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 및 국무위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373A3C,#DDD" |
국무총리 | |||
한덕수 | ||||
최상목 | 이주호 | |||
유상임 | 조태열 | 김영호 | 박성재 | |
김용현 | 이상민 | 강정애 | 유인촌 | |
송미령 | 안덕근 | 조규홍 | 김완섭 | |
김문수 | 공석 | 박상우 | 강도형 | |
오영주 | ||||
국회의원 겸직 | ||||
※ 둘러보기: 국가행정조직 | ||||
{{{#!wiki style="display:inline-flex; background: #fff; border-radius: 3px; padding: 0.8px 3px; margin: 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공보처장 (1948~1956) | ||||||||
<nopad> 이승만 정부 | |||||||||
초대 김동성 |
제2대 이철원 |
제3대 김활란 |
|||||||
<nopad> 이승만 정부 | |||||||||
제4대 이철원 |
제5대 안연생 |
제6대 갈홍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공보실장 (1956~1961) |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허정 내각 | <nopad> 장면 내각 | |||||||
제6대 갈홍기 |
제7대 오재경 |
제8대 전성천 |
제9대 최치환 |
제10대 서석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공보부장관 (1961~1968) | |||
<nopad> 장도영 내각 | <nopad> 송요찬 내각 | <nopad> 김현철 내각 | |||||||
제11대 심흥선 |
제12대 오재경 |
제13대 이원우 |
제14대 임성희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15대 김동성 |
제16대 이수영 |
제17대 홍종철 |
|||||||
문화공보부장관 (1968~1989)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17대 홍종철 |
제18대 신범식 |
제19대 윤주영 |
제20대 이원경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21대 김성진 |
제22대 이규현 |
제23대 이광표 |
제24대 이진희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25대 이원홍 |
제26대 이웅희 |
제27대 정한모 |
제28대 최병렬 |
||||||
1989년 문화부· 공보처 분리 | |||||||||
문화부장관 (1989~1993) |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29대 이어령 |
제30대 이수정 |
||||||||
1993년 문화부· 체육청소년부 통합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문화체육부장관 (1993~1998) | |||||||
<nopad> 문민정부 | |||||||||
제31대 이민섭 |
제32대 주돈식 |
제33대 김영수 |
제34대 송태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문화관광부장관 (1998~2008) |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35대 신낙균 |
제36대 박지원 |
제37대 김한길 |
제38대 남궁진 |
제39대 김성재 |
|||||
<nopad> 참여정부 | |||||||||
제40대 이창동 |
제41대 정동채 |
제42대 김명곤 |
제43대 김종민 |
||||||
2008년 문화관광부· 국정홍보처 통합 |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2008~현재)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
제44대 유인촌 |
제45대 정병국 |
제46대 최광식 |
제47대 유진룡 |
제48대 김종덕 |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49대 조윤선 |
제50대 도종환 |
제51대 박양우 |
제52대 황희 |
제53대 박보균 |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54대 유인촌 |
}}}}}}}}} |
<colcolor=#ffffff><colbgcolor=#003764>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장관 大韓民國 文化體育觀光部長官 The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f the Republic of Korea |
|
현직 | 유인촌 / 제54대 |
취임일 | 2023년 10월 7일 |
정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clearfix]
1. 개요
문화체육관광부의 장관.문화 전문 부처 장관이라 장관 중 한직이라 생각하기 쉬운데 과거에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정확히는 '문화공보부' 시절)은 정부 대변인 역할을 하기도 했다. 따라서 정부 차원에서 뭔가를 공식적으로 공표하는 자리에서는 문화부 장관이 나서던 것이 관례였다. 2000년대에 접어들어 통신 매체의 발달로 정부의 의견을 다양하게 접할 수 있을 뿐더러 각 기관의 전문성 및 공보 및 홍보 기능이 발달하면서 이제는 각 기관별로 대변인을 두고 활발하게 대중 및 언론과 소통하는 추세이기는 하다. 대한민국을 대표하여 해외에 대한민국의 입장을 발표할 때는 외교부 대변인과 외교부장관이 대변인이 되고, 대통령 중심제인 특성인 대한민국 특성상 대통령실 대변인 혹은 홍보수석비서관, 국무총리 및 국무총리실 대변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언론 접촉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잘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엄연히 대한민국 정부 전체의 대변인은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다.
대한민국 정부를 대표할 일이 있을 때, 즉 공보나 홍보 등에 있어 외교부 대변인 - 외교부 장관보다 더 윗급의, 더 중요한 메시지를 낼 일이 있을 때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대변인이 되는데, 이 급이 나설 사안은 매우 적어 볼 일이 드물 뿐 여전히 정부 전체의 대변인은 문체부 장관이 맡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2016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 소추안 가결 당시, 대한민국 정부 대변인으로서 당시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대표하여 외신 등에 서한을 발송한 것이 있다. #당시 정부 대변인 명의의 보도자료 그 이유는 과거부터 이어진 대한민국 정부 전체의 공보 담당 및 총괄 기능을 언론 미디어 분야를 관장하는 문화체육관광부가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1]
조윤선 문체부 장관, 탄핵 이후 국정 운영에 관한 외신 서한 발송
- 총리 권한대행을 중심으로 한 안정적인 국정 운영 의지 전달 -
조윤선 대한민국 정부대변인 겸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장관은 12월 11일(일), 전 세계 언론인 및 국내 상주외신을 대상으로 대통령 탄핵과 관련하여 우리 정부가 신속한 대책을 추진하고 있음을 설명하고 한국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요청하는 서한을 발송했다.
서한에는 대통령 권한대행이 시작된 황교안 국무총리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및 주요 국무위원 간담회 개최를 통해 빈틈없이 국정을 운영해 나가고 있으며, 특히 국무총리는 탄핵안 가결 직후 ‘군 경계 태세 강화’를 긴급 지시하는 등 북한의 핵실험과 도발이 이어지는 상황 속에서 국가의 안위를 지키는 것을 최우선시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하략)
- 총리 권한대행을 중심으로 한 안정적인 국정 운영 의지 전달 -
조윤선 대한민국 정부대변인 겸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장관은 12월 11일(일), 전 세계 언론인 및 국내 상주외신을 대상으로 대통령 탄핵과 관련하여 우리 정부가 신속한 대책을 추진하고 있음을 설명하고 한국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요청하는 서한을 발송했다.
서한에는 대통령 권한대행이 시작된 황교안 국무총리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및 주요 국무위원 간담회 개최를 통해 빈틈없이 국정을 운영해 나가고 있으며, 특히 국무총리는 탄핵안 가결 직후 ‘군 경계 태세 강화’를 긴급 지시하는 등 북한의 핵실험과 도발이 이어지는 상황 속에서 국가의 안위를 지키는 것을 최우선시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하략)
위와 같이 대한민국의 정치 및 사회에 중대한 사안이 발생했을 때에는 정부를 대표하여 외교부 장관이 아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대변인이 된다. 이는 2008년 국정홍보처가 폐지되면서 정부 대변인 자리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자리로 넘어온 것에 기인하며, 실질적으로는 문체부 제 2차관이 해당 업무를 담당하나 대한민국과 관계된 중대한 사항에 있어서는 장관이 대변인을 맡는다. # 이 때문에 대한민국 정부가 특정 사안에 있어 국가 전체의 입장을 낼 때, 급을 높여서 상황의 엄중함을 표현할 때도 외교부 장관이 아닌 문체부 장관이 담화를 발표한다. 대표적으로는 2013년 아베 신조 당시 일본 총리가 직접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했을 당시, 외교부 대변인이나 장관이 아닌 문체부 장관이 담화를 발표한 것이 그 예다. # 아베 총리의 참배 당시 정부대변인 유진룡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성명
이승만이나 박정희, 전두환 등이 집권하던 독재정권기에는 물론이고, 민주화 이후에도 언론이 정부와 사이가 안 좋으면 국정 운영 자체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마냥 쉬운 보직이 아니다. 이전의 방송위원회와 2008년 방송통신위원회[2]가 본격화하면서 방송 쪽 상당 부분은 영향력이 줄어들었지만 뉴스통신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뉴스통신진흥회를 통해 국가 기간 뉴스통신사인 연합뉴스 쪽을 꽉 잡고 있다.[3]
신문 쪽의 주무 기관인 점 외에도, 아리랑TV나 국악방송, 국민방송( 한국정책방송원) 등을 통해 방송에 관여할 여지는 충분히 있다. 이렇게 겉만 보면 방송은 방통위 소관 업무지만 내용물까지 따지면 문체부 소관으로 봐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관광 쪽은 한국관광공사라는 전문 공기업이 있기 때문인지 상대적으로 크게 신경쓰진 않는 듯하다.[4] 괜히 관 주도로 문화 산업 육성하려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와 같은 역효과가 날 수 있기도 하다.
장관의 경우 보통은 집권당의 국회의원(정치인)이 임명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부처의 특성상 김명곤, 이창동, 유인촌, 도종환[5] 등 문화계 인사들이 장관을 맡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역대 장관 중 내부 관료 출신 장관은 박근혜 정부 때 유진룡 장관, 문재인 정부 때 박양우 장관 등 2명 뿐이다.
역대 총 세 명의 여성 장관이 임명되었다. 이승만 정부의 김활란[6], 김대중 정부의 신낙균, 박근혜 정부의 조윤선이 그 주인공이다. 김활란 전 공보처장을 뺀 두 장관은 모두 비례대표(내지는 전국구) 국회의원을 지냈다는 공통점이 있다.
2. 역대 장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공보처장 (1948~1956) | ||||||||
<nopad> 이승만 정부 | |||||||||
초대 김동성 |
제2대 이철원 |
제3대 김활란 |
|||||||
<nopad> 이승만 정부 | |||||||||
제4대 이철원 |
제5대 안연생 |
제6대 갈홍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공보실장 (1956~1961) |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허정 내각 | <nopad> 장면 내각 | |||||||
제6대 갈홍기 |
제7대 오재경 |
제8대 전성천 |
제9대 최치환 |
제10대 서석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공보부장관 (1961~1968) | |||
<nopad> 장도영 내각 | <nopad> 송요찬 내각 | <nopad> 김현철 내각 | |||||||
제11대 심흥선 |
제12대 오재경 |
제13대 이원우 |
제14대 임성희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15대 김동성 |
제16대 이수영 |
제17대 홍종철 |
|||||||
문화공보부장관 (1968~1989)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17대 홍종철 |
제18대 신범식 |
제19대 윤주영 |
제20대 이원경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21대 김성진 |
제22대 이규현 |
제23대 이광표 |
제24대 이진희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25대 이원홍 |
제26대 이웅희 |
제27대 정한모 |
제28대 최병렬 |
||||||
1989년 문화부· 공보처 분리 | |||||||||
문화부장관 (1989~1993) |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29대 이어령 |
제30대 이수정 |
||||||||
1993년 문화부· 체육청소년부 통합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문화체육부장관 (1993~1998) | |||||||
<nopad> 문민정부 | |||||||||
제31대 이민섭 |
제32대 주돈식 |
제33대 김영수 |
제34대 송태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문화관광부장관 (1998~2008) |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35대 신낙균 |
제36대 박지원 |
제37대 김한길 |
제38대 남궁진 |
제39대 김성재 |
|||||
<nopad> 참여정부 | |||||||||
제40대 이창동 |
제41대 정동채 |
제42대 김명곤 |
제43대 김종민 |
||||||
2008년 문화관광부· 국정홍보처 통합 |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2008~현재)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
제44대 유인촌 |
제45대 정병국 |
제46대 최광식 |
제47대 유진룡 |
제48대 김종덕 |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49대 조윤선 |
제50대 도종환 |
제51대 박양우 |
제52대 황희 |
제53대 박보균 |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54대 유인촌 |
}}}}}}}}} |
||<-2><tablewidth=5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fff,#1f2023><width=35%> 공보처(실) ||<|3><width=35%> 문교부 문화국 ||<|15><width=30%> 교통부 관광국 ||
↓ | |||
공보부 | |||
↓ | ↙↓ | ||
문화공보부 |
문교부 사회교육국 체육과[7] |
||
↓ | |||
체육국 | |||
↓ | |||
체육국제국 | |||
↓ | |||
체육부 | |||
↓ | ↓ | ↓ | |
공보처 | 문화부 | 체육청소년부 | |
↓[8] | |||
문화체육부 | |||
↓ | ↓ | ||
공보실 | 문화관광부 | ||
↓ | |||
국정홍보처 | |||
↓ | |||
문화체육관광부 |
2.1. 공보처/공보실/공보부
2.1.1. 공보처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제1공화국 | 초대 | 김동성(金東成) | 1948년 8월 4일 ~ 1949년 6월 3일 |
2대 | 이철원(李哲源) | 1949년 8월 4일 ~ 1950년 8월 14일 | |
3대 | 김활란(金活蘭) | 1950년 8월 15일 ~ 1950년 11월 25일 | |
4대 | 이철원(李哲源) | 1950년 11월 26일 ~ 1953년 1월 1일 | |
5대 | 안연생(安蓮生) | 1953년 1월 2일 ~ 1955년 3월 5일 | |
6대 | 갈홍기(葛弘基) | 1953년 3월 6일 ~ 1956년 2월 8일 |
2.1.2. 공보실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제1공화국 | 6대 | 갈홍기(葛弘基) | 1956년 2월 9일 ~ 1956년 7월 22일 |
7대 | 오재경(吳在璟) | 1956년 7월 23일 ~ 1959년 1월 30일 | |
8대 | 전성천(全聖天) | 1959년 1월 31일 ~ 1960년 4월 7일 | |
9대 | 최치환(崔致煥) | 1960년 4월 8일 ~ 1960년 5월 4일 | |
제2공화국 | 10대 | 서석순(徐碩淳) | 1960년 5월 5일 ~ 1961년 5월 19일 |
2.1.3. 공보부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국가재건최고회의 | 11대 | 심흥선(沈興善) | 1961년 5월 20일 ~ 1961년 7월 6일 |
12대 | 오재경(吳在璟) | 1961년 7월 7일 ~ 1962년 6월 17일 | |
13대 | 이원우(李元雨) | 1962년 6월 18일 ~ 1963년 4월 11일 | |
14대 | 임성희(任星熙) | 1963년 4월 12일 ~ 1963년 12월 16일 | |
제3공화국 | 15대 | 김동성(金東晟) | 1963년 12월 17일 ~ 1964년 5월 10일 |
16대 | 이수영(李壽榮) | 1964년 5월 11일 ~ 1964년 9월 1일 | |
17대 | 홍종철(洪種哲) | 1964년 9월 2일 ~ 1968년 7월 23일 |
2.2. 문화공보부/체육부
2.2.1. 문화공보부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제3공화국 | 17대 | 홍종철(洪種哲) | 1968년 7월 24일 ~ 1969년 4월 10일 |
18대 | 신범식(申範植) | 1969년 4월 11일 ~ 1971년 6월 3일 | |
19대 | 윤주영(尹胄榮) | 1971년 6월 4일 ~ 1974년 9월 17일 | |
제4공화국 | |||
20대 | 이원경(李源京) | 1974년 9월 18일 ~ 1975년 12월 18일 | |
21대 | 김성진(金聖鎭) | 1975년 12월 19일 ~ 1979년 12월 13일 | |
22대 | 이규현(李揆現) | 1979년 12월 14일 ~ 1980년 5월 21일 | |
23대 | 이광표(李光杓) | 1980년 5월 22일 ~ 1982년 5월 20일 | |
제5공화국 | |||
24대 | 이진희(李振羲) | 1982년 5월 21일 ~ 1985년 2월 18일 | |
25대 | 이원홍(李元洪) | 1985년 2월 19일 ~ 1986년 8월 26일 | |
26대 | 이웅희(李雄熙) | 1986년 8월 27일 ~ 1988년 2월 24일 | |
노태우 정부 | 27대 | 정한모(鄭漢模) | 1988년 2월 25일 ~ 1988년 12월 4일 |
28대 | 최병렬(崔秉烈) | 1988년 12월 5일 ~ 1989년 12월 27일 |
2.2.2. 체육부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제5공화국 | 초대 | 노태우(盧泰愚) | 1982년 3월 20일 ~ 1982년 4월 28일 |
2대 | 이원경(李源京) | 1982년 4월 28일 ~ 1983년 10월 15일 | |
3대 | 이영호(李永鎬) | 1983년 10월 15일 ~ 1986년 1월 8일 | |
4대 | 박세직(朴世直) | 1986년 1월 8일 ~ 1986년 8월 27일 | |
5대 | 이세기(李世基) | 1986년 8월 27일 ~ 1987년 7월 14일 | |
6대 | 조상호(曺相鎬) | 1987년 7월 14일 ~ 1988년 12월 4일 | |
노태우 정부 | |||
7대 | 김집(金潗) | 1988년 12월 5일 ~ 1990년 3월 18일 | |
8대 | 정동성(鄭東星) | 1990년 3월 19일 ~ 1990년 12월 26일 |
2.3. 공보처/문화부/체육청소년부/문화체육부
2.3.1. 공보처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노태우 정부 | 초대 | 최병렬(崔秉烈) | 1989년 12월 28일 ~ 1990년 12월 20일 |
2대 | 최창윤(崔昌潤) | 1990년 12월 20일 ~ 1992년 6월 6일 | |
3대 | 손주환(孫柱煥) | 1992년 6월 6일 ~ 1992년 10월 9일 | |
4대 | 류혁인(柳赫仁) | 1992년 10월 9일 ~ 1993년 2월 25일 | |
문민정부 | 5대 | 오인환(吳隣煥) | 1993년 2월 26일 ~ 1998년 2월 24일 |
2.3.2. 문화부/체육청소년부/문화체육부
2.3.2.1. 문화부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노태우 정부 | 29대 | 이어령(李御寧) | 1989년 12월 28일 ~ 1991년 12월 19일 |
30대 | 이수정(李秀正) | 1991년 12월 20일 ~ 1993년 2월 25일 |
2.3.2.2. 체육청소년부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노태우 정부 | 9대 | 박철언(朴哲彦) | 1990년 12월 27일 ~ 1991년 12월 18일 |
10대 | 이진삼(李鎭三) | 1991년 12월 19일 ~ 1993년 2월 25일 |
2.3.2.3. 문화체육부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문민정부 | 31대 | 이민섭(李敏燮) | 1993년 2월 26일 ~ 1994년 12월 23일 |
32대 | 주돈식(朱燉植) | 1994년 12월 24일 ~ 1995년 12월 20일 | |
33대 | 김영수(金榮秀) | 1995년 12월 21일 ~ 1997년 3월 5일 | |
34대 | 송태호(宋泰鎬) | 1997년 3월 6일 ~ 1998년 3월 2일 |
2.4. 국정홍보처/문화관광부
2.4.1. 국정홍보처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국민의 정부 | 초대 | 오홍근(吳弘根) | 1999년 5월 24일 ~ 2001년 9월 11일 |
2대 | 박준영(朴晙瑩) | 2001년 9월 11일 ~ 2002년 1월 9일 | |
3대 | 신중식(申仲植) | 2002년 1월 16일 ~ 2003년 3월 5일 | |
참여정부 | 4대 | 조영동(趙永東) | 2003년 3월 6일 ~ 2004년 2월 10일 |
5대 | 정순균(鄭順均) | 2004년 2월 10일 ~ 2005년 3월 22일 | |
6대 | 김창호(金蒼浩) | 2005년 3월 22일 ~ 2008년 2월 28일 |
2.4.2. 문화관광부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국민의 정부 | 35대 | 신낙균(申樂均) | 1998년 3월 3일 ~ 1999년 5월 23일 |
36대 | 박지원(朴智元) | 1999년 5월 23일 ~ 2000년 9월 19일 | |
37대 | 김한길(金한길) | 2000년 9월 20일 ~ 2001년 9월 18일 | |
38대 | 남궁진(南宮鎭) | 2001년 9월 19일 ~ 2002년 7월 10일 | |
39대 | 김성재(金聖在) | 2002년 7월 11일 ~ 2003년 2월 26일 | |
참여정부 | 40대 | 이창동(李滄東) | 2003년 2월 27일 ~ 2004년 6월 30일 |
41대 | 정동채(鄭東采) | 2004년 7월 1일 ~ 2006년 3월 6일 | |
42대 | 김명곤(金明坤) | 2006년 3월 27일 ~ 2007년 5월 7일 | |
43대 | 김종민(金鍾民) | 2007년 5월 8일 ~ 2008년 2월 28일 |
2.5. 문화체육관광부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이명박 정부 | 44대 | 유인촌(柳仁村) | 2008년 2월 29일 ~ 2011년 1월 26일 |
45대 | 정병국(鄭柄國) | 2011년 1월 27일 ~ 2011년 9월 16일 | |
46대 | 최광식(崔光植) | 2011년 9월 17일 ~ 2013년 3월 10일 | |
박근혜 정부 | 47대 | 유진룡(劉震龍) | 2013년 3월 11일 ~ 2014년 7월 16일 |
48대 | 김종덕(金鐘德) | 2014년 8월 20일 ~ 2016년 9월 4일 | |
49대 | 조윤선(趙允旋) | 2016년 9월 5일 ~ 2017년 1월 20일 | |
문재인 정부 | 50대 | 도종환(都鐘煥) | 2017년 6월 16일 ~ 2019년 4월 2일 |
51대 | 박양우(朴良雨) | 2019년 4월 3일 ~ 2021년 2월 10일 | |
52대 | 황희(黃熙) | 2021년 2월 11일 ~ 2022년 5월 13일 | |
윤석열 정부 | 53대 | 박보균(朴普均) | 2022년 5월 13일 ~ 2023년 10월 7일 |
54대 | 유인촌(柳仁村) | 2023년 10월 7일 ~ 현재 |
3. 관련 문서
4. 둘러보기
중앙행정기관의 장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0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부총리급 인사 장관급 인사 차관급 인사 고공단 가급 인사 고공단 나급 인사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통령 직속기관장 | ||||||
감사원 역대 원장 |
국가정보원 역대 원장 |
국가안보실 역대 실장 |
|||||
대통령비서실 역대 실장 |
방송통신위원회 역대 위원장 |
대통령경호처 역대 처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무총리 직속기관장 | |||
공정거래위원회 역대 위원장 |
금융위원회 역대 위원장 |
국민권익위원회 역대 위원장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역대 위원장 |
||||
국무조정실 역대 실장 |
국무총리비서실 역대 실장 |
원자력안전위원회 역대 위원장 |
인사혁신처 역대 처장 |
||||
법제처 역대 처장 |
식품의약품안전처 역대 처장 |
역대 국무위원 · 현임 국무위원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0.5px -10px" {{{#181818,#e5e5e5 |
의장 | 대통령 | ||
윤석열 | ||||
부의장 | 국무총리 | |||
한덕수 | ||||
<colbgcolor=#003865> 국무위원 | ||||
최상목 | <colbgcolor=#003865> | 이주호 | ||
유상임 | 조태열 | |||
김영호 | 박성재 | |||
김용현 | 이상민 | |||
강정애 | 유인촌 | |||
송미령 | 안덕근 | |||
조규홍 | 김완섭 | |||
김문수 | 공석 | |||
박상우 | 강도형 | |||
오영주 | ||||
정부위원 | ||||
류광준 | 정인교 | |||
대통령 보좌기관·소속기관 | ||||
신원식 | 정진석 | |||
이배용 | 이진숙 | |||
국무총리 보좌기관·소속기관 | ||||
방기선 | 김승호 | |||
이완규 | 오유경 | |||
김병환 | 한기정 | |||
고학수 | 유국희 | |||
서울특별시 | ||||
오세훈 | ||||
기타 기관* | ||||
천대엽 | 김정원 | |||
안창호 | 이창용 | |||
오동운 | ||||
기타 의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배석시키는, 중요 직위에 있는 공무원 | ||||
* 국무회의 규정 외의 법률에 의거하여 국무회의에 출석, 발언권 등이 있음 | }}}}}}}}}}}} |
[1]
이명박 정부 때 문체부가 된 이후로는 정부의 정책 홍보 담당 소관 부서를 방통위로 아는 사람들이 상당히 늘어났다. 문화체육관광부에는 부처 명에 공보 혹은 홍보라는 단어가 들어가지 않으며, 정부 중후반 이후가 스마트폰과 피처폰의 과도기와 겹친다. 그레서 신문사의 영향력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방통위의 입김이 좋은 면이든 나쁜 면이든 간에 많이 커진 것도 있다.
[2]
방송통신위원회 산하 법정법인으로 방송통신진흥회가 있는데, 이 기관이
문화방송(MBC)의 대주주이다. 문화방송이라는 이름에서 과거 문화부의 영향력을 느낄 수 있다.
[3]
'뉴스통신 진흥에 관한 법률 14조 ②대표이사는 진흥회의 추천을 받아 연합뉴스사의 이사회의 의결로 선임된다.'라는 규정이 있는데 뉴스통신진흥회가 문체부 소관인 이상 입김이 안 들어갈 수가 없는 구조다. 뉴스통신진흥회 임원은 뉴스통신 진흥에 관한 법률 제26조에 따라 이사장 1명 포함 이사 7명과 감사 1명으로 구성되는데, 모든 이사를 대통령이 임명하되, 그 중 3명은
국회의장이 각
교섭단체 대표의원과 협의하여 추천한 사람을 임명하고, 2명은 일간신문 발행인을 대표하는 전국 조직과
지상파 방송 사업자를 대표하는 전국 조직에서 각각 추천한 사람을 임명하도록 되어 있다. 신문업계는
한국신문협회장 등이 될 듯하고, 방송업계는
한국방송협회장 등이 추천권을 행사하는 구조다.
[4]
다른 나라의 경우,
일본
관광청, 필리핀
관광청, 캐나다
관광청, 오스트리아
관광청, 독일
관광청 등처럼 공기업이 아닌 관광 전담 행정 관청 형태로 있는 곳도 있다.
[5]
다만 도종환은 장관 임명 당시 집권당이던
더불어민주당의 재선 국회의원을 역임하는 중이었다.
[6]
당시 공보처장
[7]
공보부가 문화공보부로 확대되면서 문교부의 문화업무가 문화공보부로 이관되고, 문예체육국이 폐지됨에 따라 설치된 사회교육국에 체육과를 두었다.
[8]
1994년 건설부와 교통부가 통합하면서 구 교통부 관광국이 문화체육부에 흡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