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8 09:11:47

체코군

체코슬로바키아군에서 넘어옴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동아시아 대만 · 대한민국 · 몽골 · 북한 · 일본 (준군사조직) · 중국
동남​아시아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조호르군)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남아시아 네팔 · 몰디브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인도 · 파키스탄
서아시아 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아프가니스탄 · 오만 · 요르단 · 예멘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서유럽 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모나코 · 벨기에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남유럽 구호기사단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스페인 · 슬로베니아 · 알바니아 · 이탈리아 · 키프로스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중유럽 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슬로바키아 · 체코 · 폴란드 · 헝가리
북유럽 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핀란드
동유럽 러시아 · 루마니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북아메리카 멕시코 · 미국 · 캐나다
카리브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 · 아이티 · 자메이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중앙아메리카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벨리즈 · 엘살바도르
남아메리카 가이아나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북​아프리카 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남​아프리카 나미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앙골라 · 에스와티니 · 잠비아 · 짐바브웨
서​아프리카 가나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말리 · 모리타니 · 베냉 · 부르키나파소 · 세네갈 · 시에라리온 · 적도 기니 · 카보베르데 · 코트디부아르 · 토고
동​아프리카 남수단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부룬디 · 세이셸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지부티 · 코모로 · 케냐 · 탄자니아
중앙​아프리카 가봉 · 상투메 프린시페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차드 · 카메룬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오스트랄라시아 뉴질랜드 · 호주
멜라네시아 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피지
미크로네시아 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키리바시 · 팔라우
폴리네시아 사모아 · 통가 · 투발루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11457E 31%,transparent 31%), linear-gradient(to bottom, #FFF 50%,#D7141A 5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11457e>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대 모라비아 왕국 · 보헤미아 왕국 · 체코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 평의회 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제2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망명 정부 · 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체코 사회주의 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연방공화국
정치 정치 전반 · 체코 사회민주당 · 체코 대통령 · 체코 총리 · 체코 의회( 원로원 · 대의원)
외교 외교 전반 · 비셰그라드 그룹
경제 경제 전반 · 체코 코루나
국방 체코군 · NATO
문화 문화 전반 · 관광 · 영화 · 요리 ·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 체코어
인물 토마시 가리크 마사리크 · 카렐 4세 · 바츨라프 하벨 · 얀 지슈카 · 얀 후스 · 안토닌 드보르자크 · 카렐 차펙 · 알폰스 무하
민족 체코인 · 체코계 미국인 · 체코계 캐나다인 · 체코계 러시아인
기타 체코 조병창 · Railjet · 엑스칼리버 아미 }}}}}}}}}
체코 공화국군
Armáda České republiky
Army of the Czech Republic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Logo_of_the_Czech_Armed_Forces.svg.png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colbgcolor=#d7141a> 국가
[[체코|]][[틀:국기|]][[틀:국기|]]
상비군 27,000명
예비군 4,000명
병역제도 모병제
육군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d7141a><colcolor=#fff> 전차 53대
장갑차
(APCs/IFVs)
206대
자주포 61문
다연장로켓 0문
수송 차량 3,000대 }}}}}}}}}
공군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d7141a><colcolor=#fff> 5세대 전투기 (+24기)
4.5세대 전투기 14기
항공기 총합 108기 }}}}}}}}}
링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Logo_of_the_Czech_Armed_Forces.svg.pn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수뇌부
2.1.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수뇌부2.2. 현재 수뇌부
3. 역사
3.1. 체코슬로바키아 건국 이전
3.1.1. 합스부르크 제국 시절3.1.2.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3.2. 체코슬로바키아군 (ČSA, 1918-1954)
3.2.1. 제2차 세계 대전 직전3.2.2. 제2차 세계 대전
3.3.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ČSLA, 1954-1990)3.4. 체코슬로바키아군 (ČSA, 1990-1992)3.5. 체코군 (AČR, 1993-현재)
4. 편제5. 구성
5.1. 육군5.2. 공군5.3. 사이버군5.4. 특수군5.5. 국토방위대
6. 장비7. 기타
7.1. 한국과의 관계
8. 대중매체9.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체코의 군대. 체코가 내륙국인 관계로 육군과 공군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서부군관구에서 개편되어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국방비 20억 달러,[1] 전투병력 2만명 규모[2] 의 소규모 군대지만 군대의 수준과 장비의 질은 선진국 군대에 비견할만큼 뛰어나다. 체코군의 주 목적은 NATO 조약 제5조에 의거해 북대서양 조약기구 가맹국과 체코 공화국의 상호간 공동방위를 취하는 것이다.

2. 수뇌부

2.1.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수뇌부

총사령관 국방장관 총참모장
총사령관 국방장관 총참모장
바츨라브 하벨 대통령 밀란 바츨라비크 대장 미로슬라브 바체크 기갑상장
서부군관구 사령관 동부군관구 사령관 공군 사령관 방공군 사령관
서부군관구 사령관 동부군관구 사령관 공군 사령관 방공군 사령관
모이미르 자하리아시 보병중장 임리치 안드레이차크 보병소장 요제프 레멕 항공중장 야로슬라브 마트야시 항공중장

1989년 기준이다. 계급은 군종 별로 나뉘어있지 않은 단일 계급체계이다.

2.2. 현재 수뇌부

파일:체코 국장.svg
통수권자 국방장관
대통령 총리 국방장관
페트르 파벨 대통령[3] 페트르 피알라 총리 야나 체르노초바 장관
총참모장 육군사령관 공군사령관
총참모장 육군사령관 공군사령관
중장 카렐 레흐카 준장 로만 나혼치크 소장 페트르 체펠카
사이버군사령관 특수군사령관 국토방위대사령관
사이버군사령관 특수군사령관 국토방위대사령관
준장 미로슬라브 페익스 준장 파벨 콜라지르 육군대령 안토닌 겐세르

3. 역사

3.1. 체코슬로바키아 건국 이전

3.1.1. 합스부르크 제국 시절

역사적으로 후스 전쟁에서 활약한 후스파 군대와 애꾸눈의 불패명장 얀 지슈카, 30년 전쟁 당시 황제군의 최고의 명장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 오스트리아 제국군 원수인 요제프 라데츠키 등이 유명하다.

1526년 합스부르크 가문 페르디난트 1세 보헤미아 왕국을 상속받은 이래, 보헤미아 왕국군은 대부분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사병이었던 황제군에 속하였다. 오랜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를 거치며 보헤미아인 귀족들 대부분이 점차 독일화 되어 보헤미아인으로서의 희미한 정체성만 남았을 뿐 대부분은 합스부르크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장교로서 복무했다. 그나마 보헤미아 왕국의 교육 수준이 높았던 덕분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내에서 보헤미아인은 독일인( 오스트리아인), 헝가리인, 크로아티아인과 함께 특수병과에 주로 배치되었다.

3.1.2.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체코슬로바키아군 (ČSA, 1918-1954)

체코슬로바키아의 군대. 체코슬로바키아군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체 이후 구 오스트리아 제국군의 체코슬로바키아 출신 군인들이 자발적으로 임시로 구성한것이 그 시초이다. 그렇기 때문에 군 내부에 슬로바키아인 비중이 심각하게 낮았다[4]는 구 오스트리아 제국군의 문제점까지 계승됐다. 또 점차적으로 해외의 체코슬로바키아 군단도 신생 체코슬로바키아 임시군에 합류했다.

체코슬로바키아 임시군은 초기부터 보헤미아의[5] 독일인 분리주의자들의 소요사태, 테신 지방에서의 체코슬로바키아-폴란드 전쟁, 남슬로바키아, 루테니아 지방에서의 체코슬로바키아-헝가리 전쟁 등 우여곡절을 겪였다. 이후는 체코슬로바키아군/1938년 항목 참조.

이 시절엔 소규모지만 엘베 강 도나우 강을 지키기 위해 해군도 있었다. 이들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군의 다뉴브 강 소함대 소속 함선들을 인계받았다. 영문위키

3.2.1. 제2차 세계 대전 직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체코슬로바키아군/1938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38년 당시 체코슬로바키아군은 중부유럽에서 독일 국방군 다음으로 강한 군대였다. 동부유럽의 2인자였던 북쪽의 폴란드군과 비교해보면 체코슬로바키아 육군과 폴란드 육군의 규모는 거의 비슷했으나 질적으로 체코슬로바키아가 압도적이었고 폴란드 공군력은 체코슬로바키아 공군력의 30% 수준에도 못 미칠정도였다. 총기의 경우 독일군의 총기와 동등하거나 약간 우월한 성능을 가질 정도였으며 전차의 경우는 독일 육군의 전차 성능을 능가했다. 독일과의 국경지대에는 상당히 발달한 국경요새도 있었다. 프랑스, 영국, 소련과 방위조약을 맺어 전시에는 나치 독일을 쌍방향에서 압박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체코슬로바키아군에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었다. 독일과의 국경지대에는 상당히 요새화가 진척되었으나 오스트리아와의 국경지대는 그 수준이 미약했고 슬로바키아 지역에 주둔하는 군구의 사단수가 부족해 이곳을 장악당한다면 소련의 지원은 꿈도 꿀 수 없는 상황이 됐을 것이다. 군대 내부에는 12,000명의 주데텐 독일인이 근무하고 있어 전시에 큰 내부의 위협이 될 수 있었고 공군력은 괜찮았으나 루프트바페에는 훨씬 못 미쳤다.

믿음직한 동맹인줄 알았던 영국, 프랑스는 나치 독일의 프로파간다에 선동당해 독일에게 유화정책을 펼쳤고 가장 강력한 동맹관계를 맺었던 소련조차도 프랑스가 참전할 경우에만 개입하겠다고 밝혔으며 단독적으로 개입한다고 해도 체코 내부의 소련의 영향력이 강해져 소련의 위성국으로 전락할 수 있던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체코슬로바키아와 독일 사이에 전쟁이 발발한다면 체코슬로바키아군은 독일군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었을 것이다.

3.2.2. 제2차 세계 대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체코슬로바키아군/1938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체코슬로바키아군은 해체되고 몇개의 군사조직이 탄생하게 된다. 나치 독일의 괴뢰국인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의 군대, 서유럽, 중동, 소련에서 활동하던 수많은 독립군조직이다. 동부전선에서 소련군과 함께 크게 활약한 제1체코슬로바키아군단이 대표적이다. 체코슬로바키아 독립군의 활약을 다룬 영화로는 영국 본토 항공전에 참전한 93명의 체코인 파일럿을 다룬 다크 블루 월드와 체코인 특수부대의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암살작전을 다룬 새벽의 7인이 있다. 참고로 워낙 체코슬로바키아군의 인지도가 없다보니 이 항목 작성 전까지만 해도 다크 블루 월드가 폴란드군 항목에 버젓이 폴란드 파일럿의 활약상을 다룬 영화로 게재되어 있었다.

3.3.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ČSLA, 1954-199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의 당군이자 냉전 당시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1945년 외국에서 활동하던 독립군들이 조직하긴 했으나 어째서인지 1954년부터 인민군이라는 명칭을 쓰기 시작했다. 1955년 바르샤바 조약의 가맹국이 되었고 바르샤바 조약 가맹국들중 소련, 동독, 폴란드와 함께 군사력이 강한 편이었다.

평시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의 주력을 이루는 부대는 체코에 주둔하고 있던 서부군집단으로 전체 병력의 85%가 서부군집단 소속이었다. 슬로바키아에 주둔하고 있던 동부군집단은 전체 병력의 15% 수준에 불과했으며 그나마도 주로 군사 학교, 군창고, 후방 정비소 등이 대부분이었다.

서부집단군은 예하에 2개 군[6] 을 두고 있으며 총 3개 전차사단과 5개 차량화소총병사단을 두고 있었다. 여기에 전시 동원령이 떨어질 경우 동부군 예하의 카테고리 C급 전차사단 2개가 2개 차량화소총병사단과 1개 포병사단, 1개 공중강습여단으로 보강되면서 새로운 군을 창설하게 되어 있었다. 여기에 6개 전투기연대/4개 전폭기연대/3개 정찰전대로 구성된 공군을 보유하고 있었다.

3.4. 체코슬로바키아군 (ČSA, 1990-1992)

1990년 체코슬로바키아 공산정권 붕괴 후 체코슬로바키아 연방 해체까지 잠시동안 존속했던 체코슬로바키아군이다. 민주화 이후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은 시민의 군대가 아니라 공산당의 군대라고 간주되고 군대의 민주주의 시민, 조국에 대한 무한한 헌신을 위해 군대 이름에서 '인민'을 빼버렸다.

1991년에는 바르샤바 조약을 탈퇴하고 유럽 군축 조약에 서명하였다. 1990년부터 1991년에는 걸프전에 참전했다.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 연방이 해체됨에 따라 체코군 슬로바키아군으로 분할되었다.

3.5. 체코군 (AČR, 1993-현재)

체코슬로바키아 연방 해체 이후 현대의 체코군. 1933년 체코군은 총병력이 90,000 명이나 됐는데 1999년에는 63,601 명으로, 2005년에는 35,000 명으로 감소했다. 그후 감축은 계속되어 현재 전투병력 20,000 명, 비전투병력 10,000 명으로 크게 감소했다. 2300대의 전차와 3000 대, 20만명의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은 이제 전투병력 2만명, 전차 120대가 되었고 1999년에 나토에 가입하였고 유럽안보협력기구의 일원으로써 세계각지에 군대를 파병하여 평화유지와 인도주의적 작업에 기여하고 있다.

본래 징병제를 시행 중이었으나 민주화 이후 복무 기간을 점차 단축하여 모병제를 강화하기 시작했고, 나중에 가서는 군축으로 정원도 적어서 상당수가 합격판정은 받아도 가지 않았다. 결국 징병제는 2004년 완전히 폐지되었고 국가 비상 사태와 전쟁시에만 동원령이 발령된다.

2013년 7월 1일에는 대대적인 군사조직 개편이 있었다.

2016년 이후로는 체코에서도 너무 국방비 감축 및 군대 감축한 게 아니냐며 다시 국방 투자를 늘리자는 의견이 많이 나온다. 체코 의회에서도 2017년부터는 국방비 지출을 조금씩 늘리기 시작했지만 일단은 예비군 전력 위주로 투자중이다.

4. 편제

  • Generální štáb Armády České republiky (총참모부)

5. 구성

5.1. 육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체코 육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공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체코 공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사이버군

5.4. 특수군

5.5. 국토방위대

6. 장비

파일:체코 국기.svg 현대 체코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체코 공화국군 (1993~현재)
Armáda České Republiky
<colbgcolor=#7CB9E8><colcolor=#000,#e5e5e5>



<colcolor=#000,#e5e5e5><colbgcolor=#7CB9E8> '''[[소총|
소총
]]'''
<colcolor=#000,#e5e5e5><colbgcolor=#7CB9E8> '''[[돌격소총|
돌격소총
]]'''
CZ 805 브렌 | CZ 브렌 2 | vz. 58S | CZ2000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CZ 브렌 2 PPS | SVDS
'''[[저격소총|
저격소총
]]'''
TRG-22
기관단총 CZ 스콜피온 EVO 3 A1 | MP7A2 | vz. 61 스콜피온S
산탄총 윈체스터 M1300 디펜더
권총 CZ P-10 (C/F) | CZ 75 SP-01 팬텀 | CZ 75(B/BD) | vz. 82S | vz. 52S



'''[[기관총|
기관총
]]'''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미니미 7.62 | FN MAG | MG3 | M240 | M134D | PKM | PKB | PKT | UK vz. 59 (L/T)S
'''[[기관총#s-5.1|
중기관총
]]'''
M2HB-QCB | NSV | NSVT | vz. 38/46M DŠKM
유탄발사기 CZ 805 G1 | AGS-17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무반동총|
무반동포
]]'''
칼 구스타프 M3 | RPG-75
로켓 RPG-7V
미사일 참고: 틀:현대전/체코 유도무기
맨패즈
박격포 LM ANTOS-LR | 81-MK2-KM | vz. 52 | vz. 82 PRÁM-L
'''[[특수부대|




]]'''
'''[[소총|
소총
]]'''
'''[[돌격소총|
돌격소총
]]'''
Mk.18 | M4A1 | M4A3S | Ak 5S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HK417
'''[[저격소총|
저격소총
]]'''
AWM | M200 인터벤션 | HTI | OP vz. 96 팔콘 | M82A1
기관단총 MP5SD6 | MP5K
산탄총 베넬리 M3T 슈퍼 90
권총 글록 17
기관총 Mk.46 Mod 0 | Mk.48 Mod 0 | 미니미 Mk.3 택티컬 | M60E4
유탄발사기 M203 | STK 40GL
박격포 LRM vz.99 ANTOS 코만도 | MX-120
'''[[폭발물|


]]'''
'''[[수류탄|
수류탄
]]'''
살상탄 OffHGr 85 | SplHGr 85 | URG-86 | RG-4 | RG F1S
연막탄 DG-50
연습탄 RG-Šk-4 | RG-Cv-5 | RG-Cv-8
폭약 UTN-2 선형 성형작약
의장용 화기 vz. 52/57 | CZ 750 스나이퍼 I
※ 윗첨자S: 비축 화기
취소선: 개발취소 화기
}}}}}}}}}


파일:체코 국기.svg 현대 체코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체코 공화국군 (1993~)
Armáda České Republiky
<colbgcolor=#7CB9E8><colcolor=#000> '''[[주력 전차|
MBT
]]'''
<colcolor=#000><colbgcolor=#7CB9E8> '''[[2세대 전차|
2세대
]]'''
T-72M1R
'''[[3세대 전차|
3세대
]]'''
T-72M4CZ | 레오파르트 2A4
3.5세대 { 레오파르트 2A8}
'''[[장갑차|
장갑차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KBVP 판두르 II | 티투스 | 딩고 2 CZ | BRDM-2RCh | OT-64R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 CV9030CZ MkIV} | BVP-2(V) | OT-90 자르모드 | BPzV 스바타바 | PzPK 슈네스카(-M) | LOS(-M) | BVP-1S
차량 소형 [[소형 전술차량|
IMV
]] {자칼 HMT400} | 이베코 LMV | 험비 | LAPV 에노크 4.8 | 랜드로버 디펜더 (90/110TDi/130 카이만) | UAZ-469S
민수용
이베코 MUV | 랜드로버 디스커버리 | 토요타 하이럭스 D-4D
트럭
군용
타트라 T-810 · T-815-7 · T-815(멀티리프트/스틸브로) · T-148 | 아비아 (30/31)R | 프라가 V3S-(M1/M2)R | ZiL-131R
상용
벤츠 악트로스 ·  아테고 | 볼보 FL12 클라우스-KM | 스카니아 R660 · R590
'''[[자주포|
자주포
]]'''
'''[[자주곡사포|
자주곡사포
]]'''
{ CAESAR 8×8 Mk.2} | ShKH vz.77 다나 M1
'''[[자주박격포|
자주박격포
]]'''
ShM vz.85 PRÁM-S
다연장로켓 RM vz. 70R
대공 차량 '''[[대공미사일|
단거리 SAM
]]'''
참고: 틀:현대전/체코 유도무기
지원차량 구난차량 BPz 3 뷔펠 | VT-72(B/M4CZ) | VT-55A | VPV | T-148 AD 시리즈 구난차 | T-815 (AD/AV) 시리즈 구난차
공병차량 보제나-5 무인 지뢰제거차 | MU 90 지뢰매설차
교량차량 MT-55A | T-815 AM50 가교부설트럭 | T-815 PMS 부교운반차
건설기계 KN-251 로더
기타 DTP-90/72 정비샵 | DTP-95/BVP 정비샵 | PTS-10 수륙양용 운반차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현대 체코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7cb9e8> '''[[체코군|
체코 공화국군 (1993~현재)
Armáda České Republiky
]]'''
회전익기 <colbgcolor=#7cb9e8> '''
다목적 헬기
'''
UH-1Y 베놈 | W-3A 소쿠우 | Mi-17 · Mi-171Sh | Mi-8P
공격헬기 AH-1Z 바이퍼 | Mi-24(D/V)
'''[[전투기|
전투기
]]'''
'''[[3세대 전투기|
3세대
]]'''
MiG-21(MF/MFN) | MiG-23(MF/ML)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JAS 39(C/D) 그리펜L | MiG-29(A/UB)
'''[[5세대 전투기|
5세대
]]'''
{ F-35A 라이트닝 II}
공격기 L-159A ALCA | Su-22M4 | Su-25K | MiG-23BN
'''[[정찰기|
정찰기
]]'''
전술 L-410FG | An-30FG
'''[[수송기|
수송기
]]'''
경량 C-295(M/MW) | L-410UVP(-E) 터보레트 | An-26 | An-24(B/V)
전술 { C-390 밀레니엄} | An-12BP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3A 센트리NAEW&CF | { E-7}NAEW&CF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A330 MRTTMMF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초소형
RQ-20(A/B) 푸마 | RQ-12 와스프 AE | RQ-11B 레이븐 | 스카이라크 I-LEX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 소이카 III
'''[[훈련기|
훈련기
]]'''
프롭 Z 43 | Z 142C AF | EV-97 유로스타 | L-200 모라바
제트 { L-39NG} | L-159(T1/T1+/T2) | L-39(C/ZA) 알바트로스 | L-29 델핀 | MiG-23UM | MiG-21UM
헬기 엔스톰 480B-G | Mi-2
VIP 탑승기 ACJ319-115X | 챌린저 CL601-3A | Yak-40K | Tu-154M | Tu-134A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MMF: NATO MM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체코 국기.svg 현대 체코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체코 공화국군 (1993~현재)
Armáda České Republiky
<colbgcolor=#7CB9E8> <colbgcolor=#7CB9E8> 스파이크-LR | FGM-148 재블린 (특수부대용)
탑재형
기갑차량
스파이크-LR | 9M113 콘쿠르스R
공대지
회전익기
AGM-114K 헬파이어 II | 9M17P 플랑가R
고정익기
AGM-65G 매버릭 | Kh-25(ML/MR)R | Kh-23MR
유도로켓
공대지
APKWS ( 70mm, AH-1Z)
OTR-23 오카R
RBS 70 NG
단거리
PLRK S-10MR
중거리
{ SPYDER-MR} | PLRK 2K12 M2 쿠프R
장거리
S-200VE 베가-ER | S-75(M) 드비나R
단거리
{ AIM-9X 블록 II} ·  AIM-9L 사이드와인더 | R-73R | R-60(T/M)R
중장거리 AIM-120({C-8}/C-7/C-5) AMRAAM | R-27R1R | R-24(R/T)R
Kh-25MPR
유도폭탄 { GBU-53/B 스톰브레이커} | { GBU-31 JDAM} | GBU-(12/16) 페이브웨이 II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무장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체코·슬로바키아군/장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기타

7.1. 한국과의 관계

체코군의 정신적 기원인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은 시베리아 내전 당시 한창걸의 한인 독립군과 연합하여 반 콜차크 봉기를 일으킨 바 있다. 이후에도 군단은 북로군정서에 무기를 매각하여 그들의 독립운동을 도왔고, 사령관 라돌라 가이다 장군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인사들과도 친교를 맺었다.

한편 공산화 이후 체코슬로바키아군은 한국전쟁 휴전 이후 북한이 임명한 공산측 중립국감독위원회의 일원으로 판문점에 파견되었다. 그러나 냉전 종식 후 공산권의 민주화가 이뤄지고 체코와 슬로바키아가 분리되자, 북한은 신생 체코와 과거의 체코슬로바키아 간의 연속성을 부정했고, 체코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판문점에서 내쫒았다. 현재도 체코는 중감위 업무에 복귀하지 못하고 있다.

8. 대중매체

체코 소재의 전장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게임을 제작하는 보헤미아 인터랙티브 스튜디오가 ARMA2 : Army of Czech Republic DLC를 출시하였다.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의 경우 ARMA 시리즈의 모딩 커뮤니티 CSLA 스튜디오에서 시리즈마다 모드를 배포하고 있다.

유진에서 발매한 워게임 EE ALB에서 바르샤바 조약의 가맹국중 하나로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이 등장한다. 보급차량이나 장갑차, 자주포, 자주대공포 등 일부 장비의 성능이 꽤나 우수하나 전체적으로는 딱히 특출난게 없어서 암울한 편.

Paradox Interactive의 전략게임 HOI에도 등장하는데, 기본IC가 40이나되고 기술등급 8등급, 7등급짜리 연구진이 있으며 연구도 상당히 진척돼있는 괜찮은 국가로 나온다. 1933년부터 시작하면 세계적인 패권국가가 될 수 있으며 1938년 독일의 주데텐란트 할양요구를 거부할시 현실 역사와는 다르게 영국 프랑스가 체코슬로바키아의 편에서 참전하기 때문에 준비만 해놨다면 독일군을 완전히 이길 수 있다.

9. 관련 문서




[1] 한화 약 2조 2,120억원 [2] 총병력 30,000명중 8,000명은 군무원이다. [3] 전직 NATO군 군사위원회 의장이었다. [4] 슬로바키아는 헝가리 왕국의 영토였다. [5] 비단 주데텐란트 뿐만 아니라 보헤미아의 거주하고 있던 독일인 전반. [6] 소련군과 마찬가지로 체코군에서 군, Army는 서방의 군단 규모 부대이다. [7] StB, VB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