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18:49:55

덴마크 크로네

페로 크로네에서 넘어옴
북유럽의 통화
파일:유럽중앙은행 로고.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올란드 제도 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유로
( 핀란드 마르카)( 핀란드, 올란드 제도파일:UEFA EURO FIN.png )
( 에스토니아 크론, 라트비아 라트, 리투아니아 리타스)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페로 제도 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덴마크 크로네
( 페로 크로네*파일:덴마크 원형.png )
스웨덴 크로나 노르웨이 크로네 아이슬란드 크로나
* 페로 제도에서 사용

북아메리카의 통화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연방준비제도 휘장.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캐나다 달러 미국 달러 멕시코 페소
파일:버뮤다 기.svg 파일:유럽중앙은행 로고.svg 파일:생피에르 미클롱 기.svg 파일:그린란드 기.svg
버뮤다 달러파일:영국 원형.png 유로( 프랑스 프랑)
( 생피에르 미클롱파일:프랑스 원형.png )
덴마크 크로네
( 그린란드파일:덴마크 원형.png )

대한민국에서 취급하는 외국 통화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6799ff><colcolor=#fff> 아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엔,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위안, 파일:대만 국기.svg 신대만 달러,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달러,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바트,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페소,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동,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루피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링깃,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달러,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달러,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타카(#),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타카(#),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텡게(# /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솜(# / ※)
중동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디나르,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디나르,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디나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신 셰켈,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리알(#)
유럽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로, 파일:영국 국기.svg 파운드 스털링,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프랑,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크로나(#),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크로네(#),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크로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코루나,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즈워티,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포린트,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루블( 사실상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리라(#)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달러,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달러,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페소,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헤알,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페소(#)
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운드(#),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실링(#)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달러,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달러,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달러(# / ※)
범례: 제한적으로 환전 가능 (#), 외화→원화로만 환전 가능 (※) }}}}}}}}}

Dansk Krone ( 덴마크어)
Danskit Koruuni ( 그린란드어)
Donsk Króna ( 페로어)

파일:600px-DanmarksNationalbank.png

1. 개요2. 환율과 환전3. 상세
3.1. Portræt - og landskabsserien (1차)3.2. 2차3.3. 3차3.4. 4차3.5. 5차(예정)3.6. 동전
4. 페로 크로네
4.1. 구권4.2. 현행권
5. 이야기거리6. 둘러보기

1. 개요

덴마크, 그린란드, 페로 제도의 통화. ISO 4217 코드는 DKK이며 기호는 kr. 대개는 그냥 숫자,-로 표기하는데 예를 들어 60크로네면 60,- 한국식으로 바꾸면 단순히 "60.0"이라는 의미.

보조단위로 외레(øre)가 있으나 50외레를 제외하면 모두 사멸, 현재는 50외레마저 어지간히 잘 쓰이지 않는 상황.[1] 또 "크로네"가 올바른 표기법이지만, "크로나"라고도 한다. 발음은 "크로너"와 "크로느"의 중간 발음이다. 복수형은 Kroner이고 발음은 "크로너"가 맞다. 발행은 덴마크 국립은행(Danmarks National bank)이 한다.

2000년 9월 28일에 유로 도입을 두고 열린 국민 투표에서 46.8%(찬성) : 53.2%(반대)의 결과가 나와서 유로 사용국은 아니지만, ERM2 시스템에 의해 고정환율값을 갖는다. 정확히는 7.46038크로네/EUR. 2023년 12월 05일 기준으로 202.5원/DKK이다. 때문에 환율이 급변할까 걱정할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덴마크에 유로가 통용되는 것은 아니므로 주의하자. 수도 코펜하겐을 비롯한 관광지에서는 반올림해 1유로당 7.5크로네로 받아주는 경우도 종종 있다. 선진국에서 타국 통화가 더 높은 가치로 통용되는 흔치 않은 경우.

인플레이션은 2.3%(2010년)로 다른 ERM2 국가들에 비하면 상당히 낮은 수준.

파생 통화로 페로 제도의 자체통화인 페로 크로네가 있으며, 과거 그린란드의 자체통화인 그린란드 크로네도 있었으나 이쪽은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 덴마크 크로네로 갈아탄 지 오래.

2. 환율과 환전

덴마크에서도 대한민국 원이 환전이 가능하지만 수수료는 최소 5%에서 최대 50%까지 받는 경우가 있으니 국내 시중은행이나 명동 사설환전소 주인장에게 환전 부탁하거나 의뢰하는 것이 나을 수 있다.

국내 시중은행에서 동종 통화를 살 때와 팔 때 평균이 2.5%이다. 제일 비싼 곳은 신한은행 (2.5%)이며 싼 곳은 우리은행이다.(1.75%)

현재 시점에서는 국내에서의 현찰 환전은 사실상 어려워진 편이다. 하나은행의 경우는 2023년 12월까지는 정상적으로 취급하였다가 해당 지역의 현금 없는 사회로 인한 해당 지폐의 수입 중단 및 수출 제한으로 인해 2023년 12월 19일 부로 비대면 환전 불가 및 취급 지점도 서울 을지로 본점으로 제한을 두어 환전을 하기 어려워졌다가 2024년 8월부터는 현찰매도 및 매입이 완전 중지되었다. KB국민은행 우리은행도 이에 대한 영향으로 기본 취급 통화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다만 신한은행에선 300달러 어치에 해당하는 금액을 신청해서 6영업일 이후 서울 시내 전역 지점에서 찾아가면 되지만 우대가 없고 금액도 높아 약간 불편한 점이 있다.

2024년 6월 기준 현 환율은 1크로네에 약 200원 정도.

여담이지만, 한국에서 환전하면 주로 100크로네권 위주로 받을 수 있다. 그 외 권종은 비교적 구경하기 힘든 편이지만, 50크로네 및 200크로네권이 그나마 간혹 보이는 정도다.

덴마크 포렉스 환율 시세

3. 상세

덴마크 크로네는 크누트 대왕(Knud den Store)에 의해 1020년대에 처음 만들어졌다. 그 이후로 극히 일부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900년 가까이를 왕의 얼굴이 들어간 동전만을 만들어왔고, 왕을 위해 바쳐졌다. 독일의 영향력 하에 있었기 때문에 독일 마르크와 연결된 통화였다.

이러한 관행이 깨지고 지금의 크로네가 구축된 것은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경이다. 덴마크국립은행이 설립된 1818년과 스칸디나비아 통화동맹이 나타난 1873년에 걸쳐 개혁되었다. 이 통화동맹에는 은근히 인연이 있는 옆나라 노르웨이 스웨덴이 참여했었다. 그러나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으로 동맹이 붕괴된 이후론 제각기의 노선을 걷게 되었는데, 덴마크의 경우는 전쟁이 끝난 1924년에 부활하였으나 대공황으로 1931년에 다시 중단크리. 1940년에는 나치 독일에게 재빨리 백기를 휘두른 덕에 제국 마르크의 산하로서 부활했다가 독일의 패망과 함께 산하에서 벗어나 교체되었다.

3.1. Portræt - og landskabsserien (1차)

1952년에 도입된 시리즈. 해석하면 초상화와 풍경 시리즈 정도가 된다. 고액권은 사방으로, 저액권은 띠지처럼 위아래로만 테두리가 있고, 중간과 사이드에 도안 및 액면 등이 들어가는 철저한 가로방향만을 위한 디자인이다.

현대 크로네의 첫 정식발행판인 만큼, 액면 표기 방식이나 폰트 등이 현대식으로 정립되어 있다.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덴마크 크로네/denn21.jpg 5kr 베르텔 토르발센, 삼미신[2] 보르 프루에 교회[3]
파일:attachment/덴마크 크로네/denn22.jpg 10kr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황새 푸넨 민속 마을
파일:attachment/덴마크 크로네/denn23.jpg 50kr 올레 뢰머, 천문대 원형 탑 쥘스란트의 고인돌
파일:attachment/덴마크 크로네/denn24.jpg 100kr 한스 크리스티안 외르스테드, 나침반 크론보르 성
파일:attachment/덴마크 크로네/denn25.jpg 500kr 크리스찬 디틀레브 프레데릭, 쟁기질 중인 농부 로스킬레 대성당

3.2. 2차

1974년에 도입된 시리즈. 여기서부터는 특별히 시리즈의 명칭이 없다.

뒷배경이 위아래 방향으로 패턴을 갖는 전면으로 확대되어 테두리의 개념이 희박해졌고, 단순한 칸 나누기 구성에 앞면에는 인물, 뒷면에는 동물이 그려져 있다.

참고로 앞면 인물은 모두 화가인 젠스 쥬엘의 초상화 작품이며, 뒷면은 저액면 2종의 요하네스 라르센 & 군나르 라르센 작품을 제외하면 이브 안데르센의 그림이다. 그러다 보니 딱히 무언가 의미가 부여된 것이 아닌 게 대부분.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덴마크 크로네/denn31.jpg 10kr 카트린느 소피 키르히호프[4] 참솜깃오리
파일:attachment/덴마크 크로네/denn32.jpg 20kr 파울린 투테인[5] 집참새 두마리
파일:attachment/덴마크 크로네/denn33.jpg 50kr 엥엘케 샤를로테 라이베르크[6] 붕어
파일:attachment/덴마크 크로네/denn34.jpg 100kr 젠스 쥬엘 본인의 자화상 붉은뒷날개나방
파일:attachment/덴마크 크로네/denn35.jpg 500kr 프란지스카 제노베바 폰 콸렌[7] 모래장지뱀
파일:attachment/덴마크 크로네/denn36.jpg 1,000kr 토마시느 길렘부르크 에흐렌스뵈르트 청설모

3.3. 3차

1997년~1999년에 도입된 시리즈. 첫 등장은 1997년 100과 500의 중간 단위인 200크로네가 선행판으로 등장하면서부터이다.

이전 시리즈에 비해 색과 명암이 짙어졌으며 짙게 그어진 선과 뜬금없이 박혀있는 단순하면서 평면적인 도안이 특징. 앞면 도안(덴마크의 인물)과 뒷면 도안(덴마크의 예술 조각)은 서로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다.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덴마크 크로네/denn41.jpg 50kr 카렌 블릭센 란데 교회의 켄타우로스
파일:attachment/덴마크 크로네/denn42.jpg 100kr 칼 닐센 툄메르비 교회의 바실리스크
파일:attachment/덴마크 크로네/denn43.jpg 200kr 요하네 루이세 헤이베르 비보르그 성당의 사자
파일:attachment/덴마크 크로네/denn44.jpg 500kr 닐스 보어 림므 교회의 "용과 싸우는 기사"
파일:attachment/덴마크 크로네/denn45.jpg 1,000kr 아나 & 미카엘 앙케르 비슬레프 교회의 "토너먼트 대전"

3.4. 4차

2009년부터 도입된 소위 다리 시리즈. 공식 명칭은 없지만, 앞면이 죄다 다리(橋)도안이라 "다리 시리즈"로 불린다. 5차 시리즈의 디자이너 카린 버짓 런트(Karin Brigitte Lund)의 해설에 의하면,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상징"의 의미라고. 뒷면의 유물 도안도 앞면의 다리 근처에서 발굴한 선사/고전시대의 유물을 그려 넣었다. 뒷면 오른쪽엔 다리의 위치와 출토 장소를 표기해 놓았다.

새하얀 바탕에 모노톤의 단촐한 도안과 얇은 색띠로만 구성된, 구권보다도 더욱 가벼워진 색감과 간결해진 디자인이 특징.

1000크로네는 2025년 5월 31일부로 유통이 중단될 예정이다.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덴마크 크로네/denn51.jpg 50kr 살링순트교 스카르프살링 항아리
파일:attachment/덴마크 크로네/denn52.jpg 100kr 덴 감레 릴레벨츠교 힌스굴 단검
파일:attachment/덴마크 크로네/denn53.jpg 200kr 크니펠스교 랑스트루프 장식용 버클
파일:attachment/덴마크 크로네/denn54.jpg 500kr 드로닝 알렉산드리네스교 켈드비 청동 용기
파일:attachment/덴마크 크로네/denn55.jpg 1,000kr 스토레벨트 대교 트룬홀름 태양 마차

3.5. 5차(예정)

2028~2029년 사이에 발행 예정.

덴마크 국립은행에 따르면 4차를 제외한 모든 이전 시리즈는 2025년 5월 31일부로 전면 유통중단되며, 또 이 시리즈부터 지나치게 높은 액면가로 인해 잘 쓰이지 않는 1000크로네권[8]을 삭제한다고 한다.

2024년 9월 도안이 선정되었으며 이전처럼 앞면에 인물이 다시 등장하는데, 특이하게도 덴마크 본토 처음으로 그린란드와 관련된 것이 들어가게 되었다.
뒷면은 바다를 모티브로 한 그림들이 들어가게 된다.

3.6. 동전

1874년 등장 이후로 도안들이 거의 바뀌지 않았으며, 액면에 따라 명확하게 갈리는 "금은동" 컬러가 특징이다. 정확히는 외레화가 적동화, 1개 자릿수 크로네가 백동화, 2개 자릿수 크로네가 황동화. 하지만 같은 그룹에 있으면 비슷비슷해서 헷갈리기 쉬운 게 문제점이다. 그나마 적동 외레화는 2008년부로 25외레까지 떨어져 나가면서 1종류밖에 없으므로 구분이 용이하다. 앞면에 왕관, 뒷면에 액면이 둥글둥글하게 쓰여있다.

1, 2, 5크로네는 가운데에 구멍이 뚫린 백동화. 그런데 두께 차이가 0.2mm에 지름이 4mm씩 커지는 점만 빼면 모두 똑같은 디자인인 데다 액면도 잘 안 보이는 위치에 쓰여있어 액면이 쓰여있지 않은 앞면만으로 구분하면 뭔가 골치아픈 느낌. 고액권인 10, 20크로네는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황동화로 여왕 마르그레테 2세 얼굴이 앞면에, 왕실 문장과 액면이 뒷면에 있으며 2024년 1월에 새로 즉위한 프레데리크 10세의 초상으로 교체되었다.

단순히 얼굴만으론 구별이 안 가지만, 테두리에 박힌 톱니로 구분이 가능하다.

파일:1000006964.jpg

4. 페로 크로네

Føroyar Króna ( 페로어)
Færøsk Krone ( 덴마크어)

페로 제도의 자체 통화. 사실상 덴마크 크로네의 파생통화이나 거의 자율적으로 돈이 움직이기 때문에 인플레는 산정되며 2009년 기준으로 -1.1%

복수형은 크로누르(krónur), 보조단위는 오랴(Orya, 복수형 Oyrur)라고 표기.

동전은 위 덴마크 크로네 동전을 그대로 사용하며, 덴마크 크로네 지폐도 함께 통용된다.

4.1. 구권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페로 크로네/faeroe02.jpg 5kr 산양그림이 그려진 옛날풍 동전 한 닢 어부 네 명
파일:attachment/페로 크로네/faeroe01.jpg 10kr[9] 나무방패에 걸린 양 조각 흔한 농가
파일:attachment/페로 크로네/faeroe03.jpg 20kr 얼음꼬챙이 든 사람 양그림 스케치
파일:attachment/페로 크로네/faeroe04.jpg 50kr[10] 놀소야르 파알[11] 놀소이 지방
파일:attachment/페로 크로네/faeroe05.jpg 100kr[12] 벤셀살라스 울리쿠스 함머셰임[13] 키르큐뵈르 마을
파일:attachment/페로 크로네/faeroe06.jpg 500kr 어부 어로작업 스케치
파일:attachment/페로 크로네/faeroe07.jpg 1,000kr 야누스 헨드리크 올리베르 디우르후스[14] 토르스하운의 야누스 생가 근처 거리

4.2. 현행권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페로 크로네/faeroe001.jpg 50kr 숫양 뿔 숨바 절벽
파일:attachment/페로 크로네/faeroe002.jpg 100kr 대구 꼬리 클락스비크 지방[15]
파일:attachment/페로 크로네/faeroe003.jpg 200kr 유령나방 바굼 바위
파일:attachment/페로 크로네/faeroe004.jpg 500kr 게 집게발 흐반나순디
파일:attachment/페로 크로네/faeroe005.jpg 1,000kr 주홍도요 산되이(모래섬)
  • 상술했지만 덴마크가 2025년 5월 31일부로 1,000크로네권을 폐지하기로 결정하며 페로 제도도 1,000크로네권을 폐지해야 할지 덴마크와 논의 중인 상태이다.

5. 이야기거리

  • 잘 쓰이는 표현은 아니지만, 100, 1000크로네 한정으로 별명이 붙어있다 한다. 100크로네는 개(하운드)(Hund), 1,000크로네는 두꺼비(Tudse)인데, 이 둘은 각각 덴마크어인 Hundrede(후나아, 100)와 Tusinde(투슨, 1,000)에서 따온 것.
  • 덴마크 지폐는 일련번호가 2가지가 있다. 하나는 숫자만 7자리로 된 진짜 일련번호고, 다른 하나는 A0000A와 같은 형태의 기번호. 기번호 정중앙의 2자리가 해당 지폐의 생산 연도이다. 예를 들어 G8612C라면 61년산. 이 전통은 2차 발행분부터 시작되었다.
  • 이 문서의 덴마크어 항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덴마크어는 프랑스어보다 더 괴상한 20진법식 표기를 쓰는 걸로 유명하다. 말인 즉 20에 곱하는 계수로 2.5, 3.5, 4.5가 포함되는데 이게 너무 직관적이지 않는다 보니 은행에 관련된 분야에서는 한자문화권 방식처럼 읽기도 한다. 즉, 원래 '50'은 'Halvtredsindstyve(헬트레슨스튀베; 셋째반절곱스물)"로 읽는데 은행 쪽에서는 간단히 femti(다섯열=오십)으로 읽는다는 것.
  • 녹색전차 해모수에서 나오는 화폐 단위도 '크로네'이다. 이 덴마크 화폐 단위에서 따온 것인지는 불명.
  • FX마진 거래 회사에서 제공하는 대다수 쌍은 EUR/DKK, USD/DKK, DKK/SEK, PLN/DKK, DKK/NOK 등이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c7042c>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국호 · 국기
역사 역사 전반 · 바이킹 · 이교도 대군세 · 크누트 대왕 · 북해 제국 · 칼마르 동맹 · 덴마크-노르웨이 왕국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문제 ·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
지리 행정구역 · 북유럽 · 유틀란트반도 · 페로 제도 · 프리지아 제도 · 발트 해 · 그린란드 · 세상의 끝(지명)
정치 정치 전반 · 덴마크 국왕 · 글뤽스부르크 왕조 · 아말리엔보르 궁전 · 덴마크 총리 · 덴마크 의회
외교 외교 전반 · 북유럽 협의회 · 스웨덴-덴마크-노르웨이 관계 · 덴마크-노르웨이 관계 · 스웨덴-덴마크 관계 · 스칸디나비아주의 · 북극이사회 · 유럽연합 · 여권
경제 경제 전반 · 덴마크 크로네 · 머스크라인
교통 철도 환경
국방 덴마크군 · 육군 · 해군 · 공군 · 북대서양 조약 기구
문화 관광 · 북유럽 신화 · 루터교회( 덴마크 교회· 페로 제도 교회)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 레고( 레고랜드) · 덴마크 영화 · 덴마크 드라마 · 덴마크 요리 · 크리스마스 씰 · DR ·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 · 덴마크 수페르리가 · 아쿠아(밴드)
언어 고대 노르드어 · 덴마크어 · 페로어 · 그린란드어
기타 덴마크인( 러시아계) · 노르드족 · 데인족 · 덴마크계 미국인 · 덴마크계 러시아인 · 덴마크계 아르헨티나인 · 덴마크계 캐나다인 · 덴마크계 멕시코인 · 덴마크/인구 · 크리스티아니아
}}}}}}}}} ||


[1] 정작 50외레도 원화로 약 100원 정도나 되는 가치이다... [2] 도안은 베르텔의 조각버전. 원본은 라파엘로의 유채화다. 조각상은 코펜하겐 박물관이 소장중. [3] 내부가 토르발센의 작품들로 꾸며져있다. [4] J. H. 키르히호프의 아내. 결혼 전 성은 크리스텐센. [5] 결혼 전 성은 타스. [6] 결혼 전 성은 파베. [7] 결혼 전 성은 다베스테 [8] 한화 환산시 약 20만원 정도, 이웃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크로네로 환산해도 1500크로네를 넘는다. [9] 1960년대 중반 적색에서 녹색으로 개정. [10] 1970년대 후반 청록색에서 진청색으로 개정. [11] Nólsoyar Páll. 본업은 자체 조선소를 보유한 무역업을 하던 시인. 거의 시골깡촌이나 다름없었던 페로 제도에 유럽의 문물과 신약, 식량 등을 전파해준 바다사나이(Seaman)로 특히 페로 제도가 기근이나 전염병으로 고생했을때 대륙으로 건너가 물자를 날라주는 활약을 하여 영웅이 되었다. 영국에서 집으로 돌아오던 도중 해난사고로 실종되었으며, 이를 기리기 위해 시인 야누스가 그를 소재로 사용하기도 했다. [12] 초창기 버전은 별다른 무늬가 없는 녹색 종이에 불과했다. 그리고 적색에서 황록색으로 변경했다. [13] Venceslaus Ulricus Hammershaimb. 19세기 인물로, 페로어의 정립과 문학을 완성시킨 페로 제도판 주시경 선생이다. [14] Janus Hendrik Oliver Djurhuus. 20세기 인물로, 번역가 겸 시인이다. 유럽의 문학을 페로어로 번역하여 전파함과 동시에, 자신도 시를 지어 유명세를 남겼다. 그의 시 중에서 10수가 묘사된 우표 시리즈를 2004년에 발행했다. [15] 자카리아스 하이네센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