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8 00:01:59

난중일기(영화)

역대 파일:daejongfilmawards_logo.png
파일:daejongawards.png
최우수작품상
제15회
( 1976년)
제16회
( 1977년)
제17회
( 1978년)
어머니 난중일기 경찰관
역대 이순신 관련 영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52a2a><colcolor=#fff> 영화 성웅 이순신
(1962)
성웅 이순신
(1971)
난중일기
(1977)
천군
(2005)
김한민 3부작
명량
(2014)
한산: 용의 출현
(2022)
노량: 죽음의 바다
(2023)
애니메이션 성웅 이순신과 그 아들 면
(1981)
난중일기
(1997)
}}}}}}}}} ||
난중일기 (1978)
亂中日記 | War Diary of Adm. Soon Shin Lee
파일:난중일기 포스터.jpg
다른 포스터 ▼
파일:난중일기 포스터 2.jpg
<colbgcolor=#5eaac7><colcolor=#972412> 감독 장일호
원작 이재현
각본 나한봉
기획 송영식
제작 한갑진
주연 김진규
촬영 서정민
조명 손영철
편집 이경자
음악 정민섭
미술 조경환
제작사 한진흥업
개봉일 1978년 1월 21일
개봉관 국제극장
관람인원 35,277명
1. 개요2. 등장인물3. 줄거리4. 수상

[clearfix]

1. 개요

충무공 이순신의 일대기를 그린 장일호 감독의 1978년 개봉 영화.

당시 제작비 1억 7천만원이 들어갔고 연인원 10만명에 달하는 출연 인원[1], 1년 6개월에 걸친 촬영 기간 등 한국 영화사상 유례 없는 대작이었다. 극중 거북선 진수식에는 1,300여명의 엑스트라가 출연하기도 했으며 트럭 2대를 동원해 여천을 비롯 전국의 유적지를 촬영지로 누비고 다녔고, 군사·역사 전문가의 고증을 바탕으로 실물 크기의 거북선 1척 제작에 7백여만원, 크고 작은 군함 수 백척 제작에 1,500여만원이 투입됐다. 영화진흥공사 해군본부가 후원하고 3,000여명의 갑옷을 전부 제작했다. 의정부 세트장에 거대한 풀을 만들어 일본 기술자를 초청해 미니어처로 해전을 촬영했다.

대종상에서 최우수작품상과 남우주연상 등 4개 부문을 수상했다. 김진규는 본인이 직접 제작 및 주연한 《 성웅 이순신》(1971)을 완성하느라 집도 팔고 부인과도 헤어지면서 20년간 영화 출연으로 모은 전재산 1억4천만원을 쏟아부었으나 흥행은 만족스럽지 못했다. 이때 한진흥업의 대표인 제작자 한갑진이 재기의 길을 열어줘 다시 이순신 역에 도전했으나 이 작품의 흥행 성적은 더 좋지 않았고 투자도 겸한 김진규는 경제적 곤란을 겪어야 했다. 이 두 시리즈의 실패로 《 명량》이 나오기 전까지 한국 영화에서 이순신을 다루는 것은 금기가 되었다는 뒷얘기도 있다.[2]

2. 등장인물

3. 줄거리

전라좌수사 이순신( 김진규)은 왜침을 대비해서 거북선 제작에 열중하는데, 임진년 4월 13일 부산진, 동래, 양산, 울진이 함락되자 출전하여 목포대전과 한산대전에서 승리를 거둔다. 임진년 다음해 공의 나이 49세가 되던 해 삼도 수군통제사가 되어 진을 한산도로 옮기고 군비 확장에 혼신의 힘을 기울이나 당쟁 원균의 모략으로 투옥된다. 정유년 7월 5일 왜적이 재침하자 백의종군으로 석방된 공은 동 9월 12척의 전선을 이끌고 대승리를 거두며, 임진란을 일으킨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죽자 공은 노량 해전에서 최후의 일전을 벌인다.

4. 수상

  • 1977년 제16회 대종상 최우수작품상 · 남우주연상( 김진규) · 미술상(조경환) · 녹음상(김성찬)


[1] 포스터에는 제작비 2억, 인원 20만명이라고 홍보했지만 당시 언론 보도랑 비교하면 과장된 수치인 듯하다. [2] 흥행 성적을 보면 《성웅 이순신》(1971)이 147,654명이고, 《난중일기》(1978)은 35,277명이다. 다만 대종상에서 작품상을 받으면 이익이 보장되는 외화수입 쿼터를 받을 수 있다. [3] 나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