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7 18:29:35

아제르바이잔인

아제리인에서 넘어옴
아제르바이잔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튀르크 깃발.svg
튀르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민족
<colbgcolor=#f3feff,#649298> 보편 튀르크 <colbgcolor=#f3feff,#649298> 시베리아 돌간인 | 쇼르인 | 알타이인 | 사하인 | 유고족 | 차탕족 | 소요트 | 출름 | 토파 | 투바인 | 하카스인
킵차크 노가이인 | 바시키르인 | 발카르인 | 우룸인 | 카라임 | 카라차이인 | 카라칼파크인 | 카자흐 | 쿠만 † | 쿠미크인 | 키르기스 | 타타르 ( 립카 타타르 | 크림 타타르)
카를루크 우즈베크 | 위구르
오구즈 가가우즈인 | 살라르족 | 시리아·이라크 튀르크멘 | 아제르바이잔인 | 카슈카이족 | 튀르키예인 | 투르크멘 | 페체네그 † | 호라산 튀르크
아르구 할라지인
오구르 불가르 † | 아바르 † | 추바시인 | 하자르
국가 및 지역
독립국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미승인)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자치 지역 파일:가가우지아 기.svg 가가우지아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나흐츠반 | 파일: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국기.svg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 파일:사하 공화국 국기.svg 사하 공화국 | 파일:중국 국기.svg 신장 위구르 자치구 | 파일:중국 국기.svg 키질수 키르기스 자치주 | 파일:중국 국기.svg 일리 카자흐 자치주 | 파일:알타이 공화국 국기.svg 알타이 공화국 | 파일:2000px-Flag_of_Chuvashia.svg.png 추바시야 공화국 | 파일: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국기.svg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 파일:카라칼팍스탄 국기.svg 카라칼팍스탄 | 파일: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국기.svg 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 파일:타타르스탄 공화국 국기.svg 타타르스탄 공화국 | 파일:투바 공화국 국기.svg 투바 공화국 | 파일:하카시야 공화국 국기.svg 하카시야 공화국
다수 거주지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령 아제르바이잔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Flag_of_the_Bayan-%C3%96lgii.png 바잉울기
사회문화
언어 튀르크어족
신화 쾨로을루 신화 | 텡그리 신앙
외교 및 사상 범튀르크주의 (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 범투란주의 |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동튀르키스탄 독립운동 | 파일:남아제르바이잔 기.svg 남아제르바이잔 분리독립 }}}}}}}}}

{{{#!wiki style="color: #FFF;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러시아인 타타르
크림 타타르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바시키르인 추바시인
체첸인
인구시인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 아바르인 모르드바인 카자흐
아제르바이잔계 러시아인 다르긴인 우드무르트인 마리인 오세트인
벨라루스계 러시아인 체르케스인
카바르다인
쿠미크인 야쿠트인 레즈긴인
벱스인 독일계 러시아인 우즈벡 투바인 코미인
카라차이인
발카르인
로마니 타지키스탄계 러시아인 부랴트인
칼미크인
, 몽골계 러시아인,
라크인
조지아계 러시아인 아슈케나짐 몰도바인
, 루마니아계 러시아인,
한국계 러시아인
, 고려인,
, 사할린 한인,
타바사란인
튀르키예계 러시아인
, 메스케티 튀르크,
노가이인 키르기스 코미인 알타이인
흑해 그리스인
, 그리스계 러시아인,
하카스인 스페인계 러시아인
, 바스크계 러시아인,
폴란드계 러시아인 사모예드족
쿠르드계 러시아인
, 야지디,
에벤키, 에벤족 투르크멘 사미족 루툴인
아굴인 리투아니아계 러시아인 한티인
만시인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우데게족
카렐인
잉그리아 핀인
, 핀란드계 러시아인,
라트비아계 러시아인 세투인
, 에스토니아계 러시아인,
축치인 베사라비아 불가리아인
불가리아계 러시아인
가가우즈인 쇼르인 케레크 압하스인 나나이족
아시리아인 아랍계 러시아인 나가이바크 돌간인 러시아 흑인
아프가니스탄계 러시아인 니브흐 우디인 인도계 러시아인 샵수그인
위구르인 케트인 재러 베트남인 이텔멘족 쿠만딘인
헝가리계 러시아인 울치족 텔레우트인 타트인
탈리시인,
, 이란계 러시아인
체코계 러시아인
유카기르 부하라 유대인
산악 유대인
카라임
슬로바키아인 카라칼파크인 차후르인
프랑스계 러시아인 소요트 일본계 러시아인 이탈리아계 러시아인 덴마크계 러시아인
오스트리아계 러시아인 영국계 러시아인 스웨덴계 러시아인 아일랜드계 러시아인 노르웨이계 러시아인
네덜란드계 러시아인 스위스계 러시아인 크로아티아계 러시아인 미국계 러시아인 세르비아계 러시아인
}}}}}}}}} ||

파일:Caucasus.png 캅카스의 민족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조지아인 아르메니아인 아제르바이잔인 오세트인 체첸인
체르케스인
카바르다인
쿠미크인 발카르인 아바르인 레즈긴인
다르긴인 카라차이인 산악 유대인 인구시인 탈리시인
압하스인 루툴인 라크인 타바사란인 아굴인
차후르인 타트인 노가이인 캅카스 독일인 우비흐인
라즈인 아자르인 우디인 체즈인 히날루그인
바츠인 안디인 부두흐인 크리츠인 아르치인
제크인 훈지브인 히누흐인 베즈타인 흐와르시인
메그렐인 스반인 인길로이인 투르크멘인 흑해 그리스인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카자크 아바자인 샵수그인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b5e2 15%,#EF3340 15%,#EF3340 85%,#509E2F 85%)"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EF3340>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알바니아 왕국 · 서돌궐 · 하자르 · 오구즈 · 셀주크 제국 · 흑양 왕조 · 백양 왕조 · 사파비 제국 · 아프샤르 왕조 · 카자르 왕조 · 자캅카스 민주 연방 공화국 ·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 · 소련(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아르차흐 공화국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아제르바이잔/행정구역
외교 외교 전반 · 튀르키예-아제르바이잔 관계 ·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 독립국가연합 · 아제르바이잔 여권
경제 경제 전반 · 아제르바이잔 마나트
국방 아제르바이잔군
문화 문화 전반 · 노루즈 · 요리 · 라바시 · 바클라바 · 플롭 · 공휴일/아제르바이잔 · 사모바르 · 아제르바이잔/관광 · 아제르바이잔 축구 국가대표팀 ·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 리그 ·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 · 아제르바이잔어 · 카만체
인물 니자미 간자비 · 매햄매드 애민 래술자대 · 하즈 한맴매도프 · 헤이다르 알리예프 · 일함 알리예프
지리 나흐츠반 · 카스피해 · 나고르노카라바흐 · 캅카스 산맥 · 아라스강 · 쿠라강
사회 아제르바이잔 마피아
민족 아제르바이잔인( 러시아계) · 타트인 · 산악 유대인 · 아제르바이잔계 러시아인 · 아제르바이잔계 이란인 · 아제르바이잔계 튀르키예인 · 아제르바이잔계 중앙아시아인
}}}}}}}}} ||
파일:07000F03-22EA-42F5-ACEF-FF111390641D.jpg 파일:4F666F2D-4EFE-42F8-AA66-084BF7DC4926.jpg
한국에 체류 중인 아제르바이잔인 유학생들[1] 전통의상을 입은 아제르바이잔인
1. 개요2. 특징3. 문화4. 세속주의5. 언어6. 기원7. 해외 분포
7.1. 주요 디아스포라
8. 창작물에서

1. 개요

【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cdcdc,#1f2023> 아제르바이잔어 Azərbaycanlılar /آذربایجانلیلار / Азәрбајҹанлылар[2]
튀르키예어 Azeriler[3]
페르시아어 مردم آذری (Mardom-e Âzari)[4]
러시아어 Азербайджа́нцы (Azerbajdžáncy)[5]
아르메니아어 Ադրբեջանցիներ (Adrbeǰancʿiner)[6]
조지아어 აზერბაიჯანელები (Azerbaiǯanelebi)[7]
영어 Azerbaijanis[8] }}}}}}}}}
아제르바이잔인은 카스피해 서부 연안인 아제르바이잔 이란령 아제르바이잔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이다. 약칭인 '아제리인'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해당 표현을 많이 사용하기도 하지만 아제르바이잔인과 이야기할 때는 아제리인이라고 지칭하지 않는 것이 좋다. 아제르바이잔인 가운데 특히 민족주의 성향의 아제르바이잔인들은 아제리인이라는 표현을 마치 고대 페르시아계 조로아스터교도들과 같은 격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언짢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민족주의 성향의 아제르바이잔인들은 자신들을 아제르바이잔 튀르크인(Azərbaycan türkü)이라고 지칭한다. 튀르키예 혈맹 관계로 우호적인 아제르바이잔인들도 튀르키예인들이 자신들을 아제리인이라고 부르면 정색하며 정정하려고 한다.

2. 특징

아제르바이잔 본국보다 이란에서의 인구가 훨씬 많다. 또한 이란의 역사에도 큰 영향을 끼쳤는데 사파비 왕조 카자르 왕조가 바로 아제르바이잔인( 이스마일 1세, 아가 모하마드 칸)이 세운 왕조이며 알리 하메네이도 아제르바이잔인일 정도다. 러시아에도 거주하는데 다게스탄 등 아제르바이잔과 접한 지역에 주로 많이 거주하며 튀르키예, 조지아에도 거주한다. 소련 시기에는 아제르바이잔인 일부가 각각 러시아 서부 지방( 유럽 러시아), 중앙아시아, 시베리아 및 서시베리아 지역, 러시아 극동 지방으로도 강제이주당하기도 했다. 아르메니아에도 아제르바이잔인들이 거주하고 있었지만 1990년대 나고르노카라바흐 영토 분쟁으로 인해 추방되거나 거의 도망쳐서 아제르바이잔에 거주하며 아르메니아의 아제르바이잔인들은 소수인 데다 아르메니아인에 동화되어 아르메니아인이 되었다.

튀르키예인과 많이 비슷한데 언어도 대부분 알아들을 수 있다고 한다.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 모두 오구즈어파에 속하기 때문이다. 물론 대다수는 알아들을 수 있지만 어감의 차이 때문에 오해하는 경우도 많다. 이란 남서부에 거주하는 카슈카이족과도 연관이 있는데 이들의 언어인 카슈카이어는 아제르바이잔어에서 갈라진 것으로 보기도 하지만 아제르바이잔어가 서오구즈어파에 속하는데 비해 카슈카이어는 남오구즈어파에 속한다는 차이점도 보인다. 다만 아제르바이잔에서는 언급하였듯이 카슈카이족들이 아제르바이잔에서 갈라졌기 때문인지 아제르바이잔인들은 카슈카이어를 아제르바이잔어의 한 방언으로 여긴다.

아프가니스탄 북부와 이란 북동부(호라산), 이란 남동부(키르만)에도 아제르바이잔인에서 갈라진 튀르크계 제족 중 하나인 아프샤르족들의 아프샤르어도 카슈카이족처럼 아제르바이잔과 연관 있고 아제르바이잔에서는 아프샤르족도 아제르바이잔인으로 본다.[9] 이들은 나디르 샤 아프샤르 왕조를 세우기도 했다. 다만 카슈카이족과 아프샤르족, 아이날루족은 아제르바이잔인에서 갈라진 민족이되 아제르바이잔인들과 동족이라 보긴 어렵다. 그 외 아프가니스탄에는 아제르바이잔인의 지류인 아프간 키질바시들도 있다.

3. 문화

종교는 대부분 시아파 중에서도 12이맘파 이슬람을 믿으며 수니파는 소수다.[10] 아제르바이잔 영내의 무슬림들은 소련 시절의 영향으로 문화적으로만 무슬림이고 일상생활에서는 세속적인 성향이 강하다. 오랜 기간 동안 페르시아의 한 영역이었던 만큼 페르시아어 문학과 함께 민족의 기원이 되는 오구즈족의 민족설화가 공존하고 있다. 근현대에는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기도 해서 러시아인의 인명체계('이름-부칭-성')와 러시아어 차용어휘를 사용하고 있다. 여러 북캅카스 제민족들의 의복 문화가 유입되기도 했다.

탈리시인, 아바르인과 문화가 흡사하며 레즈긴인으로부터 레즈긴카 무용과 융단 직조 문화를 흡수하였다.

아제르바이잔 요리로는 고기를 볶은 육수로 만든 밥의 일종인 플로브(Plov)가 유명한데[11] 무려 40여개 이상의 플로브가 발달되었다고 하며 그 외 다른 요리들도 많이 발달되어 있다.

4. 세속주의

비교하자면 같은 아제르바이잔 국적 아제르바이잔인들은 구소련권 출신 중앙아시아 수니파 튀르크계 민족들( 우즈베크, 키르기스, 투르크멘 등등)에 비해서 훨씬 더 세속적인 편이다. 이슬람과거 중요한 민족문화의 한 갈래 정도로 생각하지 라마단 기간 때도 대놓고 맥주를 마시는 등[12] 서유럽인들의 개신교에 대한 관점과 그렇게 다르지 않다. 여기에는 튀르키예와 아제르바이잔과의 관계 이란과 아제르바이잔과의 관계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아제르바이잔과 같은 종파를 믿는 이란은 이슬람 근본주의 국가로 독립 후 아제르바이잔인들에게 이슬람 근본주의화의 반면교사가 되고 있다. 다른 한편 아제르바이잔과 형제의 나라인 튀르키예는 주로 수니파로 종파가 다르지만 튀르키예와의 우호적인 국민 감정 등을 이유로 수니파에 대해 증오감을 자제하고 온건한 관점을 견지한다. 튀르키예인들과의 연대 감정 및 이슬람주의 성향 에르도안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당시 도움을 준 이유 등으로 아제르바이잔인들은 이슬람에 대해서 "무신론자 입장에서 무시한다."까지는 아니고 민족 정체성의 한 요소로 생각하는 편이다.

5. 언어

아제르바이잔어를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 소련의 영향으로 아제르바이잔에는 러시아어를 아는 사람들도 있지만 소련 붕괴 후에는 러시아어 화자수가 많이 줄어들었다. 이란 쪽에는 페르시아어를 쓰는 사람들도 많이 있다.

6. 기원

오늘날의 아제르바이잔과 남아제르바이잔에 정착한 오구즈 튀르크 부족들이 사파비야 수피 교단의 영향으로 시아파 이슬람으로 개종하면서 (수니파를 믿는) 서쪽의 튀르키예인, 동쪽의 투르크멘인들과 분화된 것을 직계 기원으로 본다.

근세에는 아제르바이잔인들을 다른 오구즈 튀르크인들과 구분 없이 다 같이 투르코만인으로 기록하는 편이었다. 투르코만은 원래 아랍권, 페르시아권에서 오구즈 튀르크어를 사용하던 여러 민족들을 지칭하던 어휘이다. 이후 아제르바이잔의 오구즈 튀르크인들은 다른 튀르크인들과 다르게 시아파를 믿으면서 다른 오스만 제국 및 중앙아시아에서는 이들을 아제르바이잔인 혹은 키질바시라고 구분해서 부르기 시작했다.[13]

사파비야 수피 교단으로 개종한 아제르바이잔의 튀르크인들은 키질바시라는 기마 전사 집단에 소속되어 사파비 제국의 창건에 기여했는데 이 때문에 근세에는 아제르바이잔인들을 아예 키질바시라고 부를 때도 있었지만 사파비 제국이 과격 성향의 키질바시 수피 교단 대신 좀 더 온건한 12이맘파 자파리파 법학파를 국교화하면서 아제르바이잔인 사회에서도 사파비야 수피 교단이 힘을 잃었고 종파 차이가 사라지면서[14] 이란인들도 이들을 아제르바이잔인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오구즈인들이 이 지역에 대거 정착하기 전에 아제르바이잔 일대에는 탈리시인 타트인, 페르시아인, 쿠르드인 등등 여러 캅카스계, 이란계 민족들이 거주하였으나 13세기 몽골 제국의 침략 당시 주민 상당수가 튀르크계로 교체되었으며 사파비 왕조가 발흥하여 아제르바이잔을 장악한 후 근세, 근현대를 거치며 대다수가 아제르바이잔인으로 서서히 동화되었다. 대표적인 사례로 타트인은 원래 아제르바이잔 일대의 주류 민족이었으나 오늘날 극소수만 남아 있다.[15]

근현대에도 아제르바이잔 내 여러 소수민족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는 대부분 해당 소수민족 상당수가 아제르바이잔어를 사용하며 아제르바이잔인에 동화된 것에 기인한다.

7. 해외 분포

상술한 대로 아제르바이잔과 이란을 중심으로 거주하지만 국경을 마주하고 있는 러시아령 자치공화국인 다게스탄 공화국 등지에도 전통적으로 상당수의 아제르바이잔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이들이 아제르바이잔계 러시아인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아제르바이잔의 이웃나라 튀르키예와 조지아에도 수십만여 명의 아제르바이잔인들이 거주하는데 조지아 수도 트빌리시의 구시가지에는 아제르바이잔인 구역(시아파 무슬림 구역)이 따로 존재할 정도였다. 아르메니아에 거주하던 아제르바이잔인들은 전쟁 와중에 거의 다 추방·학살되어 공식적인 통계로는 잡히지 않는다.

러시아 제국이 오늘날의 아제르바이잔 일대를 접수하고 이를 계승한 소련 시절에는 아제르바이잔인들이 소련 각지로 이주되었는데 카자흐스탄에 8만여 명2009년 기준, 우크라이나에 4만 2천여 명2001년 기준, 벨라루스에 5,500여 명2009년 기준, 라트비아에 1600여 명2001년 기준, 에스토니아에 900여 명2011년 기준 정도가 거주한다고 한다. 우즈베키스탄과 투르크메니스탄에는 각각 4만여 명 정도의 아제르바이잔인들이 거주했으나 소련 붕괴후 상당수가 아제르바이잔으로 다시 이주하였다 한다.

오늘날에는 미국이나 서유럽, 북유럽으로 이주하는 아제르바이잔인들이 증가하는 추세지만 이들 중에는 아제르바이잔 국민보다는 아제리계 이란인이 많다고 한다.

7.1. 주요 디아스포라

8. 창작물에서

신부 이야기 7권의 배경은 카자르 왕조 시기의 페르시아지만 아제르바이잔인들이 나온 건 아니었다. 다만 타브리즈에서 온 알리는 아제르바이잔인일 확률이 높은데 아제르바이잔 지역의 옛 중심지가 타브리즈였기 때문이다.

체코인 작가 밀로시 우르반(Miloš Urban)의 소설 《일곱 성당 이야기(Sedmikostelí)》에서 아제르바이잔인이 등장한다. 살인 사건과 관련이 있는 인물로 서아시아계 외양에 무슬림인 줄 몰랐는데 알고 보니 독실하고 완고한 무슬림이었다는 묘사가 나온다.


[1] 가운데 앉아있는 남자는 비정상회담을 비롯한 방송에도 여러번 나왔던 니하트라는 사람이다. 참고로 니하트 씨는 2022년 한국으로 귀화했다. [2] 'Azərbaycan türkləri / آذربایجان تۆرکلری‎ / Азәрбајҹан түркләри', 'Azərilər / آذریلر / Азәриләр'라고도 한다. [3] 'Azerbaycan Türkleri', 'Azerbaycanlılar'라고도 한다. [4] 그 외에도 'مردم آذربایجانی (Mardom-e Âzarbâyjâni)', 'آذری‌ها (Âzarihâ)'라고 한다. [5] 'А́зеры (Ázery)', 'А́зики (Áziki)'라고 하지만 비하적인 표현에 가깝다. [6] 'Ազերիներ (Azeriner)'라고도 한다. [7] 'აზერები (Azerebi)'라고도 한다, [8] 'Azeris', 'Azerbaijani Turks'라고도 한다. [9] 그래도 아제르바이잔인과는 아제르바이잔에서 갈라진 다른 민족으로 보기도 하는 카슈카이족과는 달리 아프샤르족들은 아제르바이잔인의 일부로 보는 인식도 적지 않다. 카슈카이어를 남오구즈어파로 보는 것과 달리 아프샤르어도 해외에서는 서오구즈어파에 속한 거의 아제르바이잔어의 방언으로도 본다. 다만 아프샤르어도 남오구즈어파에 속하며 아제르바이잔어와는 조금 다르다고 한다. [10] 러시아 연방 북캅카스 연방관구 다게스탄 공화국과 인접한 아제르바이잔 북부의 소수민족인 레즈긴인· 아바르인들이 아제르바이잔 영내의 주요 수니파 무슬림들이다. [11] 가장 유명한 플로브가 샤 플로브이다. [12] 웬만큼 세속적인 무슬림들도 라마단 기간에는 다른 사람들 눈치 때문에 음주를 자제하는 편이다. [13] 튀르크인 대다수가 수니파 그 중에서도 하나피파·마투리디파에 속한다. [14] 사파비 제국의 통치가 안정되면서 이란 내 수니파 대부분이 시아파 12이맘파로 개종하였고 아제르바이잔의 사파비야 수피 신도들도 12이맘파로 옮겨갔다. [15] 아제르바이잔 내 거주하는 유대인 및 일부 아르메니아인들도 타트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과거 아제르바이잔 지역의 주 언어가 타트어였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