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9 19:32:10

발비노 갈베스

발비노 갈베스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 요미우리 자이언츠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49c00> 1936春夏~1937秋 1938春 1938秋 1939 1940~1941
사와무라 에이지 빅토르 스타루힌 마에카와 하치로 카와카미 테츠하루 빅토르 스타루힌
<rowcolor=#f49c00> 1942 1943 1944 1946 1947~1948
히로세 슈이치 빅토르 스타루힌 후지모토 히데오 곤도 사다오 카와사키 토쿠지
<rowcolor=#f49c00> 1949 1950 1951 1952 1953
타다 후쿠조 후지모토 히데오 벳쇼 다케히코 후지모토 히데오 벳쇼 다케히코
<rowcolor=#f49c00> 1954 1955~1956 1957 1958 1959~1960
오토모 타쿠미 벳쇼 다케히코 오토모 타쿠미 후지타 모토시 이토 요시아키
<rowcolor=#f49c00> 1961 1962 1963 1964 1965~1966
나카무라 미노루 조노우치 구니오 이토 요시아키 타카하시 아키라 카네다 마사이치
<rowcolor=#f49c00> 1967 1968~1969 1970 1971 1972~1973
조노우치 구니오 카네다 마사이치 타카하시 카즈미 와타나베 히데타케 호리우치 츠네오
<rowcolor=#f49c00> 1974 1975~1978 1979 1980 1981
타카하시 카즈미 호리우치 츠네오 니우라 히사오 에가와 스구루 니시모토 다카시
<rowcolor=#f49c00> 1982 1983 1984 1985 1986
에가와 스구루 니시모토 다카시 에가와 스구루 니시모토 다카시 에가와 스구루
<rowcolor=#f49c00> 1987 1988~1989 1990 1991~1992 1993~1997
니시모토 타카시 쿠와타 마스미 사이토 마사키 마키하라 히로미 사이토 마사키
<rowcolor=#f49c00> 1998 1999 2000~2006 2007 2008
쿠와타 마스미 발비노 갈베스 우에하라 고지 우츠미 테츠야 타카하시 히사노리
<rowcolor=#f49c00> 2009 2010 2011 2012 2013
세스 그레이싱어 우츠미 테츠야 도노 슌 우츠미 테츠야 미야구니 료스케
<rowcolor=#f49c00> 2014~2016 2017 2018~2022 2023 2024
스가노 도모유키 마일스 마이콜라스 스가노 도모유키 타일러 비디 토고 쇼세이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삼성 라이온즈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베이커 파일:미국 국기.svg
파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 (2)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 (3) 파일:미국 국기.svg
프랑코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토레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갈베스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베라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에르가 (3)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루크 (2) 파일:미국 국기.svg
엘비라 (3) 파일:멕시코 국기.svg
패트릭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엘비라 (2) 파일:멕시코 국기.svg
라이언 (3)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호지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오리어리 (2) 파일:미국 국기.svg
로페즈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르가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해크먼 (2)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 (3)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윌슨 (2) 파일:미국 국기.svg
매존 (3) 파일:미국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오버뮬러 (2)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즈 (2) 파일:미국 국기.svg
(3) (2) 파일:미국 국기.svg
에니스 (3)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나이트 (3)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세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나이트 (2) 파일:미국 국기.svg
레딩 (3)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세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가코 (2) 파일:미국 국기.svg
매티스 (3) 파일:미국 국기.svg
카도쿠라 (2) 파일:일본 국기.svg
저마노 (3) 파일:미국 국기.svg
탈보트 파일:미국 국기.svg
고든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밴덴헐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로드리게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리대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밴덴헐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나바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피가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클로이드 파일:미국 국기.svg
나바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웹스터 (2) 파일:미국 국기.svg
플란데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벨레스터 (2) 파일:미국 국기.svg
레온 (3) 파일:멕시코 국기.svg
발디리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레나도 파일:미국 국기.svg
페트릭 파일:미국 국기.svg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아델만 파일:미국 국기.svg
보니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헤일리 (2)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슨 (3) 파일:미국 국기.svg
맥과이어 (2)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 (3) 파일:미국 국기.svg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살라디노 (2) 파일:미국 국기.svg
팔카 (3)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 (2) 파일:미국 국기.svg
몽고메리 (3)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수아레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수아레즈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와이드너 (3)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코너 파일:미국 국기.svg
레예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맥키넌 (2) 파일:미국 국기.svg
카데나스 (3) (2) 파일:미국 국기.svg
디아즈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레예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디아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후라도 파일:파나마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발비노 갈베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1996 센트럴 리그 다승왕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 KBO 리그
역대 승률 1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박철순
OB 베어스 / 0.857
이길환
MBC 청룡 / 0.682
황규봉
삼성 라이온즈 / 0.833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 0.833
윤석환
OB 베어스 / 0.833
최일언
OB 베어스 / 0.826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875
윤석환
OB 베어스 / 0.813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875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786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826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오봉옥
삼성 라이온즈 / 1.000
정민철
빙그레 이글스 / 0.813
김홍집
태평양 돌핀스 / 0.800
이상훈
LG 트윈스 / 0.800
구대성
한화 이글스 / 0.857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김현욱
쌍방울 레이더스 / 0.909
김수경
현대 유니콘스 / 0.750
김용수
LG 트윈스 / 0.750
문동환
롯데 자이언츠 / 0.810
송진우
한화 이글스 / 0.867
갈베스
삼성 라이온즈 / 0.714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 0.714
신윤호
LG 트윈스 / 0.714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김현욱
삼성 라이온즈 / 1.000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0.895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 0.895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 0.909
전준호
현대 유니콘스 / 0.778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리오스
두산 베어스 / 0.815
채병용
SK 와이번스 / 0.815
김광현
SK 와이번스 / 0.857
차우찬
삼성 라이온즈 / 0.833
윤석민
KIA 타이거즈 / 0.773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탈보트
삼성 라이온즈 / 0.824
류제국
LG 트윈스 / 0.857
소사
넥센 히어로즈 / 0.833
해커
NC 다이노스 / 0.792
니퍼트
두산 베어스 / 0.880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헥터
KIA 타이거즈 / 0.800
후랭코프
두산 베어스 / 0.857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 0.870
알칸타라
두산 베어스 / 0.909
수아레즈
LG 트윈스 / 0.833
<rowcolor=#fff> 2022 2023 2024
엄상백
kt wiz / 0.846
쿠에바스
kt wiz / 1.000
박영현
kt wiz / 0.833
}}}}}}}}}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52번
빌 매들락
(1985)
발비노 갈베스
(1986)
팀 크류즈
(1987~1992)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41번
토레스
(2001~2001.5.3.)
갈베스
(2001.5.8.~2001)
정경주
(2002)
}}} ||
}}} ||
파일:external/www.imaeil.com/20120521_091559000.jpg
발비노 갈베스
Balvino Galvez
본명 발비노 갈베스 헤레스
Balvino Gálvez Jerez
출생 1964년 3월 31일 ([age(1964-03-31)]세)
도미니카 공화국 산페드로 데 마코리스
국적
[[도미니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산페드로 데 마코리스 고등학교
신체 183cm, 77kg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81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 LAD)
소속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86)
슝디 엘리펀츠 (1994~1995)
요미우리 자이언츠 (1996~2000)
삼성 라이온즈 (2001)

1. 개요2. 선수 경력
2.1. 일본 시절2.2. 삼성 라이온즈
2.2.1. 2001 시즌
2.3. 연도별 성적
3. 괴팍한 성격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 전 야구선수. 별명은 카리브해의 괴물.

대만프로야구, 일본프로야구, 한국프로야구에서 선발 투수로 뛰며 활약했던 선수지만, 실력보다도 그 괴팍한 성격 때문에 야구팬들 사이에서 회자되는 선수.

2. 선수 경력

2.1. 일본 시절

1981년 LA 다저스에 입단하지만, 1986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 잠시 올라온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마이너리그에서 선수생활을 보냈다.

이후 1994년 대만프로야구 슝디 엘리펀츠에 입단하여 16승, 1995년 10승을 기록했고[1] 1996년에는 일본프로야구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춘계캠프에서 입단 테스트를 통해 요미우리에 입단하게 된다.

입단 첫 해인 1996년에 팀 동료 사이토 마사키와 함께 16승으로 공동 다승왕 자리에 오르며 팀의 센트럴리그 우승[2]의 주역이 되었고, 1999년에는 요미우리의 사상 첫 외국인 개막전 선발투수로 등판하는 등 꾸준한 활약을 펼친다. 그러나 2000년, 개막 후 6경기의 선발 등판에서 6경기 모두 3자책 이하로 막으며 평균자책점 3.26이라는 괜찮은 피칭에도 불구하고 0승 6패의 영 좋지 않은 기록으로 2군으로 강등되었고 결국 요미우리에서 방출당한다.

일본프로야구 통산 5시즌 46승 43패 34완투 7완봉 평균자책점 3.31. 다승왕 1회, 올스타 1회, 리그 최다 완투 2회, 10홈런.[3]

2.2. 삼성 라이온즈

2.2.1. 2001 시즌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ERA- WAR
15 116.2 10 4 0.714 2.47 100 7 42 85 42 32 1.15 49.52 4.28
결론부터 말하자면 WAR 1.38에 ERA- 기준으로 49.52[4], 즉 일본리그에서 호성적을 기록했던 선수답게 KBO에서는 이닝이터로서 맹활약을 하다 못해 리그를 씹어드셨다. 애초에 시즌 중 합류해 4.28의 WAR를 기록했단 것 자체가 무시무시했단 증거다. 허나 한국시리즈에서 제대로 두들겨 맞고 성적 외적인 부분에서 여러번 잡음이 들리며 결국 고작 한 시즌만 뛰고 팀을 떠나게 된다.

이어서 시즌 내용을 보자면 갈베스는 00년까지 요미우리에서 뛰다가 시즌 후 요미우리와 재계약에 실패했고, 멕시코 리그에서 뛰다가 2001년 5월 부상으로 퇴출된 살로몬 토레스의 대체 외국인선수로 삼성 라이온즈와 연봉 20만 달러에 계약하였다.[5] 시즌 중 합류했음에도 불구하고, 15경기를 선발 등판해서 9회에도 149km/h[6]대 강속구를 뿌리는 등 특유의 강철 체력으로 당시 나이 37세의[7] 노장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당 평균 7.78이닝이라는 이닝 이터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5완투 2완봉 10승 4패 평균자책점 2.47로 삼성 선발진에서 맹활약했다.[8]

하지만 후술하듯이 8월 이후 돌연 귀국한 뒤 시즌이 끝날 때까지 한국 입국을 연기하는 등 멘탈 문제로 각종 잡음이 끊이질 않았고, 어찌어찌 잠적 끝에 돌아온 뒤에도 2001년 한국시리즈 1,4차전에서 도합 6이닝 10실점이라는 최악의 피칭[9]을 보이고 여기에 상술했던 멘탈 문제, 많은 나이까지 겹쳐 결국 재계약에 실패하며 방출되고 말았다.

이후에는 피츠버그 파이리츠와 마이너 계약을 맺으며 메이저리그의 문을 다시 두드렸으나, 계약한지 1주일도 안 되어서 투수코치와 싸우고 짐을 싸서 팀을 이탈한 뒤에 그대로 은퇴를 선언했다. 은퇴 후에는 자신의 사비로 도미니카에 야구 아카데미를 차려서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2.3.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1986 LAD 10 20⅔ 0 1 0 - 3.92 19 12 11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1994 중신 27 201⅓ 16 5 4 - 2.55 186 44 132
1995 21 168⅔ 10 11 0 - 2.51 161 42 71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1996 요미우리 28 203⅔
(1위)
16
(공동 1위)
6 0 - 3.05
(2위)
186
(2위)
68 112
1997 27 192⅔
(2위)
12
(4위)
12
(공동 3위)
0 - 3.32 165
(5위)
53 118
1998 18 137⅓ 9 7 0 - 3.21 136 48 85
1999 27 187
(4위)
9 12
(2위)
0 - 3.66 174 57 106
2000 6 30⅓ 0 6 0 - 3.26 34 8 22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01 삼성 15 116⅔ 10 4 0 0 2.47 100 42 85
<colbgcolor=#ffff88> MLB 통산(1시즌) 10 20⅔ 0 1 0 - 3.92 19 12 11
CPBL 통산(2시즌) 48 370 26 16 4 - 2.53 347 86 203
NPB 통산(5시즌) 106 751 46 43 0 - 3.31 695 234 443
KBO 통산(1시즌) 15 116⅔ 10 4 0 0 2.47 100 42 85

3. 괴팍한 성격

갈베스는 실력은 있지만 좋지 않은 성격으로 악명 높았다. 좋지 않은 멘탈로 인해 사고를 치고 다녔다.

주자를 허용하면 신경질적으로 변하여 심판의 판정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것이 심해서 미트를 땅바닥에 던진다든지, 혹은 공을 아무데나 던진다든지 해서[10] 벤치 클리어링 사태를 일으키는 경우도 많았다.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의 두통을 늘린 주요 원인 중 하나.[11]

심지어 1998년 7월 31일에는, 한신 타이거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강판 당한 뒤, 판정에 불만을 품고 깃타카 아츠시(橘高淳) 구심을 향해 패스트볼성 위협구를 그대로 세게 던저서 흥분한 심판들과 벤치 클리어링을 하는 사건을 남기기도 했다. 팀 관계자에 의하면 갈베스는 그 날 게임 시작 전부터 짜증을 내고 있었으며, 평소 자신과 잘맞는 구심과 그렇지 않은 구심을 구분해놓고 있었다고 한다. 하필이면 깃타카 심판은 후자였다는 게 문제, 승부구로 던진 코스에 던진 볼이 전부 볼판정을 받았다. 사실 그날도 구심은 공정했고 갈베스는 평소 자신과 맞지 않는다는 피해망상을 가지고 있었고 자신의 분을 참지 못했던 것. 결정적으로 볼판정 바로 이후에 홈런을 맞으면서[12] 심판에게 볼판정에 대해 항의했고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이 투수를 교체하기로 하고 덕아웃으로 들어가던 중에 분을 참지 못하고 심판을 향해 강속구를 던져버리고, 심판이 이에 항의하면서 심판과 선수의 벤치 클리어링이라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13] 결국 갈베스는 1998년 잔여경기 출장금지 징계를 받았고, 구단 자체적으로도 무기한 출장정지 및 4만엔 벌금을 내렸다.

주먹 실력도 상당했던 선수였다. 강타자 야마사키 타케시[14]가 주니치 시절 갈베스에게 데드볼을 얻어맞고 마운드로 걸어올라가 기싸움을 시도했다가 오히려 안면에 무자비한 펀치연타를 얻어맞은 일이 있었다. 다만 이건 갈베스가 자신의 주먹실력만 믿고 일본 선수들을 얕보다가 그걸 벼르고 벼르던 야마사키가 폭발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야마사키도 일본인 선수 중에서는 상당한 피지컬을 갖고 있어서 나름 호기를 부리긴 했지만 결과는 앞니 3개가 빠졌다[15].

삼성에서도 성깔 때문에 민폐를 많이 끼쳤다. 정규 시즌 때의 성적과 퍼포먼스 자체는 뛰어났지만, 역시 일본 시절부터 타고났던 성격은 어쩔 수 없었던 모양이다. 특히 10승을 거둔 이후 돌연 귀국해버리는... 등 그의 행보는 최악에 가까웠는데, 그 이유가 계약서에 적힌 옵션 조건이 10승이어서 "딱 10승만 달성"하고 그 이후로 태업을 했다는 주장도 있다.[16] 그러나 나중에 김응용이 삼성 라이온즈 때문에 산다라는 책에서 김은식과 한 인터뷰에 따르면, 사실 멘탈 문제로 속을 썩이긴 했지만 실제 한국시리즈에서의 부진은 시즌 막판에 당한 부상이 원인이었다고 한다. 다른 사람도 아닌 김응용이 10년 전의 용병에 대해 저렇게 말했다면 실드가 아니라 부상이 부진의 원인이 맞는 듯. 그리고 그 이후로 야구선수 생활을 하지 못한 걸 보면 생각보다 부상이 치명적인[17]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아직 삼성 팬들에겐 시즌 막판 돌연 귀국을 한 기행과 한국시리즈 부진 때문에 태업이라는 이미지가 훨씬 강한 편이긴 하다.

삼성 시절의 대표적인 민폐 사례는 시즌 10승을 거둔 직후인 2001년 8월 20일, 모친의 병환을 이유로 고국에 돌아간 뒤 부상 등 갖가지 핑계를 대가며 무려 7번씩이나 한국 입국을 미루었던 사건.[18] 처음엔 모친의 입원수속 절차 문제로 미루다가, 마침 시의적절하게 터진 9.11 테러를 핑계로 또 미루고,[19] 이후에는 어깨에 부상이 있어 검진을 받아봐야 할 것 같다고 또 미뤘다. 우여곡절 끝에 김재하[20] 단장이 도미니카공화국까지 가서 수소문한 끝에 시즌이 다 끝난 10월 4일에야 입국했지만, 무려 45일이나 운동을 쉬었기 때문에 한국시리즈 전까지 몸을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었다. 그리고 몸을 만들 시간이 부족했는지, 2001년 한국시리즈에서는 정규시즌 당시 포스는 죄다 사라지고 구위가 저하된 모습을 보였다. 결정적인 건 4차전에서의 대량 실점. 삼성 라이온즈 입장에선 에이스라고 데려왔다가 가장 중요한 순간에 뒤통수를 맞았다. 이로 인해 삼성팬들 사이에선 최악의 용병 얘기가 나오면 톰 션[21], 에스마일린 카리대, 아놀드 레온과 함께 갈베스의 이름이 꼭 나온다.[22]

한편 이렇게 제멋대로였던 갈베스에게 단단히 혼이 난 삼성 프런트는, 이후 외국인 선수 영입 때 반드시 인성을 고려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23]

다만 갈베스의 성질머리는 마운드 위에서만 한정인 듯하며 마운드 밖에서는 상당히 예의바르고 멀쩡한 사람이었다는 증언이 많다. 호리우치 츠네오는 갈베스에 대해 평상시에는 신사적이지만 마운드에만 서면 딴사람이 되던 유형이었다고 회고를 했는데, 그럴만한 것이 요미우리 시절 마운드에 서지 않았을 땐 사생활에서 크게 문제를 일으킨 적도 없었고 팀내의 젊은 투수들에게 야구 관련으로 조언도 많이 해 줬다고 하며, 동향이었던 도밍고 마르티네스가 갓 요미우리에 입단하고나서 일본 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을 때 자신의 집으로 초대해서 도미니카 음식을 직접 만들어주면서 챙겨주는 등 일본 생활에 적응을 하는 데에 도움을 주기도 했다고 한다. 마운드에서 자제력이 떨어졌다는 점 때문에 두고두고 회자가 된 아쉬운 케이스.

4. 관련 문서


[1] 대만프로야구 통산 2시즌 48경기 42선발 34완투 8완봉 26승 16패 4세이브 평균자책점 2.53. [2] 일본시리즈 우승은 오기 아키라 감독이 이끌고 스즈키 이치로가 활약하던 오릭스 블루웨이브의 차지가 된다. [3] 좋은 타격 실력을 가진 투수로도 유명했으며 투수가 한 시즌에 만루홈런을 2번 친 경우는 일본프로야구 역사상 99년의 갈베스가 유일하다. 통산 타격 성적은 259타수 39안타 10홈런 30타점 타출장 .151/.163/.297 [4] 쉽게 말하자면 ERA-는 낮을수록 좋고, 100이 투고성향 제외 시 ERA 4점 정도로 평가되니 투고성향을 제외 시 ERA 1.98 수준의 활약을 했다고 보면 편하다. [5] 물론 명목상 발표한 금액만 20만 달러고, 갈베스가 직전 시즌 요미우리에서 연봉으로만 2억 5000만엔을 받았다는 걸 감안하면 최소 150만~200만 달러는 줬을 거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다. 실제로 삼성이 갈베스와 20만 달러에 계약했다고 발표하자 몇몇 팀에서 이면계약설을 주장하기도 했다. [6] 2001년 6월 28일 대전 한화전. 갈베스의 삼성 시절 최고구속은 이날 7회에 황우구를 상대로 던진 151km/h. 요미우리에서의 최고구속도 1996년의 151km/h이다. [7] 실제 나이는 이것보다 더 많을 거라는 추측도 있었다. 200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중남미 선수들의 경우 메이저리그 구단과 조금 더 좋은 조건에 계약하기 위해 나이를 낮춰서 등록하는 일이 잦았고, 거기에 도미니카공화국의 경우 행정 체계가 완전히 갖춰지지 않아 실제 생년월일과 등록상 생년월일이 다른 경우가 많고, 더 심할경우 실제 생년월일을 아예 모르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알폰소 소리아노 훌리오 프랑코가 대표적인 사례. [8] 6월 16일 광주 해태전에서 완봉승(5-0)을 거뒀으며 이 과정에서 KBO 외국인투수 사상 최초로 완봉승을 기록했다. [9] 참고로 2001년 한국시리즈 4차전은 18:11로 두산 베어스가 승리하였는데, 3회말에만 3:8로 뒤진 상황에서 갈베스, 김진웅, 박동희가 차례로 털리면서 김동주의 한국시리즈 사상 2번째 만루홈런과 이후 안경현의 솔로 홈런 등 무려 12점을 뽑아내며 한국시리즈 한 이닝 최다득점을 기록한 경기였다. 그리고 한국시리즈 사상 첫 선발타자 전원득점, 한 이닝 최다타석(15타석), 최다점수차 역전승 등 각종 한국시리즈 관련 기록들이 우후죽순으로 쏟아져 나왔다. 갈베스는 이러한 막장 상황을 만든 주범 중 하나인 셈. [10] 주니치 시절 이종범도 한창 잘 나가던 도중, 갈베스의 빈볼에 " 헤드샷"을 당한 적이 있다. 갈베스 영상속에 헤드샷 맞고 머리를 감싸고 구르는 선수가 이종범이다. 이종범은 일본에서 선수생활을 청산하고 국내로 복귀 했을때 2번씩이나 헤드샷을 당했다. 그중 한번은 안면쪽에 맞아서 함몰된다. [11] 일본프로야구에서 뛰는 외국인 선수들 중엔 의도적으로 일본 국내 선수들에게 폭력적인 행동을 하는 경우도 많다. 일본 야구선수들의 평균 체격은 한국 선수들보다도 작은데, 아무래도 외국인 선수들이 상대적으로 체격이 크다 보니 위협을 하기가 쉬운 편이다. 또 위협적인 행동을 해서 상대를 위축시킴과 동시에 자신의 플레이를 펼침에 있어서 지장을 받지 않기 위한 측면도 있다. 그걸 가장 잘 이용한 선수들 중 타이론 우즈가 있었다. 그리고 일본프로야구에서 뛰는 용병들의 경우 몸값이 높고 나름 수준이 있는 데다 큰 선수들이 유난히 많아서 다혈질 용병이 드물지만은 않다. 일본프로야구에서 뛰었던 외국인 선수들의 증언으로는 아예 영입한 이후 팀에서 외국인 선수에게 몸싸움 요원으로서의 역할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12] 이 때 홈런을 때려낸 선수는 이 해에 데뷔한 츠보이 토모치카(坪井智哉; 現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1군 타격 코치)로 시즌 2호. 이 때 날린게 프로 통산 첫 담장을 넘기는 홈런이었다고 한다(시즌 1호는 인사이드 파크 홈런). [13] 이때 갈베스를 말리던 포수 요시하라 코스케가 흥분한 갈베스의 팔꿈치에 입을 가격당해 코피를 흘리는 상황이 일어나기도 했다. 잡는 팔을 갈베스가 마구 뿌리치면서 쳤다. 거기에 갈베스의 무시무시한 힘은 덤. 그를 붙잡는 요미우리 선수 & 코치 10여명이 오히려 갈베스가 용을 쓰자 질질 끌려다닌다. [14] 기복이 많은 커리어였지만 어찌저찌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에서 부활하여 39세의 나이에 홈런왕을 차지하는 활약을 보인다. [15] 일례로 마해영이 몸담던 삼성 시절 한화랑 벤치 클리어링이 터졌는데 이날 양팀 선수들이 전체적으로 흥분해서 선수 본인은 휘말리지 않으려고 싸움을 중재하려 했는데 오히려 피해를 본 케이스다. 그날 이빨 1개인가 2개인가 부셔졌다고 한다. [16] 김은식 저, 한국프로야구 결정적 30장면 출처. [17] 20년 뒤인 서울의 모 팀 용병이 전반기 이후 팀에 나갔다. [18] 옵션 조건이 10승 달성이라 해당 목표를 이루자마자 태업을 했다는 설, 포스트 시즌 출전에 따른 옵션이라는 설, 팀 동료 용병인 카를로스 바에르가[24]와의 불화라는 설도 있다. 실제로 갈베스는 같은 외국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바에르가와는 같이 식사도 하지 않을 정도로 바에르가를 피해다닐 정도였다고 한다. [19] 당시 상황상 이건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긴 했다. 9.11 테러가 터진 직후 미국 영공을 비행 중인 여객기들을 강제로 착륙시켰을 정도로 미국 전역이 아비규환인 상황이었고, 테러 재발 방지를 위해 보안검색 및 미국 입출국심사 규정, 거기다 흑인, 아랍인, 유색인종 등에 대한 보안검색 규정도 한층 강화되었기 때문이다. [20] 삼성 시절 돈성이라고 불린 이유가 이 분이 있었기 때문이다. [21] 이 사람은 한국의 매덕스가 되고 싶다는 포부를 밝히며 꾸준히 훈련을 했다고 한다. 다만 실전에서는 성적이 개판이라 불쌍한 침착의 여지가 있을뿐 카리대나 레온 처럼 구단이나 감독 디스하는 일은 없었다. [22] 여기서 카리대와 갈베스는 사용한 번호가 똑같다. 그리고 감독에게 디스 한건 똑같다. [23] 물론 이후에 인성을 고려하게 된 이유는 암묵적으로 인정받는 야마이코 나바로이다. 방출 후 알려진 내용으로는 워크에식이 안좋다고 퍼지면서 인성이고 나발이고 없던 일이 되어버렸다.


[24] 전년도 삼성이 훌리오 프랑코를 영입했는데 프랑코 다음가는 훌륭한 성적이였다. 프랑코는 시즌 후 제계약을 안하고 미국으로 귀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