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2 22:30:57

조지아인

그루지야인에서 넘어옴
조지아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color: #FFF;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러시아인 타타르
크림 타타르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바시키르인 추바시인
체첸인
인구시인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 아바르인 모르드바인 카자흐
아제르바이잔계 러시아인 다르긴인 우드무르트인 마리인 오세트인
벨라루스계 러시아인 체르케스인
카바르다인
쿠미크인 야쿠트인 레즈긴인
벱스인 독일계 러시아인 우즈벡 투바인 코미인
카라차이인
발카르인
로마니 타지키스탄계 러시아인 부랴트인
칼미크인
, 몽골계 러시아인,
라크인
조지아계 러시아인 아슈케나짐 몰도바인
, 루마니아계 러시아인,
한국계 러시아인
, 고려인,
, 사할린 한인,
타바사란인
튀르키예계 러시아인
, 메스케티 튀르크,
노가이인 키르기스 코미인 알타이인
흑해 그리스인
, 그리스계 러시아인,
하카스인 스페인계 러시아인
, 바스크계 러시아인,
폴란드계 러시아인 사모예드족
쿠르드계 러시아인
, 야지디,
에벤키, 에벤족 투르크멘 사미족 루툴인
아굴인 리투아니아계 러시아인 한티인
만시인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우데게족
카렐인
잉그리아 핀인
, 핀란드계 러시아인,
라트비아계 러시아인 세투인
, 에스토니아계 러시아인,
축치인 베사라비아 불가리아인
불가리아계 러시아인
가가우즈인 쇼르인 케레크 압하스인 나나이족
아시리아인 아랍계 러시아인 나가이바크 돌간인 러시아 흑인
아프가니스탄계 러시아인 니브흐 우디인 인도계 러시아인 샵수그인
위구르인 케트인 재러 베트남인 이텔멘족 쿠만딘인
헝가리계 러시아인 울치족 텔레우트인 타트인
탈리시인,
, 이란계 러시아인
체코계 러시아인
유카기르 부하라 유대인
산악 유대인
카라임
슬로바키아인 카라칼파크인 차후르인
프랑스계 러시아인 소요트 일본계 러시아인 이탈리아계 러시아인 덴마크계 러시아인
오스트리아계 러시아인 영국계 러시아인 스웨덴계 러시아인 아일랜드계 러시아인 노르웨이계 러시아인
네덜란드계 러시아인 스위스계 러시아인 크로아티아계 러시아인 미국계 러시아인 세르비아계 러시아인
아이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0000> 민족 조지아인 · 라즈인 · 메그렐인 · 스반인 · 아자르인
언어 조지아어 · 라즈어 · 메그렐어 · 스반어 · 아자르어
독립국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파일:아자리야 공화국 국기.svg 아자리야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아르트빈
신화 조지아 신화 }}}}}}}}}

파일:Caucasus.png 캅카스의 민족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조지아인 아르메니아인 아제르바이잔인 오세트인 체첸인
체르케스인
카바르다인
쿠미크인 발카르인 아바르인 레즈긴인
다르긴인 카라차이인 산악 유대인 인구시인 탈리시인
압하스인 루툴인 라크인 타바사란인 아굴인
차후르인 타트인 노가이인 캅카스 독일인 우비흐인
라즈인 아자르인 우디인 체즈인 히날루그인
바츠인 안디인 부두흐인 크리츠인 아르치인
제크인 훈지브인 히누흐인 베즈타인 흐와르시인
메그렐인 스반인 인길로이인 투르크멘인 흑해 그리스인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카자크 아바자인 샵수그인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전통 의상인 초하(ჩოხა, Chokha)를 입은 조지아 소년들[1]
파일:2560px-Children_in_Chokha_during_Vlakernoba.jpg
초하를 입은 조지아 소년들 2
파일:58923606-3015-4ABC-90F2-C670724D7BD9.jpg
조지아의 소녀들
조지아인들의 모습들[2]

1. 개요2. 특징3. 문화4. 라즈인5. 인물

1. 개요

【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cdcdc,#1f2023> 조지아어 ქართველები(kartvelebi)
라즈어 ქორთუფე(kortupe)
메그렐어 ქორთუეფი(kortuepi)
바츠어 კოხივ(ḳoxiv)
스반어 ქა̈რთა̈ლ(kärtäl)
그리스어 Γεωργιανοί(Georgianoí)
아르메니아어 Վրացիներ·Քարթվելներ
(Vracʿiner·kʿartʿvelner)
러시아어 Грузи́ны·Картве́лы
(Gruzíny·Kartvély)
압하스어 Ақырҭцәа(Akərtcʷa)
오세트어 Гуырдзиӕгтӕ(Guyrdziægtæ)
아제르바이잔어 Gürcülər·Kartvellər
영어 Georgians·Kartvelians
튀르키예어 Gürcüler·Kartveller
페르시아어 گرجی‌ها(gorjihâ) }}}}}}}}}
조지아인은 캅카스 3국 조지아에 살며 조지아어를 쓰는 민족을 일컫는다. 조지아에서 다수 민족인 조지아 민족 자체를 의미하지만 조지아에 국적을 가진 사람들을 의미하는 넓은 의미의 조지아 국민들을 살펴보면 조지아의 소수민족 아르메니아인, 아제르바이잔인, 러시아인, 흑해 그리스인, 오세트인, 압하스인, 튀르키예인(메스헤티 튀르크인), 유대인, 쿠르드인 등도 있다.

조지아인의 조지아 국내 인구는 대략 320여만명이며[3] 조지아 자체가 해외이민이 많기 때문에 튀르키예, 러시아, 우크라이나, 유럽 각국과 이란, 미국 등 해외에 수십만명의 조지아인들이 살고 있다. 이것이 어느 정도로 심하냐면 조지아의 출산율이 비교적 양호한 수준임에도 인구 감소 속도가 가파른 나라로 손꼽힐 정도이다.

조지아의 민족 중 다수를 차지하는 동부의 카르트벨인(ქართველები)과 서부의 이메르인(იმერლები, 이메를레비), 메그렐인(მარგალეფი, 마르갈레피), 스반인(შუ̂ანა̈რ, 슈아내르), 아자르인(აჭარლები, 아차를레비), 라즈인(ლაზეფე, 라제페) 등을 통틀어 조지아인이라고 한다.

2. 특징

조지아는 종교적으로 아르메니아와 더불어 이른 시기에 기독교를 공인한 국가다. 조지아인들은 동시에 천년이 넘는 세월 동안 주변의 이슬람 세력의 침략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신앙을 지켜왔다는 믿음 때문에 자국의 기독교인 조지아 정교회와 문화에 대한 자부심이 크다.[4] 조지아 정교회는 조지아인의 일상과 깊숙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국가 정체성 그 자체가 돼서인지 사회 전반에 대한 영향력도 크다. ( 참조)

서부인 중 아자르인 라즈인 오스만 제국 통치기, 정확히는 트레비존드 제국의 멸망 후 무슬림화되었다. 다만 라즈인과 달리 아자르인은 러시아 제국 통치기에 대부분 정교회로 개종하여 러시아 혁명 당시 무슬림의 비율은 30% 정도였으며 그마저도 개종 또는 튀르키예로 떠나 현재는 더욱 줄어들었다. 조지아인 중에 튀르키예풍의 이름을 가진 사람이 정교도라면 그사람은 높은 확률로 아자르인이다. 무슬림이 다수인 조지아인들은 라즈 계통이 사실상 유일한 정도다.[5]

서부에서 지역색이 강한 사람들로 메그렐인과 스반인들이 있는데 종교는 같은 정교회지만 지역색이 가장 강한 지방으로 유명하며 특히 스반인들의 마을에는 특유의 곡식 저장탑이 한채당 하나씩 있는데 과거 전쟁이 있을 때마다 마을 사람들이 집집마다 방어탑 겸 농성전을 펼친 것이 스반 지방의 자연경관과 더불어 명물이 되어 있다. 우슈굴리와 메스티아라는 마을로 가면 이 탑은 관광객들의 단골 코스로 유명할 정도다. 거기다 언어도 표준어와 차이가 매우 크며 심지어 스반인의 방언은 현지인조차도 차원이 다른 언어로 인식한다.

조지아인들은 자국을 기본적으로 유럽으로 인식하는데 기독교 유럽 세계의 최전선에서 중동 이슬람 세력으로부터 유럽을 지켜왔다는 자부심도 가지고 있으며 조지아 정부에서 내세우는 "유럽은 이곳(조지아)에서 시작된다."라는 캐치프레이즈에서 조지아인들의 생각을 잘 보여준다. 실제로 조지아인들에게 조지아는 동유럽이라고 말하면 굉장히 좋아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캅카스 산맥이 아시아와 유럽의 지리적인 구분으로 정해진 영향으로 이 지역은 서아시아로도, 경우에 따라서는 중앙아시아로 분류되기도 한다.[6]

조지아인들은 조지아가 서아시아로 분류된 이유가 전적으로 러시아의 주작 때문이라고 호소하고 있다. 러시아인들은 본래 자신들이 서유럽인들에 비해 이모저모로 많이 낙후된 상황을 위로하고자 아시아의 이슬람으로부터 유럽의 기독교 문화를 보호하는 수호자이자 아시아와 유럽의 징검다리라는 타이틀을 국가 정체성으로 삼았는데 이런 상황에서 러시아 제국이 조지아와 아르메니아를 장악했다. 이 때부터 러시아인들이 자신들의 정체성 문제랑 엮어서 조지아와 아르메니아의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러시아가 해방시킨 아시아의 고대 기독교 국가 세트로 마음대로 왜곡시켜 버렸다는 것이 논지다.

한마디로 러시아인들이 자신의 정체성과 자존심을 확립하기 위해서 조지아를 희생양 삼아 캅카스 산맥 밑은 아시아라면서 선을 그어버렸다는 것이 조지아인들의 주장이다.

이런 이유로 조지아인들의 성향도 친유럽적이고 러시아를 싫어한다. 러시아의 그늘을 벗어나 평범한 유럽의 일원이 되고자 하는 조지아인들의 소망은 유럽연합 가입이라는 조지아의 국가적 목표로 이어지고 있다. 유럽에 가까워지기 위해 노력한 결과, 부패한 정권을 몰아낸 장미혁명을 이뤄내어 옛 소련권에서 발트 3국 다음으로 서구식 민주주의가 가장 잘 정착된 나라 중 하나가 될 수 있었다.[7]

조지아인들의 친유럽, 친서구적인 성향은 조지아 정교회가 다소 보수적인 데다 가톨릭을 좋아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조지아 정부가 교황을 조지아로 초청하고 같은 정교회 국가인 러시아와 달리 성소수자들을 국가적으로 탄압하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8] 물론 일부 보수적인 조지아인들에게는 확실히 성소수자 문제는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조지아인들은 백인에 속한다.[9] 조지아인들은 머리색이 암갈색이 많고 코가 대체적으로 길며 얼굴도 장두형이다. 얼굴이 동글동글하고 코가 갸름하고 오똑한 러시아인들과 쉽게 구별된다. 튀르키예인이나 이란인보다는 아르메니아인들과 이목구비가 흡사하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유럽 국가로 취급받는 포르투갈, 스페인과 비교할때 밝은 색 머리(금발 포함)는 전체 인구의 6%이고 밝은 색 눈(푸른 눈, 녹색 눈 포함)은 전체 인구의 23%다.[10]

동유럽과 서아시아의 경계에 있는 만큼 조지아인들의 외모에서 유럽인의 외모와 서아시아인의 외모가 모두 나타난다. 동유럽인과 비슷한 외모를 가진 사람들도 있고 이란인[11], 튀르키예인[12]과 비슷한 외모를 가진 사람들도 있다. 전반적으로 전자의 동유럽인 비슷한 외모가 더 많이 보이는 편이다. 유럽과 서아시아 양쪽의 외모가 나타난다는 점에서는 지중해, 흑해 쪽의 서부 튀르키예인이나 그리스인과 유사하다고도 할 수 있지만 이들보다 동유럽스러운 외모가 더 흔하다.

파일:attachment/0_26.jpg

[13]

러시아인들보다 비율이 낮긴 해도 캅카스 일대에서는 금발 비율이 가장 높은 민족이다. 지도를 보면 알겠지만 웬만한 발칸반도 국가들과 그리스, 튀르키예, 남유럽 라틴 국가들보다 비율이 높은 편이다.[14] 그렇지만 흑발이나 갈색 머리 등 어두운 색의 머리카락을 가진 사람들이 많다.

아르메니아인, 아제르바이잔인과 마찬가지로 유도, 레슬링, 역도, 팔씨름 등 힘을 꽤나 쓰는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다는 이미지가 있다.

익히 알려진 이오시프 스탈린을 비롯하여 소련 시절뿐 아니라 러시아 제국 때도 장군으로서 러시아 제국에서 성공한 사람들의 출신국이기도 하다. 조지아계 러시아인 문서 참조.

3. 문화

조지아인의 전통적인 다성음악인 차크룰로(ჩაკრულო)를 소개하는 영상.
문화적으로 동유럽과 서아시아의 특징이 모두 나타난다. 조지아는 고대부터 그리스, 로마, 동로마와 교류가 많았고 근대에는 러시아의 영향을 받았다. 종교적으로는 정교회권이기 때문에 동유럽적인 분위기가 더 많이 나지만 동부 지역이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은 적이 있어 페르시아의 영향도 받았다. 때문에 일부 건축[15], 의상, 회화[16], 조지아 요리의 향신료등에서 서아시아적인 요소를 발견할 수 있다.

유럽 기독교 국가들 중에서 성문화가 가장 보수적인 나라로 유명하다.[17] 조지아의 젊은 여성들은 보통 남자를 만날 때 항상 자기 동성 친구를 같이 데려오는 걸로 유명했다. 이는 조지아가 한 때 외부인들을 보기 힘든 산악 지형에 폐쇄되고 고립된 마을이 많다 보니 보수적인 성문화가 자리잡을 수밖에 없었던 환경도 있다. 조지아의 해변에서 비키니 입고 수영하는 사람들은 거의 다 러시아인이나 우크라이나인이나 벨라루스인 아니면 이란인(...)[18] 관광객이라고 보면 된다. 보수적인 성문화가 EU 가입 승인이 지연되는 원인이기도 하다. EU의 평가 기준 중 하나가 인권, 소수자 존중인데 LGBT에 적대적인 조지아의 문화가 EU 가입 심사에 걸림돌이 되어 국내 중요한 정치이슈가 되고 있다.

조지아인들은 조지아가 예술가들이 많은 나라라고 자부심을 갖는 걸 좋아한다. 조지아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순수하게 조지아어로 만들어진 예술 작품은 거의 알려지지 않은 편이지만 시인 쇼타 루스타벨리가 유명하며 조지아계 예술가들이 러시아에서 활동하면서 만든 작품들은 꽤 된다. 조지아인들은 푸쉬킨이나 레르몬토프를 비롯한 러시아의 유명 작가들이 트빌리시 온천에서 휴양을 즐긴 것을 광고하기도 하는데 아무래도 조지아에 주로 여행 오는 관광객들이 동구권 관광객이기 때문이다.

빠른 속도로 추는 조지아 특유의 전통 무용들과 남성 전통의상인 초하(ჩოხა)가 유명하다.

조지아인의 이름은 유럽 국가들처럼 기독교 기원인 이름들이 많지만 페르시아 기원 이름들도 있다. 이를테면 아브탄딜(ავთანდილი), 안조르(ანზორ), 바두르(ბაადურ), 바흐탄그(ვახტანგ), 자우르(ზაურ), 주라브(ზურაბ), 타마즈(თამაზ), 테이무라즈(თეიმურაზ), 마누차르(მანუჩარ), 무르타즈(მურთაზ), 로스톰(როსტომ), 루수단(რუსუდან), 잔수그(ჯანსუღ) 등이 있다.

조지아인의 성씨는 -제(-ძე), -슈빌리(-შვილი)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19] 전자는 서부인, 후자는 동부인들에게 주로 나타난다. 예외로 메그렐인들은 -이아(-ია), 스반인들은 -아니(-ანი)로 끝나는 성씨를 가진다. 이를테면 니노 부르자나제(ნინო ბურჯანაძე, Nino Burjanadze), 미헤일 사카슈빌리(მიხეილ სააკაშვილი, Mikheil Saakashvili), 주라브 주바니아(ზურაბ ჟვანია, Zurab Zhvania), 오타르 이오셀리아니(ოთარ იოსელიანი, Otar Iosseliani) 같은 식이다. 쇼타 루스타벨리(შოთა რუსთაველი, Shota Rustaveli), 바자프샤벨라(ვაჟა-ფშაველა, Vazha-Pshavela)와 같이 지명에서 따온 별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조지아계 러시아인들도 -시빌리(-швили), -제(-дзе), -이야(-ия)로 끝나는 성씨를 주로 가지고 있는데 이 경우 성씨의 표기나 발음이 바뀌기도 한다. 이오시프 스탈린의 본명인 주가슈빌리(ჯუღაშვილი [d͡ʒuɣɑʃvili])는 러시아어 표기법상에서 자음 앞에 오는 ш를 '슈'가 아닌 '시'로 표기하므로 이를 러시아어로 옮긴 표기는 주가시빌리(Джугашви́ли [d͡ʐʐʊɡɐˈʂvʲilʲɪ])가 된다. 라브렌티 베리야도 베리야(Бе́рия [ˈbʲerʲɪɪ̯ə])는 러시아어, 베리아(ბერია [bɛriɑ])는 조지아어식이다.

4. 라즈인

해외 거주 조지아인들이 가장 많은 곳은 튀르키예로 16만명의 조지아인이 튀르키예에 살고 있으며 조지아계 민족인 라즈인은 동부 튀르키예의 주요 소수민족들 중 하나다. 라즈인의 수는 많게는 160만명까지 추정된다. 라즈인 인구는 튀르키예 동부의 흑해 연안에 밀집해 있으며 주요 종교는 보통 튀르키예인과 같은 이슬람이다.

고대 그리스 시절의 콜키스인이 바로 이들의 조상이다.[20] 동부 튀르키예는 쿠르드족등 페르시아계 혈통이 많기 때문에 많은 한국인들이 중동하면 흔히 떠올리는 전형적인 중동 외모가 많은 편이다. 동부 튀르키예 출신, 쿠르드계가 많은 튀르키예계 독일인등도 이런 외모가 많은데 동부 출신임에도 유럽인 외모와 비슷한 해외 거주 튀르키예인들은 조지아계나 체르케스계가 다수인 흑해 연안, 남캅카스 산맥 근처 출신이 많다. 이 동네는 조지아계나 체르케스 등 캅카스계 민족이 많이 사는 곳인 동시에 20세기 초반까지 그리스인들도 많이 살던 곳이다.

코가 매우 크기로 유명하다. 고집 센 사람을 라즈 코(Laz Burnu)라고 하는데 코가 크면 고집이 세다는 튀르키예인의 편견에서 비롯된 관용어다. 그런데 실제로 코가 매우 큰 사람이 많다.

튀르키예의 현 대통령인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이 라즈인 혈통으로 조지아계 튀르키예인으로 알려져 있다. 2003년 자신의 가문은 조상대에 조지아 바투미에서 튀르키예 리제로 건너온 조지아인이었다고 본인 스스로 인증했다. # 2014년에는 말을 뒤집어 조지아인 후손이 아니라고 번복하긴 했는데 별로 믿는 분위기는 아니다.

5. 인물

조지아/구소련 국적이 아닌 경우는 * 표시.


[1] ' 초하'는 러시아어인 '체르케스카(Черкеска)'로도 많이 알려져 있다. [2] 5번째 사진의 전통의상을 입은 소년, 소녀들은 유대계 조지아인이라고 한다. 물론 일반적인 조지아인과 외형상의 차이와 의복의 차이는 없으며 오랜 세월 동안 동화되어 유대계라는 자각은 낮은 편이다. [3] 소수민족들 포함할 경우 약 370여만명. [4] 하지만 아르메니아인들과 다르게 조지아 인구 절반 가까이가 페르시아와 오스만 제국의 통치 기간 동안 이슬람으로 개종했던 역사가 있다. 물론 대개는 겉으로만 개종한 거지만. [5] 조지아에 거주하던 라즈인만 정교회로 개종하였기 때문에 튀르키예에 대다수가 거주하는 만큼 여전히 라즈인의 다수를 차지하는 신앙은 이슬람 수니파다. [6]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모두 이란과 붙어 있으며 조지아 역시 튀르키예와 붙어 있다. [7] 물론 2016년 조지아의 민주주의 지수를 보면 78위로 멕시코, 싱가포르 등보다도 아래에 있으므로 아직도 개선해야 할 점이 많기는 하다. [8] 다만 국민감정은 별로 좋지 못하다. [9] 간혹 지역 명칭 때문에 캅카스인들을 마치 모든 백인의 조상으로 보는 견해도 있는데 그건 엇나간 견해다. 조지아인의 조상은 신석기 시대 이후로 정착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주류 백인인 인도유럽어족의 기원인 얌나야인이 유럽에 정착한 건 약 5천년 전 밖에 안 된다. 게다가 이들이 쓰던 언어의 기원인 카르트벨리조어(Proto-Kartvelian language)도 인도유럽어와 상당한 영향을 주고 받은 건 맞지만 엄연히 독자언어다. [10] 스페인은 각각 금발 12%, 벽안 26%이며 포르투갈은 금발 9%, 벽안 22%인데 이것도 포르투 주변 북부 지역 때문에 올라간 것이고 포르투 이남 한정이면 훨씬 낮아진다. 심지어 벽안을 가진 인구 비율은 전형적으로 유럽 국가로 분류되는 포르투갈보다도 높다. # [11] 이란에도 조지아계 이란인이 존재한다. 이스파한 문서 참조 [12] 리제등 조지아와 가까운 튀르키예 북동부는 조지아계 민족들이 살기 때문에 외모가 비슷한 경우가 있다. [13] 다만 이게 1939년 Carleton Stevens Coon의 The Races of Europe, The White Race and the New World라는 책에서 나온 건데 정확하지도 않고 조사 방법도 문제가 있어 많은 비판을 받는 자료다. 주로 해외 웹에서 통용되므로 참고사항 정도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14] 하지만 역사적으로 합스부르크 왕조에 편입되었던 적이 있고 게르만 민족이 많이 유입되었던 스페인, 이탈리아보다는 낮은 편이다. 포르투갈과 가장 비슷한 편이다. [15] 비잔틴 양식을 기본으로 하지만 페르시아 건축에서 보이는 특징도 일부 건축물에서 발견된다. 유심히 보면 모스크를 정교회 성당으로 개조한 건물도 많다. [16] 중세 시기의 조지아 회화는 중동 지역에서 유행하던 세밀화의 영향이 보인다. [17] 반면 이웃나라 아르메니아인 여자들은 러시아인들의 시각 기준으로도 성문화가 개방적이라고 한다. [18] 이란 본국의 이슬람 근본주의에 질려서 일탈하려고 온 관광객들이 많다. [19] -제는 -아제(-აძე)나 -이제(-იძე), -슈빌리는 -아슈빌리(-აშვილი)나 -이슈빌리(-იშვილი)로 형태가 바뀌며 쓰인다. [20] 아자라인과 라즈인은 콜키스인의 후예라는 정체성을 어느 정도 지니고 있으며 아르고 호의 원정 이야기의 종착점으로 유명한 지역이다. 바투미의 광장에는 황금 양털을 쥔 이아손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21] 당시에는 러시아 제국의 쿠타이스 현이었다. [22] 대중에는 소련인 내지는 러시아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러시아 제국 시절 조지아 중부의 조지아계 가정에서 태어났으니 조지아인이다. 조지아식 이름은 이오세브 베사리오니스 제 주가슈빌리. 다만 혈통적으로는 조지아인이나 정체성은 러시아 민족주의자에 가까웠다. [23] UFC 페더급 챔피언. 조지아 - 독일 - 스페인 3중국적을 보유한 다소 특이한 경우다. 독일 태생에 현재 스페인에 거주 중이지만 패디 핌블렛 남오세티야 전쟁 드립에 발끈해 백스테이지에서 주먹을 휘두르는 등 조지아인으로서의 아이덴티티가 강한 편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