 여우 작전
뮌헨 작전
제1차 스몰렌스크 전투
우만 전투
모스크바 폭격
제1차 키예프 전투
페르시아 침공
레닌그라드 공방전
뱌지마-브랸스크 포위전
모스크바 공방전
툴라 전투
세바스토폴 공방전
로스토프 전투
알렉산드리아 습격
<nopad> 1942년
류반 공세
르제프 전투
데미얀스크 전투
영불 해협 돌파작전
마다가스카르 전투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
제2차 하리코프 공방전
류반 구원 작전
빌헬름 작전
프리데리쿠스 작전
청색 작전
보로네시 전투
엘 알라메인 전투
PQ-17 호송선단 전투
자이들리츠 작전
칼라치 전투
제1차 르제프-시쵸브카 공세
비르벨빈트 작전
디에프 상륙 작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횃불 작전
튀니지 전투
천왕성 작전
벨리키예루키 전투
화성 작전
겨울폭풍 작전
바렌츠 해 해전
<nopad> 1943년
북캅카스 공세
콜초 작전
이스크라 작전
보로네시-하리코프 공세
스카쵸크 작전
제3차 하리코프 공방전
쿠르스크 전투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쿠투조프 작전
제1차 돈바스 공세
므가 공세
플로이에슈티 공습
제4차 하리코프 공방전
제2차 스몰렌스크 전투
브랸스크 공세
드네프르 강 전투
도데카니사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무솔리니 구출 작전
슈바인푸르트 공습
제2차 키예프 전투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노스케이프 해전
<nopad> 1944년
칼린코비치-모지리 공세
몬테카시노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안치오 상륙 작전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나르바 전투
비텝스크 공세
논쟁 작전
로가체프-즐로빈 공세
카메네츠-포돌츠크 포위전
노르망디 상륙작전
빌레르보카쥬 전투
바그라티온 작전
레지차-드빈스크 공세
프스코프-오스트로프 공세
리보프-산도미에시 작전
루블린-브레스트 작전
타넨베르크 선 전투
바르샤바 봉기
타르투 공세
팔레즈 포위전
용기병 작전
도펠코프 작전
제2차 야시-키시네프 공세
슬로바키아 민족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슬로바키아 봉기군
동부 카르파티아 공세
발트해 공세
라플란드 전쟁
베오그라드 공세
휘르트겐 숲 전투
마켓 가든 작전
아헨 전투
판처파우스트 작전
굼비넨 작전
벌지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부다페스트 공방전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nopad> 1945년
보덴플라테 작전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동프로이센 공세
한니발 작전
하부 슐레지엔 공세
드레스덴 공습
남풍 작전
봄의 새싹 작전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
상부 슐레지엔 공세
연합군의 독일 본토 침공
텍셀 봉기
파일:Georgische_Legion.png 조지아 군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저항군
삼란드 공세
베를린 공방전
오드자크 전투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공화국
이터 성 전투 파일:슈츠슈타펠 깃발.svg 항전파 무장친위대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저항군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VIP
프라하 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저항군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
{{{#!wiki style="margin:-15px -10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파일:돈강 도하하는 독일군.jpg
파일:보로네시에 진입하는 독일군_1942.jpg
돈강 동안으로 도하하는 독일군 보로네시 시내로 진입하는 독일군 }}}
보로네시 전투
러시아어: Воронежско-Ворошиловградская операция[1]
독일어: Blau I[2]/Unternehmen Braunschweig[3]
영어: Battle of Voronezh
제2차 세계 대전 동부전선의 일부
청색 상황의 일부
파일:돈강으로 진격하는 독일군_1942.jpg
▲ 청색 상황의 첫 단계로 보로네시와 돈강으로 진군하는 독일군[4]
날짜
1942년 6월 28일 ~ 7월 24일
장소
소련 러시아 SFSR 보로네시 돈강 일대
교전국 [[틀:깃발|]][[틀:깃발|]][[소련|]]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지휘관 [[틀:깃발|]][[틀:깃발|]][[게오르기 주코프|]]
(총군부사령관)
[[틀:깃발|]][[틀:깃발|]][[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
(총참모장)
[[틀:깃발|]][[틀:깃발|]][[니콜라이 바투틴|]]
( 스타프카 대리)
[[틀:깃발|]][[틀:깃발|]][[니칸드르 치비소프|
니칸드르 치비소프
]]
(브란스크 전선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필리프 골리코프|]]
(보로네시 전선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세묜 티모셴코|]]
(남서 전선군 사령관)[5]
[[틀:깃발|]][[틀:깃발|]][[막시밀리안 폰 바익스|
막시밀리안 폰 바익스
]]
(B집단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페도르 폰 보크|]]
(남부 집단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틀:깃발|]] 알렉산더 뢰어
(제4항공함대 사령관)
[[틀:깃발|]][[틀:깃발|]][[프리드리히 파울루스|
프리드리히 파울루스
]]
(제6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헤르만 호트|]]
(제4기갑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볼프람 폰 리히트호펜|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
]]
(제8항공군단 사령관)
결과
소련의 패배
독일 국방군의 보로네시 점령
소련군이 돈강 동안으로 밀려남
영향
1942년 하계 공세의 시작
독일 국방군의 진격로 측면 안전 확보
소련군의 비교적 성공적인 퇴각
전력 군인 1,310,800명
- 브란스크 전선군 169,000명
- 남서 전선군 610,000명
- 남부 전선군 522,500명
군인 975,000명
전차 약 1,500대
항공기 약 1,200기
피해 규모 전사/실종 370,522명[6]
부상 197,825명[7]
야포 13,716문
전차/자주포 2,436대
항공기 783기
전사/실종 19,000명
부상 75,500명
항공기 175기

1. 개요2. 1942년 7월의 남부 전선
2.1. 독일군2.2. 소련군
3. 전투 서열
3.1. 독일군3.2. 소련군
4. 전개
4.1. 브라운슈바이크 작전4.2. 클라우제비츠 작전
5. 결과6. 영향7. 여담

[clearfix]

1. 개요

보로네시 전투는 스탈린그라드 전투로 이어지는 청색 작전의 첫 단계로, 독일군은 보로네시를 점령하여 진격로 측면 안전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보로네시에서 소련군의 저항이 생각보다 거센 탓에 예정 시간보다 상당히 지체되었으며 그 결과 보로네시 전선군은 장비와 인력을 비교적 성공적으로 퇴각시켜 방어선을 구축하였다. 남서 전선군 역시 포위되는 것을 피해 질서 있게 후방으로 후퇴하는 데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독일 남부 집단군은 두 개의 집단군으로 분할되었고 B집단군은 돈강을 따라 스탈린그라드로 진군하는 피슈라이허 작전(Operation Fischreiher)을 진행하고 A집단군은 캅카스로 진군하는 에델바이스 작전(Operation Edelweiß)을 진행하게 된다.

2. 1942년 7월의 남부 전선

2.1. 독일군

청색 상황의 첫 단계는 돈강까지 도달하여 진격로 측면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제4기갑군과 2군은 보로네시로 헝가리 제2군과 6군은 평행하게 돈강으로 진군하게 된다.

2.2. 소련군

소련군은 제2차 하리코프 공방전에서 20만 명이 넘는 병력을 날려버린데다가 전선에 구멍까지 뚫려버려 최악의 상황이었다. 소련군은 3개 전선군 휘하 74개 소총사단과 6개 전차군단, 37개 여단을 비롯해 약 130만 명의 병력을 보유중이었다. 표면적으로는 대군이지만 대전차포, 대공포, 중포, 항공전력, 기갑전력 등 보병 빼고는 뭐 하나 제대로 된 것이 없는 총체적 난국이었다.

3. 전투 서열

3.1. 독일군[8][9]

  • 남부 집단군 ( 사령관 : 페도르 폰 보크 원수[10]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바익스 군집단 ( 사령관 : 막시밀리안 폰 바익스 상급대장[11] )[1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군집단 예비[1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헝가리 제1기갑사단
  • 헝가리 제19사단
    }}}
  • 제2군 ( 사령관 : 막시밀리안 폰 바익스 상급대장[14]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55군단
    • 제383보병사단[15]
    • 제299보병사단
    • 제1SS보병사단
    • 제45보병사단
    • 제95보병여단

    }}}
  • 제4기갑군 ( 사령관 : 헤르만 호트 상급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예비
    • 제16기갑사단
  • 제13군단 ( 사령관 : 에리히 스트라우베 보병대장 )
    • 제385보병사단
    • 제82보병사단
    • 제88보병사단
    • 제340보병사단[16]
  • 제24기갑군단 ( 사령관 : 빌리발트 폰 랑게르만 운트 에를렌캄프 기갑대장)
    • 제11기갑사단[17]
    • 제9기갑사단
    • 제3차량화보병사단
    • 제377보병사단
    • 제387보병사단[18]
  • 제48기갑군단 ( 사령관 : 베르너 켐프 기갑대장 )
    • 그로스도이칠란트 차량화보병사단
    • 제24기갑사단
    • 제16차량화보병사단

    }}}
  • 헝가리 제2군
    }}}
  • 제6군 ( 사령관 : 프리드리히 파울루스 상급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예비
    • 제323보병사단
  • 제29군단
    • 제168보병사단[19]
    • 제57보병사단
    • 제75보병사단
  • 제8군단
    • 제389보병사단
    • 제305보병사단
    • 제376보병사단
  • 제40기갑군단 ( 사령관 : 게오르그 슈툼메 기갑대장 )
    • 제100엽병사단
    • 제336보병사단
    • 제3기갑사단[20]
    • 제23기갑사단[21]
    • 제29차량화보병사단[22]
  • 제17군단 ( 사령관 : 카를-아돌프 훌리트 보병대장[23] )
    • 제113보병사단
    • 제79보병사단
    • 제294보병사단
  • 제51군단
    • 제297보병사단
    • 제71보병사단
    • 제44보병사단
    • 제62보병사단[24]
    • 제384보병사단[25]

    }}}
    }}}
  • 제4항공함대 ( 사령관 : 알렉산더 뢰어 상급대장[26]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항공군단
  • 제8항공군단 ( 사령관 :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 상급대장[27] )
  • 루마니아 제1항공군단
  • 제1대공포군단
  • 제6대공포여단
  • 제17항공관구
  • 키예프 항공관구
  • 로스토프 항공관구
  • 남부집단군 항공사령부
    }}}

3.2. 소련군[28][29][30]

  • 브란스크 전선군 ( 사령관 : 필리프 골리코프 중장 -> 니칸드르 치비소프 중장[31]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선군 직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7기병군단
    • 제11기병사단
    • 제17기병사단
    • 제83기병사단
  • 제8기병군단
    • 제21기병사단
    • 제112기병사단
  • 제1전차군단
    • 제1근위전차여단
    • 제49전차여단
    • 제89전차여단
    • 제1차량화소총여단
  • 제4전차군단
    • 제45전차여단
    • 제47전차여단
    • 제102전차여단
    • 제4차량화소총여단
  • 제16전차군단
    • 제107전차여단
    • 제109전차여단
    • 제164전차여단
    • 제15차량화소총여단
  • 제17전차군단
    • 제66전차여단
    • 제67전차여단
    • 제174전차여단
    • 제31차량화소총여단
  • 제24전차군단
    • 제4근위전차여단
    • 제54전차여단
    • 제130전차여단
    • 제24차량화소총여단
  • 제1근위소총사단
  • 제284소총사단
  • 제106소총여단
  • 제135소총여단
  • 제2전투항공사단
    }}}
  • 제3군
  • 제48군
  • 제13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32소총사단
  • 제148소총사단
  • 제143소총사단
  • 제15소총사단
  • 제106소총여단
  • 제109전차여단
  • 제129전차여단
    }}}
  • 제40군[3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6소총사단
  • 제45소총사단
  • 제62소총사단
  • 제121소총사단
  • 제160소총사단
  • 제111소총여단
  • 제119소총여단
  • 제141소총여단
  • 제14전차여단
  • 제170전차여단
    }}}
  • 제5전차군[3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340소총사단
    • 제19전차여단
  • 제2전차군단
    • 제26전차여단
    • 제27전차여단
    • 제148전차여단
    • 제2차량화소총여단
  • 제11전차군단
    • 제53전차여단
    • 제59전차여단
    • 제160전차여단
    • 제12차량화소총여단

    }}}
  • 제2항공군[3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05전투항공사단
    • 제206전투항공사단
    • 제266전투항공사단
    • 제208야간폭격항공사단
    • 제233폭격항공사단
    • 제225돌격항공사단
    • 제227돌격항공사단
    • 제267돌격항공사단

    }}}
  • 제15항공군[3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113폭격항공사단
    • 제225돌격항공사단
    • 제284야간폭격항공사단
  • 1근위전투항공군단
    • 제3근위전투항공사단
    • 제4근위전투항공사단
  • 제3돌격항공군단
    • 제307돌격항공사단
    • 제308돌격항공사단

    }}}
}}}
  • 보로네시 전선군[36][37] ( 사령관 : 필리프 골리코프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선군 직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93소총사단
  • 제258소총사단
  • 제260소총사단
  • 제13 NKVD 차량화소총사단
  • 제115전차여단
  • 제116전차여단
    }}}
  • 제6군[3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전차군단
    • 제45전차여단
    • 제47전차여단
    • 제102전차여단
    • 제4차량화소총여단
  • 제24전차군단
    • 제4근위전차여단
    • 제54전차여단
    • 제130전차여단
    • 제24차량화소총여단
  • 제24근위소총사단
  • 제160소총사단
  • 제174소총사단
  • 제129소총사단
  • 제309소총사단
  • 제1전투항공사단
    }}}
  • 제60군[3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7전차군단
    • 제66전차여단
    • 제67전차여단
    • 제174전차여단
    • 제31차량화소총여단
  • 제18전차군단
    • 제110전차여단
    • 제180전차여단
    • 제181전차여단
    • 제18차량화소총여단
  • 제25전차군단
    • 제111전차여단
    • 제162전차여단
    • 제175전차여단
    • 제16차량화소총여단
  • 제107소총사단
  • 제121소총사단
  • 제159소총사단
  • 제161소총사단
  • 제195소총사단
  • 제232소총사단
  • 제303소총사단
    }}}
  • 제40군[4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6소총사단
  • 제100소총사단
  • 제141소총사단
  • 제206소총사단
  • 제111소총여단
  • 제14전차여단
  • 제170전차여단
    }}}
  • 제2항공군[4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05전투항공사단
  • 제207전투항공사단
  • 제208야간폭격항공사단
  • 제223폭격항공사단
  • 제227돌격항공사단
  • 제267돌격항공사단
    }}}
}}}
  • 남서 전선군[42] ( 사령관 : 세묜 티모셴코 소연방 원수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선군 직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3근위기병군단
    • 제5근위기병사단
    • 제6근위기병사단
    • 제32기병사단
  • 제14전차군단
    • 제138전차여단
    • 제139전차여단
  • 제9근위소총사단
  • 제103소총사단
  • 제244소총사단
  • 제300소총사단
  • 제1전투항공사단
  • 제57전차여단
  • 제58전차여단
  • 제84전차여단
  • 제86전차여단
  • 제158전차여단
  • 제176전차여단
  • 제21차량화소총여단
    }}}
  • 제28군[4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3전차군단
    • 제6근위전차여단
    • 제114전차여단
    • 제9차량화소총여단
  • 제13근위소총사단
  • 제15근위소총사단
  • 제38소총사단
  • 제169소총사단
  • 제175소총사단
  • 제65전차여단
  • 제90전차여단
  • 제91전차여단
    }}}
  • 제38군[4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2전차군단
    • 제3전차여단
    • 제13전차여단
    • 제36전차여단
  • 제162소총사단
  • 제199소총사단
  • 제242소총사단
  • 제277소총사단
  • 제278소총사단
  • 제304소총사단
  • 제133전차여단
  • 제156전차여단
  • 제159전차여단
  • 제168전차여단
  • 제22차량화소총여단
    }}}
  • 제9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5기병군단
    • 제30기병사단
    • 제34기병사단
    • 제60기병사단
  • 제51소총사단
  • 제81소총사단
  • 제106소총사단
  • 제140소총사단
  • 제255소총사단
  • 제296소총사단
  • 제318소총사단
  • 제333소총사단
  • 제12전차여단
    }}}
  • 제21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3전차군단
    • 제85전차여단
    • 제167전차여단
    • 제20차량화소총여단
  • 제76소총사단
  • 제124소총사단
  • 제226소총사단
  • 제227소총사단
  • 제293소총사단
  • 제297소총사단
  • 제301소총사단
  • 제343소총사단
  • 제8 NKVD 소총사단
  • 제10전차여단
  • 제1차량화소총여단
    }}}
  • 제57군
  • 제8항공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06전투항공사단
  • 제220전투항공사단
  • 제235전투항공사단
  • 제268전투항공사단
  • 제269전투항공사단
  • 제226돌격항공사단
  • 제228돌격항공사단
  • 제221폭격항공사단
  • 제270폭격항공사단
  • 제271야간폭격항공사단
  • 제272야간폭격항공사단
    }}}
}}}
  • 남부 전선군[45] ( 사령관 : 로디온 말리놉스키 중장[46]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선군 직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347소총사단
  • 제5근위전차여단
  • 제15전차여단
  • 제140전차여단
    }}}
  • 제12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소총사단
  • 제74소총사단
  • 제176소총사단
  • 제261소총사단
  • 제349소총사단
    }}}
  • 제18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16소총사단
  • 제353소총사단
  • 제383소총사단
  • 제395소총사단
  • 제64전차여단
    }}}
  • 제24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73소총사단
  • 제228소총사단
  • 제335소총사단
  • 제341소총사단
    }}}
  • 제37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02소총사단
  • 제218소총사단
  • 제230소총사단
  • 제275소총사단
  • 제295소총사단
  • 제121전차여단
    }}}
  • 제56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3근위소총군단
    • 제2근위소총사단
    • 제68해병소총여단
    • 제76해병소총여단
    • 제81해병소총여단
  • 제30소총사단
  • 제31소총사단
  • 제339소총사단
  • 제16소총여단
  • 제63전차여단
    }}}
  • 제4항공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16전투항공사단
  • 제217전투항공사단
  • 제229전투항공사단
  • 제218야간폭격항공사단
  • 제219폭격항공사단
  • 제230돌격항공사단
    }}}
    }}}

4. 전개

4.1. 브라운슈바이크 작전

6월 28일, 독일군은 작전을 개시했다. 4기갑군과 2군은 브란스크 전선군과 4기갑군은 보로네시를 향해 쾌속으로 진군했고 소련군은 곧바로 후퇴하기 시작했다. 7월 5일부터 8일까지 리쥬코프 소장이 5전차군이 반격을 개시했으나 600대의 전차를 보유한 소련군은 전면의 독일군의 절반정도밖에 안 되는 전력을 보유중이었고 경험 부족으로 예비대를 축차적으로 투입했다.[47] 9기갑사단은 소련군 2개 전차여단을 괴멸시키고 진격을 이어나갔다 그런데 작전이 진행되면서 독일군은 소련군이 이전과 다르다는 것을 파악했다. 소련군은 적에게 포위되는 것을 피해 일부 후위 병력이 적을 막고 나머지 주력병력만 퇴각하고 있었다. 이런 낌새를 눈치챈 야전 사령관들은 적을 포위하는 대신 추격하게 해달라고 했으나 사령부에선 계획대로 하라며 거절했다. 결국, 40기갑군단이 4기갑군과 만나 형성한 포위만 안은 텅 비어있었다. 7월 4일, 독일군은 돈강에 도달했다. 7월 5일, 독일군은 돈강 너머 교두보를 확보했고 6일부터 보로네시로 진입하기 시작했다. 총통사령부에서는 적이 포위되지 않고 후퇴하고 있다는 것을 알자 보로네시에 지나치게 집착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히틀러는 2군이 보로네시를 점령하고 4기갑군을 남쪽으로 보내 적을 추격하라고 명령했으나 보크는 재량권을 활용하여 보로네시를 완전히 점령하고 진군하기로 한다.[48] 7월 7일 소련은 브란스크 전선군을 두개로 분할했고 보로네시 전선군은 도시 방어를, 브란스크 전선군을 독일군의 측면 공격을 담당했다. 같은 날, 독일군은 도시를 점령했다고 선언했으나 모스크바와 코카서스 사이의 철도를 차단하는 데 실패했으며 시가전은 일주일 더 지속되었다. 이 과정에서 기동성이 빈약한 6군은 적을 추격하는 데 실패하게 되고 분노한 히틀러는 13일, 보크를 해임하고 바익스를 B집단군 사령관에 임명했다. 7월 9일에는 독일 남부집단군이 두 개의 집단군으로 분할되고 B집단군은 돈강을 따라 스탈린그라드로, A집단군은 코카서스로 진군하게 된다.

4.2. 클라우제비츠 작전

4기갑군 우익의 6군은 30일부터 공격을 시작했다. 독일군은 벨고르드 남동쪽의 소련군을 공격했다. 소련군은 7월 5일까지도 이곳에서의 공세가 독일군의 주력이라고 확신하지 못했고 여전히 많은 예비대가 모스크바 근처에 배치되어 있었다. 스타브카는 포위를 피하기 위해 6일부터 남서 전선군과 남부 전선군에 전면적인 후퇴를 명령했다. 독일군은 보급 문제가 심각했다. 최우선적으로 연료가 보급되는 기갑군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제1기갑군은 16일에 편제의 30%정도의 전력만 보유중이었다. 기갑사단들의 전차 전력은 1개 전차대대 수준이었다. 히틀러의 명에 따라, 40기갑군단은 다시 남쪽으로 진격을 시작했다. 그러나 로소쉬에 있던 티모셴코의 남서 전선군 사령부는 독일군의 추격을 뿌리치고 후퇴하는 데 성공했다. 6군의 기동 전력만으로는 적을 추격할 수가 없었다. 그렇지만 6군은 적을 몰아내는 데는 성공했고 히틀러는 7월 17일, 4기갑군을 A 집단군 지원을 위해 남쪽으로 이동시켜버렸다.[49] 그 결과, 안 그래도 위태롭던 보급라인은 엉망진창이 되었고 칼라치 전투에서 독일군은 2주 넘게 멈춰있어야 했다. 그래도 그 전까지 진격은 이어졌고 14일에 보로실로프그라드를 점령하고 23일에는 로스토프에 도달했다.

5. 결과

독일군이 대승을 거두고 보로네시를 점령했으며 돈강을 따라 스탈린그라드와 로스토프를 넘어 코카서스로 진군하기 시작했다. 돌파당한 소련 전선은 300km에 달했다. 하지만 독일군의 진격 계획이 상당히 지체되었으며 보로네시 전선군은 돈강 동안에 전선을 구축하는 데 성공하고 소련군은 전력을 보존하며[50] 돈강 너머로 퇴각하는 데 성공하게 된다.

6. 영향

독일군이 보로네시에 발이 묶인 동안 소련군은 후퇴하는 데 성공했고, 적이 질서있는 후퇴가 아니라 붕괴되고 있다고 판단한 히틀러는 보로네시에서 빠져나온 4기갑군을 A집단군으로 보내고 6군만으로 스탈린라드를 점령하려 시도한다.[51] 결과적으로 독일군은 보로네시에서 전력을 분산하여 도시를 점령하기에도 적을 추격하여 섬멸하기에도 애매한 상황이 되었던 것처럼 또다시 스탈린그라드를 차지하기에도 코카서스를 차지하기에도 애매한 전력이 되어버리고 만다. 더군다나 4기갑군과 6군은 동일한 진격로와 보급로를 사용한 탓에 6군은 연료 부족으로 2주 넘게 진격이 멈춰버렸고 4기갑군도 당연히 A집단군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했다.

7. 여담

  • 보로네시와 스탈린그라드는 독일군의 진격과정에서 측면 보호를 위해 필요한 교통의 요충지라는 점에서 비슷하다. 그러나 보로네시는 적을 포위하는 데 실패한 시점에서 적 주력 추격 및 섬멸보다 중요한 건 아니었고 여기선 히틀러의 판단이 옳았다. 결과적으로 적은 전력을 보존한 채 후퇴하여 전선을 구성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스탈린그라드는 점령은 못하더라도 무력화시키지 않는 이상 코카서스로의 진군에 있어 측면의 안전을 도저히 보장할 수가 없었다. 여기서는 히틀러의 판단이 틀리고 할더가 옳았던 것이다. 여기서는 독일은 코카서스 석유 지대는 차지하지 못하고 스탈린그라드에서 엄청난 전력이 축차적으로 소모되어 버렸다. 결과적으로 독일은 두 도시에서 최악의 선택을 하고 말았다.
  • 보로네시는 이후 독일 2군이 담당하게 되지만 스탈린그라드의 6군까지의 돈강 만곡부 전선은 헝가리 2군, 이탈리아 8군, 루마니아 3군이 담당하게 되어 상당히 취약해진다.


[1] 보로네시-보로실로프그라드 작전 [2] 청색 상황 1단계 [3] 브라운슈바이크 작전 [4] 독일군의 진격로 북쪽 강 너머 철도의 교차점이 보로네시다. 보로네시에서 철도를 따라 쭉 내려오면 독일군의 진격로에 로소쉬가 있고 더 내려오면 밀레로보가 있다. [5] 6월 21일까지는 남부 전구의 전선군들을 담당하는 남서방면군 사령관도 겸하고 있었다. [6] 브랸스크 전선군 36,883명, 남서 전선군 161,465명, 남부 전선군 128,460명 [7] 브랸스크 전선군 29,329명, 남서 전선군 71,276명, 남부 전선군 64,753명 [8] 6월 27일 기준, 공군과 예비대를 제외한 사단급 이상 제대들의 순서는 북쪽부터 남쪽순이다. [9] 공세 시작 시점에서 기동군단들의 명칭은 차량화군단이었으나 연말까지 기갑군단으로 개칭된다. [10] 7월 9일부터는 B 집단군 사령관이었고 7월 14일 해임된다. [11] 7월 14일까지 [12] 군집단은 집단군과는 다른데 쉽게 말하면 야전군 사령부가 집단군 규모의 부대를 지휘하는 것이다. 분견군, 분견군단과 비슷하다. [13] 2군 예비 [14] 7월 14일까지 [15] 군단 예비 [16] 군단 예비 [17] 군단 예비 [18] 군단 예비 [19] 군단 예비 [20] 군단 예비 [21] 군단 예비 [22] 군단 예비 [23] 나중에 훌리트 분견군과 재건된 6군의 사령관을 맡게 된다. [24] 군단 예비 [25] 군단 예비 [26] 7월 20일부터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 상급대장 [27] 6월 30일까지 [28] 7월 4일 기준 [29] 이 시점에서 소련군은 소총군단이 없었고 야전군이 직접 소총사단들을 지휘했다. [30] 전투 기간동안 니콜라이 바투틴이 스타브카 대리로 파견되어 전선군들의 작전을 조율했다. [31] 7월 7일, 보로네시 전선군이 새로 편성되며 필리프 골리코프가 사령관으로 부임 [32] 7월 7일, 신편된 보로네시 전선군에 배속 [33] 전선군 예비, 전투 시작 후 13군과 보로네시 전선군 사이에 배치 [34] 7월 9일, 보로네시 전선군에 배속 [35] 7월 11일부터 [36] 7월 7일 새로 편성 [37] 아래 편제는 8월 1일 기준이다. [38] 7월 10일, 스타브카 예비인 제6예비군으로부터 편성 [39] 7월 10일, 스타브카 예비인 제3예비군으로부터 편성 [40] 7월 7일, 브란스크 전선군으로부터 이동 [41] 7월 9일, 브란스크 전선군으로부터 이동 [42] 7월 12일, 스탈린그라드 전선군으로 개편되고 바투틴의 지휘 하에 남서 전선군이 10월 25일에 새로 편성된다. [43] 7월에 제4전차군으로 개편, 10월에 제65군으로 개편 [44] 7월에 제1전차군으로 개편, 8월에 스타브카 예비인 제4예비군으로 38군을 재편성한다. [45] 7월 28일 해산되고 북캅카스 전선군에 편입 [46] 북캅카스 전선군의 사령관은 세묜 부됸늬 소연방 원수 [47] 나중에 쿠르스크 전투에서도 똑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48] 사실 이 시점에서는 그로스도이칠란트 사단과 기갑사단들이 이미 시가전에 말려든 상황이었다. [49] 히틀러는 13일에 처음으로 로스토프에 기갑 전력을 집중하겠다고 선언했고 할더가 강력히 반대했으나 이미 결정된 사안이었다. [50] 물론 병력은 절반가까이 날렸으나 중장비를 대부분 후퇴시키는 데 성공했다. 보병포 말고 중곡사포나 대전차포 전력이 매우 절실했던 소련군에게는 아주 큰 성과다. [51] 애초 계획은 도시 점령이 아닌 무력화였다. 이는 전력을 분산하지 않고 스탈린그라드에 집중했다면 어렵지 않은 작전이었다. 물론 이 작전이 성공했다 해도 코카서스 점령이 가능했을지는 의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