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29 17:28:46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 | 유럽/아프리카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8px; word-break: keep-all"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둘러보기 : 아시아 및 태평양 전선 전투목록
전투 이름 교전 국가 및 세력
<rowcolor=#FFF> 공격 측 방어 측
<colbgcolor=#b31c31> 폴란드 침공
단치히 우체국 방어전
바르샤바 전투
비츠나 전투
브주라 전투
겨울전쟁
수오무살미 전투
콜라 전투
가짜 전쟁
노르웨이 침공
프랑스 침공
아라스 전차전
됭케르크 철수작전
이탈리아의 프랑스 침공
북아프리카 전역
몰타 항공전
칼라브리아 해전
영국 본토 항공전
독수리의 날
유고슬라비아 침공
그리스 침공
타란토 공습
마타판곶 해전
라인 연습 작전
크레타 섬 전투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바르바로사 작전
브레스트 요새 방어전
발트해 전역
브로디 전투
비아위스토크-민스크 전투
계속전쟁
은색 여우 작전
뮌헨 작전
제1차 스몰렌스크 전투
우만 전투
모스크바 폭격
제1차 키예프 전투
페르시아 침공
레닌그라드 공방전
뱌지마-브랸스크 포위전
모스크바 공방전
툴라 전투
세바스토폴 공방전
로스토프 전투
알렉산드리아 습격
류반 공세
르제프 전투
데미얀스크 전투
영불 해협 돌파작전
마다가스카르 전투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
제2차 하리코프 공방전
류반 구원 작전
빌헬름 작전
프리데리쿠스 작전
청색 작전
보로네시 전투
엘 알라메인 전투
PQ-17 호송선단 전투
자이들리츠 작전
칼라치 전투
제1차 르제프-시쵸브카 공세
비르벨빈트 작전
디에프 상륙작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횃불 작전
튀니지 전투
천왕성 작전
벨리키예루키 전투
화성 작전
겨울폭풍 작전
바렌츠 해 해전
북캅카스 공세
콜초 작전
이스크라 작전
보로네시-하리코프 공세
스카쵸크 작전
제3차 하리코프 공방전
쿠르스크 전투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쿠투조프 작전
제1차 돈바스 공세
므가 공세
플로이에슈티 공습
제4차 하리코프 공방전
제2차 스몰렌스크 전투
브랸스크 공세
드네프르 강 전투
도데카니사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무솔리니 구출 작전
슈바인푸르트 공습
제2차 키예프 전투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노스케이프 해전
칼린코비치-모지리 공세
몬테카시노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안치오 상륙 작전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나르바 전투
비텝스크 공세
논쟁 작전
로가체프-즐로빈 공세
카메네츠-포돌츠크 포위전
노르망디 상륙작전
빌레르보카쥬 전투
바그라티온 작전
레지차-드빈스크 공세
프스코프-오스트로프 공세
리보프-산도미에시 작전
루블린-브레스트 작전
타넨베르크 선 전투
바르샤바 봉기
타르투 공세
팔레즈 포위전
용기병 작전
도펠코프 작전
제2차 야시-키시네프 공세
슬로바키아 민족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슬로바키아 봉기군
동부 카르파티아 공세
발트해 공세
라플란드 전쟁
베오그라드 공세
휘르트겐 숲 전투
마켓 가든 작전
아헨 전투
판처파우스트 작전
굼비넨 작전
벌지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부다페스트 공방전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보덴플라테 작전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동프로이센 공세
한니발 작전
하부 슐레지엔 공세
드레스덴 공습
남풍 작전
봄의 새싹 작전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
상부 슐레지엔 공세
연합군의 독일 본토 침공
텍셀 봉기
파일:Georgische_Legion.png 조지아 군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저항군
삼란드 공세
베를린 공방전
오드자크 전투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공화국
이터 성 전투 파일:슈츠슈타펠 깃발.svg 항전파 무장친위대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저항군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VIP
프라하 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저항군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
러시아어: Моравско-Остравская наступательная операция
독일어: Mährisch-Ostrauer Operation
영어: Moravia–Ostrava offensive
제2차 세계 대전 동부전선의 일부
파일:1945년 3월.jpg
▲ 1945년 3월의 동부전선, 지도 중앙 하단에 공세 목적인 오스트라바(ostrava)가 위치해 있다.
날짜
1945년 3월 10일 ~ 5월 5일
장소
나치 독일 주데텐란트 주 동부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동남부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북부
교전국 [[틀:깃발|]][[틀:깃발|]][[소련|]]
지휘관 [[틀:깃발|]][[틀:깃발|]][[이반 페트로프|]]
( 제4 우크라이나 전선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안드레이 예료멘코|
안드레이 예료멘코
]]
( 제4 우크라이나 전선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안드레이 그레치코|
안드레이 그레치코
]]
(제1근위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키릴 모스칼렌코|]]
(제38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파벨 쿠로치킨|]]
(제60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페르디난트 쇠르너|
페르디난트 쇠르너
]]
(중부 집단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고트하르트 하인리치|
고트하르트 하인리치
]]
(제1기갑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발터 네링|]]
(제1기갑군 사령관)
결과
소련군의 승리
영향
소련군이 오스트라바를 해방
독일이 모라비아의 공업지대 상실
소련군이 중부 집단군을 상대로 한 마지막 공세
전력 병력 317,300명
야포 2,900문
전차/자주포 184대
항공기 416기
병력 150,000명
야포 1,500문
전차/돌격포 100대
항공기 120기
피해 규모 전사/실종 23,964명
부상 88.657명
전사 9,236명[1]
실종/포로 15,189명
부상 43,128명

1. 개요2. 전투 서열
2.1. 소련군
2.1.1. 1945년 3월 1일2.1.2. 1945년 5월 1일
2.2. 독일군
2.2.1. 1945년 3월 1일2.2.2. 1945년 5월 5일
3. 전개4. 결과

[clearfix]

1. 개요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는 실질적으로 소련군이 중부 집단군을 상대로 한 최후의 전략적 공세였으며[2] 이 공세를 끝으로 중부 집단군은 한 때 소련을 멸망의 위기로 몰아넣었던 무적의 부대에서 그냥 잔존세력으로 전락하게 된다.[3] 공세 직전 상황을 보면 제1 우크라이나 전선군이 슐레지엔을 차지하기 위해 진행한 공세가 슐레지엔 공업지대를 점령하는데 성공하긴 했어도 전략적으로는 측면 확보에 실패하면서 소련군은 더 남쪽으로 눈을 돌렸다. 이에 따라 제4 우크라이나 전선군이 전술적으로는 오스트라바 해방과 모라비아 공업지대 확보를 위해, 전략적으로는 베를린 공세를 위한 측면 확보를 위해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를 진행하게 된다.

2. 전투 서열

2.1. 소련군

2.1.1. 1945년 3월 1일

  • 제4 우크라이나 전선군 ( 사령관 : 이반 페트로프 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선군 직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26경산악소총군단
    • 제31산악소총여단
    • 제32산악소총여단
    • 제72산악소총여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1군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1보병여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2보병여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3보병여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4보병여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1전차여단
  • 제5근위기계화군단
    • 제11근위박격포사단
    • 제10근위기계화소총여단
    • 제11근위기계화소총여단
    • 제12근위기계화소총여단
    • 제24전차여단
    • 제379근위중자주포연대
    • 제104근위중자주포연대
    • 제1447자주포연대
  • 제24돌파포병사단
  • 제3군단포병여단
  • 제3대전차포여단
  • 제27근위박격포여단
  • 제15돌격공병여단
  • 제1근위중전차연대
    }}}
  • 제1근위군 ( 사령관 : 안드레이 그레치코 상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30소총사단
    • 제25대공포사단
    • 제24근위포병여단
    • 제6공병여단
    • 제6산악공병여단
    • 제714자주포연대
    • 제1498자주포연대
  • 제3산악소총군단
    • 제128근위산악소총사단
    • 제242산악소총사단
    • 제318산악소총사단
  • 제11소총군단
    • 제226소총사단
    • 제237소총사단
    • 제276소총사단
  • 제107소총군단
    • 제129근위소총사단
    • 제161소총사단
    • 제167소총사단

    }}}
  • 제8항공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321폭격항공사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1혼성항공사단
  • 제8돌격항공군단
    • 제224돌격항공사단
    • 제227돌격항공사단
  • 제10전투항공군단
    • 제10근위전투항공사단
    • 제15근위전투항공사단

    }}}
  • 제18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24소총사단
    • 제146포병여단
    • 제9공병여단
    • 제108근위자주포연대
  • 제17근위소총군단
    • 제8소총사단
    • 제138소총사단

    }}}
  • 제38군 ( 사령관 : 키릴 모스칼렌코 상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76대공포사단
    • 제6대전차포여단
    • 제135포병여단
    • 제5근위전차여단
    • 제31근위전차여단
    • 제42근위중전차여단
    • 제4산악공병여단
    • 제39공병여단
    • 제12근위중전차연대
    • 제875자주포연대
    • 제1511자주포연대
    • 제1666자주포연대
  • 제52소총군단
    • 제121소총사단
    • 제241소총사단
    • 제305소총사단
  • 제67소총군단
    • 제81소총사단
    • 제211소총사단
    • 제340소총사단
  • 제95소총군단
    • 제2근위공수사단
    • 제271소총사단
    • 제351소총사단
  • 제101소총군단
    • 제70근위소총사단
    • 제140소총사단
    • 제183소총사단
  • 제127경산악소총군단
    • 제3산악소총여단
    • 제69산악소총여단
    • 제70산악소총여단

    }}}
    }}}

2.1.2. 1945년 5월 1일

  • 제4 우크라이나 전선군 ( 사령관 : 안드레이 예료멘코 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선군 직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체코슬로바키아 제1군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1보병여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2보병여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3보병여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4보병여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1전차여단
  • 제27근위박격포여단
  • 제1근위중전차연대
    }}}
  • 제1근위군 ( 사령관 : 안드레이 그레치코 상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237소총사단
    • 제25대공포사단
    • 제24근위포병여단
    • 제6공병여단
    • 제6산악공병여단
    • 제714자주포연대
    • 제1498자주포연대
    • 제1666자주포연대
  • 제67소총군단
    • 제81소총사단
    • 제211소총사단
    • 제340소총사단
  • 제95소총군단
    • 제2근위공수사단
    • 제351소총사단
  • 제107소총군단
    • 제129근위소총사단
    • 제161소총사단
    • 제167소총사단
  • 제127경산악소총군단
    • 제3산악소총여단
    • 제69산악소총여단
    • 제70산악소총여단

    }}}
  • 제8항공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321폭격항공사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1혼성항공사단
  • 제8돌격항공군단
    • 제224돌격항공사단
    • 제227돌격항공사단
  • 제10전투항공군단
    • 제10근위전투항공사단
    • 제15근위전투항공사단

    }}}
  • 제18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24소총사단
    • 제146포병여단
    • 제9공병여단
    • 제108근위자주포연대
  • 제17근위소총군단
    • 제8소총사단
    • 제138소총사단

    }}}
  • 제38군 ( 사령관 : 키릴 모스칼렌코 상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24돌파포병사단
    • 제76대공포사단
    • 제3군단포병여단
    • 제6대전차포여단
    • 제135포병여단
    • 제5근위전차여단
    • 제42근위중전차여단
    • 제4산악공병여단
    • 제39공병여단
    • 제12근위중전차연대
    • 제875자주포연대
    • 제1511자주포연대
  • 제11소총군단
    • 제30소총사단
    • 제221소총사단
    • 제276소총사단
  • 제52소총군단
    • 제121소총사단
    • 제241소총사단
    • 제305소총사단
  • 제101소총군단
    • 제70근위소총사단
    • 제140소총사단
    • 제183소총사단
    • 제226소총사단
  • 제126경산악소총군단
    • 제31산악소총여단
    • 제32산악소총여단
    • 제72산악소총여단

    }}}
  • 제60군 ( 사령관 : 파벨 쿠로치킨 상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302소총사단
    • 제13돌파포병사단
    • 제43대공포사단
    • 제18대전차포여단
    • 제33포병여단
    • 제48대전차포여단
    • 제15돌격공병여단
    • 제59공병여단
    • 제1448자주포연대
  • 제15소총군단
    • 제9소총사단
    • 제107소총사단
    • 제336소총사단
  • 제28소총군단
    • 제100소총사단
    • 제246소총사단
  • 제106소총군단
    • 제148소총사단
    • 제304소총사단
  • 제3산악소총군단
    • 제128근위산악소총사단
    • 제242산악소총사단
    • 제318산악소총사단
    • 제322소총사단
  • 제31전차군단
    • 제201근위박격포사단
    • 제100전차여단
    • 제237전차여단
    • 제242전차여단
    • 제65차량화소총여단
    • 제367근위중자주포연대
    • 제722자주포연대
    • 제1444자주포연대

    }}}
    }}}

2.2. 독일군

2.2.1. 1945년 3월 1일

  • 중부 집단군 ( 사령관 : 페르디난트 쇠르너 상급대장[4]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기갑군
  • 제17군
  • 제1기갑군 ( 사령관 : 고트하르트 하인리치 상급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예비
    • 제154보병사단
    • 제18SS의용기갑척탄병사단 '호르스트 베셀'
  • 슐레지엔 수비대
    • 제20SS무장척탄병사단 '에스토니아1'
    • 제168보병사단
  • 제9군단
    • 제344보병사단
    • 제371보병사단
    • 제97엽병사단
    • 제1스키사단
  • 제59군단
    • 제68보병사단
    • 제75보병사단
    • 제253보병사단
    • 제544국민척탄병사단
  • 제49산악군단
    • 제78국민돌격사단
    • 제4산악사단
    • 제320국민척탄병사단

    }}}
    }}}

2.2.2. 1945년 5월 5일

  • 중부 집단군 ( 사령관 : 페르디난트 쇠르너 원수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기갑군
  • 제17군
  • 제1기갑군 ( 사령관 : 발터 네링 기갑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예비
    • 제8기갑사단
    • 제371보병사단
    • 제544국민척탄병사단
    • 제320국민척탄병사단
    • 제253보병사단
  • 슐레지엔 수비대
    • 제20SS무장척탄병사단 '에스토니아1'
    • 제168보병사단
  • 제9군단
    • 기갑사단 '펠트헤른할레1'
    • 제715보병사단
    • 제10기갑척탄병사단
  • 제59군단
    • 기갑척탄병사단 '브란덴부르크'
  • 제72군단
    • 제254보병사단
    • 제78국민돌격사단
    • 제304보병사단
  • 제49산악군단
    • 제4산악사단
    • 제3산악사단
    • 제97엽병사단
    • 제153척탄병사단
    • 제76보병사단
    • 제271국민척탄병사단
  • 제24기갑군단
    • 제15보병사단
    • 제19기갑사단
    • 제8엽병사단
    • 제46국민척탄병사단
    • 제711보병사단
    • 제10공수사단
    • 제6기갑사단

    }}}
    }}}

3. 전개

4. 결과

결과적으로 압도적인 전력 차이 덕분에 소련군이 승리하기는 했으나 독일군의 강력한 저항으로 전술적 목표 달성에만 2달이 걸렸으며 전략적 목표 달성에는 끝내 실패했다. 중부 집단군은 이 시점에서 본토를 방어중인 3개 집단군[5] 중 가장 약했음에도 가장 성공적인 방어전을 펼쳤으며 4기갑군,17군,1기갑군이 차례로 3개의 공세[6]를 그나마 방어하는데 성공하면서 소련군은 종전시까지 중부 집단군을 상대로 전략적 공세를 중단하게 된다. 또한 소련군은 앞에 말한 3개 공세를 진행했음에도 측면 확보라는 목적 달성에 끝끝내 실패했지만 이 공세를 마지막으로 마침내 카르파티아 산맥을 넘는데 성공했다.
[1] 독일군의 기록은 4월 20일까지의 기록으로 이후의 시점에서는 OKH조직이 사실상 와해되어 집계된 기록이 없다. [2] 5월 6일부터 11일까지 진행한 프라하 공세도 있긴 한데 이건 사실상 전쟁이 이미 끝난 상태에서 연합군보다 프라하를 먼저 차지하기 위해 진행한 공세로 전황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공세였다. [3] 다만 바르바로사 작전에서의 중부 집단군은 이 시점에서 사령부는 북부 집단군이 되어 동프로이센에 갇혀있었고 휘하 부대들은 대부분 비스툴라 집단군에 소속되어 베를린을 방어하고 있었다.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에서의 중부 집단군은 북우크라이나 집단군이 개칭한 것으로 쿠르스크 전투 당시 남부 집단군의 북쪽 절반정도의 전력에 해당한다. [4] 4월 5일에 원수로 진급 [5] 비스툴라,중부,남부 [6] 하부 슐레지엔 공세, 상부 슐레지엔 공세,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