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20:06:52

앞 전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7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9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ゼン, セン
일본어 훈독
まえ, さき
-
표준 중국어
qiá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반대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前은 '앞 전'이라는 한자로, '앞', '먼저', '미래' 등을 뜻한다. 일상적인 용법은 아니지만 논문 등에서는 기원전의 연도에 한자 前을 붙여 표현하기도 한다. 기원전 120년을 '前 120년'이라고 쓰는 식.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앞
중국어 표준어 qián
광동어 cin4
객가어 chhièn
민북어 chîng
민동어 cièng[文] / sèng[白]
민남어 chiân[文] / chêng, chûn[白]
오어 xxi (T3)
일본어 음독 ゼン
훈독 まえ, さき
베트남어 tiền

이 글자의 원래 형태는 歬이다. 갑골문에서 이 글자는 발을 나타내는 (그칠 지) 자 아래에 (배 주) 자와 같은 형태[5]가 있고, 그 양옆으로 길()이 나 있는 형태로 등장한다. 그래서 이 글자는 회의자이며, '배를 타고 앞으로 나아가다'라는 뜻에서 '앞'을 나타내게 되었다고 설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신 리)의 옛 형태처럼 舟의 형태를 신발로 보아, '신을 신고 앞으로 나아가다'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갑골문에서는 양옆으로 行 자가 없는 형태도 나타나는데, 이 형태가 금문 소전까지 이어졌다. 한편 전서에서는 舟 자 옆에 (칼 도) 자가 추가된 형태(𣦃 / 𠝣)가 등장하는데, 이는 '자르다'라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후 '자르다'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는 다시 이 밑에 刀 자를 더한 (자를 전) 자로 분화되고, 기존의 前 자는 다시 원래의 뜻인 '앞'을 나타내게 되었다. 한편 현재의 자형은 예서에서 止, 舟 자의 형태가 각각 䒑, 月 형태로 일그러진 것이다.[6]

왼쪽 아래의 부분을 대만과 홍콩에서는 月이 단독으로 쓰일 때처럼 왼쪽 세로획 끝이 휘어진 형태로 쓰지만, 한국과 중국과 일본에서는 왼쪽 세로획을 똑바로 세워서 쓴다. 서체에 따라서는 月 부분의 안쪽이 가로획 2개 대신 점 2개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초서체로 쓸 경우 아래의 부분을 처럼 쓰는 경우가 많다.

창힐수입법으로는 TBLN(廿月中弓)으로 입력한다.

읽기 7급II, 쓰기 6급에 속하는 한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기원전(紀元前)
  • 면전(面前)
  • 목전(目前)
  • 문전(門前)
  • 사전(事前)
    • 사전감사(事前監査), 사전구속영장(事前拘束令狀), 환경사전조사(環境事前調査)
  • 생전(生前)
  • 식전(式前/食前)
  • 아전(衙前)
  • 여전(如前)
  • 역전(驛前)
  • 오전(午前)
  • 이전(以前)
  • 전과(前科)
  • 전근대(前近代)
  • 전기(前期)
  • 전년(前年)
  • 전대(前代)
  • 전략(前略)
  • 전력(前歷)
  • 전례(前例)
  • 전립선(前立腺)
  • 전망(前望)
  • 전면(前面)
  • 전문(前文)
  • 전반(前半)
  • 전방(前方)
  • 전생(前生)
  • 전선(前線)
    • 열대전선(熱帶前線), 온난전선(溫暖前線), 적도전선(赤道前線), 장마전선(-前線), 정체전선(停滯前線), 최전선(最前線), 폐색전선(閉塞前線), 한랭전선(寒冷前線)
  • 전세(前世/前歲)
  • 전신(前身)
  • 전야(前夜)
  • 전월(前月)
  • 전위(前衛)
  • 전임(前任)
  • 전자(前者)
  • 전전(戰前)
  • 전제(前提)
    • 대전제(大前提), 소전제(小前提), 전제조건(前提條件)
  • 전조(前兆/前朝)
  • 전조등(前照燈)
  • 전주(前週)
  • 전주곡(前奏曲)
  • 전진(前秦)
  • 전진(前進/前陣/前陳)
    • 공격전진(攻擊前進)
  • 전초(前哨)
    • 전초전(前哨戰)
  • 전치사(前置詞)
  • 전편(前便/前篇)
  • 전한(前漢)
  • 전향적(前向的)
  • 전회(前回)
  • 전후(前後)
    • 전후방(前後方)
  • 종전(從前)
  • 직전(直前)
  • 향전(向前)
  • 혼전(婚前)

3.2. 고사성어/ 숙어

  • 前倨後恭 전거후공
  • 前古未聞 전고미문
  • 前古所無 전고소무
  • 前功可惜 전공가석
  • 前代未聞 전대미문
  • 前無後無 전무후무
  • 前事勿論 전사물론
  • 前事之不忘後事之師 전사지불망후사지사
  • 前生緣分 전생연분
  • 前人未踏 전인미답
  • 前程萬里 전정만리
  • 前妻所生 전처소생
  • 前瞻後顧 전첨후고
  • 前虎後狼 전호후랑
  • 前後曲折 전후곡절
  • 前後矛盾 전후모순
  • 前後不計 전후불계
  • 前後事緣 전후사연
  • 前後首末 전후수말
  • 前後左右 전후좌우
  • 前鑑昭然 전감소연
  • 前車可鑑 전거가감
  • 前車覆轍 전거복철
  • 前車覆後車戒 전거복후거계
  • 前途多難 전도다난
  • 前途洋洋 전도양양
  • 前途遙遠 전도요원
  • 前途有望 전도유망
  • 前門拒虎後門進狼 전문거호후문진랑
  • 前覆後戒 전복후계
  • 前言往行 전언왕행
  • 前進之望 전진지망
  • 前車覆後車戒 전차복후차계
  • 前遮後擁 전차후옹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반대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文] 문독 [白] 백독 [文] [白] [5] 혹은 (무릇 범) 자의 금문 형태와 닮기도 했다. [6] (옷 복)도 前처럼 본래 舟 부분의 형태가 예서에서 月로 일그러져 지금의 형태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