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7 21:07:27

제1차 돈바스 공세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 | 유럽/아프리카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8px; word-break: keep-all"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둘러보기 : 아시아 및 태평양 전선 전투목록
전투 이름 교전 국가 및 세력
<rowcolor=#FFF> 공격 측 방어 측
<nopad> 1939년
<colbgcolor=#b31c31> 폴란드 침공
베스테르플라테 전투
단치히 우체국 방어전
바르샤바 전투
비츠나 전투
브주라 전투
겨울전쟁
수오무살미 전투
콜라 전투
<nopad> 1940년
가짜 전쟁
노르웨이 침공
프랑스 침공
아라스 전차전
됭케르크 철수작전
이탈리아의 프랑스 침공
북아프리카 전역
몰타 항공전
칼라브리아 해전
영국 본토 항공전
독수리의 날
유고슬라비아 침공
그리스 침공
타란토 공습
<nopad> 1941년
마타판곶 해전
라인 연습 작전
크레타 섬 전투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바르바로사 작전 (독소전쟁)
브레스트 요새 방어전
발트해 전역
브로디 전투
비아위스토크-민스크 전투
계속전쟁
은색 여우 작전
뮌헨 작전
제1차 스몰렌스크 전투
우만 전투
모스크바 폭격
제1차 키예프 전투
페르시아 침공
레닌그라드 공방전
뱌지마-브랸스크 포위전
모스크바 공방전
툴라 전투
세바스토폴 공방전
로스토프 전투
알렉산드리아 습격
<nopad> 1942년
류반 공세
르제프 전투
데미얀스크 전투
영불 해협 돌파작전
마다가스카르 전투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
제2차 하리코프 공방전
류반 구원 작전
빌헬름 작전
프리데리쿠스 작전
청색 작전
보로네시 전투
엘 알라메인 전투
PQ-17 호송선단 전투
자이들리츠 작전
칼라치 전투
제1차 르제프-시쵸브카 공세
비르벨빈트 작전
디에프 상륙작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횃불 작전
튀니지 전투
천왕성 작전
벨리키예루키 전투
화성 작전
겨울폭풍 작전
바렌츠 해 해전
<nopad> 1943년
북캅카스 공세
콜초 작전
이스크라 작전
보로네시-하리코프 공세
스카쵸크 작전
제3차 하리코프 공방전
쿠르스크 전투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쿠투조프 작전
제1차 돈바스 공세
므가 공세
플로이에슈티 공습
제4차 하리코프 공방전
제2차 스몰렌스크 전투
브랸스크 공세
드네프르 강 전투
도데카니사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무솔리니 구출 작전
슈바인푸르트 공습
제2차 키예프 전투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노스케이프 해전
<nopad> 1944년
칼린코비치-모지리 공세
몬테카시노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안치오 상륙 작전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나르바 전투
비텝스크 공세
논쟁 작전
로가체프-즐로빈 공세
카메네츠-포돌츠크 포위전
노르망디 상륙작전
빌레르보카쥬 전투
바그라티온 작전
레지차-드빈스크 공세
프스코프-오스트로프 공세
리보프-산도미에시 작전
루블린-브레스트 작전
타넨베르크 선 전투
바르샤바 봉기
타르투 공세
팔레즈 포위전
용기병 작전
도펠코프 작전
제2차 야시-키시네프 공세
슬로바키아 민족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슬로바키아 봉기군
동부 카르파티아 공세
발트해 공세
라플란드 전쟁
베오그라드 공세
휘르트겐 숲 전투
마켓 가든 작전
아헨 전투
판처파우스트 작전
굼비넨 작전
벌지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부다페스트 공방전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nopad> 1945년
보덴플라테 작전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동프로이센 공세
한니발 작전
하부 슐레지엔 공세
드레스덴 공습
남풍 작전
봄의 새싹 작전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
상부 슐레지엔 공세
연합군의 독일 본토 침공
텍셀 봉기
파일:Georgische_Legion.png 조지아 군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저항군
삼란드 공세
베를린 공방전
오드자크 전투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공화국
이터 성 전투 파일:슈츠슈타펠 깃발.svg 항전파 무장친위대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저항군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VIP
프라하 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저항군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

제1차 돈바스 공세
러시아어: Изюм-Барвенковская наступательная операция[1]
/Миусская наступательная операция[2]

독일어: Donez-Mius-Offensive
영어: Donbas strategic offensive
제2차 세계 대전 동부전선의 일부
파일:제1차 돈바스 공세.png
▲ 6군을 포위하고 돈바스 공업지대를 탈환하려는 소련군
날짜
1943년 7월 17일 ~ 8월 2일
장소
소련 우크라이나 SSR 도네츠 강과 미우스 강 일대
교전국 [[틀:깃발|]][[틀:깃발|]][[소련|]]
지휘관 [[틀:깃발|]][[틀:깃발|]][[로디온 말리놉스키|
로디온 말리놉스키
]]
(남서 전선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표도르 톨부힌|]]
(남부 전선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바실리 쿠즈네초프|
바실리 쿠즈네초프
]]
(제1근위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바실리 추이코프|]]
(제8근위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블라디미르 수데츠|
블라디미르 수데츠
]]
(제17항공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게오르기 자하로프|
게오르기 자하로프
]]
(제51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에리히 폰 만슈타인|
에리히 폰 만슈타인
]]
(남부 집단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틀:깃발|]]오토 데슬로
(제4항공함대 사령관)
[[틀:깃발|]][[틀:깃발|]][[에버하르트 폰 마켄젠|
에버하르트 폰 마켄젠
]]
(제1기갑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틀:깃발|]]카를아돌프 훌리트
(제6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발터 네링|]]
(제24기갑군단 사령관)
결과
독일군의 승리
영향
쿠르스크에서 독일군의 공세 종료
전력 [[틀:깃발|]][[틀:깃발|]][[틀:깃발|]] 남서 전선군
병력 202,430명
전차/자주포 1,109대
[[틀:깃발|]][[틀:깃발|]][[틀:깃발|]] 남부 전선군
병력 271,790명
전차/자주포 737대
[[틀:깃발|]][[틀:깃발|]][[틀:깃발|]] 제1기갑군, 제6군
[[틀:깃발|]][[틀:깃발|]][[틀:깃발|]]제24기갑군단[3]
전차 223대
돌격포 145문
자주포 115문
[[틀:깃발|]][[틀:깃발|]][[틀:깃발|]] 제4항공함대
항공기 250기[4]
피해 규모[5] [[틀:깃발|]][[틀:깃발|]][[틀:깃발|]]남서 전선군
전사/실종 10,310명
부상 28,380명
야포 144문
전차/자주포 363대[6]
[[틀:깃발|]][[틀:깃발|]][[틀:깃발|]]남부 전선군
전사/실종 15,303명
부상 45,767명
전차/자주포 732대[7]
대전차포 522문[8]
[[틀:깃발|]][[틀:깃발|]][[틀:깃발|]] 제1기갑군
전사 2,577명
실종/포로 1,889명
부상 10,030명

[[틀:깃발|]][[틀:깃발|]][[틀:깃발|]] 제6군
전사 3,298명
실종/포로 2,254명
부상 15,817명
전차/돌격포 약 300대



1. 개요2. 1943년 여름의 남부 전선3. 전투 서열
3.1. 소련군3.2. 독일군
4. 전개
4.1. 이지움-바르벤코보 공세 : 남서 전선군 vs 1기갑군4.2. 미우스 공세 : 남부 전선군 vs 6군4.3. 반격 : 2근위군,5충격군 vs 24,2SS기갑군단
5. 결과

[clearfix]

1. 개요

제1차 돈바스 공세는 성채 작전이 끝난 직후[9] 남서 전선군과 남부 전선군이 남부 집단군 우익의 1기갑군과 6군을 상대로 진행한 공세이다. 공세 자체는 규모로 보나 목적으로 보나 도네츠 분지 탈환과 6군 섬멸이었으나 독일군의 성공적인 대처로 목적 달성에 완전히 실패했다. 그래도 이 공세 덕분에 남부 집단군의 예비 기갑 전력이 전부 도네츠강 유역으로 투입되면서 쿠르스크 남쪽에서의 남부 집단군 공세가 실패했고 쿠르스크 전투에서 독일군의 공세가 완전히 끝나게 된다.

2. 1943년 여름의 남부 전선

육군최고사령부가 쿠르스크 일대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에서 남부 집단군의 4개 야전군은 소련 4개 전선군을 상대하고 있었으며 이 중에서도 주요 기갑 전력을 보유한 4기갑군과 켐프 분견군은 남부 집단군의 담당 구역 중 약 70%를 담당학 있었으며 6군에 임시 배속된 16기갑척탄병사단을 제외하면 후방 예비대가 전무했다. 그나마 남부 집단군이 보유한 24기갑군단[10]이 유사시 투입될 수 있는 유일한 전력이었다. 그래도 이 전선이 유지될 수 있었던 것은 도네츠강-미우스강으로 이어지는 자연장애물 덕분이었다.

쿠르스크 일대에 거대한 규모의 전력이 집결했지만 전력의 집중은 독일이 더 심했기에 타 전역에서 독일군은 압도적인 열세가 되었다. 이 때문에 전력 대비 굉장히 긴 전선을 담당하던 남부 집단군 사령관 만슈타인은 여차하면 돈바스 일대를 포기하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소련군이 당연히 도네츠강 유역에서 공세에 나설 것을 알고 있었음에도 예비 전력을 남쪽에 투입할 여유가 없을 만큼 성채 작전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히틀러는 전혀 그럴 생각이 없었다. 이는 결국 이 공세가 쿠르스크에서 독일군의 공세를 끝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소련군은 나름대로 야심한 목표가 있었다. 소련군은 쿠르스크의 소련군 구원 정도가 아니라[11] 6군을 섬멸하고 돈바스를 탈환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엄청난 전력을 투입했다. 투입된 전력은 2개 전선군의 병력 474,220명과 1,864대의 전차/자주포였다.

3. 전투 서열

3.1. 소련군[12]

  • 남서 전선군 ( 사령관 : 로디온 말리놉스키 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선군 직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근위기병군단
    • 제1근위기병사단
    • 제2근위기병사단
    • 제7근위기병사단
  • 제1근위기계화군단
    • 제1근위기계화소총여단
    • 제2근위기계화소총여단
    • 제3근위기계화소총여단
  • 제2전차군단
    • 제26전차여단
    • 제99전차여단
    • 제169전차여단
    • 제58차량화소총여단
  • 제23전차군단
    • 제3전차여단
    • 제39전차여단
    • 제135전차여단
    • 제56차량화소총여단
  • 제9포병사단
  • 제3대공포사단
  • 제4대공포사단
  • 제22대공포사단
  • 제104소총여단
  • 제9근위전차여단
  • 제11포병여단
  • 제9대전차포병여단
  • 제10대전차포병여단
  • 제11대전차포병여단
  • 제44특수공병여단
  • 제15공병여단
  • 제51공병여단
  • 제10근위전차연대
    }}}
  • 제1근위군 ( 사령관 : 바실리 쿠즈네초프 상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53소총사단
    • 제195소총사단
    • 제7포병사단
    • 제16근위전차연대
    • 제17근위전차연대
  • 제6근위소총군단
    • 제57근위소총사단
    • 제53소총사단
    • 제195소총사단
  • 제33소총군단
    • 제50소총사단
    • 제230소총사단
    • 제243소총사단
    • 제253소총여단

    }}}
  • 제3근위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78소총사단
    • 제5근위차량화소총여단
    • 제11전차여단
    • 제30포병여단
    • 제23박격포여단
    • 제52전차연대
    • 제243전차연대
  • 제34근위소총군단
    • 제47근위소총사단
    • 제59근위소총사단
    • 제61근위소총사단
  • 제32소총군단
    • 제259소총사단
    • 제266소총사단
    • 제279소총사단

    }}}
  • 제8근위군 ( 사령관 : 바실리 추이코프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5근위전차연대
    • 제9근위전차연대
    • 제224전차연대
    • 제1443자주포연대
  • 제28근위소총군단
    • 제39근위소총사단
    • 제79근위소총사단
    • 제88근위소총사단
  • 제29근위소총군단
    • 제27근위소총사단
    • 제74근위소총사단
    • 제82근위소총사단

    }}}
  • 제6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25근위소총사단
    • 제38근위소총사단
    • 제11포병사단
    • 제115전차여단
  • 제4근위소총군단
    • 제20근위소총사단
    • 제35근위소총사단
    • 제228소총사단
    • 제263소총사단
  • 제26근위소총군단
    • 제41근위소총사단
    • 제62근위소총사단
    • 제6소총사단
  • 제34소총군단
    • 제152소총사단
    • 제267소총사단

    }}}
  • 제12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72소총사단
  • 제203소총사단
  • 제244소총사단
  • 제333소총사단
  • 제350소총사단
    }}}
  • 제46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31소총사단
  • 제223소총사단
  • 제236소총사단
  • 제353소총사단
  • 제394소총사단
  • 제409소총사단
    }}}
  • 제57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19소총사단
    • 제24소총사단
    • 제52소총사단
    • 제113소총사단
    • 제303소총사단
    • 제1전투기여단
    • 제26경포여단
    • 제9근위포병여단
    • 제173전차여단
    • 제179전차여단
  • 제27근위소총군단
    • 제14근위소총사단
    • 제48근위소총사단
    • 제58근위소총사단

    }}}
  • 제17항공군 ( 사령관 : 블라디미르 수데츠 항공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244폭격항공사단
    • 제306돌격항공사단
    • 제262야간폭격항공사단
  • 제1혼성항공군단
    • 제5근위돌격항공사단
    • 제288전투항공사단
  • 제3혼성항공군단
    • 제290돌격항공사단
    • 제207전투항공사단
  • 제9혼성항공군단
    • 제305돌격항공사단
    • 제295전투항공사단

    }}}
    }}}
  • 남부 전선군 ( 사령관 : 표도르 톨부힌 상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선군 직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근위기계화군단
    • 제13근위기계화소총여단
    • 제14근위기계화소총여단
    • 제15근위기계화소총여단
    • 제36근위전차여단
  • 제8대전차포병여단
  • 제15대전차포병여단
  • 제7공병여단
  • 제9공병여단
  • 제43특수공병여단
  • 제1교량여단
  • 제2교량여단
    }}}
  • 제2근위군 ( 사령관 : 야코프 크라이저 중장[13]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18대공포사단
    • 제63공병여단
  • 제1근위소총군단
    • 제24근위소총사단
    • 제33근위소총사단
    • 제86근위소총사단
  • 제13근위소총군단
    • 제3근위소총사단
    • 제49근위소총사단
    • 제87근위소총사단
  • 제2근위기계화군단
    • 제4근위기계화소총여단
    • 제5근위기계화소총여단
    • 제6근위기계화소총여단
    • 제37근위전차여단

    }}}
  • 제5충격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96근위소총사단
    • 제126소총사단
    • 제127소총사단
    • 제221소총사단
    • 제315소총사단
    • 제1근위전투기여단
    • 제22근위전차연대
  • 제31근위소총군단
    • 제4근위소총사단
    • 제34근위소총사단
    • 제40근위소총사단

    }}}
  • 제28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140전차여단
  • 제55소총군단
    • 제118소총사단
    • 제271소총사단

    }}}
  • 제44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151소총사단
    • 제320소총사단
    • 제347소총사단
    • 제416소총사단
    • 제2대공포사단
    • 제19박격포여단
    • 제32근위전차여단
    • 제33근위전차여단
  • 제37소총군단
    • 제130소총사단
    • 제248소총사단
    • 제387소총사단

    }}}
  • 제51군 ( 사령관 : 게오르기 자하로프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346소총사단
    • 제2근위포병사단
    • 제15대공포사단
    • 제6근위전차여단
  • 제3근위소총군단
    • 제50근위소총사단
    • 제54근위소총사단
    • 제91소총사단
  • 제54소총군단
    • 제87소총사단
    • 제99소총사단
    • 제302소총사단

    }}}
  • 제8항공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270폭격항공사단
    • 제1근위돌격항공사단
    • 제6근위전투항공사단
    • 제2근위야간폭격항공사단
    • 제406경폭격기항공연대
  • 제10혼성항공군단
    • 제289돌격항공사단

    }}}
    }}}

3.2. 독일군[14]

  • 남부 집단군 ( 사령관 : 에리히 폰 만슈타인 원수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기갑군 ( 사령관 : 에버하르트 폰 마켄젠 상급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예비
    • 제24기갑군단 ( 사령관 : 발터 네링 기갑대장 )
      • 제23기갑사단
      • 제17기갑사단
      • 제5SS기갑척탄병사단 '비킹'
  • 제57기갑군단
    • 제328보병사단
    • 제15보병사단
    • 제198보병사단
  • 제40군단
    • 제257보병사단
    • 제46보병사단
    • 제333보병사단
  • 제30군단
    • 제387보병사단
    • 제38보병사단
    • 제62보병사단

    }}}
  • 제6군 ( 사령관 : 카를아돌프 훌리트 보병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예비
    • 제16기갑척탄병사단
  • 미에스 그룹[15]
    • 제335보병사단
    • 제3산악사단
    • 제304보병사단
  • 제17군단
    • 제302보병사단
    • 제306보병사단
    • 제294보병사단
  • 제29군단
    • 제336보병사단
    • 제17QHQUDTKEKS
    • 제15공군야전사단
    • 제111보병사단

    }}}
    }}}
  • 제4항공함대 ( 사령관 : 오토 데슬로 상급대장[16]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항공군단[17]
  • 제4항공군단[18]
  • 제8항공군단[19]
  • 루마니아 제1항공군단
  • 루마니아 전투기항공사령부
  • 흑해 항공사령부
  • 제1대공포군단
  • 제5대공포사단
  • 제25야전항공관구
    }}}

4. 전개

4.1. 이지움-바르벤코보 공세 : 남서 전선군 vs 1기갑군

도네츠 강을 넘어 북쪽으로 진격할 남서 전선군은 1,3,8근위군과 17항공군을 배치했으며 202,430명의 병력과 1,109대의 전차/자주포를 투입했다. 주공은 이지움에서 공세를 시작해 바르벤코보로 진격할 1,8근위군이었고 3근위군은 전선군 좌익에서 보조 공세를 진행할 예정이었다. 최종 목표는 스탈리노까지 진격해 남부 전선군과 만나는 것이었다. 후방에는 12군과 23전차군단, 1근위기계화군단이 추가로 대기하고 있었다. 독일 1기갑군은 북쪽부터 57기갑군단, 40군단, 30군단을 배치했으며 이 중 소련군의 공세를 막아야할 부대는 40군단과 30군단이었다. 후방에는 남부 집단군 직속의 17기갑사단이 1기갑군의 유일한 예비 전력으로 대기중이었다.

공세는 7월 17일부터 시작됐고 첫 날, 1근위군과 8근위군은 도네츠 강을 넘어 교두보를 확보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교두보를 유의미하게 확장시키지 못하면서 공세가 지지부진해졌다. 둘째날부터 1근위기계화군단과 23전차군단을 투입했으나 남부 집단군은 즉각 24기갑군단을 도네츠 유역으로 파견했다. 이 시점에서 군단은 17기갑사단과 5SS기갑척탄병사단 '비킹' 휘하에 작전가능한 84대의 전차/돌격포를 보유하고 있었다. 결국 소련군은 추가로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전선군 좌익의 3근위군은 교두보조차 확보하지 못했다. 10일간의 참호전 끝에 27일에 남서 전선군의 공세는 전사/실종 10,000명을 포함한 38,000명의 사상자와 360대의 전차/자주포를 손실하면서 마무리됐다. 1기갑군의 인명피해는 전사/실종 4,500명을 포함한 15,000명의 사상자였다.

4.2. 미우스 공세 : 남부 전선군 vs 6군

남부 전선군 역시 남서 전선군과 동시에 공세를 시작했다. 남부 전선군은 미우스 강을 넘어 남쪽으로 진격할 예정이었으며 주공은 전선 중앙의 5충격군과 28군, 8항공군이었으며 후방에 2,4근위기계화군단을 배속받은 2근위군이 대기중이었다. 추가로 전선군 좌익의 51군과 우익의 28군도 보조 공세를 진행할 예정이었다. 남부 전선군은 주요 부대는 스탈리노로 진격하고 일부 부대는 남쪽으로 방향을 바꿔 타간로크에 29군단을 가두는 것이 목표였으며 271,790명의 병력과 737대의 전차/자주포가 투입됐다. 독일 6군은 북쪽부터 4군단, 17군단, 29군단을 배치했고 후방에 6군의 유일한 예비 전력인 16기갑척탄병사단이 대기하고 있었다.

17일부터 시작된 공세는 남서전선군의 공세에 비해서는 성공적이었다. 5충격군과 28군은 미우스 강을 건너 17군단을 밀어내고 교두보를 확보했으며 이어서 2근위기계화군단을 투입하여 교두보를 확장해나갔다. 남부 집단군은 즉시 23기갑사단을 파견했지만 훌리트에게는 시간이 없었다. 훌리트는 18일에 야전군 예비인 16기갑척탄병사단을 투입했으나 소련군은 계속해서 공세를 이어나갔고 19일에는 23기갑사단도 합류했으나 역시 소련군을 강 동쪽으로 몰아내는데 실패했다. 그러나 소련군 역시 20일이 되자 더 이상 공세를 이어나가기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2근위군과 4근위기계화군단도 강을 넘어 교두보에 합류해 21일부터 공세를 이어나갔다. 그러나 이 역시 23일이 되자 교착상태에 빠졌고 25일에 최후의 공세를 펼쳤으나 역시 실패했다. 물론 51군과 44군 역시 별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4.3. 반격 : 2근위군,5충격군 vs 24,2SS기갑군단

파일:1943 미우스 교두보.png
▲ 미우스 교두보를 제거하기 위해 진격하는 독일군

두 공세가 한창 진행중일 때, 동부 전선의 전황도 급변하고 있었다. 공세 시작 이전인 7월 13일에 히틀러는 성채 작전을 중단하면서 제2SS기갑군단이 동부 전선에서 철수하여 이탈리아로 이동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그러나 소련군이 도네츠강과 미우스강에서 대규모 공세를 시작하자 철수 대신 1기갑군과 6군을 지원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이 방어선은 도네츠 분지[20]를 지킬 마지막 천연방어선이었기 때문에 여기가 돌파당하면 드네프르강까지 소련군을 막을 방법이 없었고 쓸모없는 땅도 전혀 내줄 생각이 없던 히틀러에게 돈바스 일대라는 거대한 공업지역은 엄청나게 중요한 곳이었다. 우선 1SS기갑척탄병사단 'LSSAH', 2SS기갑척탄병사단 '다스라이히'가 급파됐고 이어서 3SS기갑척탄병사단 '토텐코프'와 3기갑사단이 파견될 예정이었다.

여기까지는 순조롭게 반격이 준비중이었으나 히틀러의 개입이 또다시 문제를 일으켰다. 만슈타인은 1,2SS기갑척탄병사단이 내려가는 길에 어차피 도네츠강을 통과해야하므로 1기갑군의 공세에 투입하려 했으나 히틀러는 24일에 이동하는 기갑사단들이 1기갑군을 바로 통과해 미우스 강 지역으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만슈타인은 극렬하게 반대했으나 소용없었다. 심지어 26일에는 LSSAH 사단을 이탈리아로 이동시키면서 다스라이히 사단은 정작 미우스 강에 도착하고서도 별 도움이 되지 못했다. 소련군 교두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작전술적 제대 규모의 전력이 모여야했기 때문에 30일까지 기다려야했다.

30일이 되자 24기갑군단과[21], 2SS기갑군단[22] 휘하에 4개의 기갑사단 및 기갑척탄병사단이 집결해 4항공군단의 지원을 받아 교두보 제거를 위한 공세를 시작했다. 공세 시작 시점에서 독일군은 작전 가능한 258대의 전차와 100문의 돌격포를 보유중이었다. 북쪽에서 공격한 2SS기갑군단은 거의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특히 토텐코프 사단은 213.9고지에 사실상 멈춰버렸다. 공세 첫 날, 2SS기갑군단은 보유중인 233대의 전차/돌격포 중에 무려 91대를 손실했다. 반면 남쪽의 24기갑군단의 공세는 성공적이었고 31일에는 5개 사단을 포위하는데 성공했다. 소련군은 포위 전력을 탈출시키려 노력했지만 실패했다. 그러나 북쪽에서는 여전히 진격이 지지부진했고 31일 저녁이 되자 2SS기갑군단의 작전가능한 전차는 20대에 불과했다. 만슈타인은 공세 중단을 고려했으나 중단 대신 공세 주력을 옮겨 다시 공세에 나섰고 8월 1일에 마침내 213.9고지가 독일군에 수중에 들어오면서 소련군 방어선은 무너졌다. 남부 전선군 사령관 톨부힌은 스탈린의 허가를 받아 교두보를 포기하고 교두보의 부대들에게 철수를 명했고 8월 2일에 교두보가 완전히 제거되면서 미우스 공세도 마무리됐다.

공세 기간동안 남부 전선군은 15,000명의 전사/실종을 포함한 61,000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고 6군은 5,500명의 전사/실종을 포함한 21,000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독일군은 300대가 넘는 기갑차량을 손실했으며 소련 역시 700대[23] 가량을 손실했다.

5. 결과

소련군은 전술적, 작전술적으로 공세 목표 달성에 완전히 실패했다. 돈바스 탈환은 커녕 6군 섬멸에도 실패했다. 그럼에도 전략적으로는 성과가 있었는데 남부 집단군 예비였던 24기갑군단과 이제 막 쿠르스크 남부에서 철수한 2SS기갑군단을 끌어들여 쿠르스크에서 독일군의 공세가 완전히 끝나게 됐다는 것이다.[24] 물론 이것만 가지고는 절대 만족할 만한 성과가 아니었다. 애초에 쿠르스크 남부 전역에는 스텝 전선군이 기갑 전력은 지원했을지언정 본대는 투입조차 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24기갑군단을 투입했다 할지라도 공세자체가 성공하는 것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만슈타인은 이를 몰랐기 때문에 공세 중단을 반대했으나 어쨌든 두 기갑군단이 미우스 강에서 성과를 거둔 것이 차라리 나은 상황이었다.[25]

독일군의 피해가 전사/실종 10,000명을 포함한 사상자 31,000명과 전차/돌격포 400대인 것에 비해 소련군의 피해가 전사/실종 25,000명을 포함한 사상자 100,000명과 전차/자주포 1,000대인데 성과가 전혀 없었으므로 공세 자체는 완전히 실패였다. 24기갑군단과 2SS기갑군단은 공세가 마무리되자마자 다시 하리코프로 이동하여 7월 17일에 롤랜드 작전이 종료된 후 2주간 재편성한 뒤 8월 3일부터 벨고로드-하리코프 공세[26]를 진행중이던 소련군을 막아야했다. 돈바스 일대에서는 잠시 소강상태가 이어지다 하리코프 일대의 독일군 전선이 무너지자 8월 13일부터 다시 제2차 돈바스 공세를 시작해 한 달 만에 돈바스를 완전히 탈환하고 드네프르강에 도달하게 된다.
[1] 이지움-바르벤코보 공세 작전 [2] 미우스 공세 작전 [3] 공세 시작 시점에서 남부집단군 예비 [4] 7월 14일 기준, 대부분의 항공기가 하리코프와 오룔에서 작전중이었으며 그나마 남은 전력도 크림반도로 분산되어 있었다. [5] 양 측 인명 피해는 각 부대에서 올린 기록에 의거한 것이지만 역시 소련측 피해가 축소되었다고 보는 의견이 많다. 예를 들어 남부 전선군의 회복 불능 피해는 15,303명인데 독일군이 미우스 강 부근에서 잡았다고 보고한 포로만 17,762명으로 이는 소련 남부 전선군이 추산한 전사자+실종자인 15,303명보다도 많은 수치이다. [6] 완전 손실 266대 [7] 독일 측 기록 [8] 독일 측 기록 [9] 쿠르스크 전투 자체는 쿠투조프 작전, 루미안체프 작전이 진행중이었기 때문에 끝나지 않은 상황이었다. [10] 17,23기갑사단과 5SS기갑척탄병사단 '비킹' [11] 이 역할은 애초에 소련군이 후방에 배치한 거대한 예비 부대들이 담당해야 할 것이었다. [12] 7월 1일 기준 [13] 7월 31일부터 게오르기 자하로프 중장 [14] 7월 7일 기준 [15] 7월 20일부터 4군단이 됨 [16] 명목상으로는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 원수가 사령관이었으나 6월부터 2항공함대 사령관이 되어 지중해로 이동한 상태였기 때문에 데슬로가 대리로 4항공함대 사령관을 맡다가 9월 4일부터 정식으로 사령관이 되었다. [17] 크림반도에서 17군 지원 [18] 도네츠 분지에서 6군과 1기갑군 지원 [19] 하리코프에서 4기갑군과 켐프 분견군 지원 [20] 혹은 돈바스 [21] 23기갑사단, 16기갑척탄병사단 [22] 다스라이히, 토텐코프, 3기갑사단 [23] 독일측 기록 [24] 성채 작전은 13일에 끝났지만 남부 집단군 단독으로 롤랜드 작전을 진행중이었다. [25] 물론 성채 작전이 실패한 이상 남부 전선의 붕괴는 기정사실화된 상황이었고 만슈타인은 이를 조금이라도 늦추려는 의도가 강했다. [26] 루미안체프 작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