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18 23:58:02

5


아라비아 숫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 1 2 3 4
5 6 7 8 9
}}}}}}}}} ||
숫자
4 5 6
1. 개요2. 수학3. 날짜4. 과학5. 스포츠6. 교통
6.1. 버스6.2. 철도6.3. 도로
7. 미신/신화/상징8. 문화재9. 군사10. 게임11. 방송12. 인물13. 음악14. 기타


5 = 3번째 소수
아라비아 숫자 표기 5
로마 숫자 표기 V
한국어 다섯, 오
한자
영어 five
중국어 wǔ (五)
일본어 ご(五)
태국어 ห้า (하, hâa)
독일어 fünf
프랑스어 Cinc, [sæ̃]
스페인어 cinco(씬꼬)
이탈리아어 cinque(칭꿰)
러시아어 пять (뺘치)
라틴어 quinque
아랍어 (٥)خمسة
그리스어 πέντε(펜데)
폴란드어 pięć (피앵치)
에스페란토 kvin

1. 개요


5
4보다 크고 6보다 작은 자연수. 3번째 소수로, 앞 소수는 3이고 다음 소수는 7이다.

바로 아래 문단은 10진법 특성 상 진법에 영향을 받는 부분이 많다.

2. 수학

  • 5번째 피보나치 수, 하샤드 수다.
  • 2번째 오각수다. 앞 오각수는 1, 다음 오각수는 12이다.
  • 3번째 벨 수다.
  • 4번째 오일러 수다.
  • 2에 이어 두 번째로 작은 불가촉 수이다. 불가촉 수 중에서 유일하게 홀수일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아직 증명되지는 않았다.
  • 연속하는 두 제곱수의 합이다. ( 1 2+ 2 2=5)
  • 연속하는 두 소수의 합이다. ( 2+ 3)
  • 5에 홀수를 곱하면 그 수의 일의 자리는 항상 5이며, 짝수를 곱하면 항상 0이 되며. 짝수를 곱할 경우 한정 10의 배수와 조건이 중복되는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5나 0로 끝나는 모든 자연수는 5의 배수이다. 이러한 이유로 유일하게 끝자리가 5로 끝나는 소수이며, 2와 함께 1, 3, 7, 9로 끝나지 않는 둘 뿐인 소수이기도 하다. 물론 최초의 두자릿수인 10의 절반이기도 하니 당연한 결과.
  • 5의 거듭제곱은 항상 일의 자리수가 5다. 그리고 5를 제외한 5의 거듭제곱은 항상 25로 끝난다. 125 이후부터는 백의 자리는 1과 6이 번갈아 나온다. 5, 25, 125, 625, 3125, ... 자기동형수 참조.
  • 볼록 정다면체에는 오로지 다섯 가지(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만 존재한다. 그중 정십이면체만 오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 이전 소수와도 다음 소수와도 모두 쌍둥이 소수인 유일한 소수다. 다른 홀수 소수는 이전 홀수, 다음 홀수 중 하나가 3의 배수라서 적어도 하나는 소수가 아니므로[1] 3을 포함해야 하는데, (1, 3, 5)는 1이 소수가 아니므로 (3, 5, 7)만이 이를 만족할 수 있는 유일한 경우이다. 이는 연속하는 세 홀수는 주기적으로 정확히 하나가 반드시 3의 배수이기 때문에 (1, 3, 5)나 (3, 5, 7)의 경우를 제외하면 연속된 세 홀수 중 적어도 하나는 합성수라는 얘기다. 이와 비슷하게 이웃한 두 수의 차가 4인 세 홀수 중 하나는 반드시 3의 배수이므로 적어도 하나는 합성수라는 것[2]과 이웃한 두 수의 차가 6이고, 홀수이면서 3의 배수가 아닌 다섯개의 수 중 하나가 주기적으로 반드시 5의 배수이므로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합성수라는 것과도 연관이 있다. 특히 (5, 11, 17, 23, 29)
  • 6번째 대칭수이며, 이전 대칭수는 4이며, 다음 대칭수는 6이다.
  • 반올림(사사오입)의 기준이 되는 수다. 5보다 작으면 버리고, 5보다 크거나 같으면 올림한다.
  • 펜토미노 블록은 5개의 작은 정사각형 블록을 이어 붙인 12가지의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다.
  • 예외적 리군[3]은 5개(E6, E7, E8, F4, G2)가 존재한다.
  • 4차 이하와는 달리, 5차 이상의 다항함수부터는 역함수 초등함수로 표현할 수 없고 대신에 브링 근호를 사용해야 한다.
  • 일의 자리수가 0이나 5라면 5의 배수이다.

3. 날짜

4. 과학

5. 스포츠

6. 교통

6.1. 버스

6.2. 철도

6.3. 도로

7. 미신/신화/상징

  • 서양에서는 4원소설에서 제5원소를 발견한다. 동양에서는 처음부터 5원소설(오행설)이 통용되었다.
  • 삼국유사에 따르면 고구려는 5를 신성시했다고 한다.
  • 동서남북, 중앙의 다섯 방위를 상징하는 오룡이 있다.

8. 문화재

9. 군사

10. 게임

  • 레벨 5 -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고.
  • 그래픽노블 브이 포 벤데타에서 작중 수도 없이 나오거나 암시되는 숫자. 참고로 로마 숫자에서는 5를 V로 표기한다.
  • 디아블로 시리즈는 플레이 가능한 클래스는 5명이 기준이다.(확장팩 발매 이후에는 2명 추가로 총 7명.)[14]
  • 스노우 브라더스의 아케이드판에는 총 5개의 스테이지가 있다.
  • 역전재판 소생하는 역전에서는 잘못된 답을 5번 하면 게임이 끝난다.
  • 한국의 게임 회사 펜타비전의 이름도 여기서 따왔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로고는 육각형 모양이다. 자세한 정보는 해당 문서 참고.
  • 스타크래프트의 일꾼 유닛 SCV, 프로브, 드론, 전투 유닛 저글링, 커세어의 히트 데미지다.
  • 스타크래프트 등의 특정한 진영을 일단 차지한뒤 그 진영을 기반으로 상대 진영을 공격하는 게임에서 5인용으로 공평하게 나누기가 어렵다.
  • Cytus - STORIA는 5개의 곡[15]이 매시업(이라기 보다는 메들리에 가깝다.)된 곡이다.
  • Cytus II의 캐릭터 Vanessa의 해당 코드 네임명은 OPCI_2501_V. 거기다 끝의 V를 로마 숫자로 풀면 2501_005 즉 Vanessa는 5호기라는 점 때문에 팬덤에서는 5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 RATUZ 주인공의 권식

11. 방송

12. 인물

13. 음악

  • 2010년 발매된 빅마마의 정규 5집 이름이 "5"이다.

14. 기타

  • 사람의 각각 한 손과 한 발에는 5개의 손가락과 발가락이 있다.
  • 소설의 사건 전개는 보통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의 5단계로 이뤄진다.
  • 1년의 달 중에 5월은 계절의 여왕으로 불리고 있다. 거기에 5월은 가정의 달이라 해서 어린이날, 어버이날[23], 스승의 날[24] 등 기념일이 많은 달이기도 하다. 하지만 지구온난화 때문에 요즘들어 5월부터 여름이 되어가는 현상이 일고 있다.
  • 다섯가지 곡물의 의미로 오곡이란 단어를 적용해서 오곡밥, 오곡식빵 등으로 쓰이기도 한다.
  • 보통 대다수의 시험에는 한 문제에 5개의 선지들이 있다.
  • 승용차는 대부분 5인승이다.
  • 5진법을 쓰던 문명도 있다고 한다.
  • 한글 자모의 다섯 번째 글자이다.
  • 천자문의 5번 한자로 집 우()이다.
  • 태국어로는 '하'라고 읽는데, 때문에 태국에서는 한국의 ㅋㅋ와 비슷한 용도로 쓰인다.[25] 방송에도 나오는 듯. 여기서 더 통쾌하게 웃는 것을 표현한다면 55 끝에다가 +를 붙이면 된다.
  • 대한민국 육군
  • 보드게임 다섯 부족
  • 제5군단
  • 제5보병사단(열쇠부대)
  • 제5기갑여단
  • 5초 준다!
  • BMW 5시리즈
  • 대부분의 스마트폰은 배터리가 5%(일부 4%)가 되면 2차 경고를 울린다. 이때, 몇몇 휴대폰들은 스크린이 어두워지고 밝기 조정이 불가능해진다(현재 생산되는 휴대폰들은 가능한[26] 기종이 더 많다).
  • 이름에 5가 들어간 스마트폰들은 성적이 좋지 않다. 아이폰 5, 갤럭시 S5, LG G5는 모두 판매량이 부진하고 평가도 별로였다. 물론 갤럭시 노트5같은 예외도 있다.
  • 국제연합의 상임이사국들( 중국, 미국, 프랑스, 영국, 러시아)도 모두 5개국이다.
  • 한국 장기에서 마(馬)의 기물 점수는 5점이다.
  • 일반적으로 사람이 물건의 수를 셀 때 일일이 세지 않고, 무심코 한 번에 파악할 수 있는 갯수가 5개라고 한다.
  • 프랑스 자동차 업체인 르노에서 가장 잘 팔린 차들 중 하나의 이름이 르노 5였다.[27]
  • 라이트 노벨 데이트 어 라이브의 등장인물 이츠카 코토리의 상징숫자다.
  • 고토(기생수)
  • 영어 문장에는 5개의 형식이 있다.
  • TOEIC 시험의 Multiple Passage는 5세트가 나온다.
  • 2015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1은 5개 단원으로 구성된다.
  • 만 5세부터는 남탕에 여아가, 여탕에 남아가 출입을 할 수 없다. 때문에 만 5세 이상인데 성별이 같은 보호자가 없는 경우에는 직원이 직접 탕을 이용하는 것부터 탈의하는 것까지 도와준다.
  • 육군훈련소 신병교육대의 기초군사훈련 기간은 5주이다.
  • 일본에서는 매일 오후 5시가 되면 동네 곳곳에 있는 전신주를 통해 어린이들에게 집으로 귀가하라는 방송을 내보낸다.
  • 을사오적
  • 기업들이 자사의 상품을 가격 및 성능별로 라인업을 분류할 때 중급에 해당하는 숫자로 많이 쓰인다.[28]
  • 복면가왕 레전드 자리가 5번 엔트리다.
  • 불교에는 5계가 있다.
  • 70년대 후반~90년대,평범한지역(혹은 농어촌지역), 인구가 적은 지역에 지어진 저층아파트의 최대 층수이기도 하다.[29]
  • 과학닌자대 갓챠맨( 독수리 오형제)
  • 이강백의 희곡 '다섯' [30]
  • 감탄사인 를 입력할 때 발음이 같은 '5'로 입력하는 경우도 있다.
  • 유희왕 5D's는 초기 설정에는 시그너가 5명이었으나 설정이 변경되어 6명의 시그너가 있다.
  • 음력에서 윤달이 가장 많이 드는 달이 5월이다.
  • 5번(에니어그램)
  • 일본어의 동사의 분류 중 하나인 5단동사(활용에 따라 단이 다섯 가지로 변하는 동사)
  • 드래곤볼의 등장인물 농부의 전투력은 5이다.
  • 5등분의 신부 다섯 쌍둥이는 퍼즐을 5등분 할 수 없어
  • 댓글 혹은 채팅창에 "오"라는 감탄사를 적으면, 다른 사람이 ""이라며 말장난을 하는 일종의 농담이 있다.

[1] 만약 이전 홀수이나 다음 홀수 중 3의 배수가 아닌 수도 경우에 따라서 소수가 아닐 수도 있으므로 그러한 경우를 포함한다. [2] 예시로는 (7, 11, 15), (9, 13, 17), (13, 17, 21) 등이 있다 [3] 리군(연속군) 중에 일반적인 방법으로 만들 수 없는 것들 [4] 주로 DNA 이중나선구조를 형성할 때 고리 모양을 이룬다. [5] 그러나 최근에는 세계적인 핵심 센터백들이 4번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아진 관계로 5번의 전통적 가치가 예전이 비해 다소 하락한 감이 있다. [6] 예외적으로 아프리카에서는 공격수가 다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대표적인 공격형 미드필더 지네딘 지단도 레알 마드리드 시절에 5번을 달았었다. 좀 더 흔하게는 중앙 미드필더도 달기도 한다. [7] 2018 러시아 월드컵에서 사용했으며 이 번호로 무려 교수님의 실책을 유도하는 업적을 세웠다. [8] 2006 독일 월드컵때 당시 5번의 주인은 중앙 수비수인 페르난두 메이라였고 2010 남아공 월드컵에서는 후보 윙어 두다가 달고 있었고(17번을 선호하지만 루이스 나니에게 밀려 5번을 받았다.) 파비우 코엔트랑은 당시에 포지션을 변경한지 얼마되지 않은 시점이라 23번을 달고 있었다. [9] 좌타자보다는 우타자들이 많다. [10] 유성구에서 운행한다. [11] 2020년 1월 1일 기준. 2019년 11월 15일 개편 이전에 운행했던 5번 남면1번으로 변경되었다. [12] 현재는 205번이다. [13] 현재는 314번이다. [14] 단, 1편은 예외로 3명을 기본으로 시작된다.(확장팩 - 3명 추가 = 총 6명) [15] Halcyon, Niflheimr, VitMaster, Black Lair, AXION. [16] 중반 이후에 서정우의 합류로 총 6명이다. [17] 단, 태양전대 선발칸, 우주전대 큐레인저 등은 예외. [18] 최후반에 가서 현재 시점이 아닌 천년 전에는 6곳이었는데 1곳의 세계관 마법계과 그곳을 보좌하는 마가제렌트라는 플라티나 프린세스가 1명 더 있었다는 것이 밝혀진다. [19] SBS의 공식 채널 번호는 6번이다. 5번을 SBS로 배정되는 경우는 주로 케이블TV, IPTV, 위성방송에 한정되며 지방은 SBS계 지역민방으로 분류, 13번으로 송출되는 곳도 많다. [20] 초창기에는 6인조. [21] 초창기에는 4인조. [22] 초창기에는 6인조. [23] 어린이날과 어버이날은 하나로 합치자는 주장이 있고 어린이날을 요일제 (5월 첫째 주 월요일)로 바꾸자는 주장이 있다. [24] 2월로 옮기자는 주장이 있다. [25] 일본의 wwwww와도 비슷하다. [26] 이 경우 최대 밝기는 낼 수 없다. [27] 더불어 르노에서는 "이 차가 없었으면 클리오도, 트윙고도, 메간도 없었을 것"이라고 할 정도로 상당히 의미있는 차로 생각하고 있는 듯하다. [28] 상급은 주로 7, 하급은 주로 3. 단일 숫자 뿐만 아니라 50, 500, *5, *50 등 5가 들어가는 것 모두 포함. 대표적인 예로 인텔 코어 i 시리즈, BMW 세단 라인업, 삼성 갤럭시 A, J 시리즈 등이 있다. [29] 옥상 포함시 6층 [30] 2016학년도 9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에 출제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