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1-16 01:56:35

정암진 전투

임진왜란 정유재란 전투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임진왜란
음력
4월
부산진 전투[日] · 다대포진성 전투[日] · 동래성 전투[日] · 김해성 전투[日] · 경상도 방어선 · 상주 전투[日] · 충주 탄금대 전투[日] · 여주 전투[朝]
5월
한강 전투[日] · 기강 전투[朝] · 제1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 · 옥포 해전[朝]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朝] · 해유령 전투[朝] · 임진강 전투[日] · 정암진 전투[朝] · 사천 해전[朝]
6월
당포 해전[朝] · 제1차 당항포 해전[朝] · 용인 전투[日] · 무계 전투[朝] · 율포 해전[朝] · 여주 전투[朝] · 제1차 평양성 전투[日]
7월
웅치 전투[日] · 안덕원 전투[朝] · 전주성 전투[朝] · 이치 전투[朝] · 한산도 대첩[朝] · 제1차 금산 전투[日] · 안골포 해전[朝] · 우척현 전투[朝] · 제2차 평양성 전투[日] · 삭녕 전투[日] · 해정창 전투[日] · 영천성 전투[朝] · 지례 전투[朝]
8월
제3차 평양성 전투[日] · 청주 전투[朝] · 제1차 경주 전투[日] · 제2차 금산 전투[日] · 영원산성 전투[日] · 장림포 해전[朝]
9월
부산포 해전[朝] · 연안성 전투[朝] · 제2차 경주 전투[朝] · 북관대첩[朝] · 노현 전투[日] · 창원성 전투[日]
10월
제1차 진주성 전투[朝]
12월
길주성 전투[朝] · 독성산성 전투[朝]
1593년
1월
제4차 평양성 전투[朝][明] · 수원 전투[朝] · 성주성 전투[朝] · 벽제관 전투[日]
2월
웅포 해전[朝] · 죽주 전투/상주 전투[朝] · 행주대첩[朝] · 노원평 전투[朝]
강화협상 · 휴전기 제2차 진주성 전투[日] · 송유진의 난 · 제2차 당항포 해전[朝] · 장문포 해전[朝] · 이몽학의 난 · 기문포 해전[朝]
정유재란 1597년
7월
칠천량 해전[日]
8월
고령 전투[朝] · 남원 전투[日] · 황석산성 전투[日] · 어란포 해전[朝]
9월
벽파진 해전[朝] · 직산 전투[明] · 명량 해전[朝] · 석주관 전투[日]
12월
사로병진책 · 제2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明] · 울산성 전투[日]
1598년
7월
절이도 해전[朝][明]
9월
사천성 전투[日] · 제2차 울산성 전투[日] · 왜교성 전투[日]
11월
노량 해전[朝][明] · 남해왜성 소탕전[朝][明]
각주: [朝]: 조선군의 승리 / [日]: 일본군의 승리 / [明]: 명나라군의 승리
}}}}}}}}} ||

파일:조선군 좌독기_White.svg 임진왜란 조선 육군의 주요 승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0ad7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D1D1D,#e2e2e2
전투 해유령 전투
(1592. 5. 16.)
정암진 전투
(1592. 5. 24.)
이치 전투
(1592. 7. 8.)
우척현 전투
(1592. 7. 10.)
주장 신각 곽재우* 권율 김면*
전투 청주 전투
(1592. 8. 1.)
북관 대첩
(1592. 9. 16. ~ )
진주 대첩
(1592. 10. 6.)
행주 대첩
(1593. 2. 12.)
주장 영규* 정문부* 김시민 권율
* 의병장 }}}}}}}}}}}}}}}
파일:곽재우의 정암진 전투 전쟁기념관, 한국문화정보원(공공누리).jpg
정암진 전투 기록화
정암진 전투
鼎巖津戰鬪
시기 1592년 7월 3일 (음력 5월 24일)
장소
조선 경상도 의령 남강 정암진
원인 일본군 6군의 전라도 진공(進攻).
교전국 조선 파일:조선 어기.svg 일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20px-Goshichi_no_kiri_inverted.svg.png
지휘관 곽재우 안코쿠지 에케이
참전 장수 윤탁
박사제
오운
이운장†
배맹신
심대승
정연
권란
정질
노순
강언룡
허언심
허자대
심기일
안기종
조사남
주몽룡
병력 의병 50여 명 선봉 2, 000여 명
피해 피해 규모 불명 피해 규모 불명
결과 곽재우 의병의 승리, 6군 선봉대 패주.
영향 일본군 6군의 전라도 진공 포기.

1. 개요2. 전투 전야3. 전투4. 결과 및 영향5. 여담

[clearfix]

1. 개요

곽재우가 일으킨 의병 50여 명이 일본군 6군의 선봉대를 정암진에서 매복해있다가 기습하여 일본군 6군의 전라도 진출을 저지한 전투이다.

2. 전투 전야

임진왜란 발발 이후 조선은 일본군에게 당시 주요 곡창지대인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일명 하삼도) 중 전라도를 제외한 지역을 모두 빼앗긴 상황이었다. 그리하여 전라도 조선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했던 곳이었고 이에 일본군은 전라도를 점령키 위하여 6군을 의령으로 이동시킨다. 그러자 앞서 의령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킨 곽재우는 6군을 공격하기 위해 남강 정암진 부근의 갈대밭에 의병 50여 명을 매복시켰다.

3. 전투

음력 5월 24일 왜장 안코쿠지 에케이(安國寺 惠瓊)[1]는 2000여 명의 선봉대를 정암진 인근으로 보내어 도하 지점을 골라 푯말을 세워두게 하였다. 그러나 이날 밤 곽재우의 의병들은 일본군이 세워놓은 푯말의 위치를 늪지대로 옮겨 세워두도록 하였고 이를 몰랐던 안코쿠지의 주력군은 푯말을 따라 진격하였으나 결국 늪지대에 빠지게 되어 미리 매복하던 곽재우의 의병에게[2] 일제히 기습을 받아 크게 패배하고 말았다.

4. 결과 및 영향

결과는 그야말로 대승. 곽재우군은 불과 50여 명에 불과한 의병으로 2000명이 넘는 일본군 선봉을 패주시켰으며, 일본군 6군은 전라도 진출을 포기하였다. 이 전투 이후 곽재우 의병은 불과 50여 명에서 오운과 박사제의 병력 등이 합세하여 3000명이 넘는 군세를 갖추게 되었다.

5. 여담

현재 정암진에는 의령군에서 조성한 의령관문공원이 있다. 의령대로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정암진의 암벽 중간을 파괴하고 그 자리에 의령관문을 지었던 것에서 더 나아간 것이다. 더불어 남강을 가로지르는 의령대로 다리 아래로는 지금까지도 이 구간의 얕은 수심을 나타내는 하중 사구를 볼 수 있으며, 공원 옆으로는 지명의 유래가 된 정암(鼎巖)이라는 이름의 바위가 강변에 남아 있다.

그러나 문제는 이로 인해 정암진의 천연 장벽 역할을 했던 암벽이 모조리 파괴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비단 관문공원만이 아니라 남강로 건설을 위한 불가결한 선택이었을 터이며, 역사 기록에 따르면 실제 전투가 있었던 곳은 이 암벽이 아니라 암벽 건너편의 갈대밭이므로 정암진에 얽힌 전사(戰史)와 암벽의 보존 여부 사이의 관계성은 거의 없다는 결론이 내려진 것일 수 있다.

정암진 전투를 지휘한 곽재우의 첩장인 이로는 임진왜란 직전 친구 류성룡에게 보낸 서신에서 조정의 전쟁준비를 비판하며 "삼가 고을은 정암진이 앞을 막고 있으니 왜적이 날아서 건너겠는가."라고 자신한 바 있었다. 이 문구는 당시 전쟁을 앞두고 조선 유림들의 안일한 인식을 까는 용도로 자주 인용되는데, 아이러니하게도 그의 사위에 의해 정말로 왜적은 정암진을 넘지 못했고, 전라도 진출의 통로인 남강 연안을 확보하는데도 실패했다.[3]

[1] 안국사라는 절의 혜경이라는 법명의 중이다. 즉 안국사 주지스님인데 일본 전국시대에 큰 절의 주지는 거의 다이묘나 마찬가지였던 위치였다. 나중에 에케이는 도요토미 사후 이시다 미쓰나리의 편을 들었다가 세키가하라 전투 패전 후 참수당한다. [2] 이 때 곽재우는 자신이 입던 홍의가 눈에 잘 띈다는 점을 이용해 자신이 뽑은 10명의 사람들에게 똑같은 옷을 입혀서 일본군을 혼란에 빠트리게 했다고 한다. [3] 사실 조정조차도 왜군의 규모를 잘해야 1~2만 정도로 생각하고 있었으니, 지역민이 보기에 그 정도 군세로 수군과 해안가 방어선을 모조리 뚫고 남강까지 건너온다는 시나리오를 납득하기도 어렵고 그 남강을 건너서도 50리가 떨어져 있는 삼가 지역에서 유생까지 끌어다가 축성한다고 난리치는 걸 이해하기 힘들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