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을 확인하세요.
상위 문서: 파시즘
[clearfix]
1. 개요
파시즘에 해당되는 국가ㆍ정당ㆍ인물 등의 목록.2. 국가
※ 주요 파시즘 국가이면 볼드체 표기국가 | 년도 |
이탈리아 왕국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
1923년~
1943년 1943년~ 1945년 |
산마리노 공화국 | 1923년~ 1943년[1] |
나치 독일 | 1933년~ 1945년 |
스페인국 | 1936년~ 1945년 (?)[2] |
일본 제국 | 1940년~ 1945년 (?) |
오스트리아 공화국/ 오스트리아 연방국 | 1933년~ 1938년 |
크로아티아 독립국 | 1941년~ 1945년 |
루마니아 국민군단국가 | 1940년~ 1941년[3] |
노르웨이 크비슬링 정권 | 1942년~ 1945년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1944년~ 1945년 |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1939년~ 1945년 |
포르투갈 제2공화국 | 1933년~ 1945년) (?) [4] |
그리스 왕국 | 1936년~ 1941년 (?) [5] |
그리스국 | 1941년~ 1944년 [6] |
중화민국 | 1928년~ 1934년) (?) [7] |
타이 왕국 | 1938년~ 1944년 |
루마니아/헝가리/크로아티아/노르웨이/슬로바키아는 1년도 못 간 혼란한 정부였거나 독일의 종속국이었다.
그 외 한국, 중국, 진보 학계에서 대표적인 파시즘 국가로 인식되는 일본 제국은 서구 학계와 보수 학계에서는 그저 군국주의 또는 군사정권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자세한 내용은 천황제 파시즘 문서 참조.
또한 이베리아 반도의 파시즘 정권인 스페인국과 포르투갈 공화국은 대중선동과 유사 사회주의적 경제방식을 하기엔 애매하지만[8] 반체제 인사에 대한 수용소 건설, 조합주의적 경제 방식, 무솔리니의 군사통치법을 강조한 점, 아동들에게 교권주의적/ 군국주의적 관점을 세뇌시킨 것을 보면 교권 파시즘적 요소를 가지고 있긴 하다.
2.1. 파시즘 국가로 오해받는 경우
흔히 오해하는 부분이지만 추축국이나 추축국의 점령국, 혹은 친추축국 국가들은 모조리 다 파시스트 국가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으나 이는 잘못된 것이다. 우선 히틀러는 나치즘을 독일 국민과 나치당의 신성한 계약으로 간주하여 이를 해외에 전파하는 것에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9] 독일 점령 하의 덴마크에선 덴마크 파시스트 지도자들이 통치에 배제되었고 명목상으로 파시즘 지도자들을 내세운 네덜란드, 벨기에 등지에서도 현지 파시스트들은 들러리였고 실제로는 독일의 강압적 점령 통치가 있을 뿐이었다. 독일의 괴뢰국(혹은 괴뢰국으로 인식되는) 비시 프랑스등도 파시즘과는 거리가 먼 전통 보수 세력이나 교권세력이 집권했다.[10][11]독일의 동맹국을 살펴보자면 호르티 미클로시의 헝가리 왕국도 파시즘이 정치권에서 오히려 배제된 권위주의 정권에 불과했으며 이온 안토네스쿠 영도 하의 루마니아도 파시즘으로 해석되지만 실제론 안토네스쿠는 자신의 권력을 위협하는 과거 동료였던 파시스트 조직인 철위대를 1941년 히틀러의 승인을 얻어 숙청해버린 인물이다.
수하르토의 인도네시아나 남아프리카 국민당 치하의 남아프리카 연방/ 남아프리카 공화국도 극단적인 권위주의, 반공주의 정권을 유지하고, 타민족( 동티모르, 흑인)을 자신들의 주류 민족의 지배하에 두고 민족성을 말살하여 영구 지배를 시도하는 등의 부분에서 파시즘적인 성격이 없지는 않지만 이들은 파시즘의 가장 중요한 교리인 대중운동이나 혁명적 요소가 없었으며, 앞서 말한 이들을 파시즘으로 분류하는 경우는 드물다. 다만 아파르트헤이트를 비롯하여 폭압적이고 반인륜적인 정책을 추종하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종차별주의자들과 그들의 정부를 파시스트라는 표현으로 격하하는 경우가 많을 뿐이다.
안타깝게도 세계 대공황 때처럼 대침체 이후 각국에서 실업자가 늘어나면서 이들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극단적인 민족주의나 종교 근본(극단)주의를 내세운 각종 정당이 서서히 힘을 얻고 있다. 다만 이러한 민족주의나 종교 근본(극단)주의가 21세기 네오 파시즘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라는 것을 부인하기는 힘들지만, 그렇다고 파시즘이라는 용어를 남발하면 곤란하다. 위에 예시로 등재된 사례는 어디까지나 민족주의나 종교적 근본주의나 극단주의에 따라 폭력적인 사회 운동을 표출할 뿐, 현대에 벌어지고 있는 유사 파시즘 운동이 제2차 대전 당시의 그것처럼 일단 그럴듯해 보이기는 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내로남불로 점철된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어떤 단체가 파시즘 단체라고 지목될 때는, 그것이 단순한 정치적 비방 이상의 의미가 있는 것인지를 곰곰이 따져 볼 수 있도록 하자. 당장 서유럽이나 북미의 지도자들은 물론 요시프 브로즈 티토조차도 소련 말을 안듣는다는 이유로 소련에게서 파시즘 지도자란 비방을 들었고 현재도 소련의 후신인 러시아가 유대인인 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조차도 네오나치라고 비방한다.
3. 정당
파시즘 이데올로기의 다양한 형태에 부합하는 국가 와 정당, 조직 및 운동, 별 목록. 이중에서는 파시즘이 아니었다고 반박하는 주장도 있으니 주의해서 보아야 한다. ☆가 붙은 정당은 논란이 있는 경우.지역 | 정당 | 년도 | 지도자 | 이념 | 국가 |
유럽 | 국가 파시스트당 | 1921년~1943년 | 베니토 무솔리니 | 이탈리아 파시즘 | 이탈리아 왕국 |
산마리노 파시스트당(PFS) | 1922년~1944년 | 줄리아노 고치 | 이탈리아 파시즘[12] | 산마리노 | |
주데텐 독일인당 | 1933년~1938년 | 콘라트 헨라인 | 대독일주의, 나치즘 |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
국가 파시스트 공동체 | ?? | 라돌라 가이다 | 범슬라브주의, 이탈리아 파시즘 |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1920년~1945년 | 아돌프 히틀러 | 나치즘 | 나치 독일 | |
독일 사회주의 국가당 | 1947년~1952년 | 오토에른스트 레머 | 나치즘 | 독일연방공화국 | |
오스트리아 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 | 1918년~1938년 | 발터 리엘(Walter Riehl) | 나치즘 | 오스트리아 | |
조국전선 | 1933년~1938년 | 엥겔베르트 돌푸스[13], 쿠르트 슈슈니크 | 오스트로파시즘[14] | 오스트리아 | |
화살십자당 | 1939년~1945년 | 살러시 페렌츠 | 나치즘 | 헝가리 왕국[15] | |
군단 운동[16] | 1927년~1941년 |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호리아 시마 | 군단주의 | 루마니아 [17] | |
네덜란드 국가사회주의 운동 | 1931년~1945년 | 안톤 뮈세르트 | 나치즘 | 네덜란드[18] | |
네덜란드 국가연대주의 연합 | 1931년~1941년 | 요리스 반 세베렌 | 플란데런 내셔널리즘 | 벨기에 | |
렉스당 | 1935년~1945년 | 레옹 드그렐 | 렉시즘 | 벨기에[19] | |
국가사회주의 덴마크 노동자당 | 1930년~1945년 | 프리츠 클라우센 | 나치즘 | 덴마크[20] | |
국가사회주의 스웨덴 노동자당 | 1933년~1950년 | 스벤 올로프 린드홀름(Sven Olov Lindholm) | 나치즘 | 스웨덴 | |
국민연합 | 1933년~1945년 | 비드쿤 크비슬링 | 나치즘 | 노르웨이 | |
팔랑헤( 통합 팔랑헤☆) | 1921년~1977년 | 호세 안토니오 프리모 데 리베라[21], 프란시스코 프랑코 | 팔랑헤주의( 프랑코주의) | 스페인 제2공화국, 스페인국 | |
국민대중행동☆ | 1930년~1974년 |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 | 살라자르주의[22] | 포르투갈 | |
국가조합주의당 | 1932년~1934년 | 프란시스코 롤라오 프레토 | 통합주의 | 포르투갈 | |
프루동 모임 (Cercle Proudhon) | 1911년~1914년 | 조르주 발루아(Georges Valois) | 프로토파시즘, 프랑스 파시즘 | 프랑스[23] | |
르 페소(Le Faisceau)[24] | 1925년~1928년 | 조르주 발루아(Georges Valois) | 프랑스 파시즘 | 프랑스[25] | |
불의 십자단 (Croix de Feu)☆ | 1927년~1936년 | 프랑수아 드 라 로크 | 프랑스 파시즘 | 프랑스[26] | |
프랑스 인민당 (French Popular Party) | 1936년~1945년 | 자크 도리오 | 나치즘 | 프랑스 | |
우스타샤 | 1929년~1945년 | 안테 파벨리치 | 나치즘 | 크로아티아 | |
라푸아 운동 | 1929년~1932년(-1944년) | 비흐토리 코솔라 | 나치즘 | 핀란드 | |
육군전우협회 (Army Comrades Association-ACA) | 1932년~1933년 | 이오인 오더피 | 파시즘 | 아일랜드 | |
신당(New Party)[27] | 1931년~1932년 | 오스왈드 모슬리 | 영국 파시즘 | 영국 | |
영국 파시스트 연합 (British Union of Fascists-BUF) | 1932년~1940년 | 오스왈드 모슬리 | 영국 파시즘 | 영국[28] | |
페르콩크루스츠 (Pērkonkrusts)[29] | 1921년~1943년 | 구스타우스 첼민슈(Gustavs Celmiņš) | 나치즘 | 라트비아 | |
알바니아 파시스트당[30] | 1939년~1943년 | 테픽 음보르자 | 이탈리아 파시즘 | 알바니아 | |
공화 파시스트당[31] | 1943년~1945년 | 베니토 무솔리니 | 이탈리아 파시즘 | 이탈리아 | |
아메리카 | 브라질 통합주의 행동[32] | 1932년~1937년 | 플리누 사우가두 | 인터그렐리즘 | 브라질 |
국민급진기지 팔랑가 | 1930년대 중반 | 볼레스와프 피아세츠키 | 교권 파시즘, 팔랑헤 | 폴란드 제2공화국 | |
민족 해방 동맹(Alianza Libertadora Nacionalista-ALN) | 1931년~1955년 | 후안 발리스타 몰티나(Juan Bautista Molina) | 아르헨티나 파시즘 | 아르헨티나 | |
미국 은색군단 (Silver Legion of America) | 1933년~1941년 | 윌리엄 더들리 펠리(William Dudley Pelley) | 나치즘 | 미국 | |
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기독교 국가 사회주의 운동 (Suid-Afrikaanse Nie-Joodse Nasionaal-Sosialistiese Beweging)[33] | 1930년~1940년 | 루이스 바이하르트(Louis Weichardt) | 나치즘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오제바브란트바흐 (Ossewabrandwag) | 1939년~1952년 | 요하너스 판 렌스뷔르흐(Johannes Van Rensburg) | 나치즘 | 남아프리카 공화국 |
4. 인물
파시즘을 여러 측면과 시각으로 구분짓는 인물들의 국가와 출생과 사망,지역 | 관련자 | 출생 | 사망 | 국적 | 분파 |
유럽 | 베니토 무솔리니 | 1883년 7월 29일 | 1945년 4월 28일 | 이탈리아 왕국 | 이탈리아 파시즘 |
아돌프 히틀러 | 1889년 4월 20일 | 1945년 4월 30일 | 나치 독일 | 나치즘 | |
에리히 루덴도르프 | 1865년 4월 9일 | 1937년 12월 20일 | 독일 제국 | 국가사회주의[34] | |
프란시스코 프랑코[A] | 1892년 12월 4일 | 1975년 11월 20일 | 스페인국 | 프랑코주의 | |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A] | 1889년 4월 28일 | 1970년 7월 27일 | 포르투갈 제2공화국 | 국민생디칼리슴 | |
미켈레 비앙키 | 1883년 7월 22일 | 1930년 2월 3일 | 이탈리아 왕국 | 이탈리아 파시즘 | |
에드몬도 로소니 | 1884년 5월 6일 | 1965년 6월 8일 | |||
에밀리오 데 보노 | 1866년 3월 19일 | 1944년 1월 11일 | |||
비흐토리 코솔라 | 1884년 7월 10일 | 1936년 12월 14일 | 핀란드 | 교권 파시즘 | |
프랑수아 드 라 로크[A] | 1885년 10월 6일 | 1946년 4월 28일 | 프랑스 제3공화국 | 프랑스 파시즘 | |
비드쿤 크비슬링[38] | 1887년 7월 18일 | 1945년 10월 24일 | 노르웨이 | 나치즘 | |
안테 파벨리치 | 1889년 7월 14일 | 1959년 12월 28일 | 크로아티아 | 교권 파시즘 | |
그레고어 슈트라서[39] | 1892년 5월 31일 | 1934년 6월 30일 | 나치 독일 | 슈트라서주의 |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40] | 1892년 7월 22일 | 1946년 10월 16일 | 오스트리아 | 나치즘 | |
엥겔베르트 돌푸스 | 1892년 10월 4일 | 1934년 7월 25일 | 오스트리아 파시즘 | ||
헤르만 괴링 | 1893년 1월 12일 | 1946년 10월 15일 | 독일 | 나치즘 | |
프리츠 클라우센 | 1893년 11월 12일 | 1947년 12월 5일 | 덴마크 | ||
안톤 뮈세르트 | 1894년 5월 11일 | 1946년 5월 7일 | 네덜란드 | ||
로사 린톤-오만 | 1895년 2월 7일 | 1935년 3월 10일 | 영국 | 영국 파시즘 | |
이탈로 발보 | 1896년 6월 6일 | 1940년 6월 28일 | 이탈리아 | 이탈리아 파시즘 | |
오스왈드 모슬리 | 1896년 11월 16일 | 1980년 12월 3일 | 영국 | 영국 파시즘 | |
살러시 페렌츠[41] | 1897년 1월 6일 | 1946년 3월 12일 | 헝가리 | 나치즘 |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1897년 10월 29일 | 1945년 5월 1일 | 독일 | 국가사회주의 | |
쿠르트 슈슈니크 | 1897년 12월 14일 | 1977년 11월 18일 | 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 파시즘 | |
자크 도리오 | 1898년 9월 26일 | 1945년 2월 22일 | 프랑스 | 프랑스 파시즘 | |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 1899년 9월 13일 | 1938년 11월 30일 | 루마니아 | 군단주의 | |
하인리히 힘러 | 1900년 10월 7일 | 1945년 5월 23일 | 독일 | 나치즘 | |
호세 안토니오 프리모 데 리베라 | 1903년 4월 24일 | 1936년 11월 20일 | 스페인 | 팔랑헤주의 | |
라미로 레데스마 라모스[42] | 1905년 5월 23일 | 1936년 10월 29일 | 스페인 | 국민생디칼리슴[43] | |
윌리엄 조이스 | 1906년 4월 24일 | 1946년 1월 3일 | 영국 | 영국 파시즘 | |
배리 돔빌 | 1878년 9월 5일 | 1971년 8월 13일 | 영국 | 영국 파시즘 | |
호리아 시마 | 1906년 7월 3일 | 1993년 5월 25일 | 루마니아 | 군단주의 | |
레옹 드그렐 | 1906년 6월 15일 | 1994년 3월 31일 | 벨기에 | 나치즘 | |
아시아 | 기타 잇키 | 1883년 4월 3일 | 1937년 8월 19일 | 일본 제국 | 국가개조론 |
쇼와유신론 | |||||
오카와 슈메이 | 1886년 12월 6일 | 1957년 12월 24일 | |||
이시와라 간지 | 1889년 1월 18일 | 1949년 8월 15일 | |||
다치바나 고자부로 | 1893년 3월 18일 | 1974년 3월 30일 | |||
고노에 후미마로[A] | 1891년 10월 12일 | 1945년 12월 16일 | 대정익찬회 | ||
쁠랙 피분송크람 | 1897년 7월 14일 | 1964년 6월 11일 | 태국 | 타이 파시즘[45] | |
이범석 | 1900년 10월 20일 | 1972년 5월 11일 | 대한민국 | 일민주의 | |
강세형 | 1899년 6월 21일 | 1960년 8월 5일 | |||
안호상 | 1902년 1월 23일 | 1999년 2월 21일 | |||
양우정 | 1907년 11월 15일 | 1975년 10월 11일 | |||
아메리카 | 후안 바티스타 몰리나 | 1882년 | 1958년경 | 아르헨티나 | 나치즘 |
윌리엄 더들리 펠리 | 1890년 3월 12일 | 1965년 6월 30일 | 미국 | 나치즘 | |
프리츠 쿤 | 1896년 8월 15일 | 1951년 12월 14일 | |||
프랜시스 파커 요키 | 1917년 9월 18일 | 1960년 6월 16일 | |||
조지 링컨 록웰 | 1918년 3월 9일 | 1967년 8월 25일 | |||
아드리앵 아르캉 | 1899년 10월 3일 | 1967년 8월 1일 | 캐나다 | 나치즘 | |
플리누 사우가두 | 1895년 1월 22일 | 1975년 12월 8일 | 브라질 | 국민생디칼리슴 |
[1]
이탈리아에 파시즘 정권이 들어서자 그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아 산마리노 역시 파시즘 정권이 들어선다.
[2]
1939년부터 1975년까지가 프랑코의 통치 기간이지만, 1945년이 지나면 파시즘적 요소의 색채들이 희석되기 시작한다.
[3]
이후의 루마니아 왕국은 안토네스쿠의 통치 아래 독재적으로 결속된 유사 파시즘 국가였다.
[4]
국민생디칼리즘 경제체제에 기반을 둔 독재국가였지만, 살라자르의 통치는 파시즘이라기에는 너무나도 온건했다.
[5]
요안니스 메탁사스 총리의 집권 기간 동안의 그리스. 대표적인 유사 파시즘 국가이다.
[6]
추축국에 점령된 이후에 수립된 괴뢰국.
[7]
장제스 통치 기간의 전반부에는 상당한 파시즘적 요소가 있었으나, 이후에는 권위주의 정도로 희석된다.
[8]
스페인 내전과 2차 세계대전 때에는
국민생디칼리슴식 경제체제를 내세웠다.
[9]
물론 원칙적으론 서구-북구계 백인들에게 나치즘을 전파하는 것이 옳으나 그들이 나치 독일에 우호적일 경우에만 의미가 있다는 게 히틀러의 생각이었으며, 다른 나치 간부들은 그런 생각마저도 품지 않았다.
[10]
예외적으로 독일의 괴뢰국인
노르웨이 국민정부와
크로아티아 독립국은 파시즘 국가이다.
[11]
하지만 나치당이 반교권주의와 결탁한 것은 사실이나 종교와 나치즘이 아닌 파시즘이 무조건 사이가 나쁘라는 보장도 없다. 당장 무솔리니와 교황
비오 11세의
라테라노 조약만 봐도 그렇거니와 루마니아의 파시스트들이나 벨기에의 파시스트들은 대놓고 교권주의를 주창했다. 나치즘이란 특수 경우를 제외하고 파시스트 국가나 추축국의 토속 파시스트들은 왕정이나 구 기득권들에게 대게 협조하며 공생하는 편이었다. 나치 독일을 제외하고는 파시즘 성향을 띄는 국가들은 예외없이 왕국이거나 교권주의적 통치를 자행하였다.
[12]
이탈리아가 파시스트 국가가 되자 이에 영향을 받아 득세한 정당이다.
[13]
오스트리아 나치당원들에게 암살되었다
[14]
이 또한 이탈리아 파시즘에 영향을 받았다.
[15]
1939년 5월 선거에서 200만 표 중 75만 표를 획득하며 크게 선전했으나 그 당시에는 호르티 미클로시 제독의 통치가 굳건하여 의미 없는 승리였다.
[16]
이름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고, 대천사 미카엘 군단, 철위대(Garda de fier), 국가를 위한 모든 것 등 여러 별칭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17]
이들은
이온 안토네스쿠와 협력하여
국민군단국가를 수립했으나, 안토네스쿠와 점점 대립하게 되고, 이들은 1941년 폭동을 일으켰다가 진압되어 해체된다.
[18]
1935년 선거에서 7.94%의 지지를 확보했다.
[19]
가장 성공적인 서유럽의 파시스트 정당으로 1936년 5월 선거에서 11.5%의 지지와 202석 중 21석의 의석을 차지했지만 1937년 4월 선거에서 가톨릭에서 공산주의자들까지 대동단결해서 파울 판 젤란드를 중심으로 모여 이들을 무너뜨림으로써 해산되고 만다.
[20]
1939년 선거에서 5,000명의 당원, 덴마크 의회에서 1.8% 의 득표율로 3석을 얻어 원내 진출에 성공하였다. 또한
나치 독일의 덴마크 침공을 지원하였다.
[21]
1936년,
스페인 제2공화국 정부에 의해 처형당했다. 그 이후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1937년에 팔랑헤를 중심으로
왕당파,
CEDA,
카를로스파를 통합하였다. 다만 팔랑헤와 달리 통합 팔랑헤는
유사 파시즘 정당으로 분류된다.
[22]
소위 이스타두 노부라 읽혀지는 그의 재임기 시기에는 국민생디칼리슴적 조합주의와 단순 군사독재정의 성격이 혼합되어 있었다.
[23]
프랑스 파시즘의 시초로 평가받는 단체. 정당이라기보다는 일종의 싱크탱크에 가까운 단체였다.
[24]
프랑스어로 파스케스라는 뜻
[25]
프루동 모임과는 별개의 정당.
국가 파시스트당에 영향을 받았으며 한때 준군사조직인 푸른셔츠단의 회원만 25,000명에 달할 정도의 세력이 있었지만 내부 분열로 해산.
[26]
후신은 프랑스 사회당(1936~1940). 성공 가능성이 높은 파시스트 정당이었으나 1940년에 예정된 선거가 독일의 침공으로 무산되면서 프랑스의 파시스트화는 적어도 프랑스인들의 손으로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27]
후에 영국 파시스트 연합(BUF)에 합당 하였다.
[28]
1932년 설립 이후 1934년까지 빠르게 성장하여 데일리메일 발행자 로더미어 자작을 비롯한 여러 거물의 지지를 받으며 5만명의 당원을 확보했으나 1934년 올림피아 박람회장 난동 사건과 장검의 밤 때문에 충격받은 영국인들이 파시스트를 성토하고 기존 파시스트 당원들도 90%나 집단 탈당함으로 쇠락했다. 1936년 케이블가 전투를 벌이는 바람에 공공질서법이 통과되어 이들의 제복 착용이 금지되었고 1939년까지 2만명 수준의 당세를 회복했으나 영국 보수파들의 세력 회복과 거국내각의 등장으로 인해 망해버렸다.
[29]
라트비아어로 "천둥 십자가"라는 뜻이어서 Thunder Cross-썬더 크로스 라고도 불린다.
[30]
창당 시기를 보면 알겠지만 이탈리아 보호령 시기에 이탈리아의 영향을 받아 창당한 정당이다.
[31]
국가 파시스트당의 잔당들이 창당한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의 정당이다.
[32]
포르투갈어로 아사우 인테그랄리스타스 브라질레이라-Ação Integralista Brasileira.
[33]
이니셜을 쓰지 않고 '회색 셔츠단'(Gryshemde)으로 통칭했다.
[34]
독재 권력이 국가와 결합해 국가 체제가 제한적으로 돌아가면 어떻게 되는지를 보여준 인물이라 원류 파시즘의 선구자로 불린다.
[A]
파시스트인지 논란이 있음
[A]
[A]
[38]
나치 독일의
괴뢰국의 수장이어서 결국 종주국의 이념을 따라갔다. 사상과 별개로
우주교라는 범신론 종교를 창시하기도 했다.
[39]
나치당내 좌파 출신으로, 초기엔 국가사회주의를 따르는 히틀러의 충신이었지만 그의 좌파 성향 때문인지
장검의 밤 때 숙청당한다.
[40]
오스트리아 출신이지만
오스트리아 나치당에 입당하는 등 나치즘 성향이었다.
[41]
1939년 나치즘 성향의 정당인
화살십자당(Nyilaskeresztes Párt)을 설립하고 당수로 활동하다가 반정부 활동 혐의로 체포되어 형무소에 투옥되었고. 1940년 아돌프 히틀러의 압력으로 석방되어 독일로 건너간 후에 독일이 1944년 헝가리를 침공했을 때 나치의 지원을 받은 살러시 페렌츠와 화살십자당은 나치즘 인사로 집권했었다.
[42]
Ramiro Ledesma Ramos. 스페인 조합주의 파시즘의 창립자쯤 되는 인물이며 하이데거 철학의 권위자였다.
[43]
라미로 레데스마 라모스의 스페인 최초의 조합주의적 파시즘 사상. 팔랑헤보다 더 급진적이며 팔랑헤의 전신 JONS에서 만든 사상이며 기술자, 기업가, 노동자 모두를 포함한
노동조합을 통한
직장민주주의 실현과 노동조합의 자가관리 실현 및 지방자치위원회의
직접민주주의실현과 이를 통한 노동조합 국가적 전체주의를 주장하던
좌파 파시즘적 성격을 가진 사상. 이후 라미로 레데스마 라모스 자체가
팔랑헤가
부르주아 냄새 난다며 탈당하면서 팔랑헤 자체에서 축출된 사상이다.
[A]
[45]
대중운동과 실지회복주의 등 이탈리아 파시즘을 기반으로 하여, 인종적 우월 주장 등 나치즘 요소들 또한 포함한다. 다만 반유대주의 대신 화교를 유대인 포지션에 놓아 탄압했다.
탈아입구 정책 등
천황제 파시즘 요소들 또한 일부 포함하지만, 강력한 대중운동을 기반으로 국왕을 (상대적으로) 격하했다는 점에서는 이탈리아 파시즘과 유사하다. 당대에 잘나가던(...) 파시즘 요소들을 전부 들여와서 짬뽕했다고 봐도 무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