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007c30> 상징 | 국가 · 국호 |
역사 | 역사 전반 · 키예프 루스 · 폴로츠크 공국 · 투로프 공국 · 백루테니아 · 흑루테니아 · 리투아니아 대공국 · 폴란드-리투아니아 · 러시아 제국 ·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 · 소련( 벨라루스 SSR) · 색깔혁명( 벨라루스 민주화 운동)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
외교 | 벨라루스/외교 · 벨라루스 여권 | |
경제 | 벨라루스 루블 | |
국방 | 벨라루스군 | |
교통 | 민스크 지하철 | |
문화 | 정교회 · 벨라루스 그리스 가톨릭 · 요리( 보르시) · 벨라루스어 · 러시아어 | |
인물 |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 멜리티나 스타니우타 · 안드레이 그로미코 ·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 |
지리 | 벨로베즈스카야 숲 | |
민족 | 벨라루스인( 러시아계 · 독일계) · 벨라루스계 미국인 · 벨라루스계 아르헨티나인 · 벨라루스계 러시아인 · 벨라루스계 라트비아인 · 벨라루스계 영국인 · 벨라루스계 프랑스인 · 벨라루스계 독일인 · 벨라루스계 호주인 · 벨라루스계 리투아니아인 · 벨라루스계 캐나다인 · 벨라루스계 우크라이나인 · 벨라루스계 폴란드인 · 벨라루스계 스페인인 |
1. 개요
벨라루스계 러시아인( 러시아어: Белорусский Русский, 벨라루스어: беларуская рус)은 전근대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루테니아 정교회 신도 혹은 벨라루스에 기원을 가진 러시아인을 총칭한다.2. 역사
2.1. 리투아니아 대공국 시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벨라루스는 키예프 루스라는 동일한 국가에서 출발하였다. 이 키예프 루스는 다소 느슨한 형태로 결합된 여러 공국들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노브고로드 공화국, 블라디미르 수즈달은 오늘날 러시아, 키예프 공국과 갈리치아 공국, 볼히니아 공국 등은 오늘날 우크라이나, 폴로츠크 공국과 투로프 공국은 오늘날 벨라루스의 기원이 된다고도 볼 수 있다.1200년 오늘날 라트비아의 수도에 해당하는 리가 일대에 북방 십자군의 일파 리보니아 검의 형제기사단이 정착하여, 발트 해 연안의 여러 부족들을 공격하여 노예화하고, 동시에 폴로츠크 공국의 다우가바강 무역로를 봉쇄해버렸다. 키예프 루스의 중심지였던 키예프 공국은 몽골 제국의 침략으로 멸망하면서 폴로츠크 공국을 대신 지원할 수 있는 세력도 부재했다. 한 때 벨라루스 일대의 중심 세력이었던 폴로츠크는 무역로가 막히면서 몰락하고, 백루테니아와 흑루테니아 일대는 카오스에 빠졌다. 몽골 제국과 십자군 사이에 끼어서 신음하던 루테니아 주민들은 생존을 위해 발트해 연안의 리투아니아인들과 힘을 합치는데, 이는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리투아니아인들은 서기 14세기까지 기독교 대신 발트 토속 신앙을 보존하던 유럽 기준으로는 매우 예외적인 집단이었고, 이들과 함께 리투아니아 대공국을 구성하던 루테니아 주민들은 정교회 신도였다. 루테니아 일대에 정착한 리투아니아 귀족들은 현지 유력자들과 통혼하면서 정교회로 개종하곤 했다. 그러나 리투아니아 대공 요가일라가 폴란드 왕국의 야드비가 여왕과 결혼하여 동군연합을 구성하고, 리투아니아인들의 가톨릭 개종을 선언하면서 정교회를 믿는 루테니아인들의 입지가 어정쩡하게 되어버렸다. 비타우타스 대공 사후 야기에우워 왕조의 가톨릭 우대 정책에 일부 정교회 엘리트들은 불만을 품고 노브고로드 공화국 혹은 모스크바 공국 측에 투항하는데 이들을 오늘날 벨라루스계 러시아인의 시조로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아직 당시는 벨라루스인과 러시아인이 서로 완벽하게 구분되는 단계가 아니었다.[1] 벨라루스인과 러시아인이 서로 본격적으로 갈라지게 된 계기는 1596년 브레스트 연합으로 볼 수 있다.
2.1.1. 브레스트 연합 이후
야기에우워 왕조의 지그문트 2세는 루블린 조약을 통해 폴란드-리투아니아를 연방제 형태로 통일하였고, 이후 자국 내 정교회 신도들을 동방 가톨릭[2]으로 개종시키는 작업에 착수했다. 1596년 브레스트 연합을 시작으로 정교회 성당과 신도들은 동방 가톨릭 교회로 반강제로 개종당한다. 하지만 브레스트 연합이 가져온 변화는 단순한 종파 변경만이 아니었다.브레스트 연합 수십여 년 전 이른바 이른바 종교개혁이라 하여 개신교가 가톨릭으로부터 갈라져 나오자, 가톨릭 측에서는 개신교계의 확장에 맞서기 위해 예수회 등등 체계적인 교육을 받은 수도사 집단을 창설하였던 바 있다. 예수회 출신 성직자들은 동방 가톨릭 신도들의 동요나 이탈을 막고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개신교 시민, 개신교 귀족들을 다시 가톨릭으로 원복시키기 위해 리투아니아 대공국 내에서 여러가지 교육 산업을 진흥하는데 이 과정에서 성경이 벨라루스어로 번역되고 프랑스나 이탈리아 등 여타 유럽 선진국들의 문화가 벨라루스인들에게 보급된 것이다. 물론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칼뱅파, 유니테리언 역시 성경을 벨라루스어로 번역하고 교육 진흥 사업을 시행했던 것은 물론이었다. 벨라루스 일대는 루스 차르국(모스크바 대공국)과 종교적으로 분리되고,[3] 지역 주민들은 동시에 좀 더 손쉽게 서구의 학문이나 문화, 과학기술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2.2. 폴란드 분할 이후
자세한 내용은 벨라루스 그리스 가톨릭 문서 참고하십시오.폴란드 분할 전후하여 러시아인과 벨라루스인들을 구분짓는 경계는 러시아 정교회와 벨라루스 그리스 가톨릭 같은 종파 차이에 있었다. 그러나 러시아 제국 측에서 벨라루스 그리스 가톨릭 신도들을 정교회로 개종시키는 작업이 별 다른 저항 없이 진행되면서,[4] 양자 사이의 차이점은 급격히 옅어졌다. 벨라루스 일대에서 러시아 일대로 이주한 정교회 주민들은 문화적 차이가 워낙 옅었기 때문에 이를테면 독일에서 네덜란드로 이주한 사람들의 경우와 비슷하게 금세 러시아인으로 동화되곤 했다.
19세기 말 표트르 스톨리핀의 시베리아 및 중앙아시아 이주 지원 정책에 힘입어 상당수의 벨라루스인 농민들이 러시아 제국 내 시베리아나 중앙아시아 영토 각지로 이주하였던 바 있었고, 현대에도 이촌향도 현상으로 벨라루스 시골민들이 러시아 주요 도시로 이주한 경우가 많았다. 다만 러시아인과 벨라루스인간의 통혼이 매우 흔했던 관계로 이들의 후손들은 대다수가 러시아인으로써의 정체성을 지니고 있으며, 성씨로 벨라루스계인것을 알아보는 수준이다.
3. 목록
4. 관련 문서
[1]
모스크바 대공국과 리투아니아는 오늘날 러시아에 위치한
스몰렌스크를 두고 일진일퇴를 거듭한 역사가 있는데, 스몰렌스크와 같은 러시아와 리투아니아 대공국 영토 사이 중간지대에 있는 지역 주민들의 언어나 정체성 등을 칼로 자르듯이 간단하게 구분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2]
정교회 전례를 유지하되
교황 수위권을 인정하는 가톨릭 교회의 일파
[3]
백루테니아와 흑루테니아 지주 계층이 폴란드화함과 동시에 폴란드인 성직자들의 영향력이 강화되면서 벨라루스는
폴란드어 어휘 및 폴란드 문화의 영향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었다.
[4]
벨라루스의 지주 귀족이나 엘리트층은 완전히 폴란드화한 상황이었고, 벨라루스 도회지 주민들은 대부분 사회의 아웃사이더인
아슈케나짐들이었다. 이들이 벨라루스 그리스 가톨릭을 믿는 농민 계층과 그렇게 잘 연대하지 못하므로 굳이 저항이 일어날 이유도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