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 및 국무위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373A3C,#DDD" |
|
|||
한덕수 | ||||
추경호* | 공석 | |||
이종호 | 박진* | 권영세* | 한동훈 | |
이종섭 | 이상민 | 박보균 | 정황근 | |
이창양 | 공석 | 한화진 | 이정식 | |
김현숙 | 원희룡 | 조승환 | 이영 | |
* 국회의원 겸직 | ||||
※ 둘러보기: 국가행정조직 | ||||
{{{#!wiki style="border: 1px solid #191919; display:inline-flex; background: #FFF; border-radius: 3px; padding: 0.8px 3px; margin: 1px; letter-spacing: -1.0px"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환경청장 (1980~1990) | |||||||
초대 박승규 |
제2대 박준익 |
제3대 최수일 |
||||||
제4대 박판제 |
제5대 이상배 |
제6대 이재창 |
||||||
환경처장관 (1990~1994) | ||||||||
초대 조경식 |
제2대 허남훈 |
제3대 권이혁 |
||||||
제4대 이재창 |
제5대 황산성 |
제6대 박윤흔 |
||||||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환경부장관 (1994~현재) | |||||||
초대 김중위 |
제2대 정종택 |
제3대 강현욱 |
제4대 윤여준 |
제5대 최재욱 |
||||
제6대 손숙 |
제7대 김명자 |
제8대 한명숙 |
제9대 곽결호 |
제10대 이재용 |
||||
제11대 이치범 |
제12대 이규용 |
제13대 이만의 |
제14대 유영숙 |
제15대 윤성규 |
||||
제16대 조경규 |
제17대 김은경 |
제18대 조명래 |
제19대 한정애 |
제20대 한화진 |
}}}}}}}}} |
<colcolor=#fff><colbgcolor=#003764> 大韓民國 環境部長官 The Minister of Enviro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
|
|
|
현직 | 한화진 / 제20대 |
취임일 | 2022년 5월 10일 |
정당 |
[[무소속| 무소속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환경부의 장.과거보다 화학물질이나 층간 소음, 미세먼지 등 국민 건강이나 안전, 스트레스 등에 연관된 문제가 점점 많아지고 있고, 환경분야 NGO에서는 끊임없이 깔 거리를 이슈화시키려 하기 때문에 점차 업무는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환경부 장관이 직접 소관할 수 있는 환경부의 분야는 문서를 보아도 알겠지만 한정되어 있다. 에너지 정책은 산업자원통상부, 숲은 농림수산식품부 산하 산림청, 생활 속 소음이나 쓰레기 등 유해물질은 행정안전부와 건설교통부가 관할하며, 바다는 해양수산부가 관할한다. 때문에 환경부는 기껏해야 저런 환경이슈에서 제동을 거는 정도다. 환경부의 권한이 큰 영역은 하천[1]과 기상을 포함한 대기. 그러나 대기는 한 국가가 해결할 수 없는 문제여서 실권을 쥔 쪽은 물 쪽에 불과하다.
때문에 정치인들이 크게 선호하는 장관 보직은 아니다. 그래서 여성 장관 T.O.로 활용되기도 했다. 주로 여성 과학자나 시민운동을 했던 인물들이 장관직을 맡았다. 환경 정책에 미온적인 보수 정권에서는 타 부처와 겹치는 업무에는 발을 빼고 고유업무인 하천환경의 경제적, 자원적 측면에 집중하여 생활이나 산업에 사용할 수 있게끔 관리하는 경향이 강하다. 대표적으로 4대강 산업이 있다. 반면 민주당계 정권에서는 보다 힘이 실리고 여러 정책에 입김이 커지는 편이다.
||<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768> 보건사회부 환경위생과 공해계 ||
↓ |
환경청 |
↓ |
환경처 |
↓ |
환경부 |
2. 환경청장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제4공화국 | 초대 | 박승규(朴承圭) | 1980년 1월 1일~1980년 7월 2일 |
2대 | 박준익(朴準翼) | 1980년 7월 19일~1983년 7월 9일 | |
제5공화국 | |||
3대 | 최수일(崔守一) | 1983년 7월 9일~1986년 5월 24일 | |
4대 | 박판제(朴判濟) | 1986년 5월 24일~1988년 5월 20일 | |
노태우 정부 | 5대 | 이상배(李相培) | 1988년 5월 20일~1989년 7월 21일 |
6대 | 이재창(李在昌) | 1989년 7월 21일~1990년 1월 3일 |
3. 환경처 장관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노태우 정부 | 초대 | 조경식(曺京植) | 1990년 1월 3일~1990년 9월 19일 |
2대 | 허남훈(許南薰) | 1990년 9월 19일~1991년 4월 26일 | |
3대 | 권이혁(權彛赫) | 1991년 4월 26일~1992년 6월 26일 | |
4대 | 이재창(李在昌) | 1992년 6월 26일~1993년 2월 26일 | |
문민정부 | 5대 | 황산성(黃山城) | 1993년 2월 26일~1993년 12월 22일 |
6대 | 박윤흔(朴鈗炘) | 1993년 12월 22일~1994년 12월 21일 |
4. 환경부 장관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문민정부 | 초대 | 김중위(金重緯) | 1994년 12월 21일~1995년 12월 21일 |
2대 | 정종택(鄭宗澤) | 1995년 12월 21일~1996년 12월 20일 | |
3대 | 강현욱(姜賢旭) | 1996년 12월 20일~1997년 8월 6일 | |
4대 | 윤여준(尹汝雋) | 1997년 8월 6일~1998년 3월 3일 | |
국민의 정부 | 5대 | 최재욱(崔在旭) | 1998년 3월 3일~1999년 5월 24일 |
6대 | 손숙(孫淑) | 1999년 5월 24일~1999년 6월 25일 | |
7대 | 김명자(金明子) | 1999년 6월 27일~2003년 2월 27일 | |
참여정부 | 8대 | 한명숙(韓明淑) | 2003년 2월 27일~2004년 2월 16일 |
9대 | 곽결호(郭決鎬) | 2004년 2월 18일~2005년 6월 28일 | |
10대 | 이재용(李在庸) | 2005년 6월 28일~2006년 3월 21일 | |
11대 | 이치범(李致範) | 2006년 4월 7일~2007년 9월 4일 | |
12대 | 이규용(李圭用) | 2007년 9월 21일~2008년 2월 29일 | |
이명박 정부 | 13대 | 이만의(李萬儀) | 2008년 3월 11일~2011년 5월 31일 |
14대 | 유영숙(劉榮淑) | 2011년 5월 31일~2013년 3월 11일 | |
박근혜 정부 | 15대 | 윤성규(尹成奎) | 2013년 3월 11일~2016년 9월 5일 |
16대 | 조경규(曺京圭) | 2016년 9월 5일~2017년 7월 4일 | |
문재인 정부 | 17대 | 김은경(金恩經) | 2017년 7월 4일~2018년 11월 9일 |
18대 | 조명래(趙明來) | 2018년 11월 9일~2021년 1월 21일 | |
19대 | 한정애(韓貞愛) | 2021년 1월 22일~2022년 5월 9일 | |
윤석열 정부 | 20대 | 한화진(韓和鎭) | 2022년 5월 10일~현재 |
5. 기타
tvN 드라마 60일, 지정생존자에서 배우 지진희가 대한민국 가상의 환경부 장관 박무진을 연기하였다. 극중 국회의사당에서의 테러로 대통령을 비롯한 국무위원들이 서거하여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게 된다. 이 때 대통령의 권한을 물려받을 직위는 법률[2]에 의하여 19번째까지 정해져 있는데, 환경부장관은 이 서열에서 14위(...)에 해당한다. 극중 박무진 장관은 테러 당시 국회의사당에서 있었던 대통령 연설 현장에 참석하지 않아 사고를 피했고 대통령과 총리를 포함한 모든 장관들이 사망하여 권한대행이 되었다.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5deg, #cd313a 30px, #0047a0 30px)"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0047a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47a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81818,#e5e5e5 |
의장 |
|
대통령 | |
윤석열 | ||||
부의장 |
|
국무총리 | ||
한덕수 | ||||
|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 추경호 |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 공석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 이종호 | 외교부장관 | 박진 | |
통일부장관 | 권영세 | 법무부장관 | 한동훈 | |
국방부장관 | 이종섭 | 행정안전부장관 | 이상민 |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 박보균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 정황근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이창양 | 보건복지부장관 | 공석 | |
환경부장관 | 한화진 | 고용노동부장관 | 이정식 | |
여성가족부장관 | 김현숙 | 국토교통부장관 | 원희룡 | |
해양수산부장관 | 조승환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 이영 | |
|
||||
과학기술혁신본부장 | 주영창 | 통상교섭본부장 | 안덕근 | |
|
||||
국가안보실장 | 김성한 | 대통령비서실장 | 김대기 | |
- | - |
|
한상혁 | |
|
||||
국무조정실장 | 방문규 | 국가보훈처장 | 박민식 | |
인사혁신처장 | 김승호 | 법제처장 | 이완규 | |
식품의약품안전처장 | 오유경 | 금융위원회 위원장 | 고승범 | |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 조성욱 |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 유국희 | |
|
||||
서울특별시장 | 오세훈 | |||
기타 기관 장* | ||||
법원행정처장 | 김상환 | 헌법재판소 사무처장 | 박종문 | |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 | 송두환 | 한국은행 총재 | 이창용 |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 | 김진욱 | |||
기타 의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배석시키는, 중요 직위에 있는 공무원 | ||||
* 국무회의 규정 외의 법률에 의거하여 국무회의에 출석, 발언권 등이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