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12 19:10:34

사이토 마사키

사이토 마사키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480><tablebordercolor=#221815><tablebgcolor=#221815>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 요미우리 자이언츠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F49C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49C00 {{{#!folding [ 쇼와 시대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1965년 ~ 1988년
1965년 1966년 1차 1966년 2차 1967년 1968년
호리우치 츠네오 야마시타 츠카사 (1) 츠치타 마코토 타카다 시게루 시마노 오사무
1969년 1970년 1971년 1972년 1973년
코사카 토시히코 유구치 토시히코 요코야마 타다오 나카이 야스유키 코바야시 히데카즈 (5)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1978년
사다오카 쇼지 시노즈카 카즈노리 후지시로 카즈유키 야마쿠라 카즈히로 불참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하야시 야스히로 (1) 하라 다쓰노리 마키하라 히로미 사이토 마사키 (1) 미즈노 카츠히토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우에다 카즈아키 (1) 쿠와타 마스미 키다 마사오 (1) 하시모토 키요시 요시다 쇼지 (1)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49C00 {{{#!folding [ 헤이세이 시대 ]
{{{#555555,#aaaaaa
1989년 ~ 201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오오모리 타케시 모토키 다이스케 타니구치 코이치 (1) 마쓰이 히데키 미노 카츠히로 (2)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카와하라 준이치 (2) 하라 슌스케 (1) 이리키 유사쿠 (2) 타카하시 요시노부 (2) 우에하라 고지 (2)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타카하시 히사노리 (2) 아베 신노스케 (2) 사나다 히로키 (1) 기사누키 히로시 (2)
쿠보 유야 (2)
우츠미 테츠야 (2)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노마구치 타카히코 (2)
미키 히토시 (2)
츠지우치 타카노부 (3)
후쿠다 사토시 (2) (4)
사카모토 하야토 (1) (3)
카네토 노리히토 (2) (4)
후지무라 다이스케 (1) (3)
무라타 토오루 (1) (4)
오오타 타이시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초노 히사요시 사와무라 히로카즈 마츠모토 류야 (1) 스가노 토모유키 고바야시 세이지 (1)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오카모토 카즈마 사쿠라이 토시키 요시카와 나오키 (1) 쿠와하라 타쿠야 (1) 타카하시 유우키 (1)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49C00 {{{#!folding [ 레이와 시대 ]
{{{#555555,#aaaaaa
2019년 ~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홋타 켄신 (1) 헤이나이 류타 (1) 오타 타이세이 (1) 아사노 쇼고 (3) 니시다테 유우히
(西舘勇陽)
}}}}}}}}}}}} ||
(1) 하즈레 1라운더: 첫 지명에서 중복 지명된 선수의 교섭권 획득에 실패했을 때 차순위로 선택한 선수.
(2) 역지명, 희망 입단 범위: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제도로, 선수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3) 고교생 드래프트, (4) 대학생, 사회인 드래프트: 2005년~2007년의 3년간은 고교 선수와, 대학&사회인 야구에서 뛰었던 선수의 지명이 분리되어 있었다.
(5) 지명 후 미입단: 현재는 1973년도 코바야시 히데카즈가 유일하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 요미우리 자이언츠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f49c00> 1936春夏~1937秋 1938春 1938秋 1939 1940~1941
사와무라 에이지 빅토르 스타루힌 마에카와 하치로 카와카미 테츠하루 빅토르 스타루힌
<rowcolor=#f49c00> 1942 1943 1944 1946 1947~1948
히로세 슈이치 빅토르 스타루힌 후지모토 히데오 콘도 사다오 카와사키 토쿠지
<rowcolor=#f49c00> 1949 1950 1951 1952 1953
타다 후쿠조 후지모토 히데오 벳쇼 타케히코 후지모토 히데오 벳쇼 타케히코
<rowcolor=#f49c00> 1954 1955~1956 1957 1958 1959~1960
오오토모 타쿠미 벳쇼 타케히코 오오토모 타쿠미 후지타 모토시 이토 요시아키
<rowcolor=#f49c00> 1961 1962 1963 1964 1965~1966
나카무라 미노루 죠노우치 쿠니오 이토 요시아키 타카하시 아키라 카네다 마사이치
<rowcolor=#f49c00> 1967 1968~1969 1970 1971 1972~1973
죠노우치 쿠니오 카네다 마사이치 타카하시 카즈미 와타나베 히데타케 호리우치 츠네오
<rowcolor=#f49c00> 1974 1975~1978 1979 1980 1981
타카하시 카즈미 호리우치 츠네오 니우라 히사오 에가와 스구루 니시모토 타카시
<rowcolor=#f49c00> 1982 1983 1984 1985 1986
에가와 스구루 니시모토 타카시 에가와 스구루 니시모토 타카시 에가와 스구루
<rowcolor=#f49c00> 1987 1988~1989 1990 1991~1992 1993~1997
니시모토 타카시 쿠와타 마스미 사이토 마사키 마키하라 히로미 사이토 마사키
<rowcolor=#f49c00> 1998 1999 2000~2006 2007 2008
쿠와타 마스미 발비노 갈베스 우에하라 코지 우츠미 테츠야 타카하시 히사노리
<rowcolor=#f49c00> 2009 2010 2011 2012 2013
세스 그레이싱어 우츠미 테츠야 토노 슌 우츠미 테츠야 미야구니 료스케
<rowcolor=#f49c00> 2014~2016 2017 2018~2022 2023 2024
스가노 토모유키 마일스 마이콜라스 스가노 토모유키 타일러 비디 토고 쇼세이
}}}}}}}}}}}} ||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1992~2005).svg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1989 1994 2000

파일:2002 JS 우승로고.png 파일:12giants.png
NPB 일본시리즈
우승코치
2002 2012

파일:NPB 로고.svg 1989년 일본프로야구 사와무라 상
오노 유타카
( 히로시마 도요 카프)
사이토 마사키
( 요미우리 자이언츠)
노모 히데오
( 킨테츠 버팔로즈)
파일:NPB 로고.svg 1995, 1996년 일본프로야구 사와무라 상
야마모토 마사
( 주니치 드래곤즈)
사이토 마사키
( 요미우리 자이언츠)
니시구치 후미야
( 세이부 라이온즈)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1990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MVP
워렌 크로마티
( 요미우리 자이언츠)
사이토 마사키
( 요미우리 자이언츠)
사사오카 신지
( 히로시마 도요 카프)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1989, 1990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투수 부문 베스트 나인
오노 가즈유키
( 주니치 드래곤즈)
사이토 마사키
( 요미우리 자이언츠)
사사오카 신지
( 히로시마 도요 카프)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1992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투수 부문 베스트 나인
사사오카 신지
( 히로시마 도요 카프)
사이토 마사키
( 요미우리 자이언츠)
이마나카 신지
( 주니치 드래곤즈)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1995, 1996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투수 부문 베스트 나인
야마모토 마사
( 주니치 드래곤즈)
사이토 마사키
( 요미우리 자이언츠)
야마모토 마사
( 주니치 드래곤즈)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1990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투수 부문 골든글러브
니시모토 다카시
( 주니치 드래곤즈)
사이토 마사키
( 요미우리 자이언츠)
쿠와타 마스미
( 요미우리 자이언츠)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1992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투수 부문 골든글러브
쿠와타 마스미
( 요미우리 자이언츠)
사이토 마사키
( 요미우리 자이언츠)
이마나카 신지
( 주니치 드래곤즈)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1995, 1996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투수 부문 골든글러브
쿠와타 마스미
( 요미우리 자이언츠)
사이토 마사키
( 요미우리 자이언츠)
쿠와타 마스미
( 요미우리 자이언츠)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1989, 1990, 1996년 센트럴 리그 최우수 방어율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1989, 1990, 1992, 1995, 1996년 센트럴 리그 최다 승리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1995년 센트럴 리그 최다 탈삼진

보유 기록(NPB)
연속 시즌 개막전 완투승 3시즌
연속 완투 승리 11경기 연속
최다 사와무라 상 수상 3회

{{{#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 자이언츠]] 등번호 41번}}}
스기야마 시게루
(1974~1982)
사이토 마사키
(1983~1989)
스즈키 노조무
(1990~1994)
{{{#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 자이언츠]] 등번호 11번}}}
스미 미츠오
(1981~1989)
사이토 마사키
(1990~2001)
쿠보 유야
(2003~2015)
{{{#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 자이언츠]] 등번호 85번}}}
미야타 유키노리
(1999~2001)
사이토 마사키
(2002~2003)
후지타 히로마사
(2004~2005)
{{{#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 자이언츠]] 등번호 85번}}}
후지타 히로마사
(2004~2005)
사이토 마사키
(2006~2015)
토요다 키요시
(2016)
{{{#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 자이언츠]] 등번호 77번}}}
토요다 키요시
(2012~2015)
사이토 마사키
(2016~2017)
에토 아키라
(2018)
{{{#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 자이언츠]] 등번호 85번}}}
키무라 류지
(2017)
사이토 마사키
(2018)
스기우치 도시야
(2019~)
}}} ||
파일:사이토 마사키.jpg
사이토 마사키
斎藤雅樹 | Masaki Saitoh
생년월일 1965년 2월 18일 ([age(1965-02-18)]세)
국적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출신지 사이타마현 카와구치시
학력 카와구치시립 카와구치 고교 (사이타마)
신체 181cm, 90kg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1982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1번, 요미우리)
소속팀 요미우리 자이언츠 (1983~2001)
지도자 요미우리 자이언츠 1군 투수코치
(2002~2003, 2006~2007)
요미우리 자이언츠 2군 투수코치 (2008~2009)
요미우리 자이언츠 1군 투수코치 (2010~2015)
요미우리 자이언츠 2군 감독 (2016~2017)
요미우리 자이언츠 1군 투수코치 (2017~2018)

1. 개요2. 선수 생활3. 지도자 생활4. 여담

[clearfix]

1. 개요

일본프로야구에서 활약했던 前 야구 선수.

쿠와타 마스미, 마키하라 히로미와 함께 80년대 말 ~ 90년대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대표했던 간판 투수였다. 이 셋은 거인의 '세 기둥'(三本柱)이라 불렸다. 위의 둘과 묶이지 않고 단독으로 거명될 때의 별명은 일명 ' 헤이세이의 대 에이스(平成の大エース)'.


1989년 올스타전 등판 영상.

투구폼은 현역시절 조계현을 보는 듯한 사이드암 스로 스리쿼터 스로의 경계에 있는 투구폼으로, 일본에서는 사이토를 사이드암 스로로 보고 있다.

2. 선수 생활

고등학교 졸업 후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1순위로 입단했다. 원래 요미우리는 고시엔 스타 아라키 다이스케[1]를 1순위로 지명했으나 야쿠르트 스왈로즈와의 추첨에서 밀려서 사이토를 지명. 투타 양쪽에 모두 재능을 보였던 만큼 타자 전향 가능성도 제기되었지만, 당시 요미우리의 감독이었던 후지타 모토시는 사이토를 투수로 키우기로 결정하고, 투구폼도 사이드암으로 바꾸게 한다. 첫 해에는 2군에서 담금질만 하다가, 오 사다하루가 신임 감독으로 부임한 1984년에 1군에 데뷔했다. 프로 3년차인 1985년부터 12승 8패 7세이브 평균자책점 2.96의 호성적을 기록하며 재능을 과시하지만 이후 로테이션에 정착하지 못하고 불펜과 2군을 오가게 된다.

하지만 1989년, 오 사다하루의 후임으로 6년만에 다시 요미우리의 사령탑을 맡게 된 후지타 모토시는 사이토를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시킨다. 그리고 사이토는 일본프로야구 신기록인 11경기 연속 완투를 기록하는 등 20승 7패 평균자책점 1.62라는 경이적인 성적으로 사와무라 상을 거머쥐면서 센트럴리그를 대표하는 선발 투수로 거듭나게 되었고, 1990년에는 20승 5패 평균자책점 2.17이라는 호성적을 기록하며 2년 연속으로 다승 1위와 평균자책점 1위를 차지, 센트럴리그 MVP에 올랐다. 1991년에는 11승 11패 평균자책점 3.38로 앞선 2년보다는 못한 성적을 기록했다. 하지만 1992년에는 17승 6패 평균자책점 2.59로 다승왕을 차지하며 반등에 성공한다.


1994년 개막전 완봉승 영상.

1993년에는 부상 때문에 규정이닝을 간신히 채우는 수준에 그쳤지만 1994년에 14승에 200이닝을 돌파하며 건재함을 과시했고, 1995년에는 18승 10패 평균자책점 2.70에 187개의 탈삼진으로 데뷔 후 첫 탈삼진 1위를 거머쥐며 자신의 두 번째 사와무라 상을 차지했다. 그리고 1996년에도 16승 4패 평균자책점 2.36의 좋은 성적을 기록하며 2년 연속으로 사와무라 상을 차지했다.

하지만 이후 사이토는 내리막길을 타게 되는데, 1997년에는 부진과 부상으로 인해[2] 1989년 이후 처음으로 규정이닝을 채우지 못했다. 1998년에 10승을 거두긴 했지만 이것이 마지막 불꽃이었고, 이후 3년간 10승을 추가하는데 그치며 2001년을 끝으로 은퇴를 선언한다.

통산 성적은 426경기 113완투 180승 96패 11세이브 2375 2/3 이닝 평균자책점 2.77. 사와무라상 3회 수상은 가네다 마사이치, 무라야마 미노루, 스기시타 시게루[3]와 타이를 이루는 역대 최다 기록이다.

선수 시절 주무기 구종은 145km/h의 속구, 싱커, 커브였다.

3. 지도자 생활

은퇴한 뒤 요미우리의 1군 투수 코치로 부임했고, 2003년 이후 코치직에서 물러나 야구 해설자로 활동했다. 그리고 2006년에 다시 요미우리의 투수코치로 임명되었고, 2016년부터는 요미우리의 2군 감독을 맡게 되었다. 2군 감독직 수행 중 U-23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아 WBSC U-23 월드컵에서 우승하기도 했다. 2017년 전반기 종료 시점부터는 다시 1군 투수 코치를 맡는다.

선수 시절 팀의 간판스타 및 에이스로 활약했고, 코치로서의 경력도 길며, 무엇보다도 선수와 코치 생활을 모두 요미우리에서 한 프랜차이즈 스타 출신이라는 점에서 언론상에서 1군 감독 후보로 여러 차례 거론되어왔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1군 감독과는 인연이 없다.[4]

현재는 TV에서 해설위원으로 활동중이다. 2021년 2020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스가노의 피칭을 보며 "원래 모습이 아니다. 구속도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 상체로만 공을 던지는 이미지"라고 날카롭게 평가했다. 그러다가 2022년 10월 난데없이 두산 베어스 투수코치 부임썰이 나돌았다가 결국 루머는 루머로만 끝났다.

4. 여담

요미우리 자이언츠 기숙사는 통금이 22시였음에도 불구하고 몰래 기숙사를 이탈하는 선수들이 몇 있었는데 사이토가 선배들의 운전기사 역할을 맡아 같이 이탈한 적이 있었다고 한다.

마쓰자카 다이스케가 소년 시절 동경했던 요미우리의 베스트 3 선수를 포지션별로 선발한 결과, 선발 투수 부문에는 사이토, 마키하라, 쿠와타를 지목했다. 마쓰자카는 '나는 사이드암 스로는 아니었다'고 하면서도 '캐치볼을 할 때 했던 사이드암 스로 투구폼은 사이토의 폼을 모방했다'고 밝혔다.

1989~1990년 활약 당시 팀의 표어는 '사이토가 던지는 시합은 지지 않는다'였다.

외국인 타자들에게도 강해 메이저리그 통산 256홈런을 기록했고 센트럴리그 홈런왕을 차지했던 래리 패리쉬를 타율 0.094(32타수 3안타) 0홈런 19탈삼진으로 막아냈다.

[1] 다이쨩 열풍으로 유명했고, 마쓰자카 다이스케의 이름의 유래가 된 선수. 그러나 야쿠르트로 간 아라키는 프로에서 큰 족적을 남기지 못한다. 오 사다하루의 와세다실업학교 후배이며, 2006년 손수건 왕자라는 별명과 함께 와세다실업학교의 첫 여름 고시엔 우승을 이끈 사이토 유키를 다룬 언론기사에서 많이 언급된 이름이기도 하다. [2] 이 해 야쿠르트 스왈로즈와의 개막전에서 히로시마에서 방출 후 이적해 온 노장 코바야카와 타케히코에게 3타석 연속 홈런을 얻어맞고 패전투수가 되면서 4년 연속 개막전 승리투수 기록을 놓치기도 했다. [3] 초창기 주니치 드래곤즈의 에이스. 일본프로야구의 원조 포크볼 마스터. 주니치의 창단 후 첫 우승인 1954년 일본시리즈 당시 시리즈 MVP를 차지했다. [4] 2022년 현재 하라 다쓰노리가 1군 감독만 세번째로 맡고 있으며(1999~2003, 2006~2015, 2019~현임) 며 아베 신노스케 2군 감독, 다카하시 요시노부 전 1군 감독, 그리고 코치로 돌아온 쿠와타 마스미까지 1군 감독 경쟁 후보들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