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 한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零/ 〇( 영) | 一( 일) | 二( 이) | 三( 삼) | 四( 사) |
零 | 壹 | 貳 | 參 | 肆 | |
五( 오) | 六( 육) | 七( 칠) | 八( 팔) | 九( 구) | |
伍 | 陸 | 柒 | 捌 | 玖 | |
十( 십) | 廿( 이십) | 卅( 삼십) | 卌( 사십) | 百( 백) | |
拾 | 念 | - | - | 佰 | |
皕1( 이백) | 千( 천) | 萬( 만) | 億( 억) | 兆( 조) | |
- | 仟 | - | - | - | |
京( 경) | 垓( 해) | 秭( 자) | 穰( 양) | 溝( 구) | |
- | - | - | - | - | |
澗( 간) | 正( 정) | 載( 재) | 極( 극)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
肆 방자할/베풀 사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聿, 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3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シ
|
||||||
일본어 훈독
|
つら-ねる, ほしいまま, みせ
|
||||||
-
|
|||||||
표준 중국어
|
sì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肆는 '방자할 사' 또는 '베풀 사'라는 한자로, '방자하다' 또는 '베풀다'를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는 8086이다. 창힐수입법은 SILQ(尸戈中手).'방자함', '제멋대로임'을 뜻하며, 四(넉 사)의 갖은자로도 쓰인다. 그래서 肆를 '넉 사'로 부르기도 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세로' 말고도 '마음대로'라는 뜻이 있다. '방종(放縱)'이 이 뜻으로 쓰인 대표적인 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