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내무부장관 (1948~1998) | |||||
<nopad> 이승만 정부 | ||||||
초대 윤치영 |
제2대 신성모 |
제3대 김효석 |
제4대 백성욱 |
제5대 조병옥 |
||
<nopad> 이승만 정부 | ||||||
제6대 이순용 |
제7대 장석윤 |
제8대 이범석 |
제9대 김태선 |
제10대 진헌식 |
||
<nopad> 이승만 정부 | ||||||
제11대 백한성 |
제12대 김형근 |
제13대 이익흥 |
제14대 장경근 |
제15대 이근직 |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허정 내각 | |||||
제16대 민병기 |
제17대 김일환 |
제18대 최인규 |
제19대 홍진기 |
제20대 이호 |
||
<nopad> 장면 내각 | ||||||
제21대 홍익표 |
제22대 이상철 |
제23대 현석호 |
제24대 신현돈 |
제25대 조재천 |
||
<nopad> 장도영 내각 | <nopad> 김현철 내각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26대 한신 |
제27대 박경원 |
제28대 엄민영 |
제29대 양찬우 |
제30대 엄민영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31대 이호 |
제32대 박경원 |
제33대 오치성 |
제34대 김현옥 |
제35대 홍성철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36대 박경원 |
제37대 김치열 |
제38대 구자춘 |
제39대 김종환 |
제40대 서정화 |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41대 노태우 |
제42대 주영복 |
제43대 정석모 |
제44대 김종호 |
제45대 정호용 |
||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46대 고건 |
제47대 정관용 |
제48·49대 이상희 |
제50대 이춘구 |
|||
노태우 정부 | ||||||
제51대 이한동 |
제52대 김태호 |
제53대 안응모 |
제54대 이상연 |
제55대 이동호 |
||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56대 백광현 |
제57대 이해구 |
제58대 최형우 |
제59대 김용태 |
제60대 김우석 |
||
<nopad> 문민정부 | 1998년 총무처와 정무장관(제1실)과 통합 | |||||
제61대 서정화 |
제62대 강운태 |
제63대 조해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정자치부장관 (1998~2008) | ||
<nopad> 국민의 정부 | ||||||
초대 김정길 |
제2대 김기재 |
제3대 최인기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제4대 이근식 |
제5대 김두관 |
제6대 허성관 |
||||
<nopad> 참여정부 | ||||||
제7대 오영교 |
제8대 이용섭 |
제9대 박명재 |
||||
행정안전부장관 (2008~2013) | ||||||
<nopad> 이명박 정부 | ||||||
초대 원세훈 |
제2대 이달곤 |
제3대 맹형규 |
||||
안전행정부장관 (2013~2014) | ||||||
<nopad> 박근혜 정부 | ||||||
초대 유정복 |
제2대 강병규 |
제3대 정종섭 |
||||
행정자치부장관 (2014~2017) |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초대 정종섭 |
제2대 홍윤식 |
제3대 김부겸 |
||||
행정안전부장관 (2017~현재) | ||||||
<nopad> 문재인 정부 | ||||||
초대 김부겸 |
제2대 진영 |
제3대 전해철 |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4대 이상민 |
||||||
임시정부 내무부장 | }}}}}}}}}}}} |
역임한 직위 | |||||||||||||||||||||||||||||||||||||||||||||||||||||||||||||||||||||||||||||||||||||||||||||||||||||||||||||||||||||||||||||||||||||||||||||||||||||||||||||||||||||||||||||||||||||||||||||||||||||||||||||||||||||||||||||||||||||||||||||||||||||||||||||||||||||||||||||||||||||||||||||||||||||||||||||||||||||||||||||||||||||||||||||||||||||||||||||||||||||||||||||||||||||||||||||||||||||||||||||||||||||||||||||||||||||||||||||||||||||||||||||||||||||||||||||||||||||||||||||||||||||||||||||||||||||||||||||||||||||||||||||||||||||||||
|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fff> 출생 | 1927년 9월 30일 | ||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면 무기리[1] (現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무기리) |
|||
사망 | 2005년 3월 14일 (향년 77세) |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국립암센터[2] | |||
본관 | 상주 주씨[3] | ||
재임기간 | 제13대 공군참모총장 | ||
1974년 8월 1일 ~ 1979년 4월 13일 | |||
제22대 국방부장관 | |||
1979년 12월 14일 ~ 1982년 5월 21일 | |||
제42대 내무부장관 | |||
1983년 7월 6일 ~ 1985년 2월 18일 | |||
제2대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수석부의장 | |||
1985년 6월 3일 ~ 1988년 2월 24일 | |||
제2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 |||
1988년 2월 25일 ~ 1989년 1월 8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764><colcolor=#ffffff> 부모 | 아버지 주판회, 어머니 안동 김씨 | |
형제자매 | 5형제 중 삼남 | ||
배우자 | 박봉자[4] | ||
자녀 |
장남 주홍식, 차남 주용식 딸 주금순, 주애순, 주비자 |
||
친인척 | 손자 주환우 | ||
학력 |
함안보통학교 (졸업) 오사카 오기마치 상업중학교 (졸업) 다치아라이 육군비행학교 (졸업) 도쿄 육군항공학교 (졸업) 통위부 보병학교 (졸업) 단국대학교 (법학 / 학사) |
||
경력 |
제22대 국방부장관 한국반공연맹 이사장 제42대 내무부장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
||
군사 경력 | |||
임관 | 공군사관학교 (소집 2기) | ||
복무 | 대한민국 공군 | ||
1944년 ~ 1979년 (35년) | |||
최종 계급 | 대장 (대한민국 공군) | ||
최종 보직 | 공군참모총장 | ||
주요 보직 |
공군사관학교 교장 공군 군수사령관 공군 작전사령관 공군참모총장 |
||
참전 | 6.25 전쟁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직 군인. 13대 공군참모총장, 22대 국방부장관, 42대 내무부장관을 지냈다.2. 생애
1927년 9월 30일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면(現 함안군 칠원읍) 무기리에서 아버지 주판회(周判會, 1892. 2. 22 ~ 1934. 10. 1)[5]와 어머니 안동 김씨(1892. 8. 18 ~ ?)[6] 사이에서 5형제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945년 일본 육군항공학교를 수료하고 1949년 공군사관후보생 소위 임관, 1950년에는 공군사관학교 소집 2기로 해 중위로 재임관했다. 1959년 단국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한 뒤, 1963년 국방대학원을 수료하였다.1950년 8월부터 1953년 7월 휴전 때까지 F-51 전투기 조종사로 참전해, 총 77회의 출격 기록을 세웠다. 1960년대 한국 영화의 최고 히트작 빨간 마후라의 주인공 및 배경의 실존 인물들 중 한 명이기도 하다.
1974년에는 옥만호에 이어 공군참모총장으로 임명되어 1979년 4월까지 4년 7개월 동안 최장수 공군참모총장을 지냈다. 같은 해 대장으로 예편하였다. 후임자는 첫 공군사관학교 출신 공군참모총장인 윤자중이었다.[7]
12.12 군사반란 이후 노재현의 뒤를 이어 국방부 장관에 임명되었다.[8]
하나회 반란군들이 쿠데타에 동조하지 않으려는 해군과 공군의 불만을 수습하고, 대외적으로 비 하나회 출신 인사를 얼굴마담으로 내세워 민심을 가라앉히며, 또한 하나회 출신[9]에서 장관을 선임할 경우 이에 따라 발생할 내분을 막으려는 이유로 선택한 것이었다. 비하나회 육군 대장은 자신들이 통제하기 어렵고, 장관 권한과 윗 기수의 권위로 하나회를 되려 역공할 수 있으니 아예 논외로 할 수 밖에 없다.
1980년 5.17 내란 때 중앙청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계엄령 확대를 주장하였다. 이후 1982년까지 대한민국 국방부장관을 지냈다. 그러다가 장영자·이철희 금융사기 사건으로 인한 민심수습책으로 물러났다. 한국반공연맹(현 한국자유총연맹) 이사장(1983), 내무부(현 행정자치부)장관(1983~1985),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1985~1989) 등을 지냈다.
국방부 장관 시절 광주학살을 벌인 계엄군의 자위권 발동을 결정한 장본인으로서, 김영삼 정부 때 12.12 군사반란 및 5.18 민주화운동 관련 재판에서 내란-반란 중요임무 종사 등의 혐의로 7년형을 선고받았다.
2005년 3월 14일에 일산 국립암센터에서 사망했으며 사망 후 유해는 서울 도봉구의 한 암자에 봉안되었다.
2.1. 제공호(KF-5E/F) 도입에 대한 비판
박정희 정부 당시 1974년 8월에 개량형인 F-5E/F 146대를 직도입(구입) 계약하여 주영복 공군참모총장 취임 이후 1975년에 F-5E/F 110대 F-5A/B 22대를 일시에 발주하였다. 물론 당시에 F-5는 대부분의 나라에서 F-16으로 전환하여 F-5가 순차적으로 퇴역하고 있었지만 양적으로도 국군의 전력을 증대하는 상황이 필요했기 때문에 F-5E/F를 1974년에 직도입을 계약하였다.
하지만 박정희 정부의 국군 전력 증강 사업으로 1974년부터 시작한 율곡사업으로 추진 계획으로는 원래 1970년대 후반 ~ 1980년대 초반부터 운용할 계획으로 F-16A/B의 면허생산이 추진되고 있었으며, 당시 제너럴 다이나믹스의 해외진출 영업전략과 맞아 떨어지면서 F-16A/B의 면허생산이 매우 구체적으로 추진되고 있었고 제너럴 다이나믹스에서 미국내 로비를 진행하며 한국에 F-16 조립공장의 설립을 적극 추진하였다. 같은 시기 미국의 보우트 사에서는 A-7 공격기의 생산라인을 한국에 판매하고 항공기 생산기술을 모두 이전하겠다는 제안도 받았다. 그러나 박정희가 암살 당한 10.26 사건, 이후 곧이어 발생한 12.12 군사반란이후 모든 계획이 휴지조각이 되어버렸다.
1979년 12월 14일 F-5 전투기를 사랑한 주영복장군이 국방장관에 취임하면서 F-16A/B 면허생산 계획이 F-5(노스럼) 면허생산(녹다운방식)으로 급변하게 되어 1982년부터 1986년까지는 대한항공의 조립생산 모델인 KF-5E/F 제공호 68대를 도입하게 되었다. 결국 이 결정은 대한민국 항공산업 발전의 기틀이 박살내 버렸고 공군 전력 강화에도 악영향을 주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당시 F-5는 F-16에 의해 전세계적으로 도태되는 기종이였고 국내외 도입 수요가 없는 기종이였다. 주변국을 살펴보면 대만은 F-5의 국내생산을 중단하고 있었고, 일본은 F-4EJ, F-15를 이미 면허생산하고 있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1981년 12월 피스 브릿지 사업이 진행되어 F-16A/B보다는 상위 기종인 F-16C/D 블록 32 40기를 1986년부터 직도입하게 되었고 1990년대 KFP 사업으로 F-16C/D 블록 52가 선정되어 초기에는 직도입, 이후 면허생산을 진행하게 되어 항공 산업의 발전이 늦게 되어 대한민국 공군의 전투기 전력이 부족해져 2020년대 현재도 노후화 된 F-5E/F 계열을 운용하게 되었고 노후화로 인해 잦은 기체 추락이 발생하게 되어 안타까운 파일럿의 희생이 이어지는 중이다.
정말 말도 안되는 석양이 지고 있는 F-5 시리즈를 도입하면서 공군의 전력증강이 10년 후퇴란 결과가 일어났다.
3. 둘러보기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808080; border-right: 10px solid #808080; text-align: center; margin: -0px -11px; margin-top: -12.5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margin-left:10px; margin-right:-17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f2024><tablebgcolor=#ffffff,#1f2024> | }}}{{{#!wiki style="padding: 0px; display: inline-table;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 <tablebordercolor=#ffffff,#1f202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f2024> |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808080; border-right: 10px solid #80808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181818,#e5e5e5 |
직위 | 명단 | ||
경제기획원장관 | <colbgcolor=#ffffff,#1f2024><colcolor=#808080> 이한빈 → 김원기 | |||
국토통일원장관 | 이규호 → 최완복 | |||
외무부장관 | 박동진 | |||
내무부장관 | 김종환 | |||
재무부장관 | 김원기 → 이승윤 | |||
법무부장관 | 백상기 → 오탁근 | |||
국방부장관 | 주영복 | |||
문교부장관 | 김옥길 → 이규호 | |||
농수산부장관 | 이재설 → 정종택 | |||
상공부장관 | 정재석 → 신병현 | |||
건설부장관 | 최종완 | |||
보건사회부장관 | 진의종 | |||
교통부장관 | 유양수 → 김재명 | |||
체신부장관 | 배상욱 → 윤흥정 | |||
문화공보부장관 | 이규현 → 이광표 | |||
총무처장관 | 김용휴 | |||
과학기술처장관 | 성좌경 |
}}}}}}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004c97; border-right: 10px solid #004c97; text-align: center; margin: -0px -11px; margin-top: -12.5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margin-left:10px; margin-right:-17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f2024><tablebgcolor=#ffffff,#1f2024> | }}}{{{#!wiki style="padding: 0px; display: inline-table;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 <tablebordercolor=#ffffff,#1f202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f2024> |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004c97; border-right: 10px solid #004c97;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
경제기획원장관 | <colbgcolor=#ffffff,#1f2024><colcolor=#004c97> 신병현 → 김준성 → 서석준 → 신병현 → 김만제 → 정인용 | |||
국토통일원장관 | 이범석 → 손재식 → 이세기 → 박동진 → 허문도 | |||
외무부장관 | 노신영 → 이범석 → 이원경 → 최광수 | |||
내무부장관 | 서정화 → 노태우 → 주영복 → 정석모 → 김종호 → 정호용 → 고건 → 정관용 → 이상희 | |||
재무부장관 | 이승윤 → 나웅배 → 강경식 → 김만제 → 정인용 → 사공일 | |||
법무부장관 | 오탁근 → 이종원 → 정치근 → 배명인 → 김석휘 → 김성기 → 정해창 | |||
국방부장관 | 주영복 → 윤성민 → 이기백 → 정호용 | |||
문교부장관 | 이규호 → 권이혁 → 손제석 → 서명원 | |||
체육부장관 | 노태우 → 이원경 → 이영호 → 박세직 → 이세기 → 조상호 | |||
농림수산부장관 | 정종택 → 고건 → 박종문 → 황인성 → 김주호 | |||
상공부장관 | 서석준 → 김동휘 → 금진호 → 나웅배 | |||
동력자원부장관 | 박봉환 → 이선기 → 서상철 → 최동규 → 최창락 | |||
건설부장관 | 김주남 → 김종호 → 김성배 → 이규효 → 최동섭 | |||
보건사회부장관 | 천명기 → 김정례 → 이해원 | |||
노동부장관 | 권중동 → 정한주 → 조철권 → 이헌기 | |||
교통부장관 | 고건 → 윤자중 → 이희성 → 손수익 → 차규헌 | |||
체신부장관 | 김기철 → 최광수 → 최순달 → 김성진 → 이자헌 → 이대순 → 오명 | |||
문화공보부장관 | 이광표 → 이진희 → 이원홍 → 이웅희 | |||
총무처장관 | 김용휴 → 박찬긍 → 박세직 → 정관용 → 장기오 | |||
과학기술처장관 | 이정오 → 김성진 → 전학제 → 이태섭 → 박긍식 | |||
정무제1장관 | 최광수 → 정종택 → 오세응 → 이태섭 → 정재철 → 조기상 → 이종률 | |||
정무제2장관 | 노태우 | |||
정무제3장관 | 김기수 |
}}} }}}}}}}}} |
[1]
#
상주 주씨 집성촌이다.
[2]
#.
[3]
참판공파(參判公派) 19세 영(永) 항렬.
[4]
밀양 박씨로 박순기(朴舜基)의 딸이다.
[5]
자는 현윤(賢允).
[6]
김상동(金相東)의 딸이다.
[7]
아마 주영복 장관 시절에는 학사는 받지 않고 단기 교육만 받고 수료했을 가능성이 높다. 육사도 10기까지는 단기 교육만 받고 수료했으며 4년제가 된것은 11기부터이다.
[8]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 중에서 공군 출신으로는 두 번째다.
[9]
하나회 출신을 앉히는 건 어려웠던 것이 하나회에서 가장 높은 11기 윗 기수 장성들이 군 내에 아직 여러명 남아 있기도 했었다.