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명· 지명 한자 약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륙 | |||||||
亞 | 歐 | 阿 · 非 | ||||||
아시아 | 유럽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가 | ||||
南 · 韓 | 北 · 朝 | 華 · 臺 · 台 |
中 ·
漢 唐 |
日 和 |
||||
대한민국 | 북한 |
대만 중화민국 |
중국 | 일본 | ||||
蒙 | 美 · 米 | 英 | 加 | 濠 · 澳 | ||||
몽골 | 미국 | 영국 | 캐나다 | 호주 | ||||
佛 · 法 | 獨 · 德 | 墺 · 奥 | 伊 | 蘭 | ||||
프랑스 | 독일 | 오스트리아 | 이탈리아 | 네덜란드 | ||||
西 | 葡 | 露 · 俄 | 印 | 印 尼 | ||||
스페인 | 포르투갈 | 러시아 | 인도 | 인도네시아 | ||||
末 · 馬 · 馬 聯 | 泰 | 比 | 越 | 埃 | ||||
말레이시아 | 태국 | 필리핀 | 베트남 | 이집트 | ||||
波 | 厓 · 愛 | 丁 | 瑞 | 那 · 諾 | ||||
폴란드 | 아일랜드 | 덴마크 | 스웨덴 | 노르웨이 | ||||
希 | 芬 | 南 阿 共 | 白 | 匈 · 洪 | ||||
그리스 | 핀란드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벨기에 | 헝가리 | ||||
瑞 西 | 土 | 墨 | 阿 根 廷 | 巴 西 | ||||
스위스 | 튀르키예 | 멕시코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
과거의 국가 | ||||||||
伽 | 高 · 麗 | 濟 | 羅 | 朝 | ||||
가야 [A] |
고구려 ·
고려 [A] |
백제 [A] |
신라[A] | 조선[A] | ||||
大 秦 | 蘇 | 普 | 倭 | 琉 | ||||
로마 제국 | 소련[B] | 프로이센[C] |
왜국 [D] |
류큐 왕국
/열도 [D] |
||||
지역 및 도시 | ||||||||
亞 太 | 滿 | 加 州 | 羅 城 | 桑 港 | ||||
아시아-태평양 | 만주 지역 | 캘리포니아주 | 로스앤젤레스 | 샌프란시스코 | ||||
華 盛 頓 | 莫 斯 科 | 伯 林 | 羅 馬 | 倫 敦 | ||||
워싱턴 D.C. | 모스크바 | 베를린 | 로마 | 런던 |
}}}}}}}}} ||
동서남북 | ||
北 | ||
西 | 東 | |
南 |
南 남녘 남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十, 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ナン, (ナ)
|
||||||
일본어 훈독
|
みなみ
|
||||||
-
|
|||||||
표준 중국어
|
nán, nā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南은 '남녘 남'이라는 한자로, '남(南)녘', '남(南)쪽'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남녘 |
음 | 남 | |
중국어 | 표준어 | nán |
광동어 | naam4 | |
객가어 | nàm | |
민북어 | nâng | |
민동어 | nàng | |
민남어 | lâm | |
오어 | noe (T3) | |
일본어 | 음독 | ナン, (ナ) |
훈독 | みなみ | |
베트남어 | nam |
유니코드에는 U+5357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JBTJ(十月廿十)로 입력한다. 주음부호로는 ㄋㄢˊ로 입력한다.
北을 제외한 방위를 나타내는 한자들은 전부 유래가 불분명하지만, 특히나 南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어서 南 자가 육서의 여섯 가지 제자방법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도 모를 지경이다. 이 때문에 南의 자원(字原)을 두고 여러 가지 가설이 나왔다. 대표적으로 윗부분의 十자와 冂가 합쳐진 부분( 巿)이 초목이 무성하다는 뜻을 나타내는 한자(초목무성할/슬갑 불)가 변형된 것이고, 그 밑에 있는 羊에서 가운데 가로획이 빠진 형상(𢆉)은 약간 심하다는 뜻을 가진 한자(약간심할 임/찌를 임)이니, 이는 남쪽으로 갈수록 풀이 무성해지는 정도가 심해짐을 나타내어 남쪽의 따뜻한 기후를 상징한다는 가설이 있다. 만약 이게 사실이라면 南은 회의자에 속한다.
또 다른 가설로는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진 것이라는 설이 있는데, 집안에 있는 화초의 모습을 본뜬 것이라고 한다. 十자와 冂가 합쳐진 부분은 집을 의미하고, 그 안의 羊 비슷하게 생긴 게 화초를 의미한다는데, 역시 남녘의 따뜻한 기후를 나타낸 것이라는 해석이다.
그 외에도 악기를 본뜬 상형자라는 설이 있다. 남(南)이라는 악기는 다른 악기와 연주할 때 남쪽에 배치했기 때문에 남쪽을 뜻하게 되었다는 설. 비슷하게 악기에서 유래했다는 설에는 묘족이 관계된 것이 있다. 남(南)은 묘족이 뫼마루에 묻었다가 제사에 꺼내서 쓰던 큰 쇠북을 본뜬 글씨로 묘족 자체를 칭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이들이 상나라의 남쪽에 살았기에 남쪽이란 뜻이 되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가설은 가설일 뿐, 南의 자원을 명쾌히 풀어줄 만한 자료가 어디에도 없어서 기원을 알 수 없다.
일반적으로 南은 비음[1] 받침이 있는 '남'으로 읽으나, नमस्(namas)의 음역어인 南無(나무)에서는 받침을 빼고 '나'로 읽는다. 이는 중국어, 일본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옛 중국인들이 한자를 이용해 외국어의 발음을 음차할 적에 나타나는 특징이기도 하다. 외국어의 발음을 음역할 적에 앞글자가 자음으로 끝나고 다음 글자가 같은 자음으로 시작할 경우 앞쪽의 끝 자음을 생략한다. 南無란 표기에서는 南자의 발음이 ㅁ으로 끝나고 다음 글자 無가 ㅁ으로 시작하므로, 남의 끝 자음 ㅁ을 생략하는 것이다. 이것은 중국인들이 한역불경에서 산스크리트어를 음차할 때, 또는 12세기 북송 사신단의 일원으로 고려에 파견된 손목(孫穆)이 계림유사를 집필하며 당시 고려말의 단어들을 한자로 음차했을 때에도 나타난다.
獻(드릴 헌)의 신자체는 변이 南으로 바뀐 献가 되었다.
3. 용례
3.1. 단어
- 나무아미타불 (南無阿彌陀佛)
- 난자완스(← 南 煎 丸 子)
- 남극조약(南 極 條 約)
- 남단(南端)
- 남대문 (南大門)
- 남도(南道)
- 남동(南東)
- 남동풍(南東風)
- 남만(南蠻)
- 남문 (南門)
- 남반구 (南半球)
- 남부 (南部)
- 남부 권총 (南部拳銃)
- 남북(南北)
- 남산(南 山)
- 남인(南 人)
- 남중 고도 (南中高度)
- 남측(南側)
- 남침 (南侵)
- 남파(南派)
- 남풍(南風)
- 남하(南下)
- 남한산성(南 漢 山 城)
- 남해 (南海)
- 남향 (南向)
- 남회귀선 (南回歸線)
- 대남 (對南)
- 대남방송 (對南放送)
- 동서남북 (東西南北)
- 월남 (越南)
- 이남 (以南)
- 지남력(指南力)
- 지남철 (指南鐵)
- 타이난시
- 회남자(淮南子)
3.2. 고사성어/ 숙어
- 남가일몽 (南柯一夢)
- 백골남행 (白骨南行)
3.3.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남쪽은 햇빛이 잘 드는 밝고 따뜻한 곳을 상징하므로 南은 한국인과 일본인의 이름으로 자주 쓰이는 한자이며 일본에서도 성씨에 많이 쓰이는 글자이다.
- 남(南)씨, 남궁(南宮)씨 한국인 전원. - 남상미(南相美), 남희석(南熙碩), 남궁민(南宮珉), 남궁석(南宮晳), 남궁억(南宮憶), 남주희(南周希) 등등
- 구흥남 (具興南)
- 김남길(金南佶)
- 김남주 (金南珠)[2]
- 김수남 (金洙南)
- 김주남 (金周南)
- 나구모 주이치 (南雲 忠一)
- 난리 유카 (南里 侑香)
- 난부 요이치로 (南部 陽一郎)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 난부 하루마사 (南部晴政)
- 난조 요시노 (南條愛乃)
- 난포 카즈에 (南浦 数絵)
- 남궁혁 (南 宮 赫)
- 남궁도위 (南 宮 度 偉)
- 남모(南 毛)
- 남양갈 (南陽葛)
- 남진 (南珍) - 본명은 김남진(金湳鎭)이다.
- 노기남 (盧基南)
- RM - 본명 김남준(金南俊)
- 묘이 미나 (名井 南)
- 미나미노 요코 (南野陽子)
- 미나미 아키나 (南明奈)
- 미나미 카노 (南佳乃)
- 미나미 오미 (南 央美)
- 미나미 요시야 (南佳也) - 본명은 아님.
- 미나미 지로 (南 次郎)
- 미나미 카나 (南夏奈)
- 박남춘 (朴南春)
- 박남정 (朴南政)
- 백남기 (白南基)
- 백남준 (白南準)
- 송대남 (宋大南)
- 스기야마 아난( 杉 山 歩南)
- 에치젠 난지로( 越 前 南 次 郎)
- 유강남 (劉江南)
- 이남규 (李南圭)
- 이종남 (李種南)
- 이종남 (李鍾南)
- 조남조 (趙南照)
- 조남철 (趙南哲)
- 주진남 (周震南)
- 최규남 (崔奎南)
- 한남군 (漢南君)
- 허남식 (許南植)
- 허남준 (許南俊)
- 허남훈 (許南薰)
3.4. 지명
방위를 나타내는 한자이니 지명으로도 엄청나게 많이 쓰인다. 다 적다간 끝이 없을 지경.대한민국의 광역지자체 대한민국의 기초지자체 기타
- 강남 (江南)
- 금남면 (錦南面)
- 난징 (南京)
- 남구 (南區)
- 남극 (南極)
- 남극권(南極圈), 남극주(南極洲), 남극지방(南極地方)
- 남미 (南美)
- 남산동(南 山 洞)
- 남성로(南 城 路) - 믿기지 않겠지만 그 자체로 법정동명이자 도로명이다.[예]
- 남일동 (南一洞)
- 남천동 (南川洞)
- 남포동 (南浦洞)
- 남한 (南韓)
- 도남동(道南洞)
- 동남아 (東南亞)
- 미나미알프스시(南アルプス市)
- 미남 (美南)
- 베트남 (越南)
- 산남동 (山南洞)
- 상남동 (上南洞)
- 슈난시 (周南市)
- 영남 (嶺南)
- 운난시 (雲南市)
- 윈난성 (雲南省)
- 타이난시 (台南)
- 한남동 (漢南洞)
- 호남 (湖南)
3.5. 철도
3.6. 창작물
4. 상대자
5. 여담
- 南은 좌우 대칭의 모양인데, 흥미롭게도 일본어 훈독도 みなみ로 왼쪽부터 읽으나 오른쪽부터 읽으나 똑같은 회문이다. 비슷한 예로 薺(냉이 제)의 훈독 なずな가 있다. 다른 점은 南의 경우 훈음까지도 회문이라는 것이다. 모양이 좌우 대칭이면서 훈음이 회문인 또 다른 한자로는 東(동녘 동), 門(문 문), 西(서녘 서), 宰(재상 재), 兆(조 조/조짐 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