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18 14:50:22

대한민국 부총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반적인 설명과 타국의 사례에 대한 내용은 부총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top: -15px; margin-bottom: -15px" <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191919> 파일:대한민국정부상징_좌우.svg
중앙행정기관의 장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부총리급 인사
장관급 인사
차관급 인사
고공단 가급 인사

{{{#!wiki style="margin: -5px -1px -21px;"
파일:대한민국 대통령기.svg 대통령 직속 기관장
감사원장
역대 원장
국가정보원장
역대 원장
국가안보실장
역대 실장
대통령비서실장
역대 실장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역대 위원장
대통령경호처장
역대 처장
현임 대통령 직속 기관장 }}}
{{{#!wiki style="margin: -10px -1px -21px"
파일:대한민국 국무총리 문장.svg 국무총리 직속 기관장
공정거래위원장
역대 위원장
금융위원장
역대 위원장
국민권익위원장
역대 위원장
국가보훈처장
역대 처장
국무조정실장
역대 실장
개인정보보호위원장
역대 위원장
국무총리비서실장
역대 실장
원자력안전위원장
역대 처장
인사혁신처장
역대 처장
법제처장
역대 처장
식품의약품안전처장
역대 처장
현임 국무총리 직속 기관장 }}}
{{{#!wiki style="margin: -10px -1px -21px"
파일:정부상징.svg 중앙정부부처 장 (국무위원)
부총리 기획재정부장관
역대 부총리 겸 장관
부총리 교육부장관
역대 부총리 겸 장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역대 장관
외교부장관
역대 장관
통일부장관
역대 장관
법무부장관
역대 장관
국방부장관
역대 장관
행정안전부장관
역대 장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역대 장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역대 장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역대 장관
보건복지부장관
역대 장관
환경부장관
역대 장관
고용노동부장관
역대 장관
여성가족부장관
역대 장관
국토교통부장관
역대 장관
해양수산부장관
역대 장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역대 장관
현임 중앙정부부처 장(국무위원) }}}
{{{#!wiki style="margin: -10px -1px -21px"
파일:정부상징.svg 중앙정부부처 하급 기관장
기획재정부
국세청장
역대 청장
관세청장 조달청장
역대 청장
통계청장
역대 청장
법무부 국방부 문화체육관광부
검찰총장
역대 총장
병무청장
역대 청장
방위사업청장
역대 청장
문화재청장
역대 청장
행정안전부 농림축산식품부
경찰청장
역대 청장
소방청장
역대 청장
농촌진흥청장 산림청장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특허청장 질병관리청장
역대 청장
기상청장
역대 청장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역대 청장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새만금개발청장
역대 청장
해양경찰청장
역대 청장
현임 중앙정부부처 하급 기관장 }}}
{{{#!wiki style="margin: -10px -1px -21px"
파일:정부상징.svg 중앙정부부처 산하 본부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외교부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역대 본부장
통상교섭본부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일부 법무부 농림축산식품부
우정사업본부장
역대 본부장
남북회담본부장 교정본부장
역대 본부장
농림축산검역본부장
행정안전부 고용노동부 법무부
정부청사관리본부장 산업안전보건본부장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
국방부
합동참모의장
역대 참모의장
육군참모총장
역대 참모총장
해군참모총장
역대 참모총장
공군참모총장
역대 참모총장
현임 중앙정부부처 산하 본부장 }}}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대한민국정부 흰색 글자.svg
국무총리 국무위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373A3C,#DDD"
파일:대한민국 국무총리 문장.svg 국무총리
한덕수
파일:국회휘장.svg 추경호 이주호
이종호 파일:국회휘장.svg 박진 파일:국회휘장.svg 권영세 한동훈
이종섭 이상민 박보균 정황근
이창양 조규홍 한화진 이정식
김현숙 원희룡 조승환 이영
파일:국회휘장.svg 국회의원 겸직
※ 둘러보기: 국가행정조직
{{{#!wiki style="border: 1px solid #191919; display:inline-flex; background: #FFF; border-radius: 3px; padding: 0.8px 3px; margin: 1px; letter-spacing: -1.0px" }}}}}}}}}
{{{+2 파일:정부상징.svg
{{{#fff
대한민국 부총리 }}}}}}
大韓民國 副總理
The Deputy Prime Minister
of the Republic of Korea
경제부총리 사회부총리
파일:추경호0.jpg
파일:이주호 교육부장관.jpg
추경호 / 제6대 이주호 / 제6대
2022년 5월 10일



기획재정부
2022년 11월 7일


[[무소속|
무소속
]]
교육부

1. 개요2. 현존하는 부총리
2.1. 경제부총리
2.1.1. 경제기획원장관 겸임 (1963 ~ 1994)2.1.2. 재정경제원장관 겸임 (1994 ~ 1998)2.1.3. 재정경제부장관 겸임 (2001 ~ 2008)2.1.4. 기획재정부장관 겸임 (2013 ~ 현재)
2.2. 사회부총리 (2014 ~ 현재)
3. 폐지된 부총리
3.1. 통일부총리 (1990 ~ 1998)3.2. 교육부총리 (2001 ~ 2008)3.3. 과학기술부총리 (2004 ~ 2008)
4. 논의, 제안된 부총리직
4.1. 안보담당부총리

1. 개요

정부조직법
제3장 국무총리
제19조(부총리) 국무총리가 특별히 위임하는 사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부총리 2명을 둔다. <개정 2014. 11. 19.>
② 부총리는 국무위원으로 보한다.
③ 부총리는 기획재정부장관 교육부장관이 각각 겸임한다. <개정 2014. 11. 19.>
④ 기획재정부장관은 경제정책에 관하여 국무총리의 명을 받아 관계 중앙행정기관을 총괄ㆍ조정한다. <신설 2014. 11. 19.>
⑤ 교육부장관은 교육ㆍ사회 및 문화 정책에 관하여 국무총리의 명을 받아 관계 중앙행정기관을 총괄ㆍ조정한다. <신설 2014. 11. 19.>

부총리(, deputy prime minister)는 국무총리가 특별히 위임하는 사무를 처리하는 정무직 공무원이다.

특정 부처의 장관이 겸임할 수 있으나, 주로 정부의 주요 시책 담당 부서의 장관이 겸임한다. 제3공화국 시절 1963년 처음 제도가 도입되어 사라졌다 부활했다를 반복했다. 대통령 국무총리나, 제1공화국 시절의 부통령 대한민국 헌법에 규정돼 있었던 직책이지만, 부총리는 헌법이 아닌 법률로 규정된 직책이다. 그리고 국무부총리나 부국무총리 식으로 부르지 않는다.[1]

부총리 앞에 붙는 명칭은 따로 정부조직법에 규정돼 있지 않지만,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에서는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므로 경제부총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사회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므로 사회부총리()로 부르고 있다.

제3공화국· 제4공화국· 제5공화국 시절에는 경제부총리만 두었고, 노태우 정부 문민정부( 김영삼) 때 통일원 장관이 겸임하는 통일부총리()를 추가했다.

국민의 정부( 김대중) 이래로 1998년에는 부총리직이 아예 없어지면서 경제부총리와 통일부총리직이 폐지되었으나[2][3] 2000년에 부총리직을 다시 신설하면서 경제부총리와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이 겸임하는 교육부총리(: 현 사회부총리에 해당)가 신설돼 참여정부( 노무현) 때까지 있었다. 참여정부 시절에는 과학기술부 장관이 겸임하는 과학기술부총리(), 줄여서 과기부총리()까지 두어 총 3명의 부총리가 있었다. 작은 정부를 표방하던 이명박 정부 시절에는 부총리직이 전부 폐지되었으나[4] 박근혜정부 중반 때 현재의 경제·사회부총리 체제가 되었다.

국민의 정부까지는 국무총리 궐위 시 국무총리로 지명된 사람이 국무총리 서리로 대행했지만 참여정부부터는 부총리가 대행한다.

현직 부총리는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다.

이외에도 국회부의장 2인과 감사원장 또한 부총리급 공직자에 해당하며 여당 대표와 원내 교섭단체 야당 대표가 부총리급 예우를 받는다. 부총리급 의전서열은 국회부의장(9위) - 감사원장(10위)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11위) -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12위) 순이다.

2. 현존하는 부총리

2.1. 경제부총리

특이하게도 국민의 정부와 이명박 정부에서는 서열 1위의 장관으로만 보임되었는데, 그나마도 국민의 정부 후반기에 다시 재경부 장관이 부총리를 겸임하게 되었고, 이명박 정부가 끝나면서 다시 부총리로 승격되었다.

2.1.1. 경제기획원장관 겸임 (1963 ~ 1994)

<rowcolor=#fff> 정부 대수 이름 임기
제3공화국 7대 김유택 (金裕澤) 1963년 12월 17일 ~ 1964년 5월 11일
8대 장기영 (張基榮) 1964년 5월 11일 ~ 1967년 10월 3일
9대 박충훈 (朴忠勳) 1967년 10월 3일 ~ 1969년 6월 3일
10대 김학렬 (金鶴烈) 1969년 6월 3일 ~ 1972년 1월 4일
11대 태완선 (太完善) 1972년 1월 4일 ~ 1974년 9월 18일
제4공화국
12대 남덕우 (南德祐) 1974년 9월 18일 ~ 1978년 12월 22일[최장기]
13대 신현확 (申鉉確) 1978년 12월 22일 ~ 1979년 12월 13일
14대 이한빈 (李漢彬) 1979년 12월 13일 ~ 1980년 5월 22일
15대 김원기 (金元基) 1980년 5월 22일 ~ 1980년 9월 2일
16대 신병현 (申秉鉉) 1980년 9월 2일 ~ 1982년 1월 4일
제5공화국
17대 김준성 (金埈成) 1982년 1월 4일 ~ 1983년 7월 7일
18대 서석준 (徐錫俊) 1983년 7월 7일 ~ 1983년 10월 9일
19대 신병현 (申秉鉉) 1983년 10월 15일 ~ 1986년 1월 8일
20대 김만제 (金滿堤) 1986년 1월 8일 ~ 1987년 5월 26일
21대 정인용 (鄭寅用) 1987년 5월 26일 ~ 1988년 2월 24일
노태우 정부 22대 나웅배 (羅雄培) 1988년 2월 25일 ~ 1988년 12월 5일
23대 조순 (趙淳) 1988년 12월 5일 ~ 1990년 3월 17일
24대 이승윤 (李承潤) 1990년 3월 17일 ~ 1991년 2월 18일
25대 최각규 (崔珏圭) 1991년 2월 18일 ~ 1993년 2월 24일
문민정부 26대 이경식 (李經植) 1993년 2월 25일 ~ 1993년 12월 21일
27대 정재석 (丁渽錫) 1993년 12월 21일 ~ 1994년 10월 4일
28대 홍재형 (洪在馨) 1994년 10월 4일 ~ 1994년 12월 23일

2.1.2. 재정경제원장관 겸임 (1994 ~ 1998)

<rowcolor=#fff>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문민정부 초대 홍재형 (洪在馨) 1994년 12월 23일 ~ 1995년 12월 20일
2대 나웅배 (羅雄培) 1995년 12월 20일 ~ 1996년 8월 8일
3대 한승수 (韓昇洙) 1996년 8월 8일 ~ 1997년 3월 5일
4대 강경식 (姜慶植) 1997년 3월 5일 ~ 1997년 11월 19일
5대 임창열 (林昌烈) 1997년 11월 19일 ~ 1998년 3월 5일

2.1.3. 재정경제부장관 겸임 (2001 ~ 2008)

<rowcolor=#fff> 정부 대수 이름 임기
국민의 정부 초대 진념 (陳念) 2001년 1월 29일 ~ 2002년 4월 15일[최단기]
2대 전윤철 (田允喆) 2002년 4월 15일 ~ 2003년 2월 27일
참여정부 3대 김진표 (金晉杓) 2003년 2월 27일 ~ 2004년 2월 10일
4대 이헌재 (李憲宰) 2004년 2월 10일 ~ 2005년 3월 7일
5대 한덕수 (韓德洙) 2005년 3월 14일 ~ 2006년 7월 18일
6대 권오규 (權五奎) 2006년 7월 18일 ~ 2008년 2월 29일

2.1.4. 기획재정부장관 겸임 (2013 ~ 현재)

<rowcolor=#fff>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박근혜 정부 초대 현오석 (玄旿錫) 2013년 3월 22일 ~ 2014년 7월 14일
2대 최경환 (崔炅煥) 2014년 7월 15일 ~ 2016년 1월 12일
3대 유일호 (柳一鎬) 2016년 1월 13일 ~ 2017년 6월 9일
문재인 정부 4대 김동연 (金東兗) 2017년 6월 9일 ~ 2018년 12월 10일
5대 홍남기 (洪楠基) 2018년 12월 11일 ~ 2022년 5월 9일
윤석열 정부 6대 추경호 (秋慶鎬) 2022년 5월 10일 ~ 현재

2.2. 사회부총리 (2014 ~ 현재)

사실상 옛 교육부총리의 후신. 이명박 정부에서는 부총리가 없었고 이름이 바뀌어서 완전히 이어지지는 않는다.

2014년 5월 박근혜 당시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 이후 단행된 정부 조직 개편 과정에서 교육·사회·문화 정책을 총괄하는 부총리 직제를 신설했다.[7]

교육부장관이 겸임한다.
<rowcolor=#fff>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박근혜 정부 초대 황우여 (黃祐呂) 2014년 11월 19일 ~ 2016년 1월 12일
2대 이준식 (李俊植) 2016년 1월 13일 ~ 2017년 7월 4일
문재인 정부 3대 김상곤 (金相坤) 2017년 7월 4일 ~ 2018년 10월 2일
4대 유은혜 (兪銀惠) 2018년 10월 2일 ~ 2022년 5월 9일[최장기]
윤석열 정부 5대 박순애 (朴順愛) 2022년 7월 4일 ~ 2022년 8월 9일[최단기]
6대 이주호 (李周浩) 2022년 11월 7일 ~ 현재

3. 폐지된 부총리

3.1. 통일부총리 (1990 ~ 1998)

통일원 장관이 겸임했다. 1998년 국민의 정부가 출범하고 대통령 직속의 국토통일원이 통일부로 변경되면서 폐지되었다. 대신 통일부가 부처서열 2위로 들어오게 된다. 국민의 정부는 초기에 부총리가 없었기 때문에 과거 부총리가 보임되었던 재정경제부와 통일부의 서열을 맞춰주기 위해서 생긴 일.

이후 2001년에 부총리가 재경부, 교육부에 보임되었고 통일부에는 보임되지 않았다. 때문에 교육부의 서열이 2위로 오르고 통일부가 서열 3위로 내려갔다.
<rowcolor=#fff>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노태우 정부 초대 최호중 (崔浩中) 1990년 12월 27일 ~ 1992년 6월 25일
2대 최영철 (崔永喆) 1992년 6월 26일 ~ 1993년 2월 25일
문민정부 3대 한완상 (韓完相) 1993년 2월 26일 ~ 1993년 12월 21일
4대 이영덕 (李榮德) 1993년 12월 22일 ~ 1994년 4월 29일
5대 이홍구 (李洪九) 1994년 4월 30일 ~ 1994년 12월 16일
6대 김덕 (金德) 1994년 12월 24일 ~ 1995년 2월 21일[최단기]
7대 나웅배 (羅雄培) 1995년 2월 22일 ~ 1995년 12월 20일
8대 권오기 (權五琦) 1995년 12월 21일 ~ 1998년 3월 2일[최장기]

3.2. 교육부총리 (2001 ~ 2008)

본래 문교부/교육부 장관은 부총리급이 아니었으나, 2001년 개각에 맞춰 부총리직을 부활시키면서 재정경제부와 더불어 부총리가 보임되었다. 교육부 장관이 부총리가 되면서 기존 서열 2위였던 통일부의 서열이 내려갔다.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이 겸임했었다.
<rowcolor=#fff> 정부 대수 이름 임기
국민의 정부 초대 한완상 (韓完相) 2001년 1월 29일 ~ 2002년 1월 28일
2대 이상주 (李相周) 2002년 1월 29일 ~ 2003년 3월 6일
참여정부 3대 윤덕홍 (尹德弘) 2003년 3월 7일 ~ 2003년 12월 23일
4대 안병영 (安秉永) 2003년 12월 24일 ~ 2005년 1월 4일
5대 이기준 (李基俊) 2005년 1월 5일 ~ 2005년 1월 10일[최단기]
6대 김진표 (金振杓) 2005년 1월 28일 ~ 2006년 7월 20일
7대 김병준 (金秉準) 2006년 7월 21일 ~ 2006년 8월 8일
8대 김신일 (金信一) 2006년 9월 20일 ~ 2008년 2월 5일[최장기]

3.3. 과학기술부총리 (2004 ~ 2008)

과학기술부 장관이 겸임했었다. 2004년, 과학기술 중심사회 구축이라는 국정과제 실현을 위해 과학기술부 장관을 부총리로 임명했다. 따라서 참여정부는 유일하게 부총리가 3명이었다.

이후 과학기술부가 이명박 정부 시절에 교육부와 통폐합되었다가 박근혜 정부 시기에 미래창조과학부로 부활했고 장관의 서열도 2위로 정해졌지만, 교육부 장관이 사회부총리로 승격되면서 미래창조과학부의 서열이 내려가면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부총리가 아닌 서열 3위의 장관으로 유지되고 있다.
<rowcolor=#fff> 정부 대수 이름 임기
참여정부 초대 오명 (吳明) 2004년 10월 18일 ~ 2006년 2월 9일[최단기]
2대 김우식 (金雨植) 2006년 2월 10일 ~ 2008년 2월 28일[최장기]

4. 논의, 제안된 부총리직

4.1. 안보담당부총리

대부분 모르지만 노태우 전 대통령도 부총리가 될 뻔한 적이 있다. 육군 대장으로 예편하고 민주정의당에 입당한 직후인 1981년 7월 16일, 전두환 당시 대통령에 의해 노태우는 정무장관(제2)에 임명되고, 그해 11월에는 대통령 특사로 임명되어 유럽과 미국, 아프리카 등의 대륙 국가들을 순방했다. 이때 노신영 당시 외무부 장관의 건의[16]로 노태우의 대외적인 직함은 '안보담당 부총리'가 될 뻔 했다. 물론 소위 감투 하나 씌워주기의 일환이라 엄밀히 말해서는 공식적인 부총리직이 아니고 그냥 임시직이었다. 결국 대외직 안보담당부총리 임명은 불발되고 노태우는 정무2장관 겸 대통령 외교안보담당특보에 임명되어 88올림픽 유치를 성공시켰고 이후 1983년에는 서울올림픽 조직위원장까지 역임했다.


[1] 한국의 부총리는 국무총리가 하는 일을 모두 도맡아서 보조하는 역할이 아니라, 국무총리가 하던 업무 일부 분야를 전문적으로 위임 받아 업무를 처리하는 역할이다. 그래서 부총리들의 통칭도 업무에 따라 경제부총리, 사회부총리 식으로 불리지, 국무총리와 한 쌍으로 엮이는 국무부총리 같은 명칭이 쓰이지 않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애초에 한국에서는 국무총리 자체가 대통령의 보조적 역할을 하는 직위이기 때문에 다시 국무총리 직위의 보조적 직위를 둘 필요성이 크지 않다. [2] 대신에 국토통일원에서 통일부로 바뀌면서 정부부처 서열을 다시 정할 때에 통일부의 서열이 상당히 올라갔다. [3] 같은 시기에 정무장관(특임장관)도 폐지되었다. [4] 대신에 특임장관이 생겼다. 사실상 정무장관의 후신. [최장기] [최단기] [7] 2014년 5월 말에 직제가 신설됐는데 5개월여가 지난 11월에 부총리가 임명된 것은 정부조직법의 국회 통과가 늦어졌기 때문이다. 원래는 김명수 전 한국교원대 교수가 부총리로 내정됐지만 제자 논문표절, 신문칼럼 대필, 연구비 부당 수령 등의 의혹에 휘말려 결국 낙마했다. [최장기] [최단기] [최단기] [최장기] [최단기] [최장기] [최단기] [최장기] [16] 드라마 제5공화국에서도 북한이 부총리들을 비동맹 외교로 활용하고 있다는 예를 들며 해외 순방 시에만 적용되는 직함을 달아주자는 장면이 나온다. 전두환이 긍정적인 반응을 내보이자 옆에 앉은 허화평이 그건 외교 의전상의 혼란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후진국의 행태라며 반대하는 장면이 나온다. 다만 해당 발언은 실제로 우병규 정무 제1수석과 이장춘 비서관이 했다. 허나 허화평이 이에 동조했기 때문에 고증이 틀린 것은 아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