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4 19:08:00

카를로스 바에르가

카를로스 바에르가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74ca1><tablebg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삼성 라이온즈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74ca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베이커 파일:미국 국기.svg
파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 (2)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 (3) 파일:미국 국기.svg
프랑코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토레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갈베스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베라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에르가 (3)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루크 (2) 파일:미국 국기.svg
엘비라 (3) 파일:멕시코 국기.svg
패트릭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엘비라 (2) 파일:멕시코 국기.svg
라이언 (3)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호지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오리어리 (2) 파일:미국 국기.svg
로페즈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르가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해크먼 (2)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 (3)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윌슨 (2) 파일:미국 국기.svg
매존 (3) 파일:미국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오버뮬러 (2)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즈 (2) 파일:미국 국기.svg
(3) (2) 파일:미국 국기.svg
에니스 (3)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나이트 (3)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세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나이트 (2) 파일:미국 국기.svg
레딩 (3)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세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가코 (2) 파일:미국 국기.svg
매티스 (3) 파일:미국 국기.svg
카도쿠라 (2) 파일:일본 국기.svg
저마노 (3) 파일:미국 국기.svg
탈보트 파일:미국 국기.svg
고든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밴덴헐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로드리게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리대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밴덴헐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나바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피가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클로이드 파일:미국 국기.svg
나바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웹스터 (2) 파일:미국 국기.svg
플란데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벨레스터 (2) 파일:미국 국기.svg
레온 (3) 파일:멕시코 국기.svg
발디리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레나도 파일:미국 국기.svg
페트릭 파일:미국 국기.svg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아델만 파일:미국 국기.svg
보니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헤일리 (2)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슨 (3) 파일:미국 국기.svg
맥과이어 (2)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 (3) 파일:미국 국기.svg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살라디노 (2) 파일:미국 국기.svg
팔카 (3)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 (2) 파일:미국 국기.svg
몽고메리 (3)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수아레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수아레즈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와이드너 (3)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코너 파일:미국 국기.svg
레예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맥키넌 (2) 파일:미국 국기.svg
카데나스 (3) (2) 파일:미국 국기.svg
디아즈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bordercolor=#00385d> 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엠블럼.svg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명예의 전당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1919,#ffffff
얼 애버릴 멜 하더 슈리스 조 잭슨 켄 켈트너 냅 라조이
스티브 오닐 조 슈얼 트리스 스피커 할 트로스키 사이 영
루 보드로 빌 브래들리 밥 펠러 밥 레몬 엘머 플릭
사첼 페이지 스탠 코벨레스키 래리 도비 짐 헤간 얼리 윈
레이 채프먼 로키 콜라비토 애디 조스 알 로페즈 샘 맥도웰
알 로젠 허브 스코어 짐 배그비 마이크 가르시아 찰스 내기
안드레 손튼 조 고든 마이크 하그로브 샌디 알로마 주니어 웨스 페럴
딕 제이콥스 빌 비크 케니 로프턴 사이 슬랩니카 게일로드 페리
잭 그래니 짐 워필드 카를로스 바에르가 존 하트 오마 비즈켈
지미 더들리 알버트 벨 찰리 제이미슨 프랭크 로빈슨 짐 토미
매니 라미레즈 데일 미첼
}}}}}}}}}}}} ||

카를로스 바에르가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2 MLB 올스타전 로고.png 파일:1993 MLB 올스타전 로고.png 파일:1995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1992 1993 1995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1993 ~ 1994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2루수 부문 실버 슬러거
로베르토 알로마
( 토론토 블루제이스)
카를로스 바에르가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척 노블락
( 미네소타 트윈스)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등번호 9번
토리 러벨로
(1998)
<colbgcolor=#e50022><colcolor=#fff> 카를로스 바에르가
(1990~1999)
크리스 터커
(1999)
뉴욕 메츠 등번호 6번
조 오르술락
(1993~1995)
카를로스 바에르가
(1996)
카를로스 멘도사
(1997)
뉴욕 메츠 등번호 8번
데이브 갤러거
(1992~1993)
카를로스 바에르가
(1997~1998)
데시 레라포드
(2001)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1번
루이스 로페즈
(1993~1996)
카를로스 바에르가
(1999)
산티아고 페레즈
(2001)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2번
김영진
(1998~2001.4.27.)
바에르가
(2001.7.19.~2001)
엘비라
(2002~2003.5.27.)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10번
스캇 해티버그
(1997~2001)
카를로스 바에르가
(2002)
데이브 맥카티
(2003~2005)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3번
대니 크라센
(2000)
카를로스 바에르가
(2003~2004)
토니 아브레유
(2010)
워싱턴 내셔널스 등번호 5번
제이미 캐롤
(2004)
카를로스 바에르가
(2005)
코리 카스토
(2007~2008)
}}} ||
}}} ||
파일:Carlos_Baerga.jpg
카를로스 바에르가
Carlos Baerga
본명 카를로스 오베드 바에르가 오티스
Carlos Obed Baerga Ortiz
출생 1968년 11월 4일 ([age(1968-11-04)]세)
산후안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
신체 180cm, 74kg
포지션 2루수
투타 우투양타
프로 입단 1985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 SD)
소속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90~1996)
뉴욕 메츠 (1996~1998)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1999)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99)
삼성 라이온즈 (2001)
보스턴 레드삭스 (2002)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03~2004)
워싱턴 내셔널스 (2005)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인디언스의 중심타자2.2. 삼성 라이온즈
2.2.1. 2001시즌
2.3. 메이저리그 복귀
3. 연도별 성적4. 은퇴 후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내야수. 전성기 때는 2루수였지만 선수 말년에는 1루수 3루수로도 출장했다. 삼성 라이온즈에서 활약했었다.

2. 선수 경력

2.1. 인디언스의 중심타자

1985년 말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 입단한 바에르가는 마이너리그에서 성장해가다 1989년 말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로 트레이드되었다. 1990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 데뷔해 3루수와 유격수를 맡았다. 주전 2루수로 자리잡은 1992년부터 바에르가의 포텐셜이 폭발하면서 로저스 혼스비 이후 70년만에 한 시즌 20홈런 200안타 100타점 이상을 기록한 2루수가 되었다. 이후로도 매서운 타격을 보이면서 1992년, 1993년, 1995년 올스타에 선정되었고 1993년과 1994년에는 2년 연속 실버 슬러거를 수상했다. 1993년에는 메이저리그 최초로 좌우타석 연타석 홈런을 기록하기도 했다. 1995년에는 팀의 월드시리즈 진출을 견인했지만, 이 해 월드시리즈의 마지막 타자가 되면서 우승반지를 차지하는데는 실패하고 만다.

1996년 7월 말 뉴욕 메츠로 트레이드된 후 메츠에서도 주전 2루수 활동하다가 1998년 시즌 후 FA가 되었다.


1999년 초 바에르가는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 계약하지만 무릎부상으로 정규시즌 시작 전에 방출되어 신시내티 레즈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또 방출되었고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고 다시 메이저리그에 복귀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클리블랜드로 다시 복귀했지만 트레이드 전에 비해 떨어진 기량으로 별다른 활약을 못했다.

2.2. 삼성 라이온즈

2.2.1. 2001시즌

2001 시즌 기록
경기 타석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볼넷 삼진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AR wRC+
39 131 120 33 3 2 4 18 17 6 12 5 0 0.275 0.328 0.433 0.761 0.19 82.2
결론부터 말하자면 WAR 0.19에 wRC+ 기준으로 82.2[1], 즉 시즌 도중 들어와 리그에서 평균만도 못한 경쟁력을 기록했다. 이전에 있었던 부상 여파로 인해 삼성에 들어왔을 때부터 이미 폼은 하락세에, 한국 리그에 적응도 못하는 모습만 보여주며 결국 한국시리즈까지 반등을 보이지 못하며 삼성과의 인연은 1년으로 족하게 되었다.

2000년에는 아예 쉬다시피 했고, 2001년 독립리그 팀에 입단했다. 그러던 중 7월 삼성 라이온즈가 바에르가를 영입했다. 벤 리베라를 허리 부상으로 퇴출하기로 한 후 때마침 주전 2루수였던 정경배도 부상을 당했기 때문. 당시로서 바에르가의 영입은 그야말로 충격적이었는데 화려한 경력을 보유한데다 훌리오 프랑코처럼 나이가 든 후에 온 것도 아니고 아직 메이저리그에서 충분히 활약할 수 있는 나이였기 때문이었다.[2]

물론 부상 때문에 한국에 오기 전에는 독립리그에서 활동했을 정도로 성적이 하락세에 접어들기는 했지만 당시 한국야구 수준을 고려하면 맹활약을 기대하게 했다. 하지만 바에르가의 정규시즌 성적은 39경기 120타수 33안타 타율 .275 4홈런[3] 17타점 18득점으로 이름값에 비하면 실망스러웠다. 그래도 이름값이 있는 선수인만큼 한국시리즈에서는 부활해주리라 기대했지만 한국시리즈에서도 부진했다.

다만 바에르가의 한국 성적은 다소 감안해야 할 부분이 시즌중에 돌연 와서 굉장히 적은 131 타석만을 소화한 결과라는 점이다. 낯선 나라에 갑자기 와서 전혀 모르는 투수들을 상대로 기록한 성적인데 적응의 문제가 있었을 것이기 때문에 시간을 좀 더 가지고 스프링캠프부터 함께했다면 더 좋은 성적을 냈을 가능성이 꽤 높다. 실제로 한국리그를 거쳐 다시 메이저리그에 돌아가서도 몇 년간이나 뜨거운 성적을 유지했을 정도로 기량 자체에는 문제가 없었다. 심지어 은퇴시즌까지도 준수한 성적을 낸 야구 천재로 한국에서는 적응과 스몰샘플등 여러변수들이 있었을 것으로 보는게 타당하다.

바에르가가 실패하면서 살로몬 토레스, 발비노 갈베스, 훌리오 프랑코와 묶어[4] 삼성은 외국인 선수 스카우트할 때 커리어만 보고 영입한다는 비판이 있었다.

여담으로 이 당시 바에르가는 MLB KBO에서 선수로 뛰고 있었을 때 모국 푸에르토리코에 윈터 리그 팀을 하나 소유하고 있던, 말 그대로 선수 겸 구단주였었다. 실제로 삼성 시절 잠깐 같이 뛴 투수 임창용 2002년 말 포스팅을 통한 메이저리그 도전 의사를 밝히고 ML 구단 쇼케이스를 위해 바에르가가 구단주로 있는 푸에르토리코 윈터리그의 팀에서 잠시 뛴 적이 있다.
파일:evYjkD6.jpg
삼성 라이온즈 시절

2.3. 메이저리그 복귀

2002년 보스턴 레드삭스와 계약한 바에르가는 지명타자와 대타로 주로 활약했고, 2003년에는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로 트레이드되었다. 트레이드된 후 .343의 타율을 기록하면서 1년 재계약을 맺었고 2005년 시즌을 앞두고 워싱턴 내셔널스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지만 메이저리그에서만 활동했다. 시즌 후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푸에르토리코 대표팀 선수로 참가하지만 2006년 시즌을 앞두고 팀을 구하지 못하면서 은퇴했다.

3. 연도별 성적

역대 성적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1990 CLE 108 312 .260 81 17 2 7 47 81 0
1991 158 593 .288 171 28 2 11 69 80 3
1992 161 657
(2위)
.312 205
(2위)
32 1 20 105 92 10
1993 154 624
(5위)
.321
(5위)
200
(공동 2위)
28 6 21 114 105 15
1994 103 442 .333 139 32 2 19 80 81 8
1995 135 557 .314 175
(5위)
28 2 15 90 87 11
1996 100 424 .267 113 25 0 10 55 54 1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1996 NYM 26 83 .193 16 3 0 2 11 5 0
1997 133 467 .281 131 25 1 9 52 53 2
1998 147 511 .266 136 27 1 7 53 46 0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1999 SD 33 80 .250 20 1 0 2 5 6 1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1999 CLE 22 57 .228 13 0 0 1 5 4 1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2001 삼성 39 120 .275 33 3 2 4 17 18 0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2002 BOS 73 182 .286 52 11 0 2 19 17 6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2003 ARI 105 207 .343 71 13 0 4 49 31 1
2004 79 85 .235 20 2 0 2 11 6 0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2005 WSH 93 158 .253 40 7 0 2 19 18 0
<colbgcolor=#ffff88> MLB 통산(14시즌) 1630 5439 .291 1583 279 17 134 774 731 59
KBO 통산(1시즌) 39 120 .275 33 3 2 4 17 18 0

4. 은퇴 후

은퇴 후 방송해설자로 일했고 2013년 2월에는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의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는 푸에르토리코 대표팀 코치로 참가했다. 2014년 1월 푸에르토리코 로베르토 클레멘테 프로야구 리그의 인디오스 데 마야구에스의 감독을 맡게 되었으며, 2016년 월드 시리즈 2차전에서는 시구자로 클리블랜드 팬들에게 모습을 다시 드러내게 되었다.

5. 여담

  • 의외로 메이저리그의 허용타자 기질이 있는 선수이기도 하다. 1993년 조막손 투수 짐 애보트 노히트 노런을 달성할 당시 마지막 아웃카운트를 바로 바에르가를 상대로 잡아냈고, 1995년 월드 시리즈에서도 마지막 아웃카운트가 바에르가의 플라이 아웃으로 만들어졌기에 애틀란타의 우승 영상이 나올 때마다 지겹게 나오곤 한다.

6. 관련 문서


[1] 쉽게 말하자면 wRC+는 높을수록 좋고, 100이 정확히 리그 평균으로 평가되니 매니 마르티네스는 평균보다 아래였다고 보면 편하다. [2] 1968년생으로 2001년 당시 33세(한국나이 34세)였고, 당시 현역이었던 장종훈, 김경기, 김동수와 동갑이었다. 물론 내야수 치고는 (2루수나 유격수의 경우 보통 35세 전후로 노쇠화가 찾아오며 수비 범위가 급격히 좁아진다) 나이가 좀 많은 편이긴 했다. [3] 4홈런 중 유독 1개의 홈런은 인상깊은 홈런이었다. 8월 17일 대구 한화전에서 훗날 한화 이글스 감독이 되는 한용덕을 상대로 이승엽, 매니 마르티네스에 이어 홈런을 쳤고 뒤이어 나온 마해영도 홈런을 치면서 당시 사상 최초였던 4타자 연속 홈런 기록을 함께 쓰기도 했다. 2020년 10월 22일 롯데 자이언츠가 문학 SK전에서 이대호- 이병규- 안치홍- 한동희의 4타자 연속 홈런이 터지면서 바에르가의 이름이 다시 신문기사로 등장하게 됐다. [4] 프랑코는 부진해서 재계약 포기를 한 게 아니라 다른 이유 때문이긴 하지만 어쨌든 1년만 활동한 건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