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웬만한 대학교의 인문대학이라면 한두 개씩은 가지고 있는 학과들이 속해있으며, 각 국가의 언어와 문학에 대해서 배우는 학과들을 묶은 계열이다. 국내의 경우 지역학과 어문학이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 물론 미국학과 등의 지역학에 특화된 학과도 존재하기는 하지만 많은 경우 어문계열에서도, 특히 소수언어의 경우 지역학을 겸하는 경우가 많다.어문계열에 속하는 학과들은 대부분 여초인 경우가 많다. 사실 1970~80년대까지는 남초였다가 여초화된 것.[1]
교과과정은 대개 실용 언어를 학습하는 회화 및 작문 과목[2], 통사론이나 음운론 등을 배우는 언어학 관련 과목, 원서를 독해하는 강독 및 문법 등을 배우는 어학 과목, 해당 언어로 된 문학 작품에 대해서 분석하는 문학 과목, 해당 언어의 교수 이론에 대해서 배우는 교직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석박사 이후에는 세부분야에 집중하며 박사학위는 대체로 한 분야 대한 논문으로 취득하기 때문에 같은 학과 및 학부 교수진이더라도 세부전공에 따라 맡는 과목에 차이가 있다. 고등학교에서 국어, 사회, 과학이 나뉘고 각 과목을 담당하는 선생님이 있듯이, 어문계열에서도 각각의 전공이 이와 같이 나뉘고 교수들도 각각의 세부전공을 연구 및 교수하는 것이다.
2. 취업
어문계열도 인문대학의 많은 학과들이 그렇듯이, 뒤에서 1등을 다투는 취업률 덕에 한국외대처럼 학내 어문계열의 위상이 높은 학교가 아닌 이상[3] 학과 정리시 가장 먼저 희생되는 경우가 많다.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일어일문학과 등 국내에서 메이저한 축에 속하는 언어를 다루는 학과들은 잘 없어지지 않지만, 노어노문학과, 독어독문학과, 불어불문학과 같은 유럽 언어 학과들은 2010년대 중반 이후 폐과되거나 학부로 통합되는 경우가 부지기수이다.3. 어문계열 학과의 종류
3.1. 비교적 많은 대학에 설치되어 있는 학과
- 국어국문학과
- 영어영문학과
- 노어노문학과
- 독어독문학과
- 불어불문학과
- 중어중문학과
- 일어일문학과
- 서어서문학과 - 단, 이 학과는 위의 학과들에 비해 설치되어 있는 학교 수가 적다. 엄밀히 따지자면 서어서문학과라는 이름으로 설치된 곳은 고려대학교와 서울대학교뿐이다.
- 한문학과
3.2. 소수 대학에 설치되어 있는 학과
소수어과와 언어학과가 소수 대학에 설치된 어문계열 학과라고 할 수 있다. 소수어과의 경우 문학을 다루지 않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소수어과는 외국어를 전문적으로 가르치는 한국외국어대학교와 부산외국어대학교에 개설되어 있다.소수어과의 경우, 전공자가 소수이고, 전공한 교수진도 찾기 힘들다. 그렇다고 이를 꼭 비관적으로 바라볼 필요는 없다. 이들 계열 학과에서 인력 공급이 수요에 비해 적은 경우 오히려 블루오션 시장이 될 수도 있다. 일례로 페르시아어 전공인 것을 이용해 페르시아어 통번역 시장을 개척한 경우도 있다.
- 언어학과 : 고려대학교,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충남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설치되어있다.
- 수어과 : 나사렛대학교[4], 한경국립대학교[5]에 설치되어 있다.[6]
- 베트남어과 : 단국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영산대학교, 청운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다.
- 아랍어과 : 단국대학교, 명지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조선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다.
- 포르투갈어과 : 단국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다.
- 마인어과 : 부산외국어대학교,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다.
- 몽골어과 : 단국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다.
- 이탈리아어과 : 부산외국어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다.
- 인도어과 : 부산외국어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다.
- 태국어과 : 부산외국어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다.
- 튀르키예어과 : 부산외국어대학교[7], 한국외국어대학교[8]에 설치되어 있다.
- 미얀마어과 : 부산외국어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다.
- 그리스· 불가리아어과 :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다.
- 네덜란드어과 :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다.
- 루마니아어과 :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다.
-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과 :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다.
- 스칸디나비아어과[9] :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다.
- 아프리카학부[10] :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다.
- 우크라이나어과 :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다.
- 중앙아시아학과[11][12] :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다.
- 체코· 슬로바키아어과 :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다.
- 페르시아어과 :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다.
- 폴란드어과 :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다.
- 헝가리어과 :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다.
3.3. 종교 관련 어문학과
종교에 쓰이는 어문학[13]을 중점적으로 공부하는 학과이다.진로는 종교 언어 통번역가, 신학적 문헌 통번역가, 종교 회사 취직(종교 어학 교재 회사, 종교 교육 회사 취직), 성직자(선교사) 등이 있다. 종교에서는 원어 경전과 신학 문헌 통번역에 대한 수요가 있다.
- 신학과
- 기독교 신학과: 히브리어, 코이네 그리스어, 아람어 어문학을 필수적으로 배운다. 거기에 더해 라틴어, 중세 독일어, 중세 영어 등 신학적 문헌으로 사용된 언어들을 추가로 배우기도 한다.
- 이슬람교 신학과 - 이쪽은 아랍어를 필수적으로 배운다.
- 불교학과 -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티베트어 어문학을 배운다.
이외에도 어문학을 가르치는 선교학과가 개설되어있었으나, 학령인구가 점점 줄어들자 충원률 문제로 일반 어문학과로 전환하였다.
[1]
때문에 해당 학과의 1960~80년대 학번 동문회에 나타나는 사람은 거의 아저씨 혹은 할아버지들이고, 당시 어문계열 학과의 강의실에서는 남학생들이 모여서 담배를 피울 때 (이들은 '담배는 인류의 적이니 모두 피워서 없애야 한다'는 논리로 피웠다.), 여학생들은 남학생들이 담배를 피우는 곳에 접근도 못 했다고 한다.
[2]
특히 실용 회화와 관련된 수업의 경우 원어민 교수가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3]
한국외대는 학교 특성상 어문계열 교수들의 입김이 굉장히 세서 어문계열 홀대가 거의 없다. 오히려
김인철 총장 이전 총장들은 사회과학계열을 키우는 데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고 김인철 총장 대에 들어서야 사회과학계열이 커졌다. 이때문에 극단적인 발언이 수시로 오가는 에타에서는 어문계열에게 적폐몰이를 하는 상경계생들과 이에 반발하는 어문계생들의 험악한 발언이 수시로 올라오곤 한다. 글로벌캠퍼스에서 일부 어문과가 정리되긴 했지만 이건 어문계열이라서가 아니라 유사중복학과 정리 때문인 거라 궤가 약간 다르다.
[4]
휴먼재활학부 수어통역학과
[5]
現 재활복지학부 한국수어교육전공 前 수화통역과
[6]
강남대학교 대학원에 수화언어통번역학과,
안양대학교 대학원에 사회복지(한국수어교육전공),
총신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에 사회복지(한국수어교원전공)가 있다.
[7]
터키·중앙아시아어과
[8]
터키·아제르바이잔어과
[9]
스웨덴어,
덴마크어,
노르웨이어를 가르친다.
[10]
스와힐리어,
암하라어,
하우사어를 가르친다.
[11]
카자흐어,
우즈베크어를 가르친다.
[12]
다만 중앙아시아 사회 전반 특성상 러시아와 밀접하다 보니 일부 학교의 러시아어과에서 중앙아시아 지역에 대해 가르친다.
[13]
어학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신학적 문헌들을 원어로 공부하기도 하고,
성서비평학을 배우는 신학과의 특성상 성서가 일종의 문학이라고 보는 관점도 배우기에 어문학이라고 일컫을수 있다. 어차피 해당 어학에 대한 이해를 늘리기 위해 해당 어학의 문학도 종종 같이 배우기도 한다. 불교학과도 불경을 일종의 문학이라고 바라볼 수 있고, 불교 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기 위해 불교 문학을 공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