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스포츠에서 선수와 감독 직책을 모두 겸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 영어로는 해당 종목의 감독을 매니저라고 부르는지 헤드코치라 부르는지에 따라 플레잉 매니저(Playing Manager), 혹은 플레잉 코치(Playing Coach).보통 프로스포츠 구단에서는 선수와 코치, 감독으로 역할이 세분화되어 있는 게 보통이다. 하지만, 드물게도 고참 선수들 중 코치와 선수 역할을 병행하는 플레잉 코치가 생길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도 가장 드문 사례로 선수단을 지휘하는 역할을 맡는 감독이 직접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 역할까지 겸해가며 활약을 펼치는, 선수 겸 감독이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대체로 프로스포츠에서는 시즌 종료 후 감독직이 비어 있을 시 마땅한 선택지가 없을 경우, 선수단 사이에서 인망이 높은 선수를 감독으로 선출하는 게 일반적이다. 아마추어 스포츠에서는 명감독을 영입하기에는 자본이 부족하거나 스포츠단의 투자 부족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스포츠 업계와 관련 없는 인물을 감독으로 고용하거나 감독을 바지사장으로 두고 한 선수가 감독을 대신해서 선수단을 통솔하는 케이스도 있다.
옛날에는 선수층이 얇고 감독감도 적어서, 가장 유서깊은 프로스포츠 리그 중 하나인 메이저리그 베이스볼에서는 선수 겸 감독이 월드시리즈 우승까지 하는 경우도 1901년 이후 5번 있었다.[1] 가장 최근의 경우는 1948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의 유격수 겸 감독 루 보드로[2][3]이다.
그러나 현대에는 선수 겸 감독으로 성공을 거둔 사례는 거의 없다시피하다. 수많은 유망주들 중에서 선수로서의 자질이 있는 몇몇 선수만이 프로에서 살아남는 게 프로스포츠의 법칙인데, 더욱이 명선수의 조건에 부합하는 뛰어난 운동신경과 자기관리, 그리고 명감독의 조건에 부합하는 선수단 통솔 능력이나 작전 수행능력 등을 모두 갖추는 선수는 좀처럼 나오기 힘들기 때문이다. 그 예로 KBO 리그만 해도 선수 겸 감독은 프로 원년 MBC 청룡을 지휘했던 백인천이 유일무이한 사례이며, 일본프로야구에서 조차 선수 겸 감독으로 양쪽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둔 인물은 난카이 호크스의 노무라 카츠야 말고는[4] 전혀 없다시피하다. 20세기에는 스포츠 의학 없이 주먹구구식으로 선수들을 관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선수 겸 감독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으나, 스포츠 의학과 각종 훈련, 분석기법이 고도로 발달된 21세기로 가면서 선수, 코치, 감독 외에도 트레이너라든가, 전력분석원 같은 프로스포츠와 관련된 직업들이 속속 등장하면서 운동능력과 판단력 두 가지를 모두 신경써야 하는 선수 겸 감독은 갈수록 사라져 가는 게 현실이다.
물론 동호회 수준으로 가면 아직도 있으며, 나름 전문화된 팀의 경우 코치 겸 선수, 트레이너 겸 선수도 있다. 아마추어 대회에서 좋은 기량을 보이기 위해 훈련한다는 명목도 있지만 본질적인 목적은 서로 즐기기 위해서이기 때문이다. 프로처럼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 쪽이 될까말까한 수준이 아니기 때문에 평소에는 트레이너나 감독을 하다가 경기 당일에는 경기에 출전하면 그게 선수 겸 감독이 되는 것이고, 프로처럼 성적에 목 매는 것도 아니고 다들 다른 직업에 종사하면서 취미로 즐기는 것인데다가 선수 풀이 넓은 것도 아닌데더 설렁 넓다고 하더라도 같이 운동함으로써 사교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감독이 직접 출전한다고 해서 문제될 것도 없다. 오히려 사교를 위해서 감독이 직접 출전함을 권장하는 분위기도 한 몫 한다. 보통 감독을 맡을 정도로 능력이 있는 사람이라면 경기도 잘 뛴다. 그래서 생활체육에서는 선수 겸 감독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2020년대에 들어 K리그의 경우 적격의 인물 중 지도자 생각이 있는 이들이, 지도자 연수도 받으면서 선수 생활도 마무리할 겸 시작하는, 일종의 지도자 견습 단계로 변하고 있다. 물론 K리그도 자체적인 지도자 준비과정이 잘 되어 있지만 이론밖에 못 가르치기 때문으로, 애초에 이런 경우에는 지도자 면허를[5] 따 놓은 경우도 있으며 특히 염기훈의 경우 플레잉 코치를 하기 전인 2020년에 A급을 취득했다.
2. 실존하는 선수 겸 감독
이름 - 선수 겸 감독으로 재직했던 팀(재직년도) 순으로 기재바란다.2.1. 야구
- 타이 콥 -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1921~1926)
- 미키 코크런 -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1934~1937)
- 마츠키 켄지로 - 오사카 타이거즈 (1940~1941, 1950)
- 루 보드로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42~1950)
- 후지모토 히데오 - 요미우리 자이언츠 (1944, 1946)
- 츠루오카 카즈토 - 난카이 호크스 (1946~1952)
- 벳토 카오루 - 마이니치 오리온즈 (1954~1957)
- 나카니시 후토시 - 니시테츠 라이온즈 (1962~1969)
- 무라야마 미노루 - 한신 타이거스 (1970~1972)
- 프랭크 로빈슨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75~1976)[6]
- 노무라 카츠야 - 난카이 호크스 (1970~1977)
- 피트 로즈 - 신시내티 레즈 (1984~1986)[7]
- 백인천 - MBC 청룡 (1982~1983)[8]
- 후루타 아츠야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2006~2007)
- 다니시게 모토노부 - 주니치 드래곤즈 (2014~2015)
- 구대성 - 질롱 코리아 (2018~2019)
2.2. 축구
- 가레스 사우스게이트 - 미들즈브러 FC (2006~2007)[9]
- 귄뒤즈 클르츠 - 갈라타사라이 SK(1952~1953)
- 그레이엄 수네스 - 레인저스 FC (1986~1991)
- 글렌 호들 - 스윈던 타운 FC(1991~1993), 첼시 FC (1993~1996)
- 기예르모 고로스티사 - 로그로녜스(1948~1949)
- 김판곤 - 홍콩 레인저스 FC(2003~2004)
- 네쿠 - SC 코린치안스(1920, 1927)
- 뉘마 앙드와 - FC 앙티브(1945~1946)
- 니콜라 아넬카 - 상하이 선화(2012~2013), 뭄바이 시티 FC(2015)
- 다고베르토 몰 - 알바세테 발롬피에(1961~1962)
- 돈 레비 : 리즈 유나이티드 FC (1961~1962)
- 라몬 무티스 - 알마그로(1937)
- 라이언 긱스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2014)[10]
- 라인홀트 뮌첸베르크 - 알레마니아 아헨 (1946~1949, 1950)
- 레오폴트 킬홀츠 - 스타드 드 랭스 (1936~1937)
- 렌초 데베키 - 제노아 CFC (1927~1929)
- 로리 스콧 - 크리스탈 팰리스 FC(1951~1951)
- 로버트 밀라 - 인디애나 플로어링, 뉴욕 내셔널스(1925-1928)
- 로제 쿠르투아 - AS 트루아사비니엔 (1952-1957)
- 루돌프 겔레슈 - 아인트라흐트 트리어(1950-1951)
- 루돌프 웨트체르 - ILSA 티미쇼아라(1934-1936), 로빈 그리비차 크라요바(1936-1937), 엘렉트리카 티미쇼아라(1937-1939)
- 루드 굴리트 - 첼시 FC(1996~1998)
- 루이 가브리야르게 - 님 올랭피크(1942~1943, 1944~1946)
- 루이스 레게이로 - 클루브 아메리카(1942~1944)
- 루이스 몰로니 - UD 라스팔마스(1957~1958)
- 루이지 베르톨리니 - 라팔로(1937~1940)
- 루이지 알레만디 - SS 라치오(1939)
- 루트비히 골트브루너 - FC 바이에른 뮌헨(1938-1943), TSV 1860 뮌헨(1945-1946)
- 뤽 홀츠 - FC 에첼라 에텔브루크(1998-2008)
- 르네 바더 - FC 바젤(1952~1955)
- 리카르도 카라펠레세 - 칼초 카타니아(1957), 테르나나 칼초(1961-1962)
- 마누엘 플레이타스 - 파라과이(1922~1929)
- 마르틴 마르쿨레타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1935)
- 마리안 스포이다 - 오스트로비아 오스트루프 비엘코폴스키(1930)
- 마리오 바를리엔 - 산레메세(1942~1943)
- 마리오 젠타 - FC 프라토(1946-1947), 비르투스 엔텔라(1950-1951)
- 마리오 페라촐로 - 브레시아 칼초(1946)
- 마티아스 신델라 - FK 아우스트리아 빈(1937~1938)
- 뱅상 콤파니 - RSC 안데를레흐트 (2019)[11]
- 베프 바크하위스 - FC 메스 (1945~1946)
- 빌리발트 크레스 - FSV 프랑크푸르트 (1947~1949)
- 샤퍼 얼프레드 - 아마추어 빈(1923~1925), AC 스파르타 프라하(1925~1926)
- 세르빌리우 - SC 코린치안스(1948)
- 세베리노 미넬리 - FC 취리히(1943~1946)
- 세사르 로드리게스 - 엘체 CF(1959~1960)
- 수네 안데르손 - IFK 에스킬스투나(1956-1958), 칼마르 FF(1959-1961), 핀스퐁스 AIK(1962-1963), 쇠데르탤리에 SK(1964-1967), 하가룬스 IS(1968-1971)
- 슈테판 도바이 - 플라커라 메디아슈 (1945~1948)
- 슈테판 아우어 - 라피드 부쿠레슈티 (1937~1939)
- 아돌포 페데르네라 - 미요나리오스 FC(1951~1953)
- 아미우카르 바르부이 - SS 라치오(1931-1932)
- 아메데오 비아바티 - 이몰레제 칼초 1919(1949-1950), AC 마젠타(1950-1951), 만두리아 (1951-1952), AC 시타 디카스텔로(1952-1953), 몰페타 스포르티바 1917(1953-1954), AC 벨루노 1905(1954-1955)
- 아스비에른 할보르센 - 함부르크 SV(1933)
- 아틸리오 데마리아 - AC 레냐노(1945-1946), 코센차 칼초(1946-1948)
- 안드레아스 쿠퍼 - 1. FC 슈바인푸르트 05(1947-1949), 1. FC 슈바인푸르트 05(1951-1953)
- 안젤로 스키아비오 - 볼로냐 FC 1909(1933-1934)
- 알레산드로 프리제리오 - FC 키아소(1947-1948)
- 알빈 키칭거 - 1. FC 슈바인푸르트 05(1941-1946)
- 알프레드 아스통 - CA 파리(1948-1949), CS 퐁텐느블뢰 (1949-1950), AC 앙브와즈 (1950-1951), 투르 FC (1951-1956)
- 앙드레 아베글렁 - FC 소쇼몽벨리아르(1936), 세르베트 FC(1937-1942), FC 라쇼드퐁(1942-1944)
- 앨런 커비쉴리 - 찰턴 애슬레틱 FC(1991~1993)[12]
- 야코프 슈트라이틀레 - FC 바이에른 뮌헨(1954~1955)
- 에드몽 델푸르 - FC 루앙(1940-1945), 레드 스타 파리(1945-1946)
- 에드문트 코넨 - 슈투트가르트 키커스(1950), FC 영 펠로우스 취리히(1950~1952)
- 에른스트 알브레흐트
- 에른스트 후프슈미트 - FC 바젤(1947~1950)
- 에티엔 마틀레르 - FC 소쇼(1944~1946)
- 엣하르 다비츠 - 바넷 FC(2012~2014)
- 염기훈 - 수원 삼성 블루윙즈(2023)[13]
- 오라시오 카사린 - 아틀레티코 사파텍(1951~1952), 멕시코 대표팀(1953)
- 오스발도 파토리 - 브레시아 칼초(1955~1959)
- 오스카르 에세레 - 올랭피크 리옹(1950~1952)
- 옵둘리오 바렐라 - CA 페냐롤(1955)
- 요제프 가우헬 - TuS 노이엔도르프(1946-1948)
- 요제프 라셀른베르크 - 아인트라흐트 바트 크라인츠나힘(1950~1956)
- 요제프 비찬 - SK 슬라비아 프라하(1954~1955)
- 요제프 실니 - 하나츠카 슬라비아 크로메르지시(1935-1940)
- 요제프 우리딜 - AS 바리(1929~1930)
- 요제프 코슈탈레크 - 스파르타 포바주스카 비스트리카(1945-1946), SK 라코브니크(1946-1951)
- 웨인 루니 - 더비 카운티 FC(2020~2021)[14]
- 윌리 왓슨 - 핼리팩스 타운 AFC(1954-1956)
- 윌리암 마르티네스 - 아틀레티코 후니오르(1967), CA 페닉스(1969-1970), 센트랄 에스파뇰(1970)
- 유제프 카우자 - KS 크라코비아(1927-1928)
- 율리우 바라트키 - FC 라피드 부쿠레슈티(1941-1945), 리베르타테아 오라데아(1946-1947), CS 터르구 무레슈(1947-1948)
- 이그나시오 에이사기레 - CA 오사수나(1959~1960)
- 이르지 소보트카 -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1940-1941), FC 라쇼드퐁(1946-1951)
- 자이미 지아우메이다 - CR 플라멩구(1946, 1947, 1950)
- 자코모 마리 - US 크레모네세(1960~1961)
- 잔 클라선스 - R.A.E.C. Mons(1945-1946)
- 잔루카 비알리 - 첼시 FC(1998~1999)
- 재키 밀번 - 린필드 FC(1957~1960), 이유슬리 타운(1960~1962)
- 잭 롤리 - 플리머스 아가일 FC(1955~1957)
- 잭 프로갓 - 케터링 타운 FC(1958~1961)
- 젠겔레르 줄러 - 데포르티보 사마리오스(1951-1953)
- 조르주 보쿠르 - RC 랑스(1940-1942)
- 조제프 곤살레스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1942-1943, 1944), EF 마르세유프로벵스(1943-1944)
- 존 토샥 - 스완지 시티 AFC(1978~1984)
- 주세페 메아차 - 아탈란타 BC (1945~1946),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946~1947)
- 주세페 카반나 - 베네벤토 칼초 (1936~1937), 아베차노 (1945~1946)
- 쥘 반도렌 - 스타드 드 랭스(1941-1943), 아라고 스포르트 오를레앙(1943-1948), SM 캉(1949-1952)
- 쥘리앙 다리 - CO 루베투르쿠앙(1949-1952), 몽펠리에 HSC(1953-1954)
- 즐라트코 차이코브스키 - 하포엘 하이파 FC(1959-1960)
- 지노 콜라우시 - AC 티에네(1948-1949), 테르나나 칼초(1949-1950), SPD 타로스(1950-1951), 올비아 칼초(1951-1952)
- 지미 던 - 샴록 로버스 FC(1937-1942)
- 차초 -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1941-1942)
- 카를 라판 - 세르베트 FC(1931-1935)
- 카밀로 예루살렘 - FC 그렌첸(1951-1953)
- 케니 달글리시 - 리버풀 FC(1985~1990)
- 케빈 놀란 - 레이튼 오리엔트(2016), 노츠 카운티 FC(2017~2018)
- 코라니 러요시 - 로손치 AFC(1941-1943)
- 코후트 빌모시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1938-1939), 님 올랭피크(1939-1940), FC 앙티브(1945-1946)
- 콘 마틴 - 던도크 FC(1959~1960)
- 콘라트 하이트캄프 - FC 바이에른 뮌헨 (1943~1945)
- 클라우지우 - SC 코린치안스(1948, 1954, 1956)
- 테드 디치번 - 롬포드 FC(1959~1962)
- 토르스텐 린드베리 - IK 노르셰핑(1953)
- 티트코시 팔 - 키슈페슈티 AC(1941-1942, 1942-1943)
- 팅 - 올라리아(1947), 보타포구 FC(1947-1949), 아틀레티코 후니오르(1950-1951)
- 펠리체 보렐 - 유벤투스 FC (1942~1946), 알레산드리아 (1946~1948), SSC 나폴리 (1948~1949)
- 파울 지엘린스키 - SV 유니온 함본 (1946~1948)
- 페르난두 카브리타 - 포르티모넨스 SC(1959-1960)
- 페르낭 자카르 - FC 바젤(1937-1939), FC 로카르노(1939-1943), 세르베트 FC(1943-1945)
- 프란시스코 몰리나 - 코킴보 우니도(1963-1964)
- 플라비우 코스타 - CR 플라멩구(1934~1936)
- 피에로 파시나티 - US 크레모네세(1946-1947)
- 피에트로 라바 - 노바라 칼초(1951~1952)
- 피터 리드 - 맨체스터 시티 FC(1990-1993)
- 하오하이둥 - 다롄 스더(2004)
- 헨뤼 요한센 - 볼레렝아 포트발(1944)
- 호르헤 사르미엔토 - 알리안사 리마(1935~1936)
- 혼다 케이스케 - 단 이쪽은 프로선수 생활과 캄보디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겸한 것이지, 자신이 소속된 팀의 감독과 선수를 모두 했다는 의미가 아니다.
- 후안 노게스 - FC 바르셀로나(1942)
- 훌리오 리보나티 - 리미니 칼초(1937~1938)
2.3. 기타 종목
- 빌 러셀 - 보스턴 셀틱스(1966~1969)[15]
- 닉 키리오스 - 테니스 선수. 코치가 없으며 본인이 본인의 코치라는 발언을 한 적이 있다.
- 레니 윌킨스 - 시애틀 슈퍼소닉스(1970-1972),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1974-1975)
- 송병구[16] - 삼성 갤럭시 칸( 스타크래프트 2, 2014~2016)
- 강광배 - 2010 벤쿠버 동계올림픽 봅슬레이 프론트맨 겸 감독(2010)
- 이형섭 - FXO.KR( 스타크래프트 2, 2012 ~ 2013)
- 박상익 - oGs( 스타크래프트 2)
- 강근철 - PROPARTY( 발로란트), 2020.09~11)
- 김의수 - 제일제당 레이싱( 슈퍼레이스, 2016~2018, 2020~2020.09)
- 고바야시 카무이 - 토요타 가주 레이싱( WEC, 2022 ~ )
3. 창작물에서의 선수 겸 감독
- 슬램덩크 - 김수겸 : 창작물에서 가장 유명한 케이스. 로컬라이징 이름부터 선수 겸 감독에서 따왔다고 한다. 다만, 프로리그나 대학리그가 아닌 중고등학교 농구 스포츠 대회에서는 고문 교사가 '일반 교사'일 뿐이기 때문에 선수 겸 감독이 매우 흔할 수 있다. 작가가 그린 완결편 이후 후일담에서 수염을 기르는 모습을 보여줘 이후엔 좀 더 지도자 같은 비쥬얼을 가지게 되었다.
- 아이실드 21 - 히루마 요이치 : 감독, 코치, 트레이너를 혼자 다 하는 괴물이다.
- 쿠로코의 농구 - 하나미야 마코토
- 테니스의 왕자 - 타치바나 킷페이
- ONE OUTS - 토쿠치 토아 : 후반부부터,이쪽은 선수겸 구단주에 가깝지만 감독대신 감독역할도 한다.
- 전직고수 - 엽수
- 내일은 실험왕 - 에릭 우드
- 퍼펙트 게임(웹툰) - 김현수 : 블루 엔젤스의 감독이지만, 사람이 부족하면 선수로 뛰기도 한다.
- 퍼펙트 게임(웹툰) - 태달무 : 킹덤의 감독 겸 선수. 타격 랭킹권에 위치할 정도로 실력이 상당하다.
- 최강야구 - 김문호, 이택근, 정의윤 한정으로 유동적으로 편성
[1]
특히, 엔트리라는 개념 자체가 거의 없어서 1907년부터 1920년까지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의 감독이었던
휴이 제닝스의 경우, 정식 선수라 보기 어려움에도 대타로 9타석, 대수비로 1경기를 출장하기도 하였다.
[2]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의 마지막 우승이다.
2016년 월드시리즈에서 우승 찬스를 잡았으나 100년 넘게 우승을 못했던
시카고 컵스가
염소의 저주를 깨고 우승하는 데 기여하고 말았다.
[3]
이 공적으로 그는 영구결번까지 되었다. 더욱이 선수로서도 뛰어나서 리그 MVP까지 된, 우승 감독 겸 MVP라는 영원히 다시 나올 수 없는 기록을 세웠다.
[4]
그마저도 말년엔 구단과의 불화로 팀을 떠나
롯데 오리온즈,
세이부 라이온즈를 떠돌며 보내야 했다. 그리고 그가 떠난 호크스는
20자리 패스워드행
[5]
지도자는 License이므로 자격이 아니라 면허다.
[6]
메이저리그 최초의 흑인 감독
[7]
메이저리그 최후의 선수 겸 감독.
[8]
현재까지
KBO 리그 최초이자 최후의 선수 겸 감독. 심지어 백인천은 프로야구 원년에 타율 .412를 기록해 현재까지 KBO 리그 역사상 유일한 단일시즌 4할 타자로 남아있다.
[9]
이후 전임 감독으로 계약했다.
[10]
플레잉 코치 신분으로 있다가 13-14시즌 막바지에
데이비드 모예스 감독이 경질되면서 선수 겸 감독 대행으로 4경기를 지휘했다. 정식 감독은 아니지만 짧게나마 선수 겸 감독에 부합하는 역할을 했으므로 기재. 실제로 감독 대행으로 팀을 지휘하면서 본인이 직접 교체출전하기도 했다.
[11]
2019-20 시즌에 선수 겸 감독으로 부임했으나 시즌 초반에 팀이 부진하자 수석코치 사이먼 데이비스에게 감독직을 넘기고 전업 선수로 돌아갔다. 이후 데이비스 코치가 팀을 지휘하다가
프랑키 페르카우테런이 임시 감독으로 부임해 잔여 시즌을 이끌었고, 2020-21 시즌부터는 콩파니가 선수 은퇴 후 전업 감독으로 재부임했다.
[12]
1990년에는 선수로만/ 91년부터 93년까지 선수 겸 감독으로, 94년부턴 선수 은퇴 이후 감독으로 활약했다.
[13]
플레잉 코치 겸 감독대행. K리그 사상 최초.
[14]
이후 2021년 1월 15일부터 선수 은퇴후 전임 감독 취임
[15]
1968, 1969년에 선수 겸 감독으로 우승한 후 은퇴했다. 사상 최초의 흑인 감독이자 최초의 흑인 감독 우승자이기도 한데, 첫 시즌인 66-67시즌에만 당시 최고전력을 자랑하던 필라델피아와 라이벌 윌트 체임벌린에게 패했을 뿐, 그 다음해에는 같은 식서스에게 1승3패로 뒤지다가 역전해서 업셋, 그 다음해에도 압도적인 전력의 레이커스 (체임벌린이 여기로 이적했다)를 상대로 7차전 만에 원정에서 승리, 역사상 최초로 파이널 7차전에서 원정팀이 승리한 케이스를 만들었다. 여러모로 극적이었던 시절. 69년에 우승 후 러셀은 이전 우승과는 비교도 안된다며 눈물을 흘렸다.
[16]
공식 직함은 코치. 그러니까 플레잉 코치(선수 겸 코치)였다. 하지만 삼성 칸은
김가을 감독이 사임한 이후 감독직을 공석으로 두었고, 코치가 감독 역할을 수행했다. 김가을 감독 이후로는 오상택 코치가 감독 역할을 맡다가, 2014년 11월에 오상택 코치가 이탈한 뒤로는 송병구가 플레잉 코치로 전환되며 감독 역할까지 수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