作 지을 작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人,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7획
|
||||
중학교
|
준6급
|
||||||
-
|
|||||||
일본어 음독
|
サク, サ
|
||||||
일본어 훈독
|
つく-る
|
||||||
-
|
|||||||
표준 중국어
|
zuō, zuò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作은 '지을 작'이라는 한자로, '짓다'를 뜻한다.2. 상세
乍 | ||
갑골문 | 금문 | 소전 |
유니코드에는 U+4F5C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OHS(人竹尸)로 입력한다.
무언가를 만든다는 뜻의 한자. 원래 乍가 본자(本字)로서 장인(匠人)이 날붙이를 써서 깎고 새겨 기물을 만드는 것을 의미하는 자였으나, 乍가 '잠깐'이라는 부사로 사용되기 시작한 이후 뜻을 구별하기 위해 人을 덧붙여 作으로 쓰게 되었다.
作자를 이체자인 𠈨의 형태로 쓰기도 한다. 乍의 마지막 3획도 'ㅑ'가 아닌 'k'로 썼다. 60년대 시사영어학원의 신문 광고의 "英作(영작)이 어렵다고요?"의 作의 모양이 눈에 띈다.
이 광고에는 특이하거나 잘못 쓰인 한자가 많다. 위에서 3번째 줄에 文昌淳·金亨変 共抯로 되어 있는데, 変은 燮(섭)의 한국식 약자인 变[1]의 잘못이고, 抯는 擔(담)의 약자인 担의 잘못이다. 6번째 줄 洋裝에서 裝의 아래 衣부분이 ㅈㅈ으로 된 것과 駱山社에서의 山은 전서의 형태를 따온 것이다.
일본어 독음은 さく, さ 두 가지가 있는데, 대부분 さく로 읽으나 가끔 さ로 읽는 경우가 나온다.[2] 造作으로 쓰는 '조작'은 일본어 발음이 ぞうさく인데, 操作은 そうさく[3]가 아닌 そうさ이므로 주의. 이처럼 さ로 읽는 단어에는 動作(どうさ, 동작), 作業(さぎょう, 작업), 作動(さどう, 작동), 作用(さよう, 작용), 発作(ほっさ, 발작) 따위가 있다.
3. 용례
3.1. 단어
- 걸작( 傑作)
- 경작( 耕作)
- 공작( 工作)
- 농작물( 農作 物)
- 대작( 大作)
- 대표작( 代 表作)
- 도작( 稻作)
- 동작( 動作)
- 문제작( 問 題作)
- 반작( 反作)
- 발작( 發作)
- 본작( 本作)
- 소작( 小作)
- 수작( 秀作)
- 습작( 習作)
- 시작( 始作)
- 실패작( 失 敗作)
- 연작( 聯作)
- 원작( 原作)
- 위작( 僞作)
- 이모작( 二 毛作)
- 일모작( 一 毛作)
- 자작( 自作)
- 자작곡( 自作 曲)
- 자작농( 自作 農)
- 자작령( 自作 嶺)
- 자작시( 自作 詩)
- 자작업( 自作 業)
- 자작일촌( 自作 一 村)
- 자작자( 自作 者)
- 자작자연( 自作 自 演)
- 자작자활( 自作 自 活)
- 자작지( 自作 地)
- 자작판( 自作 板)
- 작가(作 家)
- 작곡(作 曲)
- 작당(作 黨)
- 작도(作 圖)
- 작동(作 動)
- 작명(作 名)
- 작문(作 文)
- 작물(作 物)
- 작법(作 法)
- 작별(作 別)
- 작사(作 詞)
- 작성(作 成)
- 작심(作 心)
- 작업(作 業)
- 작용(作 用)
- 간섭작용( 干 涉作 用)
- 감광작용( 感 光作 用)
- 개념작용( 槪 念作 用)
- 광염작용( 鑛 染作 用)
- 교대작용( 交 代作 用)
- 교호작용( 交 互作 用)
- 권력작용( 權 力作 用)
- 근접작용( 近 接作 用)
- 기성작용( 氣 成作 用)
- 기준화작용( 基 準 化作 用)
- 길항작용( 拮 抗作 用)
- 내포작용( 內 胞作 用)
- 대상작용( 代 償作 用)
- 대양화작용( 大 洋 化作 用)
- 대항작용( 對 抗作 用)
- 동결작용( 凍 結作 用)
- 동력변질작용( 動 力 變 質作 用)
- 동화작용( 同 化作 用)
- 매달작용( 媒 達作 用)
- 물리작용( 物 理作 用)
- 반대작용( 反 對作 用)
- 반사작용( 反 射作 用)
- 반작용( 反作 用)
- 발산작용( 發 散作 用)
- 발진작용( 發 振作 用)
- 변성작용( 變 成作 用)
- 광역변성작용( 廣 域 變 成作 用)
- 기성변성작용( 氣 成 變 成作 用)
- 동력변성작용( 動 力 變 成作 用)
- 열변성작용( 熱 變 成作 用)
- 자형변성작용( 自 形 變 成作 用)
- 접촉변성작용( 接 觸 變 成作 用)
- 보상작용( 補 償作 用)
- 복수작용( 復 水作 用)
- 부작용( 副作 用)
- 부패 작용( 腐 敗 作 用)
- 빙하작용( 氷 河作 用)
- 삭마작용( 削 磨作 用)
- 삭박작용( 削 剝作 用)
- 삼투작용( 渗 透作 用)
- 상승작용( 相 乘作 用)
- 상호작용( 相 互作 用)
- 생리작용( 生 理作 用)
- 석화작용( 石 化作 用)
- 설식작용( 雪 蝕作 用)
- 소기작용( 掃 氣作 用)
- 소화작용( 消 化作 用)
- 수격작용( 水 擊作 用)
- 수화작용( 水 化作 用)
- 식균작용( 食 菌作 用)
- 식세포작용( 食 細 胞作 用)
- 식작용( 食作 用)
- 역작용( 逆作 用)
- 열수작용( 熱 水作 用)
- 완충작용( 緩 衝作 用)
- 음세포작용( 飮 細 胞作 用)
- 이뇨작용( 利 尿作 用)
- 이화작용( 異 化作 用)
- 자변성작용( 自 變 性作 用)
- 자연작용제일설( 自 然作 用 第 一 說)
- 자정 작용( 自 淨 作 用)
- 작용구(作 用 球)
- 작용기(作 用 基)
- 작용량(作 用 量)
- 작용력(作 用 力)
- 작용면(作 用 面)
- 작용물질(作 用 物 質)
- 작용선(作 用 線)
- 작용설(作 用 說)
- 작용소(作 用 素)
- 작용심리학(作 用 心 理 學)
- 작용인(作 用 因)
- 작용점(作 用 點)
- 작용제(作 用 劑)
- 접촉작용( 接 觸作 用)
- 정균작용( 靜 菌作 用)
- 정류작용( 整 流作 用)
- 정변성작용( 靜 變 性作 用)
- 조륙작용( 造 陸作 用)
- 조산작용( 造 山作 用)
- 증산 작용( 蒸 散 作 用)
- 촉매작용( 觸 媒作 用)
- 침식작용( 浸 蝕作 用)
- 타감작용( 他 感作 用)
- 탄산염화작용( 炭 酸 鹽 化作 用)
- 탄화작용( 炭 化作 用)
- 탈수소작용( 脫 水 素作 用)
- 통발작용( 通 發作 用)
- 포식작용( 捕 食作 用)
- 풍화작용( 風 化作 用)
- 하각작용( 下 刻作 用)
- 항생작용( 抗 生作 用)
- 해당작용( 解 糖作 用)
- 행정작용( 行 政作 用)
- 혼성작용( 混 成作 用)
- 화산작용( 火 山作 用)
- 화성작용( 火 成作 用)
- 화학 작용( 化 學 作 用)
- 작위(作 爲)
- 작의(作 意)
- 작전(作 戰/作 錢)
- 작정(作 定)
- 작태(作 態)
- 작품(作 品)
- 저작( 著作)
- 저작가( 著作 家)
- 저작권( 著作 權)
- 만국저작권조약( 萬 國 著作 權 條 約)
- 만국저작권보호동맹조약( 萬 國 著作 權 保 護 同 盟 條 約)
- 저작권료( 著作 權 料)
- 저작권법( 著作 權 法)
- 저작권자( 著作 權 者)
- 저작권 침해( 著作 權 侵 害)
- 저작랑( 著作 郞)
- 저작물( 著作 物)
- 저작자( 著作 者)
- 전교저작( 典 校 著作)
- 제작( 製作)
- 조작( 操作/ 造作)
- 졸작( 拙作)
- 진작( 振作)
- 창작( 創作)
- 처녀작( 處 女作)
- 타작( 打作)
- 풍작( 豊作)
- 합작( 合作)
- 화작( 化作)
- 회심작( 會 心作)
- 흉작( 凶作)
3.2. 고사성어/ 숙어
- 마부작침( 磨 斧作 針/ 磨 斧作 鍼)
- 마철저욕작침( 磨 鐵 杵 欲作 針)
- 명문대작( 名 文 大作)
- 무호동중리작호( 無 虎 洞 中 狸作 虎)
- 분수작별( 分 手作 別)
- 수처작주( 隨 處作 主)
- 숙작외도( 宿作 外 道)
- 유소작위( 有 所作 爲)
- 이신작칙( 以 身作 則)
- 자작얼( 自作 孼)
- 자작자급( 自作 自 給)
- 자작자수( 自作 自 受)
- 자작자필( 自作 自 筆)
- 자작지얼( 自作 之 孼)
- 작광작성(作 狂作 聖)
- 작법자폐(作 法 自 斃)
- 작심삼일(作 心 三 日)
- 작용(作 俑)
- 작의형제(作 義 兄 弟)
- 작지불이(作 之 不 已)
- 작지서지(作 之 書 之)
- 주작부언( 做作 浮 言)
- 천작지합( 天作 之 合)
3.3. 인명
- 고촉통( 吳作 棟)
- 나가사쿠 히로미( 永作 博 美)
- 마츠다 슌사쿠( 松 田 旬作)
- 미마사카 스바루( 美作 昴)
- 사쿠나미 카레라(作 並 カレラ)
- 사토 에이사쿠( 佐 藤 栄作): 일본의 총리.
- 세고에 켄사쿠( 瀨 越 憲作): 조훈현의 스승
- 야하기 호노카( 矢作 穂 香): 일본의 배우
- 오다 사쿠노스케( 織 田 作 之 助)
- 우무작지( 禹 無作 只): 조선 시대의 과거급제자 중 한 명.
- 야라 유사쿠( 屋 良 有作)
- 작제건(作 帝 建): 고려 의조[4]
- 장쭤린( 張作 霖)
- 푸쭤이( 傅作 义)
- 후카사쿠 킨지( 深作 欣 二)
- 히시즈쿠리 하무로( 菱作 はむろ)
3.4. 지명
- 한국
-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국토정중앙면 가오작리( 佳 伍作 里)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문막읍 작달막길(作 達 幕길)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부론면 서작길( 西作길)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지정면 자작길)( 自作길)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인제읍 오작로( 五作 路)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촌면 수작골길( 水作골길)
-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자작리( 自作 里)
- 경기도 포천시 자작동( 自作 洞)
- 경기도 포천시 자작로( 自作 路)
- 경상남도 사천시 곤명면 작팔길(作 八길)
-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작내리(作 乃 里)
-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작내로(作 乃 路)
- 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 자작정길( 自作 亭길)
-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 작승길(作 承길), 작승리(作 承 里)
-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대이작로( 大 伊作 路), 소이작로( 小 伊作 路), 이작리( 伊作 里)
-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예작도길( 禮作 島길)
-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가작길( 加作길)
- 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손불가작길( 孫 佛 佳作길)
-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가작길( 佳作길)
- 전라남도 함평군 해보면 가작동길( 佳作 洞길)
-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도작로( 稻作 路)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염작리( 念作 里)
- 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 한석천작로( 閑 石 千作 路)
- 충청북도 제천시 자작동( 自作 洞)
- 일본
3.5. 창작물
3.6. 기타
4. 이체자
- 㑅(U+3445)
- 𠆯[⿰亻川](U+201AF)
- 𠈨[⿰亻⿱乍一](U+20228)
- 𢼎[⿰乍攴](U+22F0E)
5. 유의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砟(빗돌 사)
- 詐(속일 사)
- 咋(잠깐 사)
- 齚(물 색)
- 泎(물떨어지는소리 색)
- 鮓(생선젓 자)
- 鈼(가마솥 작)
- 岞(높을 작)
- 柞(떡갈나무 작)
- 飵(먹을 작)
- 秨(벼흔들리는모양 작)
- 怍(부끄러워할 작)
- 𢂃[⿰巾乍](붉은종이 작)
- 㸲(산의소 작)
- 䋏(새끼줄 작)
- 妰(얌전할 작)
- 昨(어제 작)
- 䝫(재물 작)
- 𥹁[⿰巾乍](정백미 작)
- 𢓓[⿰彳乍](지을 작)[5]
- 炸(터질 작)
- 䩆(늙을 잔)
- 𧲮[⿰豸乍](발없는짐승 잔)
- 拃(쥐어짤 잔)
- 阼(동편섬돌 조)
- 䟭(동편층계/뛸 조, 빨리넘는모양 부)
- 祚/ 𧙓[⿰衤乍](복 조)
- 胙(제육 조)
- 𠹨[⿰⿱⺈𡰪乍]/ 𣧫[⿰歹乍](죽을 조)[A]
- 𨋘[⿰車乍](차열하는형벌 차)
- 蚱(메뚜기 책, 해파리 차)
- 舴(작은배 책)
- 酢(초 초, 술권할 작)
- 𩢐[⿰馬乍](낙타 탁)[7]
- 𧯤[⿰豆乍](두)
- 𦥬[⿰臼乍](작)
- 𪌟[⿰麥乍](책)
- 𠖽[⿰冫乍]
- 𱐗[⿰刀乍]
- 𠔫[⿰其乍]
- 𭎌[⿰土乍]
- 𮒏[⿰落乍]
- 𬍚[⿰⺩乍]
- 𥅁[⿰目乍]
- 𱰻[⿰畏乍]
- 𰭭[⿰耑乍]
- 𧣝[⿰角乍]
- 𱀈[⿰阜乍]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𨁔[⿰𧾷作](뛸 도)[8]
- 𧧻[⿰言作](부끄러운말 사/자/작)
- 宱(너그러울 자)
- 𤶙[⿸疒作](중할 자)[9]
- 筰(대새끼 작)
- 㤰(부끄러울 작)
- 莋(풀먹을 작)
- 𣨐[⿰歹作](죽을 조)[A]
- 𨴰[⿵門作](부처이름 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