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실패한 내란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내란 | 주도 세력 |
2차 왕자의 난 | <colbgcolor=#ffffff,#1f2023> 이방간, 박포 | |
조사의의 난 | 조사의, 이성계 | |
이징옥의 난 | 이징옥 | |
단종 복위 운동 | 사육신 | |
김처의의 난 | 김처의 | |
이시애의 난 | 이시애 | |
임꺽정의 난 | 임꺽정 | |
정여립의 난 | 정여립 | |
송유진의 난 | 송유진 | |
이몽학의 난 | 이몽학 | |
이괄의 난 | 이괄 | |
이인거의 난 | 이인거 | |
삼수의 옥 | 정인중 등 노론 | |
이인좌의 난 | 이인좌 | |
나주 괘서 사건 | 윤지 | |
정유역변 | 홍상범 | |
황사영 백서 사건 | 황사영 | |
홍경래의 난 | 홍경래 | |
임술농민봉기 | 유계춘 등 진주 사람 | |
이필제의 난 | 이필제 | |
이재선 추대 사건 | 안기영 등, 이하응 | |
임오군란 | 김장손, 유춘만 등 오군영의 일원 | |
갑신정변 | 김옥균 등 급진 개화파 | |
1차 이준용 옹립 사건 | 이하응, 위안스카이 | |
이재면 추대 사건 | 이하응, 위안스카이 | |
동학 농민 혁명 | 전봉준 등 동학 농민군 | |
2차 이준용 옹립 사건 | 이하응 | |
조선군 훈련대 반란사건 | 이두황 등 조선군 훈련대 | |
갑오의병 | 김원교, 서상철 등 | |
을미의병 | 유인석 등 조선 의병 | |
춘생문 사건 | 임최수, 이도철 등 친러파, 친미파 | |
신축민란 | 이재수 | |
을사의병 | 최익현 등 조선 의병 | |
정미의병 | 이인영 등 13도 창의군 | }}}}}}}}} |
※ 대한제국기의 사건 포함
|
임진왜란 및 정유재란 전투 목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임진왜란 (일본군 대규모 상륙), 일본군 진격 시기 | |||
1592년 |
<colcolor=#f0ad73,white> 음력
4월 |
부산진 전투[日] · 다대포진성 전투[日] · 동래성 전투[日] · 김해성 전투[日] · 경상도 방어선 · 상주 전투[日] · 충주 탄금대 전투[日] | ||
5월
|
한강 전투[日] · 기강 전투[朝] · 제1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 · 옥포 해전[朝]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朝] · 해유령 전투[朝] · 임진강 전투[日] · 정암진 전투[朝] · 사천 해전[朝] | |||
6월
|
당포 해전[朝] · 제1차 당항포 해전[朝] · 용인 전투[日] · 무계 전투[日] · 율포 해전[朝] · 금화 전투[日] · 제1차 평양성 전투[日] | |||
7월
|
웅치 전투[日] · 안덕원 전투[朝] · 전주성 전투[朝] · 이치 전투[朝] · 한산도 대첩[朝] · 제1차 금산 전투[日] · 안골포 해전[朝] · 우척현 전투[朝] · 제2차 평양성 전투[日] · 삭녕 전투[日] · 해정창 전투[日] · 영천성 전투[朝] · 지례 전투[朝] | |||
8월
|
제3차 평양성 전투[日] · 청주 전투[朝] · 제1차 경주 전투[日] · 제2차 금산 전투[日] · 영원산성 전투[日] · 장림포 해전[朝] | |||
9월
|
부산포 해전[朝] · 연안성 전투[朝] · 제2차 경주 전투[朝] · 북관대첩[朝] · 노현 전투[日] · 창원성 전투[日] | |||
10월
|
제1차 진주성 전투[朝] | |||
12월
|
길주성 전투[朝] · 독성산성 전투[朝] | |||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 ||||
1593년 |
1월
|
제4차 평양성 전투[朝明] · 수원 전투[朝] · 성주성 전투[朝] · 벽제관 전투[日] | ||
2월
|
웅포 해전[朝] · 죽주 전투/상주 전투[朝] · 행주대첩[朝] · 노원평 전투[朝] | |||
전선 고착화 및 국지전 시기, 정유재란 (일본군 대규모 재상륙) | ||||
1593년 |
6월
|
제2차 진주성 전투[日] | ||
1594년 |
3월
|
제2차 당항포 해전[朝] | ||
7월
|
거제도 진공작전[朝] | |||
1597년 |
2월
|
부산 진공작전[朝] | ||
3월
|
기문포 해전[朝] | |||
6월
|
가덕도 해전[朝] | |||
7월
|
칠천량 해전[日] | |||
일본군 진격 시기 | ||||
1597년 |
8월
|
고령 전투[朝] · 남원 전투[日] · 황석산성 전투[日] · 어란포 해전[朝] | ||
9월
|
벽파진 해전[朝] · 직산 전투[明] · 명량 해전[朝] · 제1차 석주관 전투[日] | |||
사로병진책,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 ||||
1597년 |
11월
|
제2차 석주관 전투[日] | ||
12월
|
제2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明] · 제1차 울산성 전투[日] | |||
1598년 |
7월
|
절이도 해전[朝明] | ||
9월
|
사천성 전투[日] · 제2차 울산성 전투[朝明] · 왜교성 전투[日] | |||
11월
|
노량 해전[朝明] · 남해왜성 소탕전[朝明] | |||
각주: [朝]: 조선군의 승리 / [日]: 일본군의 승리 / [明]: 명나라군의 승리 |
[clearfix]
1. 개요
전주 이씨 서얼 출신의 이몽학이 일으킨 반란. 당시 조선 민심이 오랜 전쟁통에 피로해지고, 전쟁 초반에 명나라 근처 의주까지 도망한 선조에 대한 반감이 얼마나 컸는지를 보여줬던 사건이었다.2. 반란 진행 요약
이몽학의 아버지는 이몽학을 집에서 내쫓아버렸다. 집에서 쫓겨나서 떠돌이로 지내던 이몽학은 한현의 부하로 들어가 그곳에서 반란을 일으킬 마음을 품게 된다. 이후 의병을 모집한다는 명분으로 '동갑회'라는 조직을 만드나, 실은 이곳에서 반란을 위해 군사 훈련을 하였다.1596년 7월 30일, 이몽학의 군대는 충청도 홍산과 임천(현 부여군)에서 군수와 현감을 사로잡은 후, 8월 2일까지 청양과 예산까지 함락하고 8월 3일 홍주성(현 홍성군)을 포위했다. 당시의 정황을 《선조수정실록》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몽학은 종성(宗姓)의 서족으로서, 호서(湖西)에서 종군할 적에 조련장관(操練將官)이 되어 홍산 무량사(無量寺)에 우거하면서 선봉장 한현(韓絢) 등과 친교를 맺었다. 몽학은 어리석고 아무 재능이 없었으나 한현은 교활하고 일에 밝았다. 당시 《기효신서(紀效新書)》의 속오법을 가지고 군사를 배치하고, 기량을 훈련시켰는데 한현은 권인룡(權仁龍)·김시약(金時約) 등과 함께 모두 서인으로 응모하여 함께 선봉장이라 호칭하면서 어사 이시발(李時發)에 소속되어 호서의 군사조련을 관할하였는데 민심은 탄식과 원망으로 차 있었고 크고 작은 고을에 모두 방비가 없음을 보고 이 틈을 타서 난을 일으키고자 하였다. 이때 현이 마침 부친상을 당하여 홍주(洪州)에 있다가 우선 몽학을 시켜 거사하도록 하고 자신은 내포(內浦)에서 서로 호응하기로 약속을 정하였다. 몽학은 무량사의 굴속으로 잠입하여 중들과 더불어 기치(旗幟)와 기장(器杖)을 만들었다. 호서의 풍속에 흔히 늘 동갑회(同甲會)를 만들었는데, 이에 그 패거리를 시켜 계(契)를 만든다고 선전하고 동네 어귀 들판으로 모이게 했다. 【갑회(甲會)란 노소 귀천을 막론하고 동갑마다 깃발을 세우고 그 갑년을 써 놓으면 무리들은 각자 그 동갑을 찾아 모여 들어 술을 마시며 즐기는 것이다.】 몽학은 절에서 출병(出兵)하여 마을 안으로 들어왔다. 깃발을 세우고 걸상에 앉아 각(角)을 불고 북을 치면서 큰소리로 사람들을 불러 모았다. 동갑 모임 중에서 공모한 장정이 먼저 나와 칼을 뽑아 들고 무리를 데리고 달려나갔다. 몽학은 그들에게 속임수로 꾀기를 ‘이번에 일으킨 의거는 백성을 편안히 하고 나라를 안정시키기 위한 일이다. 거역하는 자는 죽음을 당할 것이고 순종하는 자는 상을 받으리라.’고 하니 모두들 좋다고 떠들면서 그를 따랐으며, 사람마다 스스로 고관대작이 될 것으로 여기고 성불(聖佛)이 세상에 나왔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승려와 속인을 장군으로 나누어 배치하고 문관과 무관 등의 청현직으로 가칭하니 사족 자제와 무뢰배들이 많이 그들에게 붙었다. 그날 밤에 홍산현(鴻山縣)을 습격하여 현감 윤영현(尹英賢)을 사로잡고 【영현은 무자년에 생원시에 장원하여 왕자사부(王子師傅)가 되어 광해군(光海君)이 그에게 배웠으며 그 뒤에 지금의 관직으로 전직되었다.】 또 임천군수(林川郡守) 박진국(朴振國)을 【문과 출신이다.】 사로잡았다. 다 항복하여 몽학에게 붙으니 상빈(上賓)으로 대우했다. 잇따라 청양(靑陽)·정산(定山) 등 6개 고을을 함락시켰다. 수령들은 모두 먼저 도망치고 아전과 백성들은 적들의 호령에 따랐고 술과 음식을 차려서 맞이하였으며 군사를 뽑아 그들에게 가세하였다. 이에 소문만 듣고도 호미를 던지고 그들에게 투항하는 자가 줄을 이어 군사가 수만 명에 달하자 소문을 퍼뜨리기를 ‘충용장(忠勇將) 김덕령(金德齡)과 의병장 곽재우(郭再祐)·홍계남(洪季男) 등이 모두 군대를 연합하여 도우며, 병조판서 이덕형(李德馨)이 내응한다.’ 하니, 중외(中外)가 놀라 민심이 술렁거렸다.[1]
홍주목사 홍가신은 관속 이희수를 시켜 거짓 항복을 함으로써 이몽학을 속이면서 시간을 끌었고, 인근의 의병과 근처에 있는 관찰사들이 홍주성의 포위를 풀었다. 이몽학은 밤중에 청양으로 탈출하였으나, 끝내 부하들의 손에 목이 잘려 살해당하고 부하들은 의병들과 관찰사들한테 이몽학의 목을 바쳐 항복하면서 그렇게 반란이 종결되었다.
그 당시 조정은 충청병사 이시언이 이끈 군대가 자꾸 이몽학에 의해 무너지자, 전라도는 물론 경상도에서도 진압군을 동원하려고 한 적이 있었다. 참고로 그 중의 한 명이 바로 의병장 김덕령이었다.
3. 영향
이 사건으로 선조의 의심병으로 인해 의병장들이 숙청당했다는 인식이 있으며 그 주장으로 아래와 같은 근거가 나온다.- 송유진의 난 때는 의병장 이산겸이 반란군과 무관함을 뻔히 알면서도 그대로 때려 죽이더니 이몽학의 난 때는 이몽학이 반란군을 결성 당시 했던 " 김덕령을 비롯한 몇몇 의병들, 도원수와 수사들이 나와 함께 한다"는 거짓말을 빌미로 김덕령을 모진 고문 끝에 죽게 만들었다.
- 또한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이순신을 경계하면서 동시에 원균을 추켜세우기 시작한다. 그 똑똑한 머리로 두 사람의 차이를 정말 몰랐을 리는 없고 순전히 무장들에 대한 견제와 의심 때문이었다. 그리고 끝내 이순신의 파직, 이어서 칠천량 해전, 그리고 선조의 무슨 말을 하리오, 무슨 말을 하리오... 사실 이몽학의 난 이전까지만 해도 선조는 상대적으로 이순신의 후원자에 가까웠다. 호남에서 이때는 애시당초 북방에서 이일의 장계를 받고도 백의종군으로 처벌을 낮췄고, 평소대로라면 수군절도사로 진급할 수 없는 낮은 계급이었던 이순신을 고집을 피우면서까지 전라좌수사로 임명한게 선조였다(이원익, 유성룡의 천거한 이순신을 전라좌수사로 임용한 중요한 이유다. 사실 선조는 이순신은 전혀 알지도 못했고 관심도 없었다가 해전에서 승전보를 올리면서 알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세간의 인식과 달리 선조와 조정은 김덕령을 제외한 곽재우, 홍계남, 최담령, 최강 등 다른 의병장들은 불문에 부쳐 풀어줬다. 김덕령이 죽음을 당한 건 그가 그 이전에 벌어진 송유진의 난 때도 이름이 언급된 데다 공적은 없는데 사사로운 살인 문제로 탄핵을 받던 상황[2]에서 이몽학의 난 때 또 다시 이름, 그것도 여러 명을 따로 추국할때 공통적으로 거론되어 도저히 빠져나올 길이 없었기 때문이다. 당파를 가리지 않고 조정 중신들 거의 대부분이 김덕령을 구명하지 않았던 것도 선조의 의심병과는 상관없이 이미 혐의가 짙어 결정되었음을 방증한다.[3] 이는 송유진의 난 때 처형당한 이산겸도 마찬가지인데, 이산겸은 군대를 일으키고도 싸움을 거의 벌이지 않아 류성룡을 비롯한 조정 중신들도 이산겸이 다른 꿍꿍이가 있는 것 아니냐고 강하게 의심하던 상황이어서 죽을 수밖에 없었다.
- 김덕령이 억울하게 희생당했다는 세간의 인식도 <선조수정실록>에서 <선조실록>보다 김덕령에 대한 호의적인 모습을 보인다는 점까지 고려하여 후대의 역사학자들은 인조반정 이후 집권당이 된 서인 내부에 김덕령에 대한 지속적인 동정 여론과 숭상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며 <재조번방지>나 <김충장공유사>의 기록은 이러한 서인의 김덕령 숭상이 빚어낸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 일직 손씨와 동계인 순(荀)씨의 일부가 이 반란에 가담했다가 일족의 거의 전체가 역적으로 몰려 참살당하거나 이를 피하기 위해 개성을 하면서 순씨는 극히 희귀한 성씨로 전락하게 된다.
4. 대중매체
- 이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작품은 만화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과 이를 원작으로 한 이준익 감독의 영화가 있다. 영화판 오리지널에선 정여립의 난과도 연계하며 본래 역사와 다르게 더 기괴하고 극적인 최후를 맞는데, 도성까지 반란군을 이끌고 올라가나, 임금이란 작자는 자기를 막던 선비들까지 베어죽이며 도성을 버리고 도망가고, 막상 도착해보니 쓰레기만 널린 버려진 도성 뿐인 상황에서, 일본군이 도성까지 치달아와서 도리어 반란군이 도성을 지키기 위해 왜구와 싸운다라는 기괴한 상황이 벌여져 왜구를 막다가 전멸하고, 이몽학 자신은 반란을 막기 위해 자신이 베어죽인 장님 검객의 제자와 빈 도성에서 싸우다 베여 죽는 것으로 끝난다.
- 불멸의 이순신에선 직접적으로 등장하지 않았으며 87화에 류성룡과 이순신의 대화를 통해서만 간략하게 나왔다. 사건 자체는 이순신과 관련이 없지만, 간접적인 인연이 있긴 하다. 이 난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운 홍가신은 이순신의 오랜 친구이자 사돈 지간이기 때문. 이순신의 딸과 홍가신의 아들 홍비가 혼인했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330d0d 0%, #a52a2a 10%, #a52a2a 90%, #330d0d)" {{{#!wiki style="margin: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52a2a><tablebgcolor=#a52a2a> |
이순신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a52a2a><colcolor=#fff> 소속 | <colbgcolor=#fff,#1c1d1f> 삼도수군통제사 · 선무공신 | |
가족 |
아내
방수진 장남 이회, 차남 이예, 삼남 이면 맏형 이희신의 아들 이완 · 딸의 시아버지 홍가신 먼 친척 형 이광 · 19촌 이이 후손 ( 이봉상 · 그 외 후손) |
||
관련 인물 |
친구
류성룡 · 류성룡의 제자
허균 육군 동료 ( 이일 · 신립 · 권율 · 이경록) 수군 동료, 부하 ( 이억기 · 권준 · 김돌손 · 김완 · 김억추 · 나대용 · 무의공 이순신 · 배흥립 · 안위 · 오계적 · 이영남 · 이운룡 · 정운 · 준사 · 최호 · 송희립 · 우치적 · 어영담 · 황세득 · 송여종 · 김인영 · 신호 · 원균 · 배설 · 이언량 · 류형 · 진무성) 주군 ( 선조 · 선조비 의인왕후 · 분조 광해군) |
||
생애 | 생애 · 전투 관련 · 여담 | ||
관련 장소 |
이순신이 태어난 곳
한양 건천동 · 이순신 일가의 생가
아산 이순신의 묘소 장군묘 · 이순신의 사당 현충사 명량해전이 벌어진 곳 명량수도 · 노량해전이 벌어진 곳 남해 관음포 |
||
관련 사건 |
탄신일 ·
니탕개의 난 ·
녹둔도 전투
시전부락 전투 ·
이몽학의 난 ·
백의종군 임진왜란, 정유재란 해전 ( 옥포 해전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 · 사천 해전 · 당포 해전 · 당항포 해전 · 율포 해전 · 한산도 대첩 · 안골포 해전 · 장림포 해전 · 절영도 해전 · 초량목 해전 · 부산포 해전 · 웅포 해전 · 장문포 해전 · 명량 해전 · 절이도 해전 · 왜교성 전투 · 노량 해전) |
||
관련 물건 | 쌍룡검 · 백원 주화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 ||
작품 | 장계별책 · 난중일기 · 이충무공전서 | ||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
용모 · 창작물 | ||
평가 | 관련 기록 · 평가 · 의문점 | ||
창작물 | 성웅 이순신(1962) · 성웅 이순신(1971) · 난중일기(영화) · 칼의 노래 · 천군(영화) · 명량 · 한산: 용의 출현 · 노량: 죽음의 바다 · 칼의 노래(뮤지컬) | ||
}}}}}}}}} |
[1]
《선조수정실록》 30권, 선조 29년 7월 1일 병인 1번째기사 1596년 명 만력(萬曆) 24년
[2]
1596년 2월 19일 선조를 만난 권율은 김덕령에 대해 "김덕령이 용력은 뛰어나지만 지나치게 군율을 엄격히 적용해서 곤장을 치거나 귀를 잘랐기 때문에 사람들이 도망쳤다"고 언급했다. 조경남의 <난중잡록>에서도 함부로 사람을 죽이고 다녔다며 비판한다. 1596년 1월에는 2건의 옥사를 일으켜 3명을 함부로 죽인
살인죄로
사헌부로부터 탄핵을 받았다. 첩보 전달을 지체했다는 이유로 역졸 1명을 매를 쳐서 죽였고 탈영병을 잡아들이기 위해 탈영병의 아버지를 잡아들였다. 이 사람은 제찰사
윤근수의 노복이었기에 마침 남방에 내려와있던 윤근수는 김덕령을 직접 만나 석방을 요청했다. 김덕령은 이를 승낙했으나 윤근수가 돌아가자 즉시 매를 쳐서 그를 죽였다. 이로 인해 사태가 커져 김덕령은 체포되고 대간은 김덕령을 추국할 것을 청했는데 도망병 본인도 아니고 도망병 아버지를 화풀이에 가깝게 죽인 것이니 좋게 볼 수 없다.
[3]
뒷날 신구차를 올려 이순신을 보호한 남인 관료
정탁만이 김덕령이 옥사한 후에 상소를 올려 의문을 표하고 김덕령은 단지 명성이 높아 오르내림이 심했을 뿐이라고 말했을 뿐 심문이 이뤄질 당시에 구명을 시도한 신료는 아무도 없었다. 서인계 의병장임에도 서인 중신 윤두수는 즉각 압송해 심문해야 한다고 주장했지 그를 변호해 주지 않았기에 당쟁과 관련있는 사안도 아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