兄 형 형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儿, 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5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ケイ, (キョウ)
|
||||||
일본어 훈독
|
あに, せ, え
|
||||||
-
|
|||||||
표준 중국어
|
xiō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兄은 '형 형'이라는 한자로, ' 형(兄)', '맏' 등을 뜻한다. 그래서 '맏 형'이라고도 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형 |
음 | 형 | |
중국어 | 표준어 | xiōng |
광동어 | hing1 | |
객가어 | hiûng | |
민북어 | hé̤ng[文] / hiáng[白] | |
민동어 | hĭng[文] / hiăng[白] | |
민남어 | heng[文] / hiaⁿ [白] | |
오어 | xion (T1) | |
일본어 | 음독 | ケイ, (キョウ) |
훈독 |
あに, あに-い, え, このかみ, しゅうと, せ, にい-さん |
|
베트남어 | huynh |
유니코드에는 U+5144에 배정되어 있다.
회의자로, 口(입 구)와 儿(어진 사람 인)이 합쳐진 글자이다. 입을 쓰는 사람, 형은 아우나 누이를 지도(指導)하는 데서 형의 뜻으로 삼았다.
주나라에서는 형을 뜻하는 글자로 昆(맏 곤)을 사용했으나, 곧 兄에 밀려 昆弟와 같은 합성어로만 사용되었다. 당나라 시대부터 형을 뜻하는 일상어로는 哥(노래 가)가 兄을 대체하게 되었는데, 이 哥라는 글자는 원래 선진시대 때만 해도 '노래하다'라는 뜻이었으나 오호십육국 시대 및 위진남북조 시대 선비어인 阿幹(아간) 혹은 阿哥(아가)[7]가 한족들 사이에서 널리 퍼지면서 아예 중국어 어휘로 정착했다.[8]
서남 방언에서는 '형'을 '성'이라고 발음 하기도 한다. 동남 방언에서는 '시아, 히야, 세이'라고 하기도 한다. 나아가 형님은 방언으로는 성님, 행님으로도 쓰이고 더 줄인 '햄'이란 말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兄의 한국어 독음인 형에 대한 논의가 있는데, 미국의 언어학자인 알렉산더 보빈에 따르면 고대 한국어에는 형을 가리키는 고유어인 *se(세/서)가 있었다고 추정했고,[9] 서남 방언의 '성'이나, 동남 방언의 '시야, 히야, 세이'는 이 고유어 어휘의 흔적이라고 보았다. 그러다 이것이 우연히 兄의 상고 혹은 중고중국어 독음과 비슷해 혼용되어 쓰이다 나중에는 훈음에 해당하는 *se가 중국어 유래 독음을 완전히 대체하고 이후 형으로 발전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兄의 발음이 중국어 독음을 그대로 받아들였다면 凶, 胸 등처럼 '흉'으로 발전했어야 했다고 한다. 현대 표준 중국어로는 세 글자의 독음이 모두 슝(xiōng)으로 같다.
모양자로 쓰이는 경우로는 祝(빌 축), 況(상황 황) 등이 있다.
3. 용례
3.1. 단어
- 형(兄)
- 대형( 大兄)
- 매형( 妹兄)
- 부형( 父兄)
- 사형( 師兄)
- 아형( 阿兄/ 雅兄)
- 인형( 仁兄/ 姻兄)
- 처형( 妻兄)
- 형부(兄 夫)
- 형제(兄 弟)
- 일본의 10간 - 일본에서 천간( 십간)은 키노에( 갑), 키노토( 을), 히노에( 병), 히노토( 정), 츠치노에( 무), 츠치노토( 기), 카노에( 경), 카노토( 신), 미즈노에( 임), 미즈노토( 계)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중 키노에, 히노에, 츠치노에, 카노에, 미즈노에의 '에'는 兄을 뜻한다.[10]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 めだかの兄妹( 송사리 남매)
- 兄が妹で妹が兄で。( 오빠가 여동생이고 여동생이 오빠고)
- 天麩羅兄弟
3.6.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 弟(아우 제)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文]
문독
[白]
백독
[文]
[白]
[文]
[白]
[7]
당시의 추정 발음은 /*aqan/ 혹은 /*aqa/이다.
몽골어 Ахаа(아하),
만주어 age(아거)와도 동계어이다.
[8]
이 단어는 '아버지'를 뜻하기도 했다. 당시 북방 민족들 사이에서는
형사취수제 등의 문화가 상당히 널리 퍼져 있었는데, 이때 동생이 아닌 아들이 서모를 아내로 맞이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 경우 서모의 아들 입장에서는 형이던 사람이 아버지가 되는데, 호칭은 똑같이 '아가'라고 부른 것이다. 이 호칭은 한화된 선비족 지배층은 물론 그들의 문화에 어느정도 영향을 받은
당나라 황실에서도 그대로 남아 점차 일상어로 정착한 것이다. 단, 아무리 지배층의 문화가 그랬다지만 유교적 생활방식이 몸에 밴 한족들에게는
개족보나 다름없는 풍습이었기 때문에, 유교적 호칭인 兄과는 구분되는 친족 호칭으로써 哥를 계속 유지할 필요가 있었던 것도 이 단어가 오래 살아남은 원인 중 하나로 보인다.
[9]
고대 일본어에서 兄의 훈음으로 현대에는 안 쓰이는 세(せ)가 있는데 이를 고대 한국어의 영향에 따른 흔적으로 보았다.
[10]
즉 나무의 형, 불의 형, 흙의 형, 금(금속)의 형, 물의 형이라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