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구과학을 연구·교육하는 학과
2000년대 이후부터 대기과학과(기상학과), 지질학과, 해양학과 중 둘 이상의 학과가 설치되어 있는 학교에서는 이들 학과를 단일한 학과 또는 학부로 묶어서 운영하기 시작했는데[1], 해당 학과/학부를 보통 지구환경과학과(부) 또는 지구시스템과학과(부)라고 한다.지구를 이루는 기권, 지권, 수권, 생물권, 외권 중 생물권은 생명과학과, 외권은 천문학과에서 연구하며 나머지 세 권역을 연구하는 곳이 바로 이 지구환경과학과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기권은 대기과학과, 지권은 지질학과, 수권은 해양학과에서 연구한다.
1.1. 설치 대학
아래에서 보다시피 이 학과가 설치된 대학은 매우 적고, 세부전공으로 학과가 분과된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하나의 학과/학부로 묶이지 않고, 독립하여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대기과학과, 지질학과, 해양학과에 대해서는 해당 항목 참조.1.1.1. 지구환경과학과
1학년 때 지구과학 전체에 대한 개론을 배운다. 그리고 2학년 때 대기과학, 해양학, 지질학 중 하나를 전공으로 택하는 경우다.- 경북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부 (세부전공: 지질학, 천문대기학, 해양학)
-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세부전공[2]: 지구시스템학, 해양학, 대기과학)
-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세부전공: 지질학, 대기과학, 해양학, 환경공학, 공간정보시스템공학)
-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세부전공: 지질학, 해양학)
- 전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세부전공: 지질학, 해양학, 대기과학)
1.1.2. 세부전공
세부 전공이 독립학과로 분리된 경우는 아래의 문서들을 참조바란다.- 지질학전공: 지질학과 문서 참조.
- 대기과학전공: 대기과학과 문서 참조.
- 해양학전공: 해양학과 문서 참조.
2. 지질학과가 개명한 학과
지질학과가 학과의 명칭을 지구환경과학과로 바꾼 곳이 있다. 그런 곳은 사실상 지질학과와 큰 차이는 없다. 굳이 개명 전과 차이를 얘기하자면, 전공 커리큘럼에 환경과학 관련 과목이 추가 또는 강화되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자세한 내용은 지질학과 문서 참고하십시오.
3. 관련 문서
[1]
한때 일부 대학에서는 천문학과도 같이 묶어서 운영하기도 했으나, 현재 경북대를 제외한 나머지 대학들에서 천문학과는 모두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애초 천문학은 지구과학이 아니다.
[2]
행정상으로 현재 세부전공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아직 학과의 융합이 완전하게 이뤄지지 못해 사실상 나뉘어 있는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