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0-05 16:15:14

할라지인

파일:튀르크 깃발.svg
튀르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민족
<colbgcolor=#f3feff,#649298> 보편 튀르크 <colbgcolor=#f3feff,#649298> 시베리아 돌간인 | 쇼르인 | 알타이인 | 사하인 | 유고족 | 차탕족 | 소요트 | 출름 | 토파 | 투바인 | 하카스인
킵차크 노가이인 | 바시키르인 | 발카르인 | 우룸인 | 카라임 | 카라차이인 | 카라칼파크인 | 카자흐 | 쿠만 † | 쿠미크인 | 키르기스 | 타타르 ( 립카 타타르 | 크림 타타르)
카를루크 우즈베크 | 위구르
오구즈 가가우즈인 | 살라르족 | 투르코만 ( 시리아 투르크멘 | 이라크 투르크멘) | 아제르바이잔인 | 카슈카이족 | 튀르키예인 | 투르크멘 | 페체네그 † | 호라산 튀르크
아르구 할라지인
오구르 불가르 † | 아바르 † | 추바시인 | 하자르
국가 및 지역
독립국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미승인)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자치 지역 파일:가가우지아 기.svg 가가우지아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나흐츠반 | 파일: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국기.svg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 파일:사하 공화국 국기.svg 사하 공화국 | 파일:중국 국기.svg 신장 위구르 자치구 | 파일:중국 국기.svg 키질수 키르기스 자치주 | 파일:중국 국기.svg 일리 카자흐 자치주 | 파일:알타이 공화국 국기.svg 알타이 공화국 | 파일:2000px-Flag_of_Chuvashia.svg.png 추바시야 공화국 | 파일: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국기.svg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 파일:카라칼팍스탄 국기.svg 카라칼팍스탄 | 파일: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국기.svg 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 파일:타타르스탄 공화국 국기.svg 타타르스탄 공화국 | 파일:투바 공화국 국기.svg 투바 공화국 | 파일:하카시야 공화국 국기.svg 하카시야 공화국
다수 거주지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령 아제르바이잔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Flag_of_the_Bayan-%C3%96lgii.png 바잉울기
사회문화
언어 튀르크어족
신화 쾨로을루 신화 | 텡그리 신앙
외교 및 사상 범튀르크주의 (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 범투란주의 |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동튀르키스탄 독립운동 | 파일:남아제르바이잔 기.svg 남아제르바이잔 분리독립 }}}}}}}}}

1. 개요2. 역사3. 분포4. 언어5. 참고문헌

1. 개요

【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ccccc,#1f2023> 페르시아어 خلج‌ها (Xalajhâ), ترک‌های خلج (Torkhâ-ye Xalaj)
파슈토어 خلجیان (Xalajyān)
아제르바이잔어 Xələclər / خلجلر
튀르키예어 Halaçlar
독일어 Chaladschen
영어 Khalaj people }}}}}}}}}
할라지인은 이란 중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이다.

2. 역사

이들의 기원은 정확하지 않다. 다만 할라지어에 대해 깊이 연구한 독일의 튀르크학자 게르하르트 되르퍼(Gerhard Doerfer, 1920년 3월 8일 ~ 2003년 12월 27일)는 이들을 인접한 오구즈인의 후손과는 구분되는 아르구 부족의 후손으로 간주했다. 아르구(ارغو, Arghu) 부족은 13세기 몽골의 침공 이후에 이란으로 이주한 튀르크인이며 마흐무드 알카슈가리가 쓴 《튀르크어 방언 개요서(ديوان لغات الترك‎, Dīwān Lughāt al-Turk)》의 기록에 등장한다.

3. 분포

현존하는 할라지인의 규모는 그리 크지 않은데 이는 유목민족의 특성상 통혼이 잦아 이민족에 쉽게 동화됐기 때문이다. 본래 할라지인은 중앙아시아에서 거주했으나 아프가니스탄 지방으로 남하했다. 이후 이란 중부와 인도 북부 지역으로 이주한 것으로 간주한다.

아프가니스탄으로 이주한 할라지인인 걸지(غلجي‎, Ghilji) 혹은 걸자이(غلزی, Ghilzay) 부족은 오늘날 파슈툰인을 구성하는 부족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다. 이들은 파슈툰인에 동화된 할라지인의 후손으로 추정되며 호타키 왕조를 창건한 부족이기도 하다. 인도로 이주한 할라지인은 델리 술탄국의 전성기를 연 할지 왕조를 창건해 대대적인 남진 정책으로 영토를 크게 늘렸지만 내부 분열로 왕조가 단명했다. 이후 투글루크 왕조 사이드 왕조를 거쳐 또 다른 걸자이 계통 파슈툰인이 로디 왕조 수르 왕조를 세우기도 한다. 이란으로 이주한 할라지인은 오늘날까지 존속하고 있다. 약 42,000명의 할라지인이 이란 중부 내륙 지역인 곰주와 마르카지주에 거주한다. 이들은 페르시아인의 영향으로 시아파 이슬람을 믿는다.

4. 언어

할라지어와 함께 페르시아어를 사용한다. 할라지어는 튀르크어족의 보편 튀르크어파에서 유일하게 아르구어파(Arghu)로 분류되는 개별언어이다. 게르하르트 되르퍼에 따르면 할라지어는 인접한 오구즈어파 계열의 언어들에 비해 튀르크조어의 특성이 많이 남아있다고 한다.

5. 참고문헌

  • Bosnalı, Sonel. (2016). The Khalaj People and Their Language. In S. Eker & Ü. Çelik Şavk (Eds.), Endangered Turkic Languages II A: Case Studies / Tehlikedeki Türk Dilleri II A: Örnek Çalışmalar (Vol. 2, pp. 271–275). Ankara and Astana: Khoja Akhmet Yassawi International Kazakh-Turkish University and Ankara International Turkic Academy.
  • Kıral, Filiz. (2000). Reflections on -miš in Khalaj. In L. Johanson, & B. Utas (Eds.), Evidentials: Turkic, Iranian and Neighbouring Languages (p. 89). Berlin: Mouton de Gruy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