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대학의 단과대학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인문
인문대학(
문과대학/
문리과대학) |
신학대학
|
사회
상과대학(
경영대학) |
법과대학 |
사회과학대학(
정경대학)
|
자연
자연과학대학(
이과대학/
문리과대학) |
농과대학 |
수산대학(
해양대학) |
생활과학대학
|
공학
공과대학(
이공대학/
과학기술대학) |
정보대학 |
건축대학
|
|
의약
의과대학 |
치과대학 |
한의과대학 |
약학대학 |
수의과대학 |
간호대학 |
보건과학대학
|
||
예체능
예술대학 |
미술대학(
조형대학) |
음악대학 |
체육대학
|
교육
사범대학 |
교육대학
|
|
교양
교양대학
|
1. 개요
社 會 科 學 大 學 / College of Social Sciences줄여서 사회대 또는 사과대라고 불린다. 유수의 종합대학이라면 반드시 존재하는 단과대학으로 사회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탐구를 목표로하는 사회과학계열 학문을 다루는 대학이다.
역사가 오래된 대학교이거나 혹은 규모가 크지 않은 대학교에서는 문과대학, 정경대학 등에 혼합, 분리되어 편제되어 있거나, 인문대학과 합쳐져 인문사회과학대학으로 통합되어 운영되는 경우도 많다.[1]
인문대학과 더불어 인문계열 순수 학문 연구기관으로는 쌍벽으로 축을 이루는 단과대학으로,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사회복지학, 지리학[2], 심리학[3], 인류학[4] 등 인간 사회를 둘러싼 전반적인 기반환경과 제도,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인 사회과학을 다룬다.
인문학과 사회과학은 공부하는 입장에서는 분명히 큰 차이가 있다.
쉽게 정리하면, 어떠한 사회현상이 있을 때 사회과학은 사회현상 자체와 이를 둘러싼 환경, 제도, 법칙 등을 연구하는 데 반해, 인문학은 사회현상을 만들어 내는 인간 존재에 대해 연구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사회과학은 스스로를 ' 과학'이라고 표방하는 점에서 학문 자체의 내적 법칙성과 인과성이 인문학에 비해 훨씬 강하다는 점이 특징이다.[5]
때문에 학문으로 공부할 때 인문학과 사회과학은 방법론에서 아주 큰 차이가 있다.
2. 특징
사회과학은 이처럼 내적 법칙성과 인과성을 가지고 사회현상을 바라보는 것이기 때문에 사실 더욱 깊이 공부하다보면 단순히 글 중심의 인문계열적 특성도 많지만, 그에 못지 않게 필요한 것이 통계학적 지식 등의 자연계열적 특성이라는 점이다.기본적으로 사회과학에서 사회현상의 법칙성과 인과성을 연구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통계학이다.
때문에 사회과학대학에 진학하고 싶으면서 통계를 포기하거나 못하는 것은 사실 앞으로의 공부에 애로사항이 꽃필 수 있다는 이야기나 다름이 없다.
하지만, 너무 겁먹을 필요가 없는 것이 어디까지나 사회과학대학의 학문들은 수리적 사고의 원리에 대해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그저 통계적 연구방법을 통해 사회현상을 연구하는 것이 목표[6]이니 방법론만 확실히 숙지하면 공부에 큰 지장이 없으며, 그 방법론도 열심히만 하면 4년 안에 충분히 습득할 수 있다.
사회과학은 원래 법학과 경영학, 교육학까지 포괄하는 매우 넓은 범위인데, 규모가 큰 대학의 경우 이 학과들은 아예 각각 독립된 단과대학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규모가 크지 않거나 신설된 대학은 이러한 학과들도 사회과학대학에 포함된 경우가 많다.
사회과학대학 대신 정경대학이 설치되어 있는 대학도 있다. 현재 서울소재 4년제 대학 중에서는 경희대학교와 고려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에 정경대학이 있다.
과거에는 정경대학이 있었던 대학이 제법 많이 있었지만, 사회과학대학으로 바뀐 경우가 많다.
경희대학교의 정경대학은 명칭에서 연상되는 정치외교학과 및 경제학 관련 학과들 이외에 사회학과, 언론정보학과 등이 포함되어 있어 사실상 사회과학대학이라 볼 수 있다.
고려대학교의 경우 사회과학대학이 존재하지 않으며, 유사한 단과대로 정경대학이 있으며 말 그대로 정치, 경제 관련 학과들로만 구성되어 있다. 고려대학교에서 사회학과는 문과대학 소속이며, 심리학과는 독립 학부로서 존재한다.
경제학과 경영학(상학)은 사회과학이지만, 실용성을 추구하는 측면이 강하고 수요가 높아 따로 상대, 즉 상과대학[7], 상경대학[8], 경상대학[9] 등으로 독립된 경우가 많았다.
경영대가 독립하면서 남겨진 경제학과가 애매해지는 경우가 많은데, 통계학과와 함께 상대에 남거나 단과대학으로 독립하는 경우[10], 사회과학대학에 편입된 경우[11], 정외과 등과 합쳐 정경대학을 이루는 경우[12]가 있다.
미국에 역사있는 대학에서는 초창기에 법학과 경영학이 학부에 없었다가 로스쿨과 비즈니스 스쿨 같은 전문대학원으로 설립된 경우가 많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이 단과대학 소속 학과에서는 전공 서적에 한자가 많이 들어갔다고 한다. 심지어는 은, 는, 이, 가 같은 토씨만 빼고 전부 한자인 교재들도 많았다.
3. 개별문서가 개설된 단과대학
- 강원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건국대학교/글로컬캠퍼스/학부/인문사회융합대학
- 건국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경기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경북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경상국립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계명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학부/공공정책대학
- 국립공주대학교/학부/인문사회과학대학
- 단국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동국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동아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명지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삼육대학교/학부/인문사회대학
- 상명대학교/학부/인문사회과학대학
- 배재대학교/학부/인문사회대학
- 서강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서강대학교/학부/지식융합미디어대학
- 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부/인문사회대학
-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성균관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세명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세종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아주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안양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학부/글로벌창의융합대학
- 연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이화여자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인제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인하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제주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중앙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총신대학교/학부/사회과학부
- 충북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청주대학교/학부/인문사회대학
- 한국교통대학교/학부/인문사회대학
-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 한성대학교/학부/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3.1. 소속학과
사회과학대학 소속 학과 | ||||
중분류 | 학과명 | |||
사회과학 | 심리학과 | 사회학과 | 정치외교학과 | 국제학과 |
사회복지학과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지리학과 | 행정학과 | |
군사학과 | 경찰행정학과 | 아동가족학과 | 소비자학과 |
[1]
일부 대학의 경우,
인문대학과 사회과학대학을 합쳐 통합
단과대학을 이루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국립공주대학교와
국립부경대학교의
단과대학인 인문사회과학대학이 그 예.
인제대학교 또한 2015년 이전까지는 인문사회과학대학이라는 단과대학이 존재하였으나 학부 계편으로 문리대학과 사회과학대학으로 구분되었다.
[2]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에 모두 속하며
경희대학교 지리학과의 경우
이과대학에 있다.
[3]
인문대학에 소속되기도 하며 해외에서는
자연과학대학등의 이과 계열로 소속되기도 한다.
[4]
인문대학으로 소속되기도 하며 생물인류학의 경우에는 자연과학적 특징도 가지고 있다. 다만, 우리나라에서는 문화인류학이 대다수이다.
[5]
이런 사회과학의 특징은 사실
고등학교에서도
사회문화시간만 되면 아주아주
수박 겉핥기지만, 그 핵심을 첫 단원에서 배울 수 있다.
[6]
(응용)
통계학과는 예외. 통계 자체의 원리와 경제적 적용을 목표로 하는 과이다.
[7]
과거
고려대학교,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전남대학교 등에 존재했으나, 지금은
전북대학교만 유일하게 쓰고 있다.
[8]
연세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등
[9]
경북대학교,
제주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10]
연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양대학교 등.
성균관대학교는
경제대학,
한양대학교는 경제금융대학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11]
서울대학교 등
[12]
고려대학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