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17:22:13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여자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파라과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풋살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파라과이 풋살 국가대표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or: #555"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파일:칠레 국기.svg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일:페루 국기.svg
우루과이
칠레
콜롬비아
파라과이
페루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파일: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Selección de fútbol de Paraguay
<colbgcolor=#e30613> FIFA 코드 PAR
축구 협회 파라과이 축구 협회
대륙 연맹 남미 축구 연맹
홈 경기장 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
(Estadio Defensores del Chaco / 42,354석)
별명 Albirroja (흰색-빨간색)
Los Guaraníes (과라니)
감독
[[아르헨티나|]][[틀:국기|]][[틀:국기|]] 구스타보 알파로 (Gustavo Alfaro)
주장단
C
구스타보 고메스 (Gustavo Gómez)
VC
미겔 알미론 (Miguel Almirón)
FIFA 랭킹 55위 (2024년 10월 24일 기준 / #)
Elo 랭킹 31위 (2024년 11월 16일 기준[1] / #)
공식 웹사이트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fff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30613> A매치 최다 출전 파울로 다 실바 (Paulo da Silva)
- 148경기 3골
A매치 최다 득점 로케 산타 크루즈 (Roque Santa Cruz)
- 112경기 / 32골
월드컵 최다 득점 넬슨 쿠에바스 (Nelson Cuevas)
- 2골 (2002, 2006)
첫 국제경기 출전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vs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1:5
( 파라과이 아순시온 / 1919년 3월 11일)
최다 점수차 승리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vs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7:0
( 브라질 리우 / 1949년 4월 30일)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vs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7:0
( 홍콩 / 2010년 11월 17일)
최다 점수차 패배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vs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0:6
( 칠레 산티아고 / 1926년 10월 20일)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fff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30613> 세계대회
월드컵 [진출] 8회
[최고] 8강[2] ( 2010)
올림픽 [진출] 2회
[최고]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 2004)
대륙대회
코파 아메리카 [진출] 36회
[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1953, 1979)
}}}}}}}}}}}} ||
유니폼 컬러 어웨이
상의
파일:푸마 로고 화이트.svg 파일: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

하의 10 19
양말

1. 개요2. 플레이 스타일3. 역사4. 특징과 근황5. 유니폼6. 역대 감독7.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8. 현재 선수 명단9. 역대전적
9.1. FIFA 월드컵9.2. 올림픽9.3.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9.3.1. 남아메리카 챔피언십9.3.2. 코파 아메리카
9.4. 대한민국과의 역대 전적
10. 연령별 대표팀11.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앤 레드(La Albirroja)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2. 플레이 스타일

장점은 강팀을 상대로도 철벽방어를 잘 이용해 무승부로 경기를 만드는 것이고 단점은 거꾸로 약팀을 상대로도 승리를 제대로 하지 못 하고 무승부로 만들어 버리는 것.

대체로 출중한 개인기를 바탕으로 기술 축구를 구사하는 남미에서 보기 드물게 늪 축구를 구사하는 나라이다. 공격력은 아예 완전히 맹탕 수준이라 그걸 알고 자신들이 잘하는 걸 더 날카롭게 연마하느라 수비력에 엄청나게 몰빵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팀은 그렇게나 무승부를 많이 한다. 실제로도 국제대회 전적을 보자면 승과 패를 합친 숫자와 무승부의 숫자가 비슷할 정도이다.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경우는 월드컵 우승 4번에 빛나는 이탈리아와 비겼으면서 축구 최악의 불모지인 오세아니아의 뉴질랜드와도 비겨버렸다. 그래도 슬로바키아 상대로 승리해서 이탈리아가 조 1위를 할거란 예상을 박살내고 조 1위로 16강 진출에 성공한다. 심지어, 16강에서는 일본과 비겨서 승부차기로 8강에 갔다.(8강 8위)

2011 코파 아메리카 아르헨티나의 경우는 모든 경기를 싹 비겨서 결승에 갔고 거기서 우루과이에게 0-3으로 털려 승리 하나 없이 준우승을 찍는 해괴한 이력을 보여줬다. 여담으로 토너먼트에 진출한 모든팀이 전부 파라과이 승점 5점보다 높다.

2019 코파 아메리카 브라질에서는 12강 조별리그에서 아르헨티나와 비긴 주제에 카타르와도 또 비겼고 8강 가서는 브라질과 비겨 승부차기를 했다. 이렇게 파라과이는 정말 비기기를 잘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3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3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3. 역사

파일: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 (2007~2010).svg
이전 로고 (~2014년)
1930년에 처음으로 FIFA 월드컵에 출전한 이래 7차례 진출한 바 있다. 코파 아메리카에서는 1953년과 1979년에 우승을 거둔 적이 있다. 2004 아테네 올림픽 축구 결승전에서 아르헨티나에 패해 은메달을 획득하였다.[3] 201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월드컵에서는 8강(8위)까지 진출하는 등 승승장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파라과이는 5전 1승 3무 1패를 기록하였다.

파라과이의 모델 라리사 리켈메가 파라과이가 4강가면 나체로 거리에 나간다고 해서 네티즌들의 주목을 끌었다. 하지만 스페인에 0-1로 패하고 탈락했다.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에는 1998~2010까지 연속 본선에 진출하긴 했지만 수난의 연속이었다. 1998년에는 스페인을 제치고 16강에 올라간 것은 좋았는데 아트사커로 명성을 날리던 프랑스와 너무 일찍 만나는 바람에 연장혈투까지 가서 쓰러졌고 2002년에는 자력진출을 못하고 카를레스 푸욜의 파라과이전 자책골 덕분에 골득실이 동률이 되었고 다득점에서 간발의 차이로 앞서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제치고 16강에 가서는 독일에게 털렸다. 2006년에는 잉글랜드를 상대로 카를로스 가마라의 어이없는 자책골로 인해 털리고 스웨덴전에서 융베리에게 극장골을 허용하는 바람에 승점에서 잉글랜드, 스웨덴에 밀려 조별리그에서 쓰러졌다.

주요 선수로는 FC 디나모 모스크바 파비안 발부에나,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미겔 알미론, 토리노 FC 안토니오 사나브리아, SE 파우메이라스 구스타보 고메스 등이 있다.

이러나 저러나 현재는 그냥 알미론 원맨팀이라는 평가를 받고있다. 물론 사나브리아도 볼만하지만 확실히 알미론이 없으면 게임이 안풀린다.

4. 특징과 근황

무승부와 꽤 많은 인연이 있는 팀이다.

2010 FIFA 월드컵 남아공에서는 이탈리아와 뉴질랜드라는 세계축구 최정상급 팀과 최하위급 팀을 상대로 모두 비기고 16강에서 일본을 상대로 승부차기까지 가서 일본의 실축으로 8강에 진출했다. 여기서 파라과이의 전적은 1승 3무 1패.

2011년 코파 아메리카에서 전 경기 무승부 결승에 진출했다. 그것도 브라질을 잡으며[4] 하지만 아쉽게도 우루과이와의 매치에서 패배. 준우승을 기록했다. 참고로 우루과이는 아르헨티나를 승부차기로 꺾고 올라왔다. 여기서 파라과이의 전적은 6전 5무 1패.

하지만 2014 브라질 예선 11경기에서 2승 2무 7패로 꼴찌로 추락했다. 에콰도르를 안방에서 2-1, 페루를 안방에서 1-0으로 이긴 것과 우루과이와 안방과 원정 모두 1-1로 비긴 거 빼고 죄다 졌는데 아르헨티나에게 1-3으로 진 거 말고도 페루, 베네수엘라, 볼리비아같이 해볼만한 팀들에게 연이어 졌다. 첫 1승 상대인 에콰도르에겐 원정에선 1-4로 단단히 설욕당했고 남은 5경기를 다 이긴다고 해도 다른 팀 경기여부를 봐야하지만 사실상 탈락한 셈. 현재 전적은 2승 2무 7패인데, 파라과이가 다 이기고 아르헨티나가 다 패해도 아르헨티나의 전적이 더 좋다. 아르헨티나는 7승 3무 1패. 결국 3승 3무 10패라는 참혹한 성적으로 남미 예선에서 꼴지를 기록하며 20년만에 월드컵에 진출하지 못하며 TV로 지켜보는 신세가 되었다. 다른 남미 국가들이 엄청난 실력 상승을 보이면서 아르헨티나, 브라질은 물론이고 콜롬비아와 우루과이까지 칠레를 제외하고는 전원 톱 시드를 휩쓸어버린 것을 보면 씁쓸할 것이다.

2015년 코파 아메리카에서는 조별리그에서 자메이카를 이긴 것과 4강에서 아르헨티나에게 학살당한 것을 제외한 모든 경기를 무승부로 장식했다. 8강 브라질전도 승부차기로 올라왔다. 여기서 파라과이의 전적은 5전 1승 3무 1패.

2019년 코파 아메리카에서 역시 콜롬비아에게 패한 것을 제외하면 싹 무승부를 달성했다. 첫 경기 카타르와 비기더니 두 번째 경기 아르헨티나와도 비겼다. 그렇게 8강에 올라 브라질을 상대로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주저앉았다. 여기서 파라과이의 전적은 4전 0승 3무 1패.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남미) 역시 2차전 베네수엘라전을 이긴 것을 제외하면 4차전까지 전부 비겼는데 그 비긴 팀 중에서 무려 아르헨티나가 포함되어 있다. 참고로 아르헨티나는 이 파라과이와 비긴 것을 제외하고 전부 이긴 상태이다. 하지만 이후에는 이겨야 할 경기를 비기고, 비겨야 할 경기는 지는 전형적인 약팀의 패턴을 보여주면서 자멸해, 결국 일찌감치 탈락이 확정되었다. 2010년 월드컵 8강을 찍은 이후 12년째 월드컵에 올라오지 못하고 있다.

2030 FIFA 월드컵 파라과이가 6개국 공동개최에 포함되어있어 개최국자격으로 본선진출이 확정되었다.

5. 유니폼

흰색-빨간색 줄무늬가 특징이다. 이 때문에 상대 팀의 홈/어웨이 유니폼이 빨간색이나 흰색이면 어웨이 유니폼을 입을 때가 많다. 크로아티아와는 달리 어웨이 유니폼 색이 흰색으로 나올 때도 많으며, 노란색, 파란색, 회색 등으로 나올 때도 있었다.

6.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0 -10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921년 ~ 현재
1대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라구나
2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플레이타스
3대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라구나
4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플레이타스
5대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라구나
6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곤살레스
7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플레이타스
8대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바르톨리
9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프레테스
10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라미레스
11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곤살레스
12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라테르자
13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모란
14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곤살레스
15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로메로
16대
파일:브라질 국기.svg 비에라
17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플레이타스
18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곤살레스
19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페르난데스
20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곤살레스
21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J. 로드리게스
22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라테르자
23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곤살레스
24대
파일:브라질 국기.svg 아마랄
25대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에차멘디
26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곤살레스
27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J. 로드리게스
28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R. 로드리게스
29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고메스
30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미란다
31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J. 로드리게스
32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R. 로드리게스
33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34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리베라
35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로디
36대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마네라
37대
파일:스페인 국기.svg 발데스
38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키에스
39대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마르카리안
40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솔랄린데
41대
파일:헝가리 국기.svg 쿠발라
42대
파일:브라질 국기.svg 카르페지아니
43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알메이다
44대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마르카리안
45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헤네스
46대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말디니
47대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루이스
48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아마리야
49대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마르티노
50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아르세
51대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펠루소
52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헤네스
53대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디아스
54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아르세
55대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모리니고
56대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오소리오
57대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베리소
58대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스켈로토
59대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가르네로
현직
60대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알파로
}}}}}} ||

7.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1a5a9f 10%, #e30613 10%, #e30613 20%, #ffffff 20%)"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 파일: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순서 선수 이름 출전 횟수 첫 경기 마지막 경기
1 파울로 다 실바 148회 2000.4.25 2017.10.10
2 후스토 비야르 120회 1999.3.3 2018.6.12
3 로케 산타 크루즈 112회 1999.4.28 2016.11.10
4 카를로스 가마라 110회 1993.3.3 2006.10.7
5 크리스티안 리베로스 101회 2005.5.4 2018.3.27
6 로베르토 아쿠냐 100회 1993.3.3 2011.6.11
데니스 카니사 1996.11.10 2010.9.7
}}}}}}}}}}}}}}} ||

8. 현재 선수 명단

{{{#!wiki style="margin: 0 -10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포지션 등번호 이름 생년월일 출장 소속 클럽
<colbgcolor=#1A5A9F><colcolor=#fff> GK 1 카를로스 미구엘 코로넬
(Carlos Miguel Coronel)
1996년 12월 29일 ([age(1996-12-29)]세) 3 0 파일:미국 국기.svg 뉴욕 레드불스
12 산티아고 로하스
(Santiago Rojas)
1996년 4월 5일 ([age(1996-04-05)]세) 2 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티그레
22 후안 에스피놀라
(Juan Espínola)
1994년 11월 2일 ([age(1994-11-02)]세) 1 0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클루브 올림피아
DF 2 로베르트 로하스
(Robert Rojas)
1996년 4월 30일 ([age(1996-04-30)]세) 24 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티그레
3 오마르 알데레테
(Omar Alderete)
1996년 12월 26일 ([age(1996-12-26)]세) 12 0 파일:스페인 국기.svg 헤타페 CF
4 마티아스 에스피노사
(Matías Espinoza)
1997년 9월 19일 ([age(1997-09-19)]세) 1 0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클루브 리베르타드
5 파비안 발부에나
(Fabián Balbuena)
1991년 8월 23일 ([age(1991-08-23)]세) 36 2 파일:러시아 국기.svg 디나모 모스크바
6 후니오르 알론소
(Júnior Alonso)
1993년 2월 9일 ([age(1993-02-09)]세) 52 2 파일:러시아 국기.svg FC 크라스노다르
14 이반 라미레스
(Iván Ramírez)
1998년 4월 27일 ([age(1994-12-08)]세) 4 0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클루브 리베르타드
15 구스타보 고메스 파일:주장 아이콘.svg
(Gustavo Gómez)
1993년 5월 6일 ([age(1993-05-06)]세) 69 4 파일:브라질 국기.svg SE 파우메이라스
- 산티아고 아르사멘디아
(Santiago Arzamendia)
1998년 5월 5일 ([age(1998-05-05)]세) 23 0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세로 포르테뇨
- 알베르토 에스피놀라
(Alberto Espínola)
1991년 2월 8일 ([age(1991-02-08)]세) 11 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콜론
- 마테오 가마라
(Mateo Gamarra)
2000년 10월 20일 ([age(2000-10-20)]세) 3 0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클루브 올림피아
MF 8 알바로 캄푸차노
(Álvaro Campunazo)
1995년 6월 12일 ([age(1995-06-12)]세) 2 0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클루브 리베르타드
10 미겔 알미론
(Miguel Almirón)
1994년 2월 10일 ([age(1994-02-10)]세) 52 7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뉴캐슬 유나이티드
13 마티아스 갈라르사
(Matías Galarza)
2002년 2월 11일 ([age(2002-02-11)]세) 3 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타예레스
16 마티아스 로하스
(Matías Rojas)
1995년 12월 03일 ([age(1995-12-03)]세) 15 1 파일:브라질 국기.svg SC 코린치안스
17 카쿠
(Alejandro Romero Gamarra)
1995년 1월 11일 ([age(1995-01-11)]세) 17 5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 아인 FC
18 가스톤 히메네스
(Gastón Giménez)
1991년 7월 27일 ([age(1991-07-27)]세) 9 1 파일:미국 국기.svg 시카고 파이어 FC
20 리차르드 산체스
(Richard Sánchez)
1996년 3월 29일 ([age(1996-03-29)]세) 34 1 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아메리카
23 브라이안 오헤다
(Braian Ojeda)
2000년 6월 27일 ([age(2000-06-27)]세) 8 0 파일:미국 국기.svg 레알 솔트레이크
- 마티아스 비야산티
(Mathías Villasanti)
1997년 01월 24일 ([age(1997-01-24)]세) 31 0 파일:브라질 국기.svg 그레미우
- 다미안 보바디야
(Damián Bobadilla)
2001년 07월 11일 ([age(2001-07-11)]세) 0 0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세로 포르테뇨
FW 7 가브리엘 아발로스
(Gabriel Ávalos)
1990년 10월 12일 ([age(1996-03-04)]세) 12 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AA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9 안토니오 사나브리아
(Antonio Sanabria)
1996년 3월 4일 ([age(1996-03-04)]세) 29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토리노 FC
11 헥터 빌라바
(Héctor Villalba)
1994년 7월 26일 ([age(1994-07-26)]세) 3 0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클루브 리베르타드
19 라몬 소사
(Ramón Sosa)
1999년 8월 31일 ([age(1999-08-31)]세) 4 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타예레스
21 아담 바레이로
(Adam Bareiro)
1996년 7월 26일 ([age(1996-07-26)]세) 1 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산 로렌소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10월 12일
}}}}}} ||

9. 역대전적

9.1. FIFA 월드컵

월드컵 역대 전적 순위: 25위
연도 결과 순위 경기 승점 득점 실점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조별리그[5] 9위 2 3 1 0 1 1 3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불참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불참
파일:브라질 국기.svg
1950년 브라질
조별리그 11위 2 1 0 1 1 2 4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조별리그 12위 3 4 1 1 1 9 12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16강 13위 4 5 1 2 1 4 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16강 14위 4 5 1 2 1 3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국/일본
16강 16위 4 4 1 1 2 6 7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조별리그 18위 3 3 1 0 2 2 2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8강 8위 5 6 1 3 1 3 2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중미
? ? ? ? ? ? ? ? ?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년
자동진출[11]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년 사우디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8회 / 8강 1회 31 27 7 10 10 30 38

총 성적은 7승 10무 10패 승점 31점, 월드컵 순위는 25위에 랭크되어 있다. 2014년 월드컵 진출에 실패하고, 같은 기간 미국이 죽음의 조를 뚫고 16강에 진출하였지만 1점 차이로 간신히 순위를 지켜냈다. 다음 대회인 러시아 월드컵에서도 파라과이가 진출에 실패하면서 미국에게 매우 높은 확률로 순위가 추월당할 것으로 여겨졌으나, 미국 역시 지역예선에서 32년 만에 충격적인 탈락을 하게 되어 다시금 순위를 지켜낼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파라과이는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도 본선 진출에 실패하였고 이 대회에서 미국이 16강에 진출하며 순위가 역전되었고 대한민국도 16강 진출에 성공하며 승점에서 파라과이와 동률을 기록하게 되었다. 하지만 대한민국보다 골득실에서 우세해 순위가 역전되지는 않았다.

다른 나라들과의 상대전적은 다음과 같으며, 볼드체로 표기한 팀은 역대 월드컵 우승팀이다.
이탈리아 : 1무 1패(1950, 2010)
독일 : 1패(2002)
잉글랜드 : 2패(1986, 2006)
프랑스 : 2패(1958, 1998)
스페인 : 1무 2패(1998, 2002, 2010)
스웨덴 : 1무 1패(1950, 2006)
세르비아 : 1무(1958)
멕시코 : 1무(1986)
벨기에 : 1승 1무(1930, 1986)
미국 : 1패(1930)
스코틀랜드 : 1승(1958)
나이지리아 : 1승(1998)
불가리아 : 1무(1998)
일본 : 1무(2010)
남아공 : 1무(2002)
슬로베니아 : 1승(2002)
뉴질랜드 : 1무(2010)
트리니다드 토바고 : 1승(2006)
이라크 : 1승(1986)

대륙별 상대전적은 다음과 같다.
유럽 4승 6무 9패
북중미 1승 1무 1패
아시아 1승 1무
아프리카 1승 1무
오세아니아 1무

파라과이에 패배를 안긴 팀은 잉글랜드(2패), 프랑스(2패), 스페인(2패), 독일(1패), 이탈리아(1패), 미국(1패), 스웨덴(1패)으로 총 7개국이며, 잉글랜드, 프랑스, 독일, 미국을 상대로는 전패를 기록중인데, 이 중 미국을 제외한 나머지 세팀은 유럽 소속이며, 반면에 가장 많은 승점을 얻은 팀은 벨기에로서 2경기 4점을 획득했다. 비록 1승뿐이지만 스코틀랜드, 나이지리아,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트리니다드 토바고를 상대로는 전승을 기록중이다.

파라과이가 상대전적이 앞서는 나라는 벨기에, 스코틀랜드, 나이지리아,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트리니다드 토바고로 총 6개국이며, 세르비아, 멕시코, 불가리아, 일본, 남아공, 뉴질랜드를 상대로는 호각세를 이루고 있다.

가장 많은 골을 넣은 경기는 1958년 16강 조별리그 프랑스전 3:7 패, 스코틀랜드전 3:2 승, 유고슬라비아전 3:3 무, 1998년 32강 조별리그 나이지리아전 3:1 승, 2002년 32강 조별리그 슬로베니아전 3:1 승으로 한경기 3골이 최고기록이다. 특이사항으로 1958년 16강 조별리그 세 경기에서 전부 3득점을 기록해, 이 대회의 경기들 모두 최다득점 타이기록에 놓여있다. 가장 많은 골을 허용한 경기는 1958년 16강 조별리그 프랑스전 3:7 패로 7실점이다. 이 경기에서 파라과이의 역대 최다득점, 실점 기록이 모두 나왔다.

로케 산타 크루즈, 호세 루이스 칠라베르트로 잘 알려진 파라과이여서 우리에겐 친숙한 편이다. 최근 들어 꾸준히 국제대회에 출전하고 꾸준히 좋은 성적을 내고 있어 멕시코와 더불어 무시 못할 강팀으로 인식이 박혀있는 팀이다. 그러나 이 지위도 2014 브라질 월드컵 남미예선에서 최하위로 탈락하면서 처절히 깨져버렸으며 심지어 하위권 붙박이팀 페루, 볼리비아, 베네수엘라에게 모두 밀리는 굴욕을 겪었다. 하필 남미예선에서 열리는 대회, 바로 옆 동네로도 못 가고 떨어졌으니 그 아쉬움은 더할 것이다.

그래도 그전까지 4회 연속 월드컵에 올라와 평균 16강이라는 꾸준한 성적을 냈다. 더욱이 바로 전 대회인 2010년 남아공 월드컵에서는 이탈리아와 슬로바키아를 제치고 1승 2무로 조 1위를 차지해 16강에 오르고 역대급 수면제 경기였던 일본과의 승부차기 끝에 8강에 올라갔다.(최종 8위) 이래 봬도 1930년 첫 대회에서도 모습을 드러낸 팀으로서, 미국에게 월드컵 역사상 첫 해트트릭을 내주는 굴욕을 받았지만 벨기에를 1:0으로 누르고 1승은 챙겨서[12] 1930월드컵 9위를 기록했다. 그 이후로도 1무 1패로 탈락했던 1950년 대회를 제외하고 본선 진출했던 모든 대회에서 1승을 챙기는 놀라운 기록을 남기고 있다. 2승 이상씩 해본 적도 없으며 정확히 1승만 챙겼다. 월드컵 8회 진출에 7승이라는 기록이 저런 꾸준함에서 나온 것. 심지어 1950년 대회도 인도가 기권하지 않았으면 1승은 거의 100% 챙겼다고 봐야할 대회였으므로 아쉽고도 놀라운 기록이다.

월드컵에 나올 때마다 16강은 기본으로 찍어주지만, 최근 대회에서는 최하위로 떨어지는 등 2011 코파 아메리카 이후로 슬럼프가 찾아왔다. 세대교체의 실패가 결정적인 원인으로 보이는데, 과연 이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가 파라과이 축구의 미래를 결정지을 것이다.

결국 2018년 월드컵 예선조차도 마지막 베네수엘라와의 경기만 이겼으면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갈 수 있었는데[13] 그 경기에서 어이없이 패하면서 플레이오프조차도 못 가고 본선 진출이 좌절되면서 또 망해버렸다.

9.2. 올림픽


8강에서 대한민국을 꺾었고 준결승에서는 이라크를 잡고 결승까지 갔으나 아르헨티나한테 0:1로 패하며 은메달에 만족해야만 했다.

9.3.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역대 순위: 4위

9.3.1.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년도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아르헨티나 1916 불참
우루과이 1917 불참
브라질 1919 불참
칠레 1920 불참
아르헨티나 1921 4위 3 1 0 2 2 7 3
브라질 1922 준우승[14] 5 2 1 2 5 6 7
우루과이 1923 3위 3 1 0 2 4 6 3
우루과이 1924 3위 3 1 1 1 4 4 4
아르헨티나 1925 3위[15] 4 0 0 4 4 13 0
칠레 1926 4위[16] 4 1 0 3 8 20 3
페루 1927 기권
아르헨티나 1929 준우승 3 2 0 1 9 4 6
페루 1935 기권
아르헨티나 1937 4위 5 2 0 3 8 16 6
페루 1939 3위 4 2 0 2 9 8 6
칠레 1941 기권
우루과이 1942 4위 6 2 2 2 11 10 8
칠레 1945 기권
아르헨티나 1946 3위 5 2 1 2 8 8 7
에콰도르 1947 [17] 준우승 7 5 1 1 16 11 16
브라질 1949 준우승[18] 8 6 0 2 21 13 18
페루 1953 우승[19] 7 4 2 1 14 8 14
칠레 1955 5위 5 1 1 3 7 14 4
우루과이 1956 5위 5 0 2 3 3 8 2
페루 1957 기권
아르헨티나 1959 3위 6 3 0 3 12 12 9
에콰도르 1959 5위 4 0 1 3 6 11 1
볼리비아 1963[20] 준우승 6 4 1 1 13 7 13
우루과이 1967[21] 4위 5 2 0 3 9 13 6
합계 본선진출 20회 / 우승 1회 98 41 13 44 173 199 136

9.3.2. 코파 아메리카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개최국 없음 1975[22] 조별리그 7위 4 1 1 2 5 5 4
개최국 없음 1979[23] 우승 1위 9 4 4 1 13 7 16
개최국 없음 1983[24] 4강 3위 2 0 2 0 1 1 2
아르헨티나 1987[25] 조별리그 9위 2 0 1 1 0 3 1
브라질 1989 4강 4위 7 3 1 3 9 10 10
칠레 1991 8강 6위 4 2 0 2 7 8 6
에콰도르 1993[26] 8강 8위 4 1 1 2 2 7 4
우루과이 1995 8강 6위 4 2 1 1 6 5 7
볼리비아 1997 8강 7위 4 1 1 2 2 5 4
파라과이 1999[27] 8강 6위 4 2 2 0 6 1 8
콜롬비아 2001 조별리그 10위 3 0 2 1 4 6 2
페루 2004 8강 5위 4 2 1 1 5 5 7
베네수엘라 2007 8강 5위 4 2 0 2 8 8 6
아르헨티나 2011[28] 준우승 2위 6 0 5 1 5 8 5
칠레 2015 4강 4위 6 1 2 3 6 12 5
미국 2016 조별리그 13위 3 0 1 2 1 3 1
합계 본선진출 16회 / 우승 1회 70 21 25 24 80 94 88

9.4. 대한민국과의 역대 전적

대한민국과의 역대전적은 1승 4무 2패로 열세.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콜롬비아와 더불어 대한민국에게 역대 전적 열세를 보이는 네 남미 국가 중 하나로, 유독 남미에 약한 모습을 보이는 대한민국 대표팀에게 1986년에 벌어진 첫 맞대결에서 승리를 거둔 것을 제외하곤 21세기 이후 벌어진 6경기에서는 4무 2패로 2001년 1월 27일 홍콩 칼스버그컵 3,4위전에서 무승부 후 승부차기로 패배하며, 이후 단 한 번도 승리하지 못했다. 특히 최근의 맞대결에서는 2009년 박주영의 골로 한국이 1-0 승리를 거둔 데 이어 2014년 평가전에서 김민우 남태희의 골로 한국이 2-0 승리를 기록해 2연승을 달리고 있는 중이다. 여담으로 2001년 1월에 있던 칼스버그컵에서 맞대결 했을때 골키퍼 김병지가 무리하게 공을 몰고 가다 상대 미드필더인 구스타보 모리니고에게 공을 빼앗기는 아찔한 실수를 벌였고, 결국 후반전에 교체되고 말았다. 이 경기에서 대한민국이 승부차기에서 승리했지만 이 경기 이후 김병지는 당시 감독인 거스 히딩크 감독의 눈 밖에 나게 되면서 한동안 대표팀에서 볼 수 없었다.

그나마 U-23 대표팀에서는 파라과이가 우세하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16강 조별리그에서 처음 만나 0-0 무승부를 기록했고, 2004년 아테네 올림픽 8강에서는 3-2로 승리를 거두고, 대회 은메달까지 거머쥔다. 당시 전반에만 3골을 넣어 일찍 승기를 잡았고, 후반 이천수의 분투로 3-2까지 대한민국이 쫒아왔으나, 한점차를 잘 지켜 승리를 거머쥐었다. U-20 대표팀에서도 서로 자주 만났다. 특히 U-20 월드컵에서만 3번이나 만났는데, 1979년 대회에선 3-0의 완승을 거뒀고, 2003년 대회에서도 1-0으로 승리하며 16강에 올랐었다. 그러다가 2009년 대회 16강에선 대한민국의 김민우에게 2골을 헌납하며 역으로 0-3으로 대패해 탈락(14등)했다.

그래도 콜롬비아와는 다르게, 파라과이만 만나면 대한민국도 매번 고전했다. 상술했던 2004년 아테네 올림픽 8강전도 그랬고, 2승 3무를 거뒀던 5경기도 대한민국이 쉽게 가져왔던 경기는 2014년의 2-0 승리 말고는 없다. 2022 월드컵 남미예선 탈락 후 6월에 치른 가장 최근의 평가전도 2골을 먼저 내줘 자칫하면 대한민국이 질 뻔했다. 파라과이도 우루과이 못지 않게 끈적한 수비축구를 펼치는 팀이며, 특히 로케 산타 크루즈, 호세 카르도소, 오스카르 카르도소 등 역대 파라과이의 힘 있는 원톱 공격수에게 고전하는 경우가 많았다.
<rowcolor=#373a3c>일자 장소 스코어 파라과이 득점자 대한민국 득점자 비고
1986년 2월 16일 홍콩 스타디움 (홍콩) 3:1
(0:0)
아돌피노 카네테
이시드로 산도발
블라디미로 스케티나
조민국 1986 홍콩 구정컵
2001년 1월 27일 홍콩 스타디움 (홍콩) 1:1
(0:0)
PSO 5:6
구스타보 모리나고 고종수 2001 홍콩 칼스버그컵
3-4위전
2004년 4월 28일 인천문학경기장 0:0 X X 친선경기
2005년 1월 19일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미국) 1:1
(1:0)
호세 카르도소 김진규 친선경기
2009년 8월 12일 서울월드컵경기장 0:1
(0:0)
X 박주영 친선경기
2014년 10월 10일 천안종합운동장 0:2
(0:2)
X 김민우
남태희
친선경기
2022년 6월 10일 수원월드컵경기장 2:2
(1:0)
미겔 알미론 손흥민
정우영
친선경기
총 전적 7전 1승 4무 2패

10. 연령별 대표팀

10.1. U-20 대표팀

10.1.1. FIFA U-20 월드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파일:튀니지 국기.svg
1977년 튀니지
조별리그 5위 6 3 2 0 1 6 2
파일:일본 국기.svg
1979년 일본
8강 5위 7 4 2 1 1 8 3
파일:호주 국기.svg
1981년 호주
예선 탈락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3년 멕시코
파일:소련 국기.svg
1985년 소련
조별리그 12위 1 3 0 1 2 3 6
파일:칠레 국기.svg
1987년 칠레
예선 탈락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9년 사우디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1991년 포르투갈
파일:호주 국기.svg
1993년 호주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5년 카타르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97년 말레이시아
조별리그 17위 2 3 0 2 1 5 6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99년 나이지리아
16강 10위 7 4 2 1 1 7 8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01년 아르헨티나
4강 4위 10 7 3 1 3 8 11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3년 아랍에미리트
16강 13위 6 4 2 0 2 4 4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5년 네덜란드
예선 탈락
파일:캐나다 국기.svg
2007년 캐나다
파일:이집트 국기.svg
2009년 이집트
16강 14위 5 4 1 2 1 2 4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2011년 콜롬비아
예선 탈락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13년 터키
16강 14위 5 4 1 2 1 3 3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15년 뉴질랜드
예선 탈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대한민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2019년 폴란드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23년 아르헨티나[29]
파일:칠레 국기.svg
2025년 칠레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9회 / 4위 1회 49 36 13 10 13 46 47

10.2. U-17 대표팀

10.2.1. FIFA U-17 월드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파일:중국 국기.svg
1985 중국
예선 탈락
파일:캐나다 국기.svg
1987 캐나다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1989 스코틀랜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1 이탈리아
파일:일본 국기.svg
1993 일본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1995 에콰도르
파일:이집트 국기.svg
1997 이집트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1999 뉴질랜드
8강 5위 7 4 2 1 1 10 6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2001 트리니다드 토바고
조별리그 9위 6 3 2 0 1 5 6
파일:핀란드 국기.svg
2003 핀란드
예선 탈락
파일:페루 국기.svg
2005 페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 대한민국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09 나이지리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2011 멕시코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3 UAE
파일:칠레 국기.svg
2015 칠레
조별리그 17위 3 3 1 0 2 8 7
파일:인도 국기.svg
2017 인도
16강 10위 9 4 3 0 1 10 10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9 브라질
8강 5위 10 5 3 1 1 13 7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23 인도네시아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5 카타르
? ? ? ? ? ? ? ? ?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6 카타르
? ? ? ? ? ? ? ? ?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7 카타르
? ? ? ? ? ? ? ? ?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8 카타르
? ? ? ? ? ? ? ? ?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9 카타르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5회 / 8강 2회 35 19 11 2 6 46 36

11.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fff,#191919> 파일:코파 아메리카.png 코파 아메리카
우승 국가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 #000000"
순서 우승국 우승연도 우승 횟수
1 <colbgcolor=#eeeeef,#191919> 파일: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colbgcolor=#002395,#000> 우루과이 1916년 1917년 1920년 1923년 1924년,
  1926년, 1935년, 1942년, 1956년, 1959년,
1967년, 1983년, 1987년, 1995년 2011년
★★★★★
★★★★★
★★★★★

15회
2 파일: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브라질 1919년 1922년, 1949년, 1989년, 1997년,
1999년, 2004년, 2007년 2019년
★★★★★
★★★★

9회
3 파일: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2성)엠블럼.svg 아르헨티나 1921년 1925년 1927년 1929년 1937년,
1941년, 1945년, 1946년, 1947년, 1955년,
1957년, 1959년, 1991년, 1993년, 2021년, 2024년
★★★★★
★★★★★
★★★★★★

16회
4 파일:페루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페루 1939년, 1975년 ★★
2회
5 파일: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라과이 1953년, 1979년 ★★
2회
6 파일: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볼리비아 1963년
1회
7 파일:콜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콜롬비아 2001년
1회
8 파일:칠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칠레 2015년, 2016년 ★★
2회
}}}}}}}}} ||



[1] Elo 레이팅스는 상시 나오는 것이므로, 가장 최근 A매치와 그 직전 A매치 사이의 순위변동을 기입함. [2] 8위 [3] 이 대회 8강에서 대한민국을 꺾었다. [4] 이 경기에서 브라질은 승부차기에 나선 4명의 키커가 모두 실축하는 4연뻥을 달성한다. [5] 미국한테 역대 월드컵 최초의 헤트트릭을 당했다. [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11] 월드컵 100주년 기념 자동 진출 [12] 1930년 당시 월드컵 1승은 쉽지 않은 성적이었다. 특히 대한민국이 월드컵 1승을 2002년에 달성한 것을 비교하면 쉽지 않은 성적이다. [13] 상대가 뉴질랜드라 매우 높은 확률로 진출이 가능한 상황이었다. [14] 당시 남미 투톱은 우루과이와 아르헨티나였다. 우루과이는 이겼고, 아르헨티나에게는 졌지만 결과적으로 브라질, 우루과이와 승점이 같아 최종 플레이오프까지 갔다. 우루과이가 기권하여 브라질과 자웅을 겨루었지만 패배하였고 최종 2위에 오르는 이변을 일으켰다. [15] 참가국 3개 중 꼴찌. 성적도 4전 전패였다. [16] 다섯 개 국가 중 최종 4위를 기록했으므로 원래 색을 적용한다. [17] 우루과이를 3위로 밀어내고 아르헨티나에 이어 최종 2위를 차지했다. [18] 브라질과 승점이 같아 재경기 끝에 0:7로 대패하고 사상 최초 2연속 준우승을 달성했다. [19] 페루와의 경기에서 파라과이 선수의 비신사적인 행동으로 인해 패배 처리(실제스코어 2:2)의 굴욕을 당했으나, 3년 전 월드컵의 우승, 준우승국인 브라질, 우루과이를 모두 누르고 사상 처음으로 우승했다. 특히 브라질을 2:1로 잡은데 이어 승점이 같아 플레이오프를 했을 때도 3:2로 이기며 브라질 킬러로 올라섰다. [20] 볼리비아에 이어 2위를 차지,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를 모두 제치고 준우승을 했다. [21] 코파아메리카 역사상 유일하게 지역예선을 치렀던 대회였고, 에콰도르를 1승 1무(총합 5:3)로 누르고 본선에 올라서 최종 4위를 기록했다. [22] 개최국 없이 각 국가에 분산되어 경기가 열렸으며, 이 대회부터 풀리그가 아닌 조별리그+토너먼트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23] 개최국 없이 각 국가에 분산되어 경기가 열렸다. 결승전까지 올라 칠레와 1승 1패(3득점 1실점)로 재경기를 했지만 여기서도 0:0으로 비겨, 결국 득실에 앞서는 파라과이가 두 번째 우승컵을 차지했다. [24] 개최국 없이 각 국가에 분산되어 경기가 열렸다. 전 대회 우승국 자격으로 4강에 자동진출, 브라질과 2무를 했지만 원정 다득점에 밀려 탈락했다. 3/4위전이 없었고, 공동3위로 처리되었다. [25] 20년만에 개최국을 다시 선정하기 시작했으며, 아르헨티나가 그 주인공이 되었다. [26] 참가국을 12개로 확대해 타 대륙팀을 초청하기 시작했고, 첫 초청국은 멕시코와 미국으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토너먼트를 8강까지 확대하면서 지금과 같은 대회가 완성되었다. [27] 코파 아메리카 참가는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브라질에 이어 5번째로 빨랐지만 개최는 처음이었다. 첫 참가 이후 78년만의 개최로, 국가 수가 적은 남미의 특수성을 감안하면 상당히 늦은 편이었다. 그나마도 개최국의 이점을 살리지 못하고 8강전에서 우루과이에 승부차기 패배를 당했다. [28] 예선에서 3무, 8강과 4강 모두 승부차기로 올라가면서 5무로 결승까지 진출한 유일한 국가가 되었다. 결승에서까지 승부차기로 이기면 무승 우승이라는 기록을 달성할 뻔 했으나, 우루과이에 0:3으로 대패하면서 결국 무승 준우승에 머물렀다. [29] 2021년 대회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