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21:54:18

다나카 마사히로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50><tablebordercolor=#900><tablebgcolor=#900>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엠블럼.svg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24 시즌 투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ffcc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11 키시 타카유키 · 13 코디 폰스 · 14 노리모토 타카히로 · 17 코쟈 타츠키 · 18 다나카 마사히로 · 19 쇼지 코세이 · 20 닉 털리
21 하야카와 타카히사 · 22 코마고 류지 · 28 사카이 토모히토 · 29 타카타 코이치 · 31 와타나베 쇼타 · 38 유게 하야토 · 40 사쿠라이 슈토
41 이토 마오 · 43 쑹자하오 · 45 마츠이 토모타카 · 46 후지히라 쇼마 · 47 후지이 마사루 · 49 니시가키 마사야 · 52 츠루사키 타이세이
53 사카이 하루토 · 54 히나타 나오키 · 56 스즈키 소라 · 57 타키나카 료타 · 58 카라시마 와타루 · 59 타이 카츠토시 · 61 마츠다 타쿠마
64 하야시 유키 · 67 오오우치 세이야 · 69 우치 세이류 · 71 요시카와 카즈키 · 72 미야모리 사토시 · 79 세이미야 코타로
코칭스태프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 육성선수
틀: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로 돌아가기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
다나카 마사히로의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900000><tablebgcolor=#900000>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엠블럼.svg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ffcc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cc00 {{{#!folding [ 헤이세이 시대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2004년 ~ 2018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이치바 야스히로 (2)
(一場靖弘)
카타야마 히로시 (3)
(片山博視)
타나카 마사히로 (3)
(田中将大)
테라다 류헤이 (1) (3)
(寺田龍平)
후지와라 히로미치 (1)
(藤原紘通)
마츠자키 신고 (4)
(松崎伸吾)
나가이 사토시 (4)
(永井怜)
하세베 코헤이 (4)
(長谷部康平)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토무라 켄지 (1)
(戸村健次)
시오미 타카히로 (1)
(塩見貴洋)
무토 요시타카 (1)
(武藤好貴)
모리 유다이
(森雄大)
마쓰이 유키
(松井裕樹)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안라쿠 토모히로
(安樂智大)
오코에 루이 (1)
(オコエ瑠偉)
후지히라 쇼마
(藤平尚真)
콘도 히로키 (1)
(近藤弘樹)
타츠미 료스케 (1)
(辰己涼介)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cc00 {{{#!folding [ 레이와 시대 ]
{{{#555555,#aaaaaa
2019년 ~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코부카타 히로토 (1)
(小深田大翔)
하야카와 타카히사
(早川隆久)
요시노 소시
(吉野創士)
쇼지 코세이 (4)
(荘司康誠)
코쟈 타츠키 (1)
(古謝樹)
}}}}}}}}}}}} ||
(1) 하즈레 1라운더: 첫 지명에서 중복 지명된 선수의 교섭권 획득에 실패했을 때 차순위로 선택한 선수.
(2) 역지명, 희망 입단 범위: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제도로, 선수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3) 고교생 드래프트, (4) 대학생, 사회인 드래프트: 2005년~2007년의 3년간은 고교 선수와, 대학&사회인 야구에서 뛰었던 선수의 지명이 분리되어 있었다.
(5) 지명 후 미입단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900000>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엠블럼.svg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2011 2012 2013~2016
이와쿠마 히사시 이치바 야스히로 이와쿠마 히사시 타나카 마사히로 노리모토 타카히로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미마 마나부 노리모토 타카히로 키시 타카유키 노리모토 타카히로 와쿠이 히데아키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노리모토 타카히로 타나카 마사히로 하야카와 타카히사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132448>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뉴욕 양키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ffffff> 1901 1902 1903~1906 1907 1908
조 맥기니티 톰 휴즈 잭 체스브로 알 오스 슬로우 조 도일
<rowcolor=#ffffff> 1909 1910~1911 1912 1913 1914
덕 뉴턴 히포 본 레이 칼드웰 조지 맥코넬 마티 맥헤일
<rowcolor=#ffffff> 1915 1916~1917 1918~1919 1920 1921
잭 워홉 레이 칼드웰 조지 모그리지 밥 쇼키 칼 메이스
<rowcolor=#ffffff> 1922 1923~1924 1925 1926 1927
새드 샘 존스 밥 쇼키 어반 쇼커 밥 쇼키 웨이트 호이트
<rowcolor=#ffffff> 1928 1929~1930 1931 1932~1937 1938~1940
허브 페녹 조지 핍그라스 레드 러핑 레프티 고메즈 레드 러핑
<rowcolor=#ffffff> 1941 1942 1943 1944 1945
마리우스 루소 레드 러핑 타이니 보넘 행크 보로위 어틀리 도널드
<rowcolor=#ffffff> 1946~1947 1948 1949 1950 1951~1953
스퍼드 챈들러 앨리 레이놀즈 에디 로팟 앨리 레이놀즈 빅 래스키
<rowcolor=#ffffff> 1954~1955 1956 1957 1958 1959
화이티 포드 돈 라슨 화이티 포드 돈 라슨 밥 털리
<rowcolor=#ffffff> 1960 1961~1962 1963 1964 1965
짐 코츠 화이티 포드 랄프 테리 화이티 포드 짐 보튼
<rowcolor=#ffffff> 1966 1967~1970 1971 1972~1974 1975
화이티 포드 멜 스토틀마이어 스탠 반슨 멜 스토틀마이어 덕 메디치
<rowcolor=#ffffff> 1976~1977 1978~1980 1981 1982~1984 1985
캣피시 헌터 론 기드리 토미 존 론 기드리 필 니크로
<rowcolor=#ffffff> 1986 1987 1988 1989 1990
론 기드리 데니스 라스무센 릭 로든 토미 존 데이브 라포인트
<rowcolor=#ffffff> 1991 1992 1993~1995 1996~1997 1998
팀 리어리 스캇 샌더슨 지미 키 데이비드 콘 앤디 페티트
<rowcolor=#ffffff> 1999 2000 2001~2003 2004 2005~2006
로저 클레멘스 올랜도 에르난데스 로저 클레멘스 마이크 무시나 랜디 존슨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2014 2015~2017 2018
칼 파바노 왕젠민 CC 사바시아 다나카 마사히로 루이스 세베리노
<rowcolor=#ffffff> 2019 2020~2023 2024
다나카 마사히로 게릿 콜 네스터 코르테스 주니어
}}}}}}}}}}}} ||

다나카 마사히로의 수상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V1.svg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2013

파일: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우승반지
2009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
2020 도쿄올림픽
금메달
2021

파일:NPB 로고.svg 2011년 일본프로야구 사와무라 상
마에다 겐타
( 히로시마 도요 카프)
다나카 마사히로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셋츠 타다시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파일:NPB 로고.svg 2013년 일본프로야구 사와무라 상
셋츠 타다시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다나카 마사히로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카네코 치히로
( 오릭스 버팔로즈)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fb1e5>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퍼시픽 리그
역대 신인상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 투수
카케야마 카즈오
난카이 / 내야수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내야수
토요다 야스미츠
니시테츠 / 내야수
타우라 모토지
난카이 / 투수
<rowcolor=#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에노모토 키하치
마이니치 / 내야수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투수
키무라 타모츠
난카이 / 투수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외야수
장훈
토에이 / 외야수
<rowcolor=#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수상자 없음 토쿠히쿠 토시아키
킨테츠 / 투수
오자키 유키오
토에이 / 투수
수상자 없음 수상자 없음
<rowcolor=#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이케나카 마사아키
니시테츠 / 투수
수상자 없음 타카하시 요시마사
토에이 / 투수
수상자 없음 아리토 미치요
롯데 / 외야수
<rowcolor=#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사토 미치오
난카이 / 투수
미나가와 야스오
토에이 / 투수
카토 하지메
니시테츠 / 투수
니이미 사토시
닛타쿠홈 / 투수
미츠이 마사하루
롯데 / 투수
<rowcolor=#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야마구치 타카시
한큐 / 투수
후지타 마나부
난카이 / 투수
사토 요시노리
한큐 / 투수
무라카미 유키히로
난카이 / 투수
마츠누마 히로히사
세이부 / 투수
<rowcolor=#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키다 이사무
닛폰햄 / 투수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내야수
오오이시 다이치로
킨테츠 / 내야수
후타무라 타다미
닛폰햄 / 외야수
후지타 히로마사
한큐 / 포수
<rowcolor=#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쿠마노 테루미츠
한큐 / 외야수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내야수
아와노 히데유키
킨테츠 / 투수
모리야마 료지
세이부 / 투수
사카이 츠토무
오릭스 / 투수
<rowcolor=#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노모 히데오
킨테츠 / 투수
하세가와 시게토시
오릭스 / 투수
타카무라 히로시
킨테츠 / 투수
스기야마 켄토
세이부 / 투수
와타나베 히데카즈
다이에 / 투수
<rowcolor=#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히라이 마사후미
오릭스 / 투수
카네코 마코토
닛폰햄 / 내야수
코사카 마코토
롯데 / 투수
오제키 타츠야
세이부 / 외야수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투수
<rowcolor=#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수상자 없음 오쿠보 마사노부
오릭스 / 투수
쇼다 이츠키
닛폰햄 / 투수
와다 츠요시
다이에 / 투수
미세 코지
다이에 / 투수
<rowcolor=#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쿠보 야스토모
롯데 / 투수
야기 토모야
닛폰햄 / 투수
다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투수
코마츠 사토시
오릭스 / 투수
셋츠 타다시
소프트뱅크 / 투수
<rowcolor=#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사카키바라 료
닛폰햄 / 투수
마키타 카즈히사
세이부 / 투수
마스다 나오야
롯데 / 투수
노리모토 타카히로
라쿠텐 / 투수
이시카와 아유무
롯데 / 투수
<rowcolor=#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아리하라 코헤이
닛폰햄 / 투수
타카나시 히로토시
닛폰햄 / 투수
겐다 소스케
세이부 / 내야수
타나카 카즈키
라쿠텐 / 외야수
타카하시 레이
소프트뱅크 / 투수
<rowcolor=#fff> 2020 2021 2022 2023 2024
타이라 카이마
세이부 / 투수
미야기 히로야
오릭스 / 투수
미즈카미 요시노부
세이부 / 투수
야마시타 슌페이타
오릭스 / 투수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3fb1e5>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퍼시픽 리그
역대 MVP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50 1951 1952 1953 1954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외야수
야마모토 카즈토
난카이 / 내야수
유키 스스무
난카이 / 투수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 내야수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 외야수
<rowcolor=#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 외야수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내야수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투수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외야수
<rowcolor=#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투수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장훈
토에이 / 외야수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조 스탠카
난카이 / 투수
<rowcolor=#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투수
요네다 테츠야
한큐 / 투수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외야수
<rowcolor=#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투수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외야수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외야수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카네다 토메히로
롯데 / 외야수
<rowcolor=#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카토 히데지
한큐 / 내야수
야마다 히사시
한큐 / 투수
찰리 매뉴얼
킨테츠 / 외야수
<rowcolor=#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키다 이사무
닛폰햄 / 투수
에나츠 유타카
닛폰햄 / 투수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내야수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투수
부머 웰즈
한큐 / 내야수
<rowcolor=#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내야수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내야수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투수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외야수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외야수
<rowcolor=#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노모 히데오
킨테츠 / 투수
궈타이위안
세이부 / 투수
이시이 타케히로
세이부 / 투수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투수
이치로
오릭스 / 외야수
<rowcolor=#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치로
오릭스 / 외야수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투수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 내야수
쿠도 키미야스
다이에 / 투수
<rowcolor=#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외야수
터피 로즈
킨테츠 / 외야수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내야수
조지마 켄지
다이에 / 포수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외야수
<rowcolor=#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투수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내야수
다르빗슈 유
닛폰햄 / 투수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투수
다르빗슈 유
소프닛폰햄 / 투수
<rowcolor=#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 투수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 외야수
요시카와 미츠오
닛폰햄 / 투수
다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투수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투수
<rowcolor=#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외야수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투수, 외야수
데니스 사파테
소프트뱅크 / 투수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내야수
모리 토모야
세이부 / 포수
<rowcolor=#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외야수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우수방어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0.79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0.81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48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52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05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와카바야시 타다시
오사카 / 1.09
노구치 지로
츠바사군 / 0.93
노구치 지로
타이요군 / 0.88
하야시 야스오
아사히군 / 1.01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0.73'''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와카바야시 타다시
한신군 / 1.56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2.11
시라키 기이치로
토큐 / 1.74
나카오 히로시
요미우리 / 1.84
후지모토 히데오
요미우리 / 1.94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오오시마 노부오
쇼치쿠 / 2.03
마츠다 키요시
요미우리 / 2.01
카지오카 타다요시
오사카 / 1.71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1.85
스기시타 시게루
주니치 / 1.39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1.33
와타나베 쇼조
오사카 / 1.45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1.63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1.30
무라야마 미노루
오사카 / 1.19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아키야마 노보루
타이요 / 1.75
곤도 히로시
주니치 / 1.70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1.20
카키모토 미노루
주니치 / 1.70
진 바키
한신 / 1.89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카네다 마사이치
요미우리 / 1.84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1.39
곤도 마사토시
한신 / 1.40
소토코바 요시로
히로시마 / 1.94
에나츠 유타카
한신 / 1.81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0.98
후지모토 카즈히로
히로시마 / 1.71
야스다 타케시
야쿠르트 / 2.08
야스다 타케시
야쿠르트 / 2.02
세키모토 시토시
요미우리 / 2.28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아니야 소하치
한신 / 1.91
스즈키 타카마사
주니치 / 2.98
니우라 히사오
요미우리 / 2.32
니우라 히사오
요미우리 / 2.81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 2.39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마츠오카 히로무
야쿠르트 / 2.35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2.29
사이토 아키오
타이요 / 2.07
후쿠마 오사무
한신 / 2.62
코바야시 세이지
히로시마 / 2.20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2.65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2.43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2.17
오노 유타카
히로시마 / 1.70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62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17
사사오카 신지
히로시마 / 2.44
나리타 코키
타이요 / 2.05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2.05
카쿠 겐지
주니치 / 2.45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테리 브로스
야쿠르트 / 2.33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36
오노 유타카
히로시마 / 2.85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 2.34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09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이시이 카즈히사
야쿠르트 / 2.61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 2.46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2.22
이가와 케이
한신 / 2.80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60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미우라 다이스케
요코하마 / 2.52
쿠로다 히로키
히로시마 / 1.85
타카하시 히사노리
요미우리 / 2.75
이시카와 마사노리
야쿠르트 / 2.68
천웨이인
주니치 / 1.54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2.21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1.65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53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2.10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33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크리스 존슨
히로시마 / 1.85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01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59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14
오노 유다이
주니치 / 2.58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오노 유다이
주니치 / 1.82
야나기 유야
주니치 / 2.20
아오야기 코요
한신 / 2.05
무라카미 쇼키
한신 / 1.75
타카하시 히로토
주니치 / 1.38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 2.06
유키 스스무 (1)
난카이 / 2.08
유키 스스무
난카이 / 1.91
카와사키 토쿠지
니시테츠 / 1.98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1.58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나카가와 타카시
마이니치 / 2.08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06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37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42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1.40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오노 쇼이치
다이마이 / 1.98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69
쿠보타 오사무
토에이 / 2.12
쿠보 마사히로
킨테츠 / 2.36
츠마시마 요시로
도쿄 오리온즈 / 2.15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미우라 키요히로
난카이 / 1.57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79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1.75
미나가와 무츠오
난카이 / 1.61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1.72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사토 미치오
난카이 / 2.05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37
세이 토시히코
킨테츠 / 2.36
요네다 테츠야
한큐 / 2.47
사토 미치오
난카이 / 1.91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무라타 쵸지
롯데 / 2.20
무라타 쵸지
롯데 / 1.82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28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02
야마구치 테츠지
킨테츠 / 2.49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키다 이사무
닛폰햄 / 2.28
오카베 노리아키
닛폰햄 / 2.70
타카하시 사토시
닛폰햄 / 1.84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2.92
이마이 유타로
한큐 / 2.93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76
사토 요시노리
한큐 / 2.83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41
코노 히로후미
닛폰햄 / 2.38
무라타 쵸지
롯데 / 2.50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노모 히데오
킨테츠 / 2.91
와타나베 토미오
세이부 / 2.35
아카호리 모토유키
킨테츠 / 1.80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06
신타니 히로시
세이부 / 2.91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라부 히데키
롯데 / 2.53
이라부 히데키
롯데 / 2.40
코미야마 사토루
롯데 / 2.49
카네무라 사토루
닛폰햄 / 2.73
쿠도 키미야스
다이에 / 2.738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에비스 노부유키
오릭스 / 3.27
네이선 민치
롯데 / 3.26
카네다 마사히코
오릭스 / 2.50
사이토 카즈미
다이에 / 2.83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2.83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2.90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2.11
사이토 카즈미
소프트뱅크 / 1.75
나루세 요시히사
롯데 / 1.82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1.87
다르빗슈 유
닛폰햄 / 1.73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다르빗슈 유
닛폰햄 / 1.78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27
요시카와 미츠오
닛폰햄 / 1.71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27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1.98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2.24
이시카와 아유무
롯데 / 2.16
키쿠치 유세이
세이부 / 1.97
키시 타카유키
라쿠텐 / 2.72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95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센가 코다이
소프트뱅크 / 2.16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39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68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21
리반 모이넬로
소프트뱅크 / 1.88
(1) 본래 파리그 방어율 1위는 같은 팀 소속의 핫토리 타케오(服部武夫)의 2.03였다. 이 해 핫토리의 투구이닝은 155이닝으로 통상적인 규정이닝 계산에 따르면 규정이닝을 충족하기 때문에 핫토리가 받아야하는 것이 맞는데, 1951년 한정으로 채용된 규정이닝 산정방법에 따르면 난카이 호크스의 경우 164이닝였던 탓에 졸지에 198⅓이닝을 던진 유키의 몫이 되고 말았다.
}}}}}}}}}}}}}}} ||
}}}}}}}}}}}} ||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2011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최다 승리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다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D.J. 홀튼( 소프트뱅크)
셋츠 타다시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2013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최다 승리
셋츠 타다시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다나카 마사히로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카네코 치히로
( 오릭스 버팔로즈)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2012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최다 탈삼진
2009-2010
다르빗슈 유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다나카 마사히로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카네코 치히로
( 오릭스 버팔로즈)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2011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최고 승률
스기우치 토시야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다나카 마사히로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셋츠 타다시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2013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최고 승률
셋츠 타다시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다나카 마사히로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1.000
키시 타카유키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2011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투수 부문 베스트 나인
와다 츠요시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다나카 마사히로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요시카와 미츠오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2013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투수 부문 베스트 나인
요시카와 미츠오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다나카 마사히로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카네코 치히로
( 오릭스 버팔로즈)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2011년 ~ 2013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투수 부문 골든 글러브
와쿠이 히데아키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다나카 마사히로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카네코 치히로
( 오릭스 버팔로즈)
}}} ||
다나카 마사히로의 보유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84c> 파일:기네스 세계기록 로고.svg 기네스
세계 기록
}}}
Most consecutive baseball games won by a pitcher
(야구 최다 연승 투수)
<rowcolor=#fff> 대상 기록 장소 등재 시일
<rowcolor=#000,#fff>
다나카 마사히로
30연승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
기네스 세계 기록 설명 페이지

{{{#!wiki style="margin:-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84c> 파일:기네스 세계기록 로고.svg 기네스
세계 기록
}}}
Most consecutive baseball games won by a starting pitcher in one regular season
(단일 정규시즌 최다 연승 선발 투수)
<rowcolor=#fff> 대상 기록 장소 등재 시일
<rowcolor=#000,#fff>
다나카 마사히로
24연승
일본
기네스 세계 기록 설명 페이지

{{{#!wiki style="margin:-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84c> 파일:기네스 세계기록 로고.svg 기네스
세계 기록
}}}
Most consecutive regular season baseball games won by a starting pitcher
(정규시즌 최다 연승 선발투수)
<rowcolor=#fff> 대상 기록 장소 등재 시일
<rowcolor=#000,#fff>
다나카 마사히로
34연승
특정 불가능
기네스 세계 기록 설명 페이지

파일:NPB 로고.svg 일본프로야구 보유 기록
선발투수 최다 연승 28연승[1]
선발등판 연속 승리 17경기 연속 (2013.06.09. ~ 2013.10.08.)
등판 연속 승리 15경기 연속 (2013.06.09. ~ 2023.09.21., 타이기록)
단일 시즌 최다 연승 24연승 (2013.04.02 ~ 2013.10.08)
개막 최다 연승 24연승 (2013.04.02 ~ 2013.10.08)
최다 연승 28연승 (기네스 기록)
단일 시즌 최고 승률 1.000
단일 시즌 무패 최다 승리 24승 0패
클라이맥스 시리즈 최다 연승 3연승 (CS 타이 기록)
클라이맥스 시리즈 최다 연속 완투 승리 3연승
정규시즌+포스트시즌 최다 연승 30연승 (2012.08.26 ~ 2013.10.27., 기네스 기록)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엠블럼.svg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보유 기록
단일 시즌 최다 승리 24승 (2013)
일본시리즈 최초 승리 2013년 일본시리즈 2차전
그 외 보유하고 있는 일본프로야구 기록
}}} ||
다나카 마사히로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등번호 18번
와타나베 코키
(2005~2006)
<colbgcolor=#660000><colcolor=#ffcc00> 다나카 마사히로
(2007~2013)
임시결번
뉴욕 양키스 등번호 19번
크리스 스튜어트
(2012~2013)
다나카 마사히로
(2014~2020)
존 버티
(2024~)
{{{#ffffff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등번호 18번}}}
임시결번 다나카 마사히로
(2021~)
현역
}}} ||
}}} ||
파일:다나카 마시히로 2024.jpg
<colbgcolor=#900000><colcolor=#ffffff>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No.18
다나카 마사히로
田中将大 | Masahiro Tanaka
출생 1988년 11월 1일 ([age(1988-11-01)]세)
효고현 이타미시
국적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학력 고마자와대학 부속 도마코마이고등학교 (홋카이도)
신체 188cm, 97.5kg, A형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6년 드래프트 1라운드 ( 라쿠텐)
소속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07~2013)
뉴욕 양키스 (2014~2020)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21~)
국가대표
[ 펼치기 · 접기 ]
올림픽 2회 (2008, 2021)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회 (2009, 2013)
계약 2024 / ¥260,000,000
연봉 2024 / ¥260,000,000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후원사 미즈노[3]
등장곡 FUNKY MONKEY BABYS- 아토히토츠(あと一つ)[4]
그 외 다수[5]
가족 아내 사토다 마이(2012년 ~ 현재)
1. 개요2. 선수 경력3. 피칭 스타일4. 여담

[clearfix]

1. 개요

일본프로야구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소속의 우완 투수.

고교 시절 모교를 고시엔 우승으로 이끌어 일찍부터 '괴물'이란 칭호를 받은 선수였으며, 손수건 왕자 사이토 유키와의 결승 15회 연장 승부 끝에 재경기는 아직도 일본에서 고시엔 명경기로 회자된다. 졸업 후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에 1순위로 지명되어 '헤이세이의 괴물' 마쓰자카 다이스케 이후로 8년 만에 고졸 신인 신인왕을 타이틀을 타냈고, 2011년에는 사와무라 상도 수상하였다.

2013년에 이르러 개인 연승, 승률 관련 세계신기록을 모두 경신하며 28경기 212이닝 24승 0패 ERA 1.27을 기록해 리그 MVP와 사와무라상을 동시에 수상했고, 포스트시즌에서도 정규시즌에서의 활약을 이어가며 본인이 직접 일본시리즈 마무리 세이브를 기록하는 등 팀의 창단 첫 우승을 이끌었다.

이후로 모두의 예상대로 포스팅 신청을 하며 메이저리그에서 단 1경기도 뛰지 않은 선수가 FA 시장의 블루칩으로 떠올랐고, 결국 뉴욕 양키스와 7년 1억 7500만 달러[6]라는 당시 아시아 투수 역대 최고 금액으로 빅리그에 진출했다.[7]

메이저리그에서도 투수들의 지옥인 아메리칸리그 동부지구에서 6시즌 연속으로 10승 이상을 거두는 준수한 성적으로 꾸준히 로테이션에 들고 포스트시즌에서 좋은 활약을 보여주는 등 양키스에 걸맞은 솔리드한 선발로 활약했다.[8] 이후 메이저리그 생활을 마무리하고 다시 라쿠텐으로 돌아와 선수생활의 황혼기를 보내고 있다.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다나카 마사히로/선수 경력
파일:NPB 로고.svg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파일:MLB 로고.svg
포스팅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2008년 2009년 2013년 2020년

3. 피칭 스타일

파일:tanakasp1.gif
일본 시절부터 2018년까지 주무기로 사용했던 고속 스플리터. NPB, MLB 최고의 스플리터로 평가받았다.
파일:tanakasl1.gif
2019년부터 주무기가 된 슬라이더. 스플리터가 고장나자 세컨드 피치였던 슬라이더가 주무기가 되었다.
파일:다나카구종구사.png
2009년 이후 구속과 구종 구사 비율

다나카의 일본 시절 주무기는 최고 155km/h, 평균 145~149km/h에 달하는 포심 패스트볼[9]과 최고 144km/h, 평균 130대 중반의 크게 꺾이는 슬라이더를 중심으로 평균 139.7km/h의 고속 스플리터, 그 외 카운트를 잡는 커브, 체인지업, 투심 패스트볼을 간간이 배합하기도 한다. 2010년까진 포크볼을 구사했으나 소프트뱅크 호크스 마무리 투수인 브라이언 팔켄보그의 인터뷰 기사를 읽고 스플리터를 습득해 그 이후엔 포크볼이 아닌 스플리터를 쓴다. 다만 MLB의 몇몇 스카우트들에 의하면, 다나카의 패스트볼은 특유의 딜리버리로 인해 막판에 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이것이 실제 구속에 비해 무브먼트가 좋지 않고 치기 좋게 들어오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10]

메이저리그로 건너와서는 일본 시절보다 더 빨라진 최고 97마일 포심과 싱커, 스플리터, 슬라이더, 커터, 커브 등 다양한 구종들을 구사한다. 구종별 구사 비율을 보면[11] 포심 16%, 싱커 17%, 스플리터 27%, 슬라이더 27%, 커터 7.5%, 커브 5.5%를 기록중이다. 단 일본에서는 패스트볼이 강력한 무기였지만, 메이저리그에서 다나카의 패스트볼은(포심과 싱커 통합) 최하위권이다. 팬그래프에서 제공하는 Pitch Value 값을 살펴보면 14 ~ 18년까지 -53.5를 기록했는데 이는 같은 기간 메이저리그에서 뛴 모든 투수들 중 뒤에서 4번째다.

결정구인 고속 스플리터와 슬라이더는 홈플레이트 앞에서 뚝 떨어지는 마구 수준으로 2011년 NPB 현역선수들이 꼽는 최고의 변화구 순위에서 다르빗슈 유의 슬라이더와 1, 2위를 다투기도 했다. 실제로 메이저에서도 2018 시즌까지는 스플리터만큼은 구종 가치 1위를 매년 찍었으나 2019시즌부터 스플리터가 영점도 안 맞고 구위도 약해지면서 맞아나가기 시작해서 팬그래프 구종가치 -7점의 똥볼이 되면서 2019시즌 스플리터를 구사하는 9명의 투수들 중에 꼴찌를 기록하고 있다.[12] 다나카도 이를 인지하고 구사율을 5%정도 낮추고 주무기를 슬라이더로 바꿨다. 사실 스플리터에 가려져서 그렇지 다나카의 슬라이더는 NPB 시절부터 다르빗슈 다음가는 슬라이더로 평가받았고 MLB에서도 손에 꼽히는 구종이다.

투수로서 스트라이크 존 구석구석을 공략할 수 있는 제구력을 갖췄으며, 완급 조절에도 능해서 위기 상황이나 삼진이 필요한 상황에선 구속을 끌어올리는 등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골든글러브를 연속 수상할 정도로 준수한 수비력을 갖췄고 견제 동작도 날렵하다. 단점으론 잔부상이 잦아 매 시즌 로테이션을 몇 경기 거르는 일이 많다는 게 흠. 메이저리그 건너와서는 첫 시즌을 반년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며 장기 DL에 갔고, 다음 시즌도 시작한지 얼마 안 돼 DL에 갈 정도로 내구성에서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다.

NPB와는 다르게 처음에는 MLB에서도 극강이었으나 두 번째로 다나카를 상대했던 팀들은 훨씬 나아진 대처를 보여줬다. 두 번째로 만난 팀들과의 방어율은 3점대. 또 잦은 피홈런도 문제로 지적된다. 대부분 솔로홈런이긴 하지만 7경기 연속 피홈런이나 한 경기 멀티 홈런을 맞을 정도로 피홈런이 매우 늘어났다. 2012~2013년 일본 시절과 2014~2015년 8월까지 맞은 피홈런 숫자를 비교하면 피홈런 갯수가 몇 배나 차이난다. 2015년 휴스턴과 양키스의 와일드 카드 매치 때도 다나카가 무릎을 꿇은 이유는 역시나 피홈런 2방 때문. MLB와 NPB타자들의 차이도 있지만, 비교적 홈런을 치기 어려운 구장으로 알려진 미야기 구장에서 홈런 팩터만큼은 메이저리그에서 최고를 다투는 양키 스타디움으로 옮긴 탓에 피홈런 증가가 더욱 두드러져 보이고 있다. 실제로 다나카는 메이저리그 통산 HR/9가 홈 1.39 , 원정 0.87로 홈에서 훨씬 많은 피홈런을 허용하고 있다. 투구 패턴의 변화를 주며 피홈런을 어느 정도 억제하는 데 성공한 2016년에도 홈·원정 피홈런 편차는 여전히 극복을 하지 못했다.(2016년 홈HR/9 1.22 , 원정HR/9 0.78) 하지만 2016년 들어 스플리터의 비율을 거의 절반 가까이 끌어올렸고 포심 대신 싱커의 구사 비율을 높이며 효과적으로 땅볼을 유도하고 있다. 그 결과 투구 결과 1이 넘어가던 HR/9이 절반 정도로 뚝 떨어졌고 성적도 좋아지고 있다.

NPB 시절 유독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상대로 약한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메이저리그 진출 전 세이부전 성적이 24경기 7승 13패일 정도로 유독 세이부전에서만 고전하고 있다. 특히 나카무라 타케야 상대로 극악으로 안좋다. 메이저 복귀 후에는 그나마 나은 상황을 보이고 있지만 2023년 기준 현재 세이부전 성적은 11승 19패다. 반면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상대로는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메이저리그 시절에는 휴스턴 애스트로스에게 매우 약하다. 정규시즌에서는 통산 7경기 0승 2패 ERA 6.62만을 기록했으며 35⅓이닝을 던지는 동안 무려 11홈런을 허용했다.[13] 메이저 리그 역사상 최초의 선발투수 불명예 기록도 휴스턴에게 털리며 달성했다.

그 외에도 추신수에게 상대 전적에서는 20타수 9피안타 .450/.522/.600으로 매우 약한 편이었다.[14][15]

포스트시즌에서 상당히 강하다고 평가받는다. 특히 2015부터 2019년까지 가을야구 7번의 선발 등판동안 46이닝 5승 3패 ERA 1.76[16]를 기록하였다. 경기당 이닝수가 적긴 하지만 방어율을 보면 실점 억제력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또한 메이저에서 최초로 포스트시즌 첫 7경기에서 2실점 이하를 거둔 투수가 되었는데, 이는 기존 6경기 기록을 본인과 함께 유이하게 달성한 샌디 코팩스의 기록을 추월한 것이라는 점에서 그의 가치를 알 수 있다. 2018년 디비전시리즈에서 팀이 라이벌에 털리는 와중에도 유일한 승리를 가져왔고, 정규시즌에 기대 이하였던 2019년에도 디비전 시리즈 2차전에서 5이닝 1실점, 챔피언십 시리즈 1차전에서 6이닝 무실점으로 호투했다.

하지만 폼이 떨어진 2020년 포스트시즌에서는 2경기 연속으로 조기 강판을 당해 처음으로 가을 야구에서 좋지 못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다만 다나카가 고작 2경기 연속 강판당했다고 가을 야구에 약하다고 할 수는 없다. 저 2경기를 포함한 다나카의 포스트시즌 통산 성적은 10경기 54이닝 5승 4패 ERA 3.33이다. 또한 현재 아시아 투수중 가장 많은 포스트시즌 승리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메이저리그 커리어 말기 가을 야구에서의 연속적인 고전은 결국 양키스가 다나카에게 더 이상의 기대가 없다 판단해 미련없이 포기하는 계기로 작용했고, 다른 구단들도 그에게 눈길을 주지 않아 일본으로 돌아갔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일본 복귀 후로는 30대 중반이 된 만큼 완만한 노쇠화를 보여주고 있다. 2022 시즌 기준 시즌 초반엔 최고 154km/h 까지 나오던 패스트볼이 후반으로 가자 최고 149km/h 평속 143km/h 정도로 구속도 5km 가까이 감소했고, 구위 또한 상당히 감소했다. 더 이상 일본을 제패하고 양키스에서 프론트라인 선발을 맡던 그때 그 시절 기량은 아니다. 2024년에는 평균 143km/h, 최고 147km/h로 더욱 감소하였다.

4. 여담

  •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의 헤비 유저다. 최고 티어인 정복자를 달성할 정도로 실력도 매우 좋다. 그리고 티어 결산을 트위터 헤더로 달아놨다.
  • 2년 열애 끝에 2012년 1월에 4살 연상의 아이돌 출신 사토다 마이와 약혼했고 3월에 정식으로 혼인신고했다.
    파일:external/cfs6.blog.daum.net/4748636985f93&filename=img181.jpg
  • 다운타운의 가키노츠카이야아라헨데의 연말기획, '절대로 웃으면 안되는~' 시리즈에 2년 연속 특별출연하였다.
  • 2011년 12월, 센다이시에서 운전하던 중 길을 건너던 행인을 치었다. 다행히도 다나카가 브레이크를 신속하게 밟아 피해자는 가벼운 부상을 당했다고 한다. # 2012년 2월에 과실 상해 혐의로 불구속 입건되었다. #
파일:attachment/tanakamomokuro.jpg
* 또한 모모이로 클로버 Z에도 빠져있는 듯. 어느 정도냐 하면 연습용 글러브는 모모쿠로 5인 멤버의 컬러로 염색한 특별 주문 글러브였다. 공식전에선 저런 글러브를 쓸 수 없기에 클로버 자수를 새긴 것을 쓴다고 한다. 2012년부터는 아예 홈 등장곡을 모모쿠로의 노래로 바꿨다. 덕분에 2013년 9월 3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전에선 모모쿠로가 라쿠텐의 홈구장인 클리넥스 미야기 스타디움에서 시구식을 하며 다나카와 특별 만남을 가졌다. 양키스로 이적한 뒤에도 등장곡을 모모쿠로의 노래로 정해 무려 '야구의 대성당' 양키 스타디움에서 모모쿠로의 노래가 울려 퍼지는 걸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영상.
  • 오프시즌인 2013년 12월 17일에는 낮에 미야기현 센다이시에서 메이저리그 진출에 대한 기자회견을 연후 밤에 도쿄로 올라와서 AKB48의 이벤트 행사인 '제3회 AKB48 홍백대합가합전'에 게스트로 참여해서는 모모쿠로의 콜과 제스쳐를 AKB48 멤버들과 함께 외치기도 했다.[17]
    파일:FH2EnON.jpg
  • 2014년 10월 11일, 이번에는 노기자카46의 언더 공연을 보러 갔다. 과거 2013년 시라이시 마이의 시구때 낯을 익힌 적 있었고, 이코마 리나가 AKB 겸임 후 총선거에 참여할 때 응원의 메시지를 남기기도 했다. 그 외에 AKB48 상설 극장 공연 세트리스트를 직접 짠다던가 오프시즌에 아이돌이 나오는 TV 프로그램에 게스트로 꾸준히 참가한다던가 정말 열과 성을 다해 아이돌 덕질을 하며 살고 있다.
    파일:external/apopidols.org/75b6a39a311ee8b62eb040b39b3fd5e4.jpg
  • 취미는 볼링, 낚시, 골프라고 하며 볼링 평균 스코어는 170점, 베스트 스코어는 216점이다. 다만 부상 위험인지 구단에선 되도록이면 오프시즌에 하라고 한다고.
  • 다나카를 관찰하기 위해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당시 메이저리그 30개 전 구단에서 스카우트를 파견한 것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 코나미의 야구게임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스마트폰 이식판에도 선수 카드로 등장. 참고로 그는 이 스마트폰판의 석세스 시나리오인 북설 고교(北雪高校)의 시나리오를 프로듀스했다고. "요시 겟투!" 덤으로 파워프로 응원 대사라고 한다. 오리지널 변화구 '에어로 스플리터'를 가진 구속태그 캐릭터. 구속 156에 제구A(86) 스태미너S(90) 총 변화량 12, 보유 특능이 10개가 넘는 어마어마한 능력치를 가졌다. 이벤트 캐릭터로의 성능도 발군.
    파일:external/cdn.wiki.famitsu.com/%E7%94%B0%E4%B8%AD%E5%B0%86%E5%A4%A7SR.bmp
  • 상술하였듯이 2021년 3월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가 정식 릴리즈된 직후에 게임을 시작했으며, 트위터에 틈틈히 육성상황을 올리는 등 상당한 헤비 유저가 되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2년 4월 1일에는 현재 게임 내에서 평가받는 육성등급 중 상당한 상위권에 해당하는 UG5 등급을 달성하여 유저들을 경악시켰다.[19][20] 다나카 마사히로 정도의 연봉이면 과금도 마음껏 하지 않을까 싶지만, 아내인 사토다 마이로부터 1달 과금액에 제한을 받고 있다고(...) 그래서 무료 쥬얼을 뿌리기라도 하면 굉장히 기뻐하는 트윗을 올리기도 했다. 23년에도 게임은 계속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토마코마이에서 고등학교를 다녔어서 그런지 홋코 타루마에를 토마코마이 태그를 달고 뽑고 인증하는걸 올리기도.


[1] 상술한 기네스 기록을 위해 설명하자면 다나카는 2012 시즌 말 거둔 4연승과 2013년의 24연승으로 NPB 정규시즌에서 총 28연승을 거두었다. 이후 포스트시즌에서 2승을 추가로 거두고 일본시리즈 6차전에서 패전투수가 되었기에 모든 경기를 포함한 최다 연승은 30연승에서 멈췄고, MLB로 진출한 2014년에도 5월 14일까지 정규시즌에서 추가로 6연승을 거둔 뒤 패전투수가 되어 정규시즌 최다 연승은 34연승이 되었다. [2] 2021년 1월 27일에 생성된 계정으로 1월 30일에 진행된 본인의 입단 기자회견을 생중계하는 것으로 첫 활동을 개시했다. 다나카, 日 컴백하더니 유튜버 변신 "구독 부탁드려요" [3] 미즈노 재팬 후원 [4] 일본에서는 상당히 유명한 노래라고 한다. 일본시리즈 때 유튜브 영상이 꽤 핫하다. [5] 다나카는 등장곡을 매년 바꾸기로 유명하다. 상술한 아토히토츠의 경우엔 유일하게 2년 동안 쓴 노래. 2013년 이래로 꾸준히 모모이로 클로버 Z의 노래를 등장곡으로 사용한다. [6] 포스팅 금액 2000만 달러 + 계약 7년 1억 5500만 달러 [7] 이는 2024년 야마모토 요시노부가 포스팅 금액 5000만 달러 + 계약금 12년 3억 2500만 달러 포함 총액 3억 7500만 달러에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계약하며 갱신했다. [8] 뉴저지 뉴스 사이트 NJ.com은 다나카를 2010년대 양키스 1선발로 선정했다. [9] 특히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팀메이트인 다르빗슈 유로부터 던지는 방법을 전수받아서 더욱 향상되었다고 한다. [10] 근데 이건 구위가 나쁘다기보다는 딜리버리 높이와 발사각에 의한 시각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다나카의 투구추적 그래프를 보면 스핀 앵글이 180도에 가까운 전형적인 오버스로형태라서 패스트볼의 횡변화의 경우 약 5인치가량이지만 종변화의 경우 약 9인치가량으로 수직 변화량을 보면 6~7인치정도 아래로 떨어지는데 이정도 변화량이면 코리 클루버와 비슷한 수치. 따라서 그렇게 나쁘다고는 말할 수 없는 무브먼트였지만 일본 투수들 특유의 늦은 딜리버리로 인해 스핀앵글로 인한 버티컬 무브먼트의 효과가 조금 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무브먼트보다는 디셉션의 문제. [11] 14~18년, Brooksbaseball 기준 [12] 심지어 최근 상태가 말이 아닌 기쿠치 유세이 다르빗슈의 스플리터도 구종 가치만큼은 플러스를 기록하고 있다. 참고로 2019시즌 1위는 스플리터 하나로 특급 마무리로 각성한 커비 예이츠. [13] 그러나 포스트시즌에서는 휴스턴을 상대로 5경기 2승 3패 ERA 2.17로 상당히 호투했다. [14] 추신수는 원래 우투수에게 상당히 강하다. 거기에 다나카처럼 패스트볼 구위가 약한 우투수에게는 그야말로 저승사자. 괜히 맥스 슈어저로부터 그런 립서비스성 발언을 들은 게 아니다. 참고로 슈어저는 패스트볼 구위 자체는 강력하나, 변화구보다는 패스트볼을 주무기로 삼는 우투수기 때문에 우투수 킬러이자 패스트볼 킬러인 추신수에게는 약할 수밖에 없는 유형이다. [15] 여담으로, 한때 라쿠텐 팀동료였던 이와쿠마 히사시 역시도 다나카처럼 추신수에게 상당히 약했다. 추신수의 MLB 상대전적 기준, 이와쿠마를 상대로 타출장 0.318 / 0.409 / 0.632 기록. 심지어 이와쿠마를 상대로 기록한 안타 6개 중 무려 4개(3개의 2루타, 1개의 홈런)가 장타다. 2009 WBC 결승전에서도 홈런을 허용한바 있다. [16] 정규시즌 통산 방어율 3.75와 비교하면, 무려 1.99가 낮다. [17] 한국으로 치면 원더걸스나 카라의 콘서트에 가서 '지금은 소녀시대'를 외친 셈이다. [18] 이 영상을 보고 장현식이 자신의 등장곡을 あとひとつ로 정하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일본프로야구에서도 오오시로 타쿠미 등 같은 곡을 등장곡으로 쓰는 선수가 있고, 대만에서도 가오궈후이의 응원가로 사용되는 등 프로야구판에선 상당히 유명하고 인기있는 노래. 여러 일본 프로야구 영상에서 긴 시간동안 시련을 딛고 성공하는 인간승리의 장면에 많이 사용되기도 한다. 우리나라로 치면 엠스플 스페셜 영상 ost로 자주 나오는 마시따밴드의 돌멩이에 가까운 듯. [19] 현재 확인된 육성 최고랭크는 UG7이지만, UG5레벨의 평가도 웬만한 헤비 유저가 아니면 달성이 굉장히 어려운 레벨이다. [20] 다나카 마사히로가 대단하고 평가받는 것은 단순히 과금을 때려박아서 SSR등급의 우수한 서포트카드 빨로 UG5를 달성한 것이 아니라, 가성비가 우수한 SR 근성 카드 2장을 정확히 캐치해서 서포트 카드 2장만으로 근성 능력치를 최고치인 1200에 가까운 1180을 찍는 등 우마무스메의 육성 시스템을 완벽하게 이해하지 않으면 불가능한 슈퍼플레이를 보여줬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 사람은 현역 프로 야구선수다! 이러다보니 취미로 야구를 하는 말딸아저씨라는 우스갯소리까지 듣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