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6 22:10:22

제1차 르제프-시쵸브카 공세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 | 유럽/아프리카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8px; word-break: keep-all"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둘러보기 : 아시아 및 태평양 전선 전투목록
전투 이름 교전 국가 및 세력
<rowcolor=#FFF> 공격 측 방어 측
<colbgcolor=#b31c31> 폴란드 침공
단치히 우체국 방어전
바르샤바 전투
비츠나 전투
브주라 전투
겨울전쟁
콜라 전투
가짜 전쟁
노르웨이 침공
프랑스 침공
아라스 전차전
됭케르크 철수작전
이탈리아의 프랑스 침공
북아프리카 전역
몰타 항공전
칼라브리아 해전
영국 본토 항공전
독수리의 날
유고슬라비아 침공
그리스 침공
타란토 공습
마타판곶 해전
라인 연습 작전
크레타 섬 전투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바르바로사 작전
브레스트 요새 방어전
발트해 전역
브로디 전투
비아위스토크-민스크 전투
계속전쟁
은색 여우 작전
뮌헨 작전
제1차 스몰렌스크 전투
우만 전투
모스크바 폭격
제1차 키예프 전투
페르시아 침공
레닌그라드 공방전
뱌지마-브랸스크 포위전
모스크바 공방전
툴라 전투
세바스토폴 공방전
로스토프 전투
알렉산드리아 습격
류반 공세
르제프 전투
데미얀스크 전투
영불 해협 돌파작전
마다가스카르 전투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
제2차 하리코프 공방전
류반 구원 작전
빌헬름 작전
프리데리쿠스 작전
청색 작전
보로네시 전투
엘 알라메인 전투
PQ-17 호송선단 전투
자이들리츠 작전
칼라치 전투
제1차 르제프-시쵸브카 공세
디에프 상륙작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횃불 작전
튀니지 전투
천왕성 작전
벨리키예루키 전투
화성 작전
겨울폭풍 작전
바렌츠 해 해전
콜초 작전
이스크라 작전
제3차 하리코프 공방전
쿠르스크 전투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쿠투조프 작전
플로이에슈티 공습
제4차 하리코프 공방전
제2차 스몰렌스크 전투
드네프르 강 전투
도데카니사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슈바인푸르트 공습
제2차 키예프 전투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노스케이프 해전
몬테카시노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안치오 상륙 작전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나르바 전투
비텝스크 공세
논쟁 작전
카메네츠-포돌츠크 포위전
노르망디 상륙작전
빌레르보카쥬 전투
바그라티온 작전
레지차-드빈스크 공세
프스코프-오스트로프 공세
리보프-산도미에시 작전
타넨베르크 선 전투
바르샤바 봉기
타르투 공세
팔레즈 포위전
용기병 작전
도펠코프 작전
제2차 야시-키시네프 공세
슬로바키아 민족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슬로바키아 봉기군
동부 카르파티아 공세
라플란드 전쟁
베오그라드 공세
휘르트겐 숲 전투
마켓 가든 작전
아헨 전투
판처파우스트 작전
굼비넨 작전
벌지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부다페스트 공방전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보덴플라테 작전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동프로이센 공세
한니발 작전
하부 슐레지엔 공세
드레스덴 공습
남풍 작전
봄의 새싹 작전
상부 슐레지엔 공세
연합군의 독일 본토 침공
텍셀 봉기
파일:Georgische_Legion.png 조지아 군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저항군
베를린 공방전
오드자크 전투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공화국
이터 성 전투 파일:슈츠슈타펠 깃발.svg 항전파 무장친위대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저항군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VIP
프라하 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저항군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
제1차 르제프-시쵸브카 공세
러시아어: Первая Ржевско-Сычёвская операция[1]
독일어: Erste Rschew-Sytschowka-Operation[2]
영어: first Rzhev–Sychyovka offensive operation
제2차 세계 대전 동부전선의 일부
르제프 공방전의 일부
파일:제1차 르제프-시쵸브카 공세.jpg
▲ 르제프 돌출부 북동쪽에서 공세를 진행하는 소련군
날짜
1942년 7월 30일 ~ 10월 1일
장소
소련 러시아 SFSR 르제프- 시쵸브카 일대
독일 국방군의 르제프 돌출부 북동쪽
원인
소련군의 르제프-뱌지마 철도 차단 시도
교전국 [[틀:깃발|]][[틀:깃발|]][[소련|]]
지휘관 [[틀:깃발|]][[틀:깃발|]][[이반 코네프|]]
(칼리닌 전선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게오르기 주코프|]]
(서부 전선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이반 페듀닌스키|]]
(제5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막스 레이테르|]]
(제20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세르게이 후댜코프|
세르게이 후댜코프
]]
(제3항공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귄터 폰 클루게|]]
(중부 집단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로베르트 리터 폰 그라임|
로베르트 리터 폰 그라임
]]
(동부 공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발터 모델|]]
(제9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
(제3기갑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한스 위르겐 폰 아르님|
한스 위르겐 폰 아르님
]]
(제39기갑군단 사령관)
결과
소련의 전술적 승리
나치 독일의 전략적 승리
영향
소련군이 르제프로 향하는 주요 보급로 확보, 철도 탈환
나치 독일의 방어 성공
전력 병력 486,000명
전차 1,715대
항공기 1,100기
피해규모 전사/실종 51,482명
부상 142,201명
전차 1,085대
전사 11,358명
실종/포로 4,919명
부상 45,125명

1. 개요2. 1942년 여름의 중부 전선3. 전투 서열
3.1. 독일군3.2. 소련군
4. 1차 공세 : 8월
4.1. 르제프 방면 : 29군, 30군, 31군4.2. 시쵸브카 방면 : 20군4.3. 뱌지마-그자츠크 방면 : 5군, 33군
5. 2차 공세 : 9월
5.1. 르제프 북쪽 : 30군5.2. 르제프 남동쪽 : 29군, 31군
6. 결과

[clearfix]

1. 개요

제1차 르제프-시쵸브카 공세는 자이들리츠 작전으로 큰 타격을 받은 돌출부 서쪽의 칼리닌 전선군 대신 동쪽의 서부 전선군만으로 르제프 돌출부 제거를 시도한 소련군의 공세였다. 공세가 양쪽이 아니라 한쪽에서만 진행되었으므로 공세 목표 역시 돌출부를 한번에 제거하기보다는 돌출부로 향하는 독일군의 가장 중요한 보급로인 르제프-뱌지마 철도를 차단하거나 최소한 위협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결과적으로 목표 달성에 실패하면서 독일군의 승리가 되었지만 또 다른 목표인 줍초프를 탈환하고 줍초프-모스크바 철도를 장악하면서 르제프를 향한 대규모 공세를 좀 더 쉽게 준비할 수 있게 되었다.

2. 1942년 여름의 중부 전선

3. 전투 서열

3.1. 독일군[3]

  • 중부 집단군 ( 사령관 : 귄터 폰 클루게 원수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9군 ( 사령관 : 발터 모델 상급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예비
  • 제23군단
    • 제197보병사단
    • 제246보병사단
    • 제86보병사단
    • 제110보병사단
    • 제129보병사단
    • 제253보병사단
  • 제6군단
    • 제328보병사단
    • 제6보병사단
    • 제102보병사단
    • 제206보병사단
    • 제251보병사단
    • 제87보병사단
    • 제256보병사단
  • 제46기갑군단 ( 사령관 : 요제프 하르페 기갑대장 )
    • 제14차량화보병사단
    • 제161보병사단
    • 제36차량화보병사단
    • 제342보병사단
  • 제27군단[4] ( 사령관 : 발터 바이스 중장[5] )
    }}}
  • 제3기갑군 ( 사령관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상급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9군단
    • 제35보병사단
    • 제252보병사단
    • 제7보병사단
  • 제20군단
    • 제258보병사단
    • 제292보병사단
    • 제183보병사단
    • 제255보병사단

    }}}
    }}}
  • 동부 공군 사령부[6] ( 사령관 : 로베르트 리터 폰 그라임 항공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항공사단
  • 제2항공사단
  • 제2항공관구
  • 제8항공관구
  • 모스크바 항공관구
  • 제27야전항공관구
  • 제12대공포사단
  • 제18대공포사단
    }}}

3.2. 소련군[7]

  • 칼리닌 전선군 ( 사령관 : 이반 코네프 상장[8]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9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5소총사단
  • 제246소총사단
  • 제274소총사단
  • 제369소총사단
  • 제213대전차포병사단
  • 제119전차여단
    }}}
  • 제30군 ( 사령관 : 드미트리 렐류센코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근위차량화소총사단
  • 제16근위소총사단
  • 제52소총사단
  • 제78소총사단
  • 제111소총사단
  • 제139소총사단
  • 제158소총사단
  • 제178소총사단
  • 제183소총사단
  • 제220소총사단
  • 제243소총사단
  • 제348소총사단
  • 제359소총사단
  • 제371소총사단
  • 제379소총사단
  • 제114소총여단
  • 제130소총여단
  • 제132소총여단
  • 제136소총여단
  • 제28전차여단
  • 제35전차여단
  • 제143전차여단
  • 제196전차여단
  • 제236전차여단
  • 제238전차여단
  • 제240전차여단
  • 제255전차여단
  • 제256전차여단
    }}}
  • 제3항공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09전투항공사단
  • 제210전투항공사단
  • 제256전투항공사단
  • 제263전투항공사단
  • 제211폭격항공사단
  • 제285폭격항공사단
  • 제212돌격항공사단
  • 제264돌격항공사단
  • 제195혼성항공연대
  • 제708혼성항공연대
  • 제881혼성항공연대
  • 제882혼성항공연대
  • 제883혼성항공연대
  • 제884혼성항공연대
  • 제648경폭격기항공연대
  • 제695경폭격기항공연대
  • 제887경폭격기항공연대
  • 제930경폭격기항공연대
    }}}
  • 제3충격군
  • 제4충격군
  • 제22군
  • 제39군
  • 제41군
  • 제58군
    }}}
  • 서부 전선군 ( 사령관 : 게오르기 주코프 대장[9]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선군 직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7근위소총군단
    • 제5근위소총사단
    • 제112소총여단
    • 제120소총여단
    • 제125소총여단
    • 제128소총여단
  • 제2근위기병군단
    • 제3근위기병사단
    • 제4근위기병사단
    • 제20기병사단
  • 제5전차군단
    • 제24전차여단
    • 제41전차여단
    • 제70전차여단
    • 제5차량화소총여단
  • 제6전차군단
    • 제22전차여단
    • 제100전차여단
    • 제200전차여단
    • 제6차량화소총여단
  • 제8전차군단
    • 제25전차여단
    • 제31전차여단
    • 제93전차여단
    • 제8차량화소총여단
  • 제9전차군단
    • 제23전차여단
    • 제95전차여단
    • 제187전차여단
    • 제10차량화소총여단
  • 제3근위차량화소총사단
  • 제28소총여단
  • 제49소총여단
  • 제71전차여단
  • 제154전차여단
  • 제212전차여단
    }}}
  • 제5군 ( 사령관 : 이반 페듀닌스키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9근위소총사단
  • 제42근위소총사단
  • 제19소총사단
  • 제50소총사단
  • 제108소총사단
  • 제144소총사단
  • 제352소총사단
  • 제36소총여단
  • 제60소총여단
  • 제120전차여단
  • 제162혼성항공연대
    }}}
  • 제20군 ( 사령관 : 막스 레이테르 중장[10]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8근위소총군단
    • 제26소총사단
    • 제129소총여단
    • 제148소총여단
    • 제150소총여단
    • 제153소총여단
  • 제82소총사단
  • 제251소총사단
  • 제312소총사단
  • 제331소총사단
  • 제354소총사단
  • 제415소총사단
  • 제35소총여단
  • 제40소총여단
  • 제11전차여단
  • 제17전차여단
  • 제20전차여단
  • 제188전차여단
  • 제213전차여단
  • 제1오토바이여단
  • 제431혼성항공연대
    }}}
  • 제31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0근위소총사단
  • 제88소총사단
  • 제118소총사단
  • 제164소총사단
  • 제239소총사단
  • 제247소총사단
  • 제336소총사단
  • 제34전차여단
  • 제92전차여단
  • 제101전차여단
  • 제145전차여단
  • 제885혼성항공연대
    }}}
  • 제33군 ( 사령관 : 미하일 호진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10소총사단
  • 제113소총사단
  • 제160소총사단
  • 제222소총사단
  • 제172혼성항공연대
    }}}
  • 제1항공군 ( 사령관 : 세르게이 후댜코프 항공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01전투항공사단
  • 제202전투항공사단
  • 제203전투항공사단
  • 제234전투항공사단
  • 제204폭격항공사단
  • 제213야간폭격항공사단
  • 제214돌격항공사단
  • 제224돌격항공사단
  • 제231돌격항공사단
  • 제232돌격항공사단
  • 제233돌격항공사단
    }}}
  • 제10군
  • 제16군
  • 제43군
  • 제49군
  • 제50군
  • 제1공병군
    }}}

4. 1차 공세 : 8월

공세를 위해 소련의 두 전선군은 6개 야전군[11]과 2개 항공군[12]을 배치했으며 이렇게 모인 전력은 약 50만 명의 병력과 1,715대의 전차[13], 1,100기의 항공기였다. 여기에 추가로 2개 전차군단[14], 2개 근위소총군단[15], 1개 근위기병군단[16] 및 수많은 독립전차여단이 후방에 대기중이었다. 독일군은 보병과 포병 전력에서 적어도 3~4대1의 열세였으며 일부 돌파 구역에서는 7대1까지 벌어졌다. 그나마 기갑 부문에서는 2대1정도로 중부 집단군 역시 후방에 예비 기갑 병력을 르제프 돌출부에 집중했기 때문에 일부 구역을 제외하고 크게 밀리지는 않았다. 소련 6개군은 크게 4개 방면에서 각각 공세를 진행했으며 북쪽부터 남쪽 순서로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진행했다.

4.1. 르제프 방면 : 29군, 30군, 31군


4.2. 시쵸브카 방면 : 20군

4.3. 뱌지마-그자츠크 방면 : 5군, 33군

5. 2차 공세 : 9월

5.1. 르제프 북쪽 : 30군

5.2. 르제프 남동쪽 : 29군, 31군

6. 결과



[1] 제1차 르제프-시쵸브카 작전 [2] 제1차 르제프-시쵸브카 작전 [3] 8월 5일 기준 [4] 8월 5일 시점에서는 휘하 사단들을 6군단과 23군단에 넘기고 잠시 남쪽 4군 방면에 배치되어 있었고 곧 휘하 사단들을 다시 4군에 넘기고 르제프 방면으로 복귀한다. [5] 9월 1일에 보병대장으로 진급 [6] 제2항공함대가 지중해로 이동하면서 중부 집단군 지원을 위해 제5항공군단 사령부로부터 창설되었으며 쿠르스크 전투 직전에 제6항공함대로 재편된다. [7] 8월 1일 기준 [8] 8월 26일에 막심 푸르카예프 상장으로 교체 [9] 8월 26일에 소련군 부사령관으로 영전, 같은 날 지휘관은 이반 코네프 상장으로 교체 [10] 9월 28일에 브랸스크 전선군 사령관으로 영전, 같은 날 지휘관은 알렉산더 튜린 소장으로 교체 [11] 5,20,29,30,31,33 [12] 1,3 [13] 29군과 후방 예비대를 제외한 5개군의 수치 [14] 6,8 [15] 7,8 [1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