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2 05:30:48

노리모토 다카히로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50><tablebordercolor=#900><tablebgcolor=#900>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엠블럼.svg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24 시즌 투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ffcc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11 키시 타카유키 · 13 코디 폰스 · 14 노리모토 타카히로 · 17 코쟈 타츠키 · 18 다나카 마사히로 · 19 쇼지 코세이 · 20 닉 털리
21 하야카와 타카히사 · 22 코마고 류지 · 28 사카이 토모히토 · 29 타카타 코이치 · 31 와타나베 쇼타 · 38 유게 하야토 · 40 사쿠라이 슈토
41 이토 마오 · 43 쑹자하오 · 45 마츠이 토모타카 · 46 후지히라 쇼마 · 47 후지이 마사루 · 49 니시가키 마사야 · 52 츠루사키 타이세이
53 사카이 하루토 · 54 히나타 나오키 · 56 스즈키 소라 · 57 타키나카 료타 · 58 카라시마 와타루 · 59 타이 카츠토시 · 61 마츠다 타쿠마
64 하야시 유키 · 67 오오우치 세이야 · 69 우치 세이류 · 71 요시카와 카즈키 · 72 미야모리 사토시 · 79 세이미야 코타로
코칭스태프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 육성선수
틀: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로 돌아가기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
노리모토 타카히로의 역임 직책 /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 일본프로야구
주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센트럴 리그 (Central League)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퍼시픽 리그 (Pacific League)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한신 타이거스 엠블럼.svg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 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엠블럼.svg
오카모토 카즈마 공석 쿠리하라 료야 공석
파일: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엠블럼.svg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엠블럼.svg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엠블럼.svg
마키 슈고 공석 나카무라 쇼고 아사무라 히데토
노리모토 타카히로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엠블럼.svg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 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엠블럼.svg 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엠블럼.svg
야마다 테츠토 오오시마 요헤이
오노 유다이
공석 겐다 소스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900000>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엠블럼.svg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2011 2012 2013~2016
이와쿠마 히사시 이치바 야스히로 이와쿠마 히사시 타나카 마사히로 노리모토 타카히로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미마 마나부 노리모토 타카히로 키시 타카유키 노리모토 타카히로 와쿠이 히데아키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노리모토 타카히로 타나카 마사히로 하야카와 타카히사
}}}}}}}}}}}} ||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V1.svg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2013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
2015 프리미어 12
{{{#c63 동메달}}}
20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fb1e5>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퍼시픽 리그
역대 신인상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 투수
카케야마 카즈오
난카이 / 내야수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내야수
토요다 야스미츠
니시테츠 / 내야수
타우라 모토지
난카이 / 투수
<rowcolor=#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에노모토 키하치
마이니치 / 내야수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투수
키무라 타모츠
난카이 / 투수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외야수
장훈
토에이 / 외야수
<rowcolor=#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수상자 없음 토쿠히쿠 토시아키
킨테츠 / 투수
오자키 유키오
토에이 / 투수
수상자 없음 수상자 없음
<rowcolor=#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이케나카 마사아키
니시테츠 / 투수
수상자 없음 타카하시 요시마사
토에이 / 투수
수상자 없음 아리토 미치요
롯데 / 외야수
<rowcolor=#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사토 미치오
난카이 / 투수
미나가와 야스오
토에이 / 투수
카토 하지메
니시테츠 / 투수
니이미 사토시
닛타쿠홈 / 투수
미츠이 마사하루
롯데 / 투수
<rowcolor=#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야마구치 타카시
한큐 / 투수
후지타 마나부
난카이 / 투수
사토 요시노리
한큐 / 투수
무라카미 유키히로
난카이 / 투수
마츠누마 히로히사
세이부 / 투수
<rowcolor=#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키다 이사무
닛폰햄 / 투수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내야수
오오이시 다이치로
킨테츠 / 내야수
후타무라 타다미
닛폰햄 / 외야수
후지타 히로마사
한큐 / 포수
<rowcolor=#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쿠마노 테루미츠
한큐 / 외야수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내야수
아와노 히데유키
킨테츠 / 투수
모리야마 료지
세이부 / 투수
사카이 츠토무
오릭스 / 투수
<rowcolor=#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노모 히데오
킨테츠 / 투수
하세가와 시게토시
오릭스 / 투수
타카무라 히로시
킨테츠 / 투수
스기야마 켄토
세이부 / 투수
와타나베 히데카즈
다이에 / 투수
<rowcolor=#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히라이 마사후미
오릭스 / 투수
카네코 마코토
닛폰햄 / 내야수
코사카 마코토
롯데 / 투수
오제키 타츠야
세이부 / 외야수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투수
<rowcolor=#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수상자 없음 오쿠보 마사노부
오릭스 / 투수
쇼다 이츠키
닛폰햄 / 투수
와다 츠요시
다이에 / 투수
미세 코지
다이에 / 투수
<rowcolor=#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쿠보 야스토모
롯데 / 투수
야기 토모야
닛폰햄 / 투수
다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투수
코마츠 사토시
오릭스 / 투수
셋츠 타다시
소프트뱅크 / 투수
<rowcolor=#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사카키바라 료
닛폰햄 / 투수
마키타 카즈히사
세이부 / 투수
마스다 나오야
롯데 / 투수
노리모토 타카히로
라쿠텐 / 투수
이시카와 아유무
롯데 / 투수
<rowcolor=#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아리하라 코헤이
닛폰햄 / 투수
타카나시 히로토시
닛폰햄 / 투수
겐다 소스케
세이부 / 내야수
타나카 카즈키
라쿠텐 / 외야수
타카하시 레이
소프트뱅크 / 투수
<rowcolor=#fff> 2020 2021 2022 2023 2024
타이라 카이마
세이부 / 투수
미야기 히로야
오릭스 / 투수
미즈카미 요시노부
세이부 / 투수
야마시타 슌페이타
오릭스 / 투수

/
}}}}}}}}}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2014-2018 퍼시픽 리그 최다 탈삼진 선수
2013년
카네코 치히로
( 오릭스 버팔로즈)
노리모토 다카히로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19년
센가 코다이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2024년 퍼시픽 리그 최다 세이브 투수
마쓰이 유키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노리모토 다카히로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미정
( 미정)

{{{#ffffff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등번호 14번}}}
다타케 켄타
(2008~2012)
노리모토 타카히로
(2013~)
현역
}}} ||
파일:takahiro-norimoto.jpg
<colbgcolor=#600000><colcolor=#fff>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No.14
C
노리모토 타카히로
則本昂大 / Takahiro Norimoto
생년월일 1990년 12월 17일 ([age(1990-12-17)]세)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출신지 시가현 이누카미군 타가정
포지션 선발 투수 마무리 투수
투타 우투좌타
체격 178cm, 77kg
학력 시가현립 하치만상업고등학교(滋賀県立八幡商業高等学校)
미에주쿄대학(三重中京大学)
프로입단 2012년 드래프트 2위 ( 라쿠텐)
소속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13~)
연봉 2024 / ¥300,000,000
1. 개요2. 선수 경력3. 피칭 스타일4. 여담5. 연도별 기록

[clearfix]

1. 개요

일본프로야구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소속 투수. 다나카 마사히로 이후 라쿠텐의 1선발을 맡으며 일본의 대표적인 닥터 K로 활약한 선수이다.

2. 선수 경력

2013년 대졸 신인으로[1] WBC에 출장한 다나카 마사히로를 대신하여 개막전 선발투수로 등판하였고, 15승 8패 170이닝 ERA 3.34 134K를 기록하며 퍼시픽리그 신인왕을 차지했다. 다나카가 떠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라쿠텐의 부동의 에이스로서 5년 연속으로 퍼시픽리그 탈삼진왕 타이틀을 차지하는 등 꾸준히 퍼시픽리그 최고의 선발 투수로서 활약하는 중이다.

2015 WBSC 프리미어 12에서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으로 선발되었다. 그런데 2015년 시즌 내내 오직 선발 투수로만 등판한 노리모토를 감독 고쿠보 히로키는 불펜 투수로도 기용했다. 그래도 조별리그 한일전에서는 2이닝을 잘 막았지만 준결승에서 다시 열린 한일전에서는 8회까지는 나름 활약했으나 9회에 탈탈 털리는 바람에 도쿄 대첩의 주역이 되어버렸다.

2015년 시즌 성적은 28경기 194.2이닝 10승 11패 215탈삼진 방어율 2.91을 기록했다.

2016년 시즌 성적은 28경기 195이닝 11승 11패 216탈삼진 방어율 2.91을 기록했다.

2017년 시즌에는 4월 17일 세이부전을 시작으로 6월 8일 DeNA전까지 8경기 연속 두자릿수 탈삼진을 기록하며 최고의 주가를 올리고 있다. 팀도 노리모토의 호투에 힘입어 퍼시픽리그 1위를 달리는 중. 이후 16일 야쿠르트전에서 9경기 연속 두자릿수 탈삼진 기록에 도전했지만 7이닝동안 6실점을 했을 뿐더러 8회에도 마운드에 올라가기엔 투구수가 114개로 너무 많았다. 결국 패전과 함께 기록 갱신에 실패했다.

2017년 시즌 성적은 25경기(선발 25) 185.2이닝 15승 7패 222탈삼진 방어율 2.57을 기록했다. 탈삼진과 완투횟수는 리그 1위이며, 다승과 방어율, 이닝은 모두 키쿠치 유세이에 이어 2위로 마쳤다.

2018년 9월 6일 오릭스 원정 경기에서 본인 최다인 14탈삼진을 기록하며 통산 37번째 두자리수 탈삼진을 기록하였는데 이는 뉴욕 양키스로 떠난 선배 다나카 마사히로와 타이기록이다. 팀 전체가 초반부터 6위에 고정되는 침체에 빠진 가운데 소년가장으로 분투했고 몇 번 크게 털린 경기도 있었지만 꾸준히 로테이션을 지켰다. 2018년 시즌 성적은 27경기 180.1이닝 10승 11패 187탈삼진 방어율 3.69를 기록했다. 6년 연속 두자릿수 승리를 달성했고, 사상 3번째로 5년 연속 탈삼진왕을 차지했다.

2019년에는 스프링캠프를 소화하던 도중 목 염좌로 인해 시범경기를 치르지 못했고, 이후 병원에서의 정밀검사에서 오른쪽 팔꿈치 관절에 이상이 발견되어 '클리닝 시술'을 받게 되어 전반기 출장이 불투명해졌다.[2] # 일단 많은 이들이 우려한 토미 존 수술은 아니기는 해도 이전 몇 년간의 워크로드 누적의 결과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19년 오프시즌 포스팅 루머도 돌았던 만큼 메이저리그 진출에 대해 설왕설래가 많았지만, 7월 3일 라쿠텐과 일본에서는 이례적인 7년 계약을 새로 체결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며 메이저리그 진출을 거부하고 라쿠텐의 원클럽맨으로 남으리라는 의지를 보였다.

2019년 최종 성적은 12경기 68이닝 5승 5패 ERA 2.78. 클라이막스 시리즈 퍼스트 스테이지 1차전에 선발등판해 7이닝 3실점으로 본인 커리어 첫 CS 승리투수가 되었다. 하지만 팀은 이후 두 경기를 연달아 호크스에 내주며 가을야구에서 탈락했다.

2020년에는 18경기 109이닝 5승 7패 방어율 3.96 105탈삼진을 기록했다.

2021년에는 23경기 144.2이닝 11승 5패 방어율 3.17 152탈삼진을 기록했다.

2022년 개막전에서 선발승을 따는데에는 실패했고 다음 선발등판 날에 코로나 확진판정을 받았다. 2022년 최종 성적은 125이닝 10승 8패 방어율 3.53으로 10승을 달성하긴 했지만 투고타저 시즌임을 감안하면 실망스런 시즌을 보냈고 나이가 나이인지라 에이징 커브가 오는 중인 것으로 보인다.[3]

2023년에는 개막 이후 4경기동안 25.1이닝 ERA 2.13으로 호투했지만 그동안 팀 타선의 득점 지원은 0점이라는 절망적인 불운 속에서 패전이 이어졌지만 5월 11일 오릭스전에서 7점의 득점지원을 받아 7이닝 3실점으로 첫 승을 거두었다. 이후 6월 6일 한신전부터 8월 6일 치바 롯데전까지 5연승을 달리며 좋은 모습을 보여준 노리모토는 이 해 다시 규정이닝에 도달, 최종성적 24경기 8승 8패 ERA 2.61을 기록하며 부활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K/9 6.45로 커리어 로우를 기록하며 이제 더이상 예전의 닥터 K 모습은 보기 어려울 전망이다.

2024년부턴 MLB에 진출한 마츠이 유키의 빈 자리를 메우기 위해 마무리 투수로 전향하기로 했다. 다만 팬들에게선 아무리 마무리 자리를 맡을 만한 선수가 없다지만 선발 투수진 상황도 좋지 않은 판국에 그나마 제일 잘 던져주던 선수를 마무리로 바꾸는 것이 괜찮은가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4월 2일의 닛폰햄 원정경기에서 통산 첫 세이브를 기록했고, 7월 12일 시점에서 29시합 18세이브 ERA 2.54를 기록하고 있다.

3. 피칭 스타일

파일:norimoto1.gif
주무기 155km 패스트볼
파일:norimoto3.gif
리그 최고 구위의 포크볼
파일:norimoto2.gif
서드피치 종 슬라이더
부드러우면서도 폭발적인 리듬의 투구폼과 유연한 견갑골, 골반을 이용하여 단신[4]이라는 신체적 단점을 커버한다. 최고 158km에 이르는 강력한 패스트볼과 변화구로 슬라이더, 포크볼을 주로 구사하는 우완 강속구 투수. 커브와 체인지업도 던지지만 주력 구종은 아니다.

슬라이더를 더 많이 던지는 편이지만 오히려 포크볼의 위력이 리그 최고 수준으로[5], 2014년~2018년까지 5년 연속 퍼시픽리그 탈삼진 1위에 오를 만큼 가공할 구위를 가지고 있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 4년 연속 200K에 빛나는 일본 최고의 닥터 K.[6] 2017시즌 8경기 연속 두자리수 탈삼진을 기록하는 등 삼진을 뽑아내는 능력은 일본 최고 수준이다. 데뷔시즌 이후 패스트볼의 스피드가 꾸준히 상승했으며, 평균 2500RPM의 회전을 기록하는 묵직한 패스트볼은 오타니 쇼헤이나 미국으로 건너간 팀 선배인 다나카 마사히로보다도 낫다는 평가도 있다. 2014년 미일 올스타전 당시 상대했던 저스틴 모노가 패스트볼과 슬라이더의 위력을 체감하고 잭 그레인키[7]와 비교했을 정도.

데뷔시즌부터 정규시즌 170이닝(+가을야구)을 소화했고 이후 2019년 시즌 대부분을 날리기 전까지 한번도 180이닝 이하를 소화한 적이 없을 정도로 많은 이닝을 소화한 이닝 이터. 퍼시픽리그 최다 이닝을 소화한 것도 4번이나 되며(2014~2016, 2018) 투구수도 선발 등판마다 100구를 넘기는 적이 많았다. 이러한 워크로드와 작은 체구 탓에 내구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는데, 2019년 부상 이후로는 한번도 160이닝을 넘기지 못하는 평범한 선발투수가 되었다.

이러한 내구성 문제 때문인지 2024년부터는 마무리 투수로 전향하게 되었다.

4. 여담

  • 데뷔 이후 통산 114승을 달성했고 200탈삼진을 기록한 시즌도 네 번이나 있는, 현역 일본 투수 중에서 손에 꼽힐 만한 실적을 쌓은 선수이지만 한국 야구팬들은 이 일로만 기억하는 편이다. 물론 현재는 애초에 선발로만 뛰어오던 선수를 마무리로 기용한 감독 책임이 더 크다는 평가를 받는다.
  • 사실 노리모토는 본인의 클래스치고 거쳐온 환경은 매우 험난한데, 명문이 아닌 고등학교, 노리모토 세대를 마지막으로 폐교된 약체였던 대학, 가장 늦게 창단을 한 라쿠텐까지, 노리모토는 단 한번도 명문팀의 소속이 아니었으며 투수로서 작은 체구에도 불구하고 성공했다는 점은 높이 평가받는다.
  • 2019년 그의 동생 노리모토 요시키도 형을 따라[8] 라쿠텐에 육성선수 드래프트 2라운드로 입단했다. 킨키대학 시절 부상으로 겨우 1이닝밖에 못 던진 케이스라 대학교 4학년 때는 프로에 갈 가능성이 전혀 없었고, 졸업 후 입단한 사회인야구팀 야마기시 로지스타스는 기업팀이 아닌 클럽팀이었지만[9] 여기서 잘 던지면서 육성 2라운드라는 끝물로 간신히 프로에 입단했다. 여담으로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하타케 세이슈와 대학 시절 룸메이트였다고 한다.[10] 다만 2021년 기준 한국 나이 28살인데 여전히 육성선수인데다가 우완투수가 138클럽 회원(...)이라는 점에서[11] 전망이 좋지 않았고 결국 3년만에 잘렸다. 이후 다시 야마기시 로지스타스로 돌아갔다. 애초에 프로 입단도 형 덕분에 의리로 지명받았다는 말이 많았다.[12]
  • 고등학교 1년 후배 야구부 매니저와 결혼하여 딸 둘을 낳았지만 불륜으로 이혼했다. 불륜녀에게도 아이가 있어서 구단이나 동료들 사이에서 안 좋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 2012년 드래프트에서 라쿠텐에 지명된 7명(1명은 육성선수이다.) 중 2023년 기준 유일한 현역으로 살아남게 되었다. 참고로 이 때 라쿠텐은 정규 드래프트 6명 중 4명을 고졸로 뽑았을 정도로 KBO마냥 고졸선호 픽을 했었는데 1라운더를 포함해서 4명 모두 세는나이 30도 찍지 못하고 은퇴했을 정도.[13] 물론 대졸이었던 육성선수 1라운더 미야가와 쇼, 고졸사회인이었던[14] 5라운더 시마이 히로히토도 각각 2018, 2019년을 끝으로 방출당했으니 별반 차이가 없었다. 원래 1군 백업이라도 꿰차지 못한다면 고졸이든, 대졸이든, 1라운더든, 하위픽이든 가리지 않고 공평하게 빠른 방출을 시전하기로 유명한 라쿠텐이 얼마나 선수를 빨리 포기하는지를 보여준 드래프트. 그래도 노리모토 하나만큼은 대성공했기에 나름대로 다행인 드래프트이다.
  • 우메보시를 잘 먹는다고 한다.

5. 연도별 기록

역대 기록
<rowcolor=#ffcc00> 연도 소속 경기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탈삼진 WHIP
2013 라쿠텐 27 170 15 8 0 0 0.652 3.34 142 14 51 134 1.14
2014 30 202⅔ 14 10 0 0 0.583 3.02 187 14 39 204 1.412
2015 28 194⅔ 10 11 0 0 0.476 2.91 176 14 48 215 1.15
2016 28 195 11 11 0 0 0.500 2.91 192 12 50 216 1.24
2017 25 185⅔ 15 7 0 0 0.682 2.57 148 11 48 222 1.06
2018 27 180⅓ 10 11 0 0 0.476 3.69 171 18 51 187 1.23
2019 12 68 5 5 0 0 0.500 2.78 58 7 10 67 1.00
2020 18 109 5 7 0 0 0.417 3.96 110 13 34 105 1.32
2021 23 144⅔ 11 5 0 0 0.688 3.17 123 18 35 152 1.09
2022 21 125 10 8 0 0 0.556 3.53 127 9 38 104 1.32
2023 24 155 8 8 0 0 0.500 2.61 134 7 44 111 1.15
NPB 통산
(11시즌)
263 1730 114 91 0 0 0.556 3.11 1568 137 448 1717 1.17
  • 볼드체는 리그 1위.

[1] 2013년을 마지막으로 폐교된 미에주쿄대 출신. 폐교된 학교답게 F랭크중의 F랭크 대학이었고 소문에 의하면 학교 이름을 한자로 쓰기만 해도 붙여준다는 말이 있었다(...) 다만 야구부는 나름 강세였던지 마지막 기수에서 노리모토 포함 3명이나 프로에 지명을 받았다. 1명은 사회인야구를 거쳐서 2년 후에 지명됐긴 했지만. 다만 노리모토를 제외하면 모두 1군 기록 없이 2020년 현재는 은퇴. 7기수 위에서도 1명이 프로에 갔으나 이 사람도 1군 기록 없이 은퇴. [2] 노리모토의 이탈로 대신 개막전 선발을 맡은 키시 타카유키도 개막전에서부터 이상을 호소하며 나가리되었고 원투펀치를 시즌 시작과 동시에 잃은 라쿠텐 선발진엔 비상이 켜졌다. 어찌저찌 전반기는 선두로 마감했지만 여름에 빠르게 추락했으며, 후반기에 키시와 노리모토가 돌아오긴 했지만 세이부와 호크스의 질주를 막지는 못했다. 이 해 라쿠텐에서 규정이닝을 채운 선발투수는 미마 마나부가 유일했다. [3] 노리모토 말고도 팀 투수들 중 다나카 마사히로도 에이징 커브를 직격탄으로 맞으며 예전의 위용을 보이지 못하는 중이다. 라쿠텐 입장에서는 세대교체가 절실해지는데, 예를 들자면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경우 스가노 도모유키의 에이징 커브를 커버해 줄 토고 쇼세이라는 특급 신인이 등장하며 세대교체에 성공하는 모양새다. 그러나 라쿠텐의 경우 데뷔시즌에 괜찮은 활약을 보였던 하야카와 타카히사가 2년차에 주춤한 모습에다 후지히라를 포함해 이렇다 할 고졸 투수 육성이 몇년째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4] 178cm로 야마모토 요시노부와 비슷하다. [5] 다만 이는 포크볼로 인한 신체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구사율을 조절한 것이라고 한다. [6] 다만 부상 이후에는 또다른 강속구 투수인 센가 코다이 야마모토 요시노부가 더 두각을 보이고 있다. [7] 전성기 기준. 이후론 노쇠화가 찾아와 구속이 급감했다. 하지만 떨어진 구속을 오히려 장점으로 바꿔 피네스 피쳐로 진화했다. [8] 킨키대학-야마기시 로지스타스 출신.야구선수로는 형보다 한참 못한데 대학은 형보다 한참 잘 갔다(...)(킨키대는 명문대까진 아니어도 나름대로 공부를 한 중상위권 학생들이 가는 학교로 원서만 내면 다 들어가는 미에추쿄대와는 비교가 불가능한 대학이다.) [9] 사회인야구 중 특정 회사의 팀이 기업팀인 경우도 있고 클럽팀인 경우도 있는데, 클럽팀의 경우 주 5일 오전 오후 근무를 모두 하고 야간 혹은 주말에만 연습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 클럽의 창단 멤버이자 최초의 프로야구 선수라고 한다. 정말 열악한 환경이었던 것. [10] 당시 하타케는 킨키대학의 에이스였고 4학년 때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2라운드 지명을 받고 프로에 갔다. [11] 직구 최고구속이 140km/h를 간신히 찍는다. [12] 일본에서 암암리에 도는 말이 육성 드래프트 2라운드 이하는 구단 멤버 한 명의 가족이나 지인을 빽으로 꽂는다는 것이다. 물론 선수가 과도하게 모자라서 2군 뎁스 자체가 뚫렸거나, 육성선수 위주의 3군까지 운영하는 구단의 경우는 좀 덜하다고 한다. [13] 이 4명 중 그나마 1라운더라고 가장 오래 버텼던 모리 유다이가 2022년 28살의 나이로 방출당했다. 통산 기록은 28경기(11선발) 90.2이닝 3승 6패 ERA 4.58. 단 6라운더 카키자와 타카히로는 쿄진으로 트레이드된 후 2018년 선수들의 용품을 절도하여 몰래 판매했다가 방출당한 것이다. [14] 사회인에서 1년 더 뛰어서 대졸과 동갑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